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에동충하초의 종균접종
종실의 크기는 누에 상자당 6.6㎡(2평)이면 된다(3P누에채반을 이용한 접종된 누에를 다단으로 쌓은 경우). 접종실의 면적이 필요이상으로 넓으면 온·습도 조절이 어렵고 에너지 손실이 커서 버섯의 생산비가 올라가는 요인이 되므로 만약 접종실이 크다면 접종량에 맞도록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칸막이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종균의 접종에 가장 적합한 누에는 5령인 누에(기잠)로써 허물을 벗은 지 5시간 이내에 있고 뽕을 전혀 먹지 않은 상태로 모든 누에의 자람이 같으면 누에 접종에 가장 좋다.
접종에 알맞은 누에를 준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있지만 4령가지뽕치기를 한 누에는 4령말 잠이 들기 전에 3P누에채반(잠박)의 길이보다 약간 긴 큰누에망을 누에 위에 걸고 잎뽕을 주어 누에자리(잠좌)를 평평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접종전 누에치기에 유의할 점
○누에치기 전에 3%포르말린(만드는 법 : 물 11말+34%포르말린원액 1말), 또는 200배크로르칼키(만드는 법 : 물 20말+크로르칼키 0.5말) 등으로 잠실잠구 및 주변소독을 철저히 한다.
○사육중에도 병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면 잠실주변, 잠실바닥, 복도 등에 소독을 수시로 하고, 다만 하라솔의 사용은 4령말 그물을 넣기전 까지만 하고 그 이후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그 이유는 동충하초균도 곰팡이의 일종이므로 하라솔에 죽기 때문에 5령이후 계속 사용하면 감염률이 낮아진다.
○4∼5령누에 때에는 잠실창문을 자주 열게 되어 밖에서 쉬파리가 들어와 누에 몸에 알을 낳아 누에가 쉬파리병에 걸리게 되므로 모든 창틀에는 파리망을 설치해야 한다.
○누에령별 표준 온·습도의 기준에 따라 온·습도를 관리하고 정해진 시간에 좋은 뽕을 충분히 주도록 한다. 또한 너무 과밀사육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강건한 누에를 만드는데 중요하다.
종균 접종방법은 ?
종균을 접종 3∼4시간 전에 미리 냉장고에서 꺼내 접종실로 옮겨 놓고 큰누에 잠실에 있는 5령기잠을 그물과 함께 접종실로 가져와 잠좌지(누에자리종이) 또는 비닐이 깔려져 있는 3P누에채반 위에 올려놓는다.
그리고 채반당 2,500~3,000두의 누에가 고르게 분포되도록 정리한다. 종균을 분무할 때는 종균통을 여러번 상하좌우로 잘 흔든 다음 접종분무기에 옮겨서 5령 누에의 표피에 20∼30cm높이에서 분무해 준다.
분무요령은 우선 종균이 안개처럼 나올 수 있도록 분무기의 꼭지를 잘 조정한 다음 분무기를 흔들어 가면서 누에채반의 한쪽 끝에서부터 천천히 고르게 분무한다.
종균접종이 끝나면 즉시 냉온방기와 가습기를 가동하여 실내온도를 26∼30℃(평균27℃), 습도를 95%이상 되게 한다.
특히 누에채반 주위(상하좌우)의 적정 온·습도가 24시간 유지되도록 수시로 점검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접종실 전체를 계속해서 습도를 맞추기 어려운 경우에는 접종한 3P채반만을 비닐로 덮어서 습도를 조절하는 것이 좋고 경제적이다).
접종후 종균이 남은 경우에는 1차접종 8∼9시간 후에 다시 한번 분무하는 것이 좋으며 종균접종 기간동안(24시간)의 뽕주는 회수는 단1회이며 뽕은 종균접종후 10시간째 주도록 한다(비닐을 덮어서 온·습도를 맞추어 주는 누에채반에 뽕을 줄 때에는 비닐을 벗겨놓는 시간이 길지 않도록 특별히 주의).
접종후 관리는 ?
종균 접종후 24시간이 지나면 누에를 가지뽕치기 잠실로 옮겨서 가지뽕을 주고, 가지뽕치기 잠실의 온·습도는 5령말까지 온도 22∼23℃, 습도70∼65%가 유지되도록 한다. 누에자리의 부분 부분이 과밀사육이 되지 않도록 수시로 누에자리를 잘 돌보고 특히 바람이 잘 통하도록 하여 고온 다습에 의한 고름병의 발생이 없도록 예방하여야 한다.
누에동충하초의 자실체생산
○감염번데기중에서 아주 딱딱하게 굳은 것부터 골라 재배상에 펼친다.
○재배상에 번데기의 나열이 끝나면 깨끗한 지하수(수돗물은 좋지 못함)를 분무하여 재배상의 광목천과 번데기가 충분히 젖게 한다.
○재배상내 습도를 맞추기 위하여 물을 줄 때에 물주는 양은 첫 번 물주고 다음번 물줄 때에 재배상의 광목이 약간 젖어 있는 상태가 가장 적당하다.
○재배상의 습도는 항상 90%이상 되게 하여 번데기가 마르지 않도록 한다. 습도 유지를 위해서 버섯재배 중에는 매일 지하수를 분무하여 주어야 한다.
○재배상의 온도는 20∼24℃가 되게 한다. 온풍기로 온도를 조절할 경우 바람이 직접 번데기에 가지 않도록 한다.
버섯 수확 요령
○종균에 감염된 번데기를 재배상에 나열한 후 15∼20여일이 경과하면 수확을 하여도 된다. 그러나 수확적기의 판단은 보통 눈꽃동충하초의 머리부분에 흰색 분생포자가 만개하여 분무기로 분무할 때 크게 날리는 시기이며 이때는 버섯의 크기는 약3cm이상 된다.
○누에동충하초는 버섯과 기주와의 결합체이므로 반드시 번데기와 자실체(버섯)를 함께 수확하여야 하며, 수확할 때는 광목천에 붙어있는 번데기를 때어내고 번데기에서 자실체가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버섯 수확일(수매날자)이 정해지면 수확 3일전부터 습도조절을 위해서 물을 절대 주지 않는다.
'버섯재배 > 버섯'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섯종균 오염 진단법. (0) | 2007.08.18 |
---|---|
느타리버섯재배시 긴수염버섯파리의 발생과 피해 (0) | 2007.08.06 |
영농포인트-느타리버섯 배지관리 (0) | 2007.07.05 |
버섯 다당체의 항암작용 (0) | 2007.06.21 |
차가버섯 (0) | 2007.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