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지전정(1~2월)
정지는 나무의 골격을 알맞게 만드는 것이고, 전정은 나무의 형태와 과실 생산에 부합되도록 가지들을 배치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는 죽은 가지, 병해충 피해를 받은 가지를 제거함과 더불어 나무의 크기, 가지 생장을 제한함으로써 햇빛 투과와 통풍을 좋게하고 관리 작업을 편리하도록 하며, 나무의 세력과 결실 양을 조절하여 해거리를 방지하고 과실 품질을 높이는데 있다.

2) 밑거름시용(2~3월)
정상적인 생육을 위해 필요한 양분을 충분히 공급해 주어야 하는데, 이 때 유기질 비료와 친환경기법을 이용 밑거름을 준다.

3) 접목(3~4월)
과실의 수형과 착과를 높이기 위하여 접목을 실시한다.

4) 적뢰와 수분(5월)
- 적뢰 정도는 30cm이상으로, 결과지는 2뢰, 10/30cm 결과지는 1뢰를 남긴 채 시행한다.
- 꽃가루의 수분을 돕기 위하여 벌통을 반입하거나, 인공수분을 하도록 한다.

5) 적과 및 여름거름시용(6월)
적과정도는 엽과비 20을 기준으로 하되 세력이 강한 나무에서는 15, 세력이 약한 나무는 25정도로 시행하며, 여름 거름 시비량은 나무세력, 착과량 등을 감안하여 조절한다.

6) 하계전정(8월)
생장이 가장 왕성한 시기인 여름에 자라난 수세 및 수형을 보고 전정을 실시하여 불필요한 성장 및 영양분의 분산을 제한하기 위하여 하계전정을 한다.

7) 가을 거름시용(9월)
가을 거름을 시용함으로써 과실의 당도 및 착색 등의 농도와 육질을 보강할 수 있는데, 이 때에는 수세 및 수형, 과실의 상태를 점검하여 적절한 수준의 거름을 시용하여야 당도 및 착색등의 악화를 막을 수 있다.

8) 수확(10월)
최종적으로 당도 및 착색등의 상태를 점검하여 가장 좋은 시점에서 수확을 한다.

9) 과원정리 및 정지전정(11~1월)
수확을 마친 후 과원정리를 통해 이듬해 방제효과를 높이며 수세 확정을 위해 정지전정을 실시하여 다음 해의 수확을 계획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과일나무재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나무에 건강이 ‘주렁주렁’  (0) 2007.11.12
단감재배기술  (0) 2007.11.09
단감나무 전지전정.  (0) 2007.11.02
단감-월별관리요령(10월)  (0) 2007.11.01
단감-월별관리요령(9월)  (0) 2007.11.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