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활용    

   가. 측지나이별 과실품질을 분석하여 동계전정 때 고효율 고품질과를 생산할

      수 있는 수형구성 기술과 측지갱신 시기 제시

  2. 유사 영농활용 기술과의 차이점

    가. 기존 영농활용 기술 : 없음


  3. 현황 및 문제점

    가. 현재 대부분 단감 재배농가에 구성되어 있는 다주지형 수형에서 착과된

       과실은 측지의 선단에 위치하고 있음.

   나. 착과된 위치가 측지의 선단이기 때문에 아래로 처져 과실크기가 작고 착색

       에 불리함.

   다. 수형을 변칙주간형 또는 개심자연형으로 개선한 과원에서도 측지사용연수

       가 오래된 측지는 두꺼워져 엽재비율이 높아지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이

       러한 측지에 착과된 과실은 품질이 나빠짐.

   라. 아래로 처진 가지는 광 투과율이 불리해져 저장양분이 적고, 이는 동해의

       원인 되기도 함


  4. 주요연구결과

    가. 측지나이별 영양생장 및 주지로부터 착과된 위치(’04~’05, 경남도원 단감연구소)

측지 나이

측지

(No./株)

결과모지

(No./측지)

새가지

(No./측지)

엽수

(No./果)

주지로부터 착과된 위치(cm)

 4년

38

 4.1

12.0

 9.7 a

 55

 5년

16

 5.2

12.2

10.5 a

 90

 6년

 4

 7.5

19.3

10.4 a

100

 7년 이상

 8

11.1

27.1

11.4 a

128

* 품종 및 수령 : 부유, 1617년생

 * 수형 : 개심자연형


  나. 측지 나이별 과실특성(’04~’05, 경남도원 단감연구소)

측지 나이

꽃봉오리

(No./측지)

수확과수

(No./株)

과중

(g)

색도

(hunter a)

경도

(N)

당도

(°Brix)

 4년

15.3

105

 264 a

22.1 a

23.3 a

15.0 a

 5년

14.7

 97

228 b

19.3 b

24.3 a

 14.5 ab

 6년

30.8

 15

212 c

 17.4 bc

23.2 a

14.0 b

 7년 이상

32.0

 59

193 d

15.6 c

24.6 a

 14.4 ab

DMRT(5%)


  5. 기대효과

   가. 고품질과실을 생산할 수 있는 측지사용 연수 구명 : 측지나이 4년생까지.

   나. 동계전정 때 측지갱신시기 기준 제시 : 측지나이 5년 이상, 측지길이 1m이상

   다. 측지나이가 4년 이하일 때 과중, 색도, 당도향상

   라. 측지나이별 생산된 과실 단가(2005년, 원/kg)

     - 4년 이하 : 1,400(100%),  5년 : 1,133(81),  6년 이상 933(67)


  6. 개발기술의 활용방법

   가. 측지 사용연수가 많아지고 길이가 길어지면 가지가 아래로 처지게 되어 병

       충해 방제 제초작업 등 관리 작업이 불편함

   나. 감나무 가지는 투과율이 나빠지면 가지가 마르기 쉬우며, 과중, 색도, 당도

       가 나빠짐.

   다. 측지나이가 많아지면 전분의 축적량이 적어지고 저장양분이 적어지면 동해

       를 받기 쉬움

   라. 동계전정 때 측지나이가 5년생 이상 이거나 길이가 1m 이상인 가지는 기

       부에서 절단하여 새가지를 받아 활용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