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활용                            

   ◦ 떫은감 주요 품종별 결과모지길이에 따라 착과량 차이가 있으므로 겨울 전정시 같은 수세에서 같은 수량을 생산하고자 할 때, 상주둥시 품종에 비해 청도반시, 월하시 품종은 결과모지 20cm이하는 각각 23~29%, 41~42%를 더 남겨야하고, 21~30cm에서는 월하시 43%를 더 남겨야하나 청도반시는 33% 적게 남겨야됨.

  

  2. 유사 영농활용 기술과의 차이점

   ◦ 떫은감에 대한 해당 자료없음.


  3. 현황 및 문제점

   ◦ 최근 떫은감이 새로운 소득작물로 부각되면서 신규 과원조성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나 떫은감에 대한 정지 전정이 정립되어 있지 않음.

   ◦ 떫은감 주요 품종에 대한 결과모지의 착과 특성이 구명되어 있지 않아 겨울   정지․전정시 수세정도에 따른 결실량 조절에 많은 어려움이 있음.

  4. 주요연구결과

    ◦ 떫은감 주요 품종의 결과모지 길이별 착과수

    착

    과

    수

   (개)

 

 

6

 

 

 

 

 

 상주둥시

 

 

 

 

 

 

 

 

 

 

 

 

5.83

 

 

 

 

 

 

 

 

 

 

 

 

 

 

 

 

 

 

 

 

 

 

 청도반시

 

 

 

 

 

 

 

 

 

 

 

 

 

 

 

 

 

 

 

 

 

 

 

 

 

 

 

 

 

 

5

 

 

 

 

 월하시

 

 

 

 

 

 

 

 

 

 

 

4.44

 

 

 

 

2.55

 

 

 

 

 

 

 

 

 

 

 

 

 

 

 

 

4

 

 

 

 

 

 

 

 

 

3.33

 

 

 

 

 

3

 

 

 

 

2.08

 

 

 

2.35

 

 

 

2

 

 

 

1.96

 

1.21

 

 

 

 

1.61

 

 

 

 

 

 

1

 

 

 

 

 

 

 

  0

 

결과모지길이

10cm이하

11~20cm

21~30cm

결과모지분포

(%/주)

14

14

17

50

36

61

23

20

5

눈 수(개)

6.5

5.5

7.0

7.0

7.6

9.2

8.7

9.4

10.5


  5. 기대효과

   ◦ 떫은감의 대표적인 품종인 상주둥시, 청도반시, 월하시의 겨울철 정지․    전정시 수세정도에 따른 착과량 조절에 있어서, 결과모지길이당 착과량    및 특성이 구명되어 착과수 조절이 용이해, 적뢰, 적과의 노동력 절감과   고품질 과실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음.


  6. 적  요

   가. 떫은감 주요 품종별 주당 결과모지는 성목일 경우 중정도의 세력으로 재배  하면 30㎝이하가 70~87%로 대부분이며, 11~20cm의 결과모지가 상주둥시  50%, 청도반시 36%, 월하시61%로 가장 많이 분포되였음.

   나. 떫은감 주요 품종별 결과모지길이에 따라 착과량이 다소 차이가 있으므    로 겨울 전정시 같은 수세에서 같은 수량을 생산하고자 할 때, 상주둥시   품종에 비해 청도반시, 월하시 품종은 결과모지 20cm이하는 각각 23~    29%, 41~42%를 더 남겨야하고, 21~30cm에서는 월하시 43%를 더 남    겨야하나 청도반시는 33% 적게 남겨야됨.

   다. 눈위치별 착과율은 정아~3번아에서 56~68%로 착과률이 가장 높았고,    4~6번아에서도 21~39%정도었으나, 상주둥시는 7번아이상의 하단부 눈에서도 23%정도 착과가 가능하였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