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전정 - 정지전정의 목적

      배 재배에 있어서 정지전정(整枝剪定)은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커서이에 대한 인식이 새로와 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과실의 크기, 모양,
      색깔 등 외관(外觀)에 따른 과실의 가격차이가 커서 높은 가격을 받기 위해서
      철저한 집약적(集約的) 재배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여름철의 고온(高溫)과 많은 양의 강우(降雨)에 의하여 가지
      가 웃자라고 2차(二次) 생장이 유발되어 꽃눈형성과 과실품질이 나빠지는 등의
      문제가 일어나고 있다. 또한 배나무는 낙엽과수류 중에서 내음성(耐陰性)이
      다소강한 부류에 속하지만 꽃눈형성이나 과실의 비대, 품질은 일조조건에 따라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나무전체에서 상품가치가 높은 과실을 생산하기 위해서
      는 전정에 의해 나무의 구석구석까지 햇빛이 잘 들어갈 수 있도록 나무의 골격
      (骨格)을 형성하고 결과지(結果枝)의 배치에 신경을 써야 한다.
      배나무는 영양생장(營養生長)이 강하면 꽃눈형성과 과실비대가 나빠지고, 반대
      로 생식생장(生殖生長)이 강한 나무는 수세(樹勢)가 쇠약해져 쉽게 노화(老化)
      되므로 전정에 의해 적절한 가지생장을 유지해야 함은 물론, 시비(施肥), 결실조
      절(結實調節) 등의 재배적 방법도 같이 이루어져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밖에도 전정은 통광(通光), 통풍(通風)을 좋게 함으로써 병해충(病害蟲)의 발
      생을 감소시키고 나무크기, 가지골격 조절 및 적절한 가지배치에 의해 배 재배
      의여러 가지 작업관리 능률을 향상시킴으로써 생산비(生産費)를 절감할 수 있어
      야 한다.

 

정지전정 - 기초이론

 

      (1) 탄수화물과 질소비율(C/N율)
             C/N율이란 잎에서 만들어진 탄수화물(炭水化物)과 뿌리에서 흡수된 질
             소(窒素) 성분의 비율에 의하여 가지생장, 꽃눈형성 및 결실에 영향을
             준다는 학설로서 다음 4가지 경우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그림 1).

(그림 1) C/N 관계와 재배관리에 따른 나무반응

            (가)Ⅰ의 경우
                 뿌리에서 흡수된 질소성분에 비하여 탄수화물이 극히 적은 경우로서 이
                 와같은 나무는 극단적인 일조부족, 병해충에 의한 조기낙엽, 응애 피해
                 등에의해 잎이 제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상태로서 생장도 매우 약하고 꽃
                 눈도 형성되지 못한다.
             (나)Ⅱ의 경우
                 Ⅰ의 경우에 비해 탄수화물이 다소 많고 질소도 풍부하여 가지의 생장은
                 극 히 왕성하나 꽃눈형성이 잘 되지 않는 나무의 상태로 결실 직전의 유
                 목(幼木) 또는 강전정(强剪定), 질소비료(특히 계분)를 많이 준  나무에
                 서 나타난다.
                 이와 같은 나무는 약전정(弱剪定)을 실시하고 질소비료를 줄이는 동시에
                 스코어링(scoring), 환상박피(環狀剝皮) 등을 처리하여 수세(樹勢)를 안
                 정}시키면 꽃눈형성이 좋아진다.
            (다) Ⅲ의 경우
                 탄수화물과 질소함량이 가지생육, 꽃눈형성 및 결실에 가장 적합한 상태
                 의 나무로서 잘 결실되는 성과기(盛果期) 나무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러
                 한 나무는 결실(結實), 시비관리(施肥管理)를 잘하여 수세유지에 힘쓰는
                 한편 전정정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나무가 쇠약해지거나 강해지지 않도
                 록수체관리에 힘써야 한다.
            (라) Ⅳ의 경우
                 노목기(老木期) 상태의 나무에서는 수관(樹冠)이 커서 잎수는 많으나뿌
                 리가 노쇠해져 탄수화물 함량에 비해 질소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가지생육이 나빠지고 꽃눈의 충실도(充實度)도 나빠진다. 이와 같은 나
                 무는 강전정을 실시하여 엽면적(葉面積)을 줄여주는 동시에 뿌리의 활력
                 을 좋게 하기 위하여 토양개량(土壤改良)과 질소시비(窒素施肥)에 힘써
                 야 한다.
         (2) 리콤의 법칙
             나무 가지는 수직(垂直)으로 세울수록 생장이 강해지고 꽃눈형성은 불량
             해지며, 수평(水平)으로 눕혀질수록 생장은 약해지나 꽃눈형성이 좋아지
             는 현상을 리콤의 법칙이라고 한다.
             따라서 배나무의 수형구성시 주지(主枝)와 부주지(副主枝) 또는 부주지
             (副主枝)와 측지(側枝)간의 세력차이도 가지각도(유인정도)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특히 측지의 유인은 배 재배에 있어서 수량증대(收量增大)와
             품질향상(品質向上)을 위한 중요한 전정수단에 속한다.
         (3) 정부우세성(頂部優勢性)
             하나의 가지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눈에서 발생한 가지가 세력이 제
             일 강하게 자라고 아래 눈으로 내려올수록 가지세력이 점차 약해지거나
             숨은 눈으로 되는 현상을 정부우세성(頂部優勢性)이라 한다.
             정부우세성은 하나의 가지뿐만 아니라 나무전체 또는 주지, 부주지내에서
             도 가지간의 생장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주지 또는 부주지의 선단부
             는 항상 그 가지 중에서 가장 높게 관리하여 생장이 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도장지(徒長枝)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림 2) 정부우세성의 유형

                 A : 끝 눈에서 강한 가지가 나오고 그 밑의 눈은 단과지로 되나 기부(基
                       部)의 눈은 숨은 눈(潛芽)으로 됨
                  B : 끝 눈에서 가지가 나오고 그 밑의 눈에서는 단과지가 형성됨
                  C : 2∼3개의 강한 가지가 나오고 기부의 눈은 중간눈(中間芽)으로 됨

        (4) 티알율(T/R 率)
             나무의 지상부(줄기, 가지)와 지하부(뿌리)의 무게 비율을 T/R율이라고
             한다. 식물의 T/R율은 대부분 1이며, 과수는 1보다 다소 낮은 것이 좋다.
             T/R율은 재배환경이나 관리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다. 즉 토양내에 수분이
             많거나 질소의 과다시용, 석회부족, 일조부족 등의 경우에는 지상부에 비
             해 지하부의 생육이 나빠져 T/R율이 높아지게 된다.
             나무를 옮겨 심거나 뿌리가 많이 잘려나간 경우, 지상부의 가지도 적절히
             잘라주어 T/R율을 조절해 주어야 가지의 생장이 약해지지 않는다. 이와
             는 반대로 지나치게 강전정(强剪定)을 실시하였을 경우, 지상부의 가지는
             감소한데 비해 지하부의 뿌리는 변하지 않아 뿌리의 양수분(養水分)이 남
             아있는 눈에 집중됨으로써 도장지(徒長枝)의 발생이 많아지고 새가지의
             생장도 강해지는 것은 질소비료의 과다시용과 같은 효과가 있기 때문이
             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지상부와 지하부간의 세력 불균형에 의해 일어나는
             일종의 생장반응(生長反應)이라 할 수 있다. 가지종류와 결과습성
             (1) 가지의 종류
                 배나무의 가지는 크게 발육지(發育枝)와 결과지(結果枝)로 나누어진
                 다. 발육지는 꽃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가지를 말하고 결과지는 꽃
                 눈이 형성되어 있는 가지를 말한다.
                 발육지는 숨은 눈(潛芽)에서 발생된 가지와 잎눈(葉芽)에서 발생된 가
                 지가 있으며 잎눈에서 발생된 가지를 유인하면 액화아(腋花芽)가 잘
                 형성되어 결과지로 이용하기도 한다.
                 결과지는 길이에 따라 장과지(長果枝), 중과지(中果枝), 단과지(短果
                 枝)로 나눈다. 장과지는 정화아(頂花芽) 또는 액화아(腋花芽)가 형성
                 되어 있는 가지로 30cm 이상의 가지를 말하며, 중과지는 15∼20cm,
                 단과지는 2∼3cm 정도로 짧고 선단(先端)에 정화아가 형성되어 있는
                 가지를 말한다(그림 3, 4).
                 일반적으로 유목기(幼木期)에는 단과지가 주결실지(主結實枝)가 되
                 며, 성과기(盛果期) 직전은 단과지 및 중과지, 성과기의 나무는 단가
                 지와 장과지를 적당한 비율의 결실지로 이용하는 것이 좋다.

 


(그림 4) 신고의 단과지 착생상태

                (2) 결과습성(結果習性)
                     가지상에 꽃눈이 형성되는 위치와 그 꽃눈이 발달하여 개화(開花)
                     결실(結實)되는 것을 결과습성(結果習性)이라 하는데 이는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전정시는 그 특성을 명확히 파악해 두어야
                     한다.
                     배나무의 결과습성은 지난해 자란 2년생 가지에서 꽃눈이 형성되어
                     다음해 3년생 가지에 개화·결실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금년
                     에 자란 1년생 가지에도 꽃눈이 형성되어 다음해 2년생 가지에서 개
                     화·결실되기도 한다. 앞에 것을 정화아(頂花芽)라 하고 뒤에 말한
                     것을 액화아(腋花芽)라 한다(그림 5).

(그림 5) 배나무의 결과습성

                 정화아가 형성된 짧은 결과지를 단과지, 액화아가 형성된 결과지를 중과
                  지및 장과지라 한다. 또한 단과지가 오래되어 한곳에 많이 모여 있는 것
                  을 단과지군(短果枝群, 생강아)이라 한다(그림 6).
                  과실의 품질면에서 보면 단과지의 정화아에 결실된 과실이 액화아에 결
                  실된 과실보다 숙기(熟期)가 다소 빠르며 당도(糖度)도 높은 것으로 알
                  려져 있으며 크기는 품종이나 장과지의 상태에 따라 다르다. 그러나 오
                  래된 단과지군(생강아)에서 결실된 과실은 좋은 장과지의 액화아에 결
                  실된 과실보다 작아지는 경우가 많다.
                  품종에 따라서는 액화아를 많이 이용하는데 행수 품종은 단과지 형성이
                  나빠 단과지군이 잘 형성되지 않으므로 액화아를 이용하여 결실시키며,
                  액화아에서도 좋은 품질의 과실이 생산된다.
                  장십랑 품종도 노목이 되면 단과지 형성이 나빠져 액화아를 많이 이용하
                  나 신수 품종은 액화아에 결실시키면 과실품질이 좋지 않고 단과지 형성
                  을 나쁘게 하므로 액화아에 결실시키지 않는 것이 좋다.
                  단과지군은 많은 단과지가 형성되어 있어 충실도가 나쁘고 저장양분의
                  소모가 많아 과실품질이 나빠지므로 전정시는 단과지군을 정리해 주어
                  야 품질이 향상된다(그림 7).

(그림 6) 배나무 단과지의 변화과정

 

(그림 7) 단과지군의 전정법

 

'과일나무재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나무재배-전정과 생육반응  (0) 2007.12.28
배나무재배-배나무수형의 특성  (0) 2007.12.28
배나무재배-봉지씨우기  (0) 2007.12.28
배나무재배-적과  (0) 2007.12.28
배나무재배-결실관리  (0) 2007.12.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