동충하초 재배기술
 

가. 시설 및 기자재 준비
 

1) 동충하초 재배실

○ 용도 : 애누에 사육, 종균접종, 고치보호, 버섯재배

○ 면적 : 10상자당 20평

○ 구비조건

  • 단열처리
  • 온도조절가능 : 15∼30℃
  • 재배실 내부의 온도 균일도 유지
  • 방충망 설치
     

2) 큰누에 사육실 : 통풍 및 쉬파리 침입방지 가능토록 설계
 

3) 기자재

품명

용도

품명

용도

·냉·온방기

·재배실내 온도조절

 

·잠실,잠구 및 사육중 소독

·축류환풍기

·재배실 내부온도편차방지

·소독약제(포르말린,과망간산가리,하라솔,크롤칼퀴등)

 

·방충망

·쉬파리 침입 방지

·양동이

 

·3P잠박

·애누에사육,종균접종,버섯재배

·칼(단면도)

·훈증소독

·보습커버틀

·종균접종, 버섯재배

·광목

·절견

·비닐

·종균접종, 버섯재배

·플라스틱상자

·버섯재배

·분무기

·종균접종, 버섯재배

 

·수확 및 수매

·상족상

·종균접종, 큰누에똥갈이 상족

 

 


나. 잠실 잠구 및 재배실 소독
 

1) 사육전 소독
 

○ 소독대상 : 전체잠실 및 잠구(누에가루 생산용 및 잠구류 포함)

○ 소독방법 :

  • 잠실 및 잠구류 물세척후 일광소독
  • 포르말린 소독 : 3%액
     

2) 사육중 소독
 

○ 소독대상 : 가급적 전잠실 동시소독 실시

○ 소독방법 : 포르말린 + 과망간산가리 훈증소독

○ 소독약제 및 소독약량(잠실 10평당)

  • 간이잠실 : 포르말린1ℓ + 과망간산가리 500g
  • 밀폐잠실 : 포르말린 0.5ℓ + 과망간산가리 250g

○ 시기

  • 누에사육시 : 2, 3, 4령기잠 저녁급상직후(5령기이후 소독금지)
  • 접종 및 동충하초 재배실 : 작업착수 5일전에 소독하되 접종 및 동충하초 재배시점까지는 소독냄새를 완전히 제거
     

3) 종균접종
 

○ 종균은 수령즉시 냉장보관하되 포장일로부터 5일이내 사용

○ 접종 2∼3시간전에는 종균이 너무 차지 않도록 상온에 꺼내 놓은 다음 접종시에는 균이 고루섞이도록 분무기를 자주 흔들어 주며 접종

○ 뽕이 있는 상태에서 접종하지 말 것

○ 접종실의 온도는 26∼30℃, 습도는 95%이상을 유지시키되 온도 편차가 없도록 유의해야 하며 이때 습도조절용 물은 깨끗한 지하수 사용

○ 종균 접종이후에는 잠실내에 직사광선이 들어오지 않도록 할 것

○ 접종후 용기는 크롤칼퀴 등을 이용 깨끗이 소독한후 깨끗한 물로 세척하여 보관
 

4) 누에 사육 및 고치관리
 

○ 잠실내에 쉬파리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할 것

○ 누에 자람이 고르게 되도록 환기관리 철저

○ 종균접종후 10여시간 이후 뽕주기 실시(뽕은 1회에 한하여 뽕준후에도 온습도를 26∼30℃, 습도 95%의 조건으로 유지하여야 함)

○ 상족후 고치보호 온도

  • 회전섶에 상족하였거나 고치보호 공간이 협소할 경우 : 상족 7∼8일경에 수견한후 18∼20℃에 보호
  • 벌족 또는 백년족 등에 상족하였거나 고치보호 공간이 충분할 경우 : 상족 3∼4일경(토사완료후) 18∼20℃에 보호

○ 수견후에는 고치를 얇게 펼쳐 보관하여야 하며 상족10일경부터는 1회/1일씩 고치를 표본추출 절견하여 감염정도 및 상태를 파악

○ 절견은 감염된 번데기중 일부가 완전히 경화되었거나 표피에 흰색의 균사가 생기기 시작할 때에 착수하며 이때 고치속에서 버섯이 형성되기까지는 완료하여야 함.

○ 감염되어 경화된 번데기와 미경화된 번데기 그리고 미감염 번데기를 따로 분리하여 절견하며 이때 미경화된 번데기와 미감염번데기는 서로 뭍지않도록 펼쳐놓는 것이 좋음

○ 미감염번데기에서 나방이 나오기 시작할 때 까지 감염증상이 보이지 않는 번데기는 모두 도태
 

5) 버섯재배 및 수매
 

○ 재배용기는 바닥으로 물이 빠져 나갈수 있도록 구멍을 뚫어 사용하고 광목은 화학약품냄새가 없어지도록 세탁하여 사용

○ 버섯재배 착수전 재배용기와 경화된 번데기를 깨끗한 물로 세척하여 사용

○ 완전히 경화된 번데기와 표피에 균사가 형성된 번데기는 20∼24℃, 습도 95%조건에 15∼20일간 재배하며 재배중 1∼2일 간격으로 깨끗한 지하수를 번데기 및 버섯에 분무해 주어야 함

○ 버섯재배시 부패된 번데기, 쉬파리에 오염된 번데기, 백강균, 녹강균등에 감염된 번데기 및 자실체 미발생 번데기는 모두 도태

○ 수확시 번데기와 자실체가 떨어지지 않도록 조심하여 수확한 후 생버섯상태로 대한 잠사회 지정일자내 수매에 응하되 개인 판매는 금지

○ 수확 및 수매시 포자가 비산하지 않도록 밀봉한 용기에 담아 운반하고 재배용기는 크롤칼퀴등을 이용 소독한 후 깨끗한 물로 세척하여 보관

 

'버섯재배 > 버섯'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마의 특성과 재배  (0) 2007.05.09
여름철 표고재배장 관리  (0) 2007.05.04
양송이 재배기술-보령  (0) 2007.05.01
양송이버섯재배관리  (0) 2007.05.01
표고버섯 재배-천안  (0) 2007.05.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