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월달 관리

작  업  명

주               요               내               용

꽃봉오리솎기

ㅇ꽃봉오리 솎는시기: 꽃피기 10~15일전(새가지가 약간 굳어진 때)

ㅇ솎는정도

  -결과지 중앙의 화뢰를 가지당 1개 비율로 남기고 솎아준다.

  -단, 수세가 강하여 신초신장이 왕성한 나무는 1결과지당 2~3화를 남긴다.

  -수세가 약하면 더 많이 솎아준다.

ㅇ솎는 요령

  -키울 가지끝에는 전부 솎아준다.

  -잎 5장 이내 가지는 전부 솎아준다.

  -기형과,병충해과,그늘에 위치한 것은 솎아준다

  -꽃이 크고 결과지 중앙에 있는 것을 남긴다.

  -꼭지 굵고 꽃받침이 크며 옆이나 아래로 본것을 남긴다.

  -서촌조생은 적뢰를 가볍게 하고 적과시 선별 여지를 남겨둔다.

 ※적뢰는 수분수가 확보된 과원에 한해 실시한다.

수 분 매 조

ㅇ개화 20% 정도시 1ha당 벌통 2통을 놓아준다.

  -포장 주위에 황색꽃이나 보랏빛꽃이 있으면 벌의 활동이 그쪽으로 몰리기 때문에 제

    거해 준다.

  -초생재배시는 황색이나 보라색 꽃이 피는 풀을 기르면 벌의 유인에 유리하다.

하 계 전 정

ㅇ불필요한 눈따기

ㅇ도장성 햇빛 차단 가지 제거

병 충 방 제

ㅇ대상병충 : 탄저병,깍지벌레,잎말이나방

 

 

 

'과일나무재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별관리포인트-7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6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4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3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2월  (0) 2007.07.28

4 월달 관리

작  업  명

주               요               내               용

접   목

ㅇ품종갱신 및 수분수 접목

  -품종을 갱신할 나무, 수분수 부족 과원 높이접

※접수의 파라핀 처리 요령

   -재료준비: 파라핀(접수5kg당 1kg), 송진 100g, 남비 1개, 깡통1개, 온도계 1개

   -만드는법:남비에 물을 부어 깡통에 파라핀과 송진을 넣고 온탕속에 깡통을 띄워 끓

      인 뒤 파라핀의 온도를 80~90도로 유지하며 접수를 담궈 낸다..

재 해 대 책

ㅇ늦서리 피해 사전 준비

  -늦서리 피해를 받기 쉬운 지대에서는 헌타이어, 폐유, 볏짚 등을 준비하여 두었다가

    기상예보 에 따라 대처한다.

하 계 전 정

ㅇ눈솎기

  -불필요한 부분 눈 손으로 문질러 제거

병 충 방 제

ㅇ발아전 석회유황합제 살포 완료

 

 

 

'과일나무재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별관리포인트-6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5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3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2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1월.  (0) 2007.07.28

3 월달 관리

작  업  명

주               요               내               용

 

병 충 방 제

 

⊙월동 병해충 방제

 ㅇ석회유황합제 5도액 살포: 3하순~4상순(눈이 부풀기 시작할 때)

  -제조방법(원액 200ℓ조제): 생석회 25kg,유황  50kg,물240ℓ⇒뜨거운 물에 유황가루

 반죽+물 240ℓ→끓기 시작할 때 생석회 가루를 조금씩 넣음→1시간 정도 끓이면

유황합제 원액(200ℓ)이 됨

원액농도

희석농도

보메26

27

28

29

30

31

32

보메 5도

28.8

27.2

26.2

25

24

23

22

* 물 200ℓ에 섞는량(ℓ)

ㅇ시판용 석회유황합제 사용

  -살충목적: 5~7배 살포

  -살균목적: 50~120배 살포

ㅇ시판 결정석회유황합제 사용

  -휴면기 살포: 30배 살포(물 90ℓ/3kg 1봉)

  -생육기 살포: 300배 살포(물900ℓ/3kg1봉)

묘 목 심 기

ㅇ심는주수

  -비옥지: 28~33주(6×6m∼5×6m)

  -척박지: 33~40주(5×6m∼5×5m)

  -계획적 밀식재배:110주(8~9년째 축벌 및간벌)

'과일나무재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별관리포인트-5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4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2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1월.  (0) 2007.07.28
단감 가해 노린재류 방제 약제 선발.  (0) 2007.07.28

2 월달 관리

작  업  명

주               요               내               용

월동병충 방제

 

ㅇ기계유유제 또는 썬스프레이유제를 살포

  -기계유유제 20배~25배

  -썬스프레이유제 100배 중 택일

 ※흰가루병 동시방제시

  -기계유유제+톱신엠수화제1000배 또는

  -썬스프레이유제+풍요론액상수화제 500배.

ㅇ석회유황합제와의 살포간격을 30일 유지

정지전정 완료

ㅇ정지.전정도 가능한 이달중으로 완료토록 한다.

접수채취 저장

ㅇ신품종,우량품종은 접수를 채취하여 비닐등에    밀봉하여 토중저장 또는 냉장고에

   저장한다.

가격동향   파악, 출하

ㅇ농업기술센터나 도매시장, 거래처 등 시세를     사전에 파악해둔다.

ㅇ관련 인터넷 사이트

  -농수산물 유통공사: http://www.kati.net

  -가락동농수산물도매시장:                                   http://www.garak.co.kr

  -농촌진흥청: http://www.rda.go.kr

  -경남농업기술원: http://www.knrda.go.kr

  -고성군농업기술센터 : http://agri.gngs.net

  -고성군농업정보서비스 전화 : 673-5110

'과일나무재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별관리포인트-4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3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1월.  (0) 2007.07.28
단감 가해 노린재류 방제 약제 선발.  (0) 2007.07.28
퇴비제조와 이용.  (0) 2007.07.28

1월달 관리

작  업  명

주               요               내               용

새해영농설계교육 참석

ㅇ농업기술센터의 새해영농설계교육 참가하기 :    12월하순~2월

 -교육 분야별 일정 : 시군농업기술센터 문의

정지전정

ㅇ전정 미완료농가는 정지,전정을 계속한다.

ㅇ전정 완료 농가 전정지,낙엽 제거 소각

월동해충   방제

 

ㅇ기계유유제 또는 썬스프레이유제를 살포

  -기계유유제 20배~25배

  -썬스프레이유제 100배 중 택일

※흰가루병 동시방제시

  -기계유유제+톱신엠수화제1000배 또는

  -썬스프레이유제+풍요론액상수화제 500배.

출하.판매    동향파악

 

ㅇ저장 단감 출하 정보 입수

ㅇ농업기술센터나 도매시장, 거래처 등 시세를     사전에 파악해둔다.

ㅇ관련 인터넷 사이트

  -농수산물 유통공사 : http://www.kati.net

  -가락동농수산물도매시장: http://www.garak.co.kr

  -농촌진흥청 : http://www.rda.go.kr

  -경남농업기술원 : http://www.knrda.go.kr

  -고성군농업기술센터 : http://agri.gngs.net

  -고성군농업정보서비스 전화 : 673-5110

'과일나무재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별관리포인트-3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2월  (0) 2007.07.28
단감 가해 노린재류 방제 약제 선발.  (0) 2007.07.28
퇴비제조와 이용.  (0) 2007.07.28
석회유황합제.석회보르도액.  (0) 2007.07.28

1. 목적

  단감 가해 노린재류에 대한 우수 방제약제를 선발하여 방제에 활용코자 함.

 

2.재료 및 방법

가. 고시충 : 톱다리개미허리노린제

나. 공시약제 : 델타린유제 외 4종

다. 시험방법 : 실내 및 포장시험

 

3. 시험성적

가. 실내시험

처리약제

공시충수

24시간후 사충율

 델타린 1EC

 메프 40WP

 에토펜프록스 10WP

 파프40WP

 펜치온 50EC

 무처리

30

30

20

30

-

30

100

100

100

100

-

-

- 침지처리시간 : 10초

나. 포장시험                                                                                                                     (사충율 %)

처리약제

총조사 고일수

1차처리(8.12)

2차처리(8.19)

7일후

처리7일후

처리14일후

델타린 1EC

 메프 40WP

 에토펜프록스 10WP

 파프40WP

 펜치온 40EC

 무처리

 

317

220

250

303

257

298

 

65.7

0

46.5

20.7

69.7

-

(53.3) 

 59.7

0

38.5

25.5

58.0

-

(61.4)

55.6

0

32.0

31.9

41.1

-

(72.9) 

() : 피해과율

 

4. 결과요약

가. 실내시험 : 공시한 약제 모두 방제효과(방제가 100%)로 우수하였음.

나. 포장시험 : 발생죄성기 처리(2회처리)의 방제효과는 낮은 편이었음.

'과일나무재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별관리포인트-2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1월.  (0) 2007.07.28
퇴비제조와 이용.  (0) 2007.07.28
석회유황합제.석회보르도액.  (0) 2007.07.28
적용약제.  (0) 2007.07.28
가. 퇴비 원료의 특성

  퇴비 원료의 선택은 제조된 퇴비의 품질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주의하지 않으면 안된다. 과거에 사용하던 볏짚류는 퇴비제조에 유해물질의 혼입 가능성이 없으나 최근에 사용하는 퇴비원료들은 가축분을 포함하여 산업폐기물과 도시폐기물까지 확대되고 있다.

  환경분야에서는 가급적 처리하기 힘든 유기성 폐기물을 퇴비화하여 처리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농업분야는 퇴비제조 이용의 목적이 폐기물 처리가 아니고 양질의 퇴비를 사용하여 토양의 질을 향상시키고 우수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양질의 원료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1). 퇴비 원료 종류별 특성

  가) 농산부산물

  농산부산물은 비료가치는 낮고 유기물 함량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물량이 많은 대표적인 농산부산물은 볏짚과 왕겨로서 볏짚은 칼리함량이 비교적 높아 1.84%에 달하지만 C/N율은 50정도로서 높은 편이다. 왕겨는 3요소 성분이 모두 낮은 뿐만 아니라 조직구조가 미생물 분해에 저항성을 갖고 있어 팽화 등 가공과정을 거쳐야 퇴비로 활용이 가능하다. 농산부산물은 퇴비화의 주원료보다는 가축분뇨 등 유기성 폐기물 퇴비화의 팽화제(bulkiog agent)로 활용이 가능한 자원으로 평가되고 있다.

  나) 임산부산물

  대표적인 임산부산물은 톱밥이며, 톱밥은 흡습성과 통기성이 좋기 때문에 함수율이 높은 재료의 퇴비화에 보조재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톱밥은 C/N율이 500∼1,000 정도로 높아 분해가 늦고 비료성분도 낮아 함수율이 높은 재료의 흡습제로서의 기능 이외에 퇴비의 품질에는 좋은 영향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표 8-2> 주요 유기성 폐기물의 비료가치

종 류

T-C

T-N

P2O5

K2O

시 료 수

--------------(건물 %)--------------

농가퇴비

21.05

1.22

1.39

1.43

23

볏 짚

33.50

0.68

0.29

1.84

38

왕 겨

44.20

0.47

0.16

0.83

9

톱 밥

55.20

0.06

0.03

0.26

2

계 분

42.80

5.10

4.84

1.45

14

돈 분

44.80

3.68

5.99

0.77

15

우 분

41.50

2.06

2.80

0.45

14

섬 유

30.83

3.73

1.51

0.29

42

약 품

31.38

1.80

0.70

0.32

13

우 유

43.29

5.86

4.68

0.55

22

지방 유지

37.14

1.47

0.70

0.23

7

장 유

43.13

4.56

0.94

0.62

15

제 당

30.21

1.97

0.92

0.42

15

주 정

38.43

4.28

1.18

0.99

70

음 료

41.75

4.05

2.03

0.56

14

담 배

38.08

1.65

0.85

2.72

7

제 지

30.67

0.48

0.17

0.30

45

수 산

27.46

2.69

3.50

0.59

13

피 혁

14.91

2.71

0.06

0.05

23

분뇨잔사

32.26

2.72

7.31

0.35

34

하수오니

26.86

2.05

2.58

0.38

22

 

  다) 가축분뇨

  가축으로부터 발생하는 가축분뇨는 연간 34,904천톤에 달하고 있다.

  가축분은 오래 전부터 퇴비원료로 활용되어 온 전통적인 유기자원이다. 축종에 따라 C/N율은 다소 차이가 있어서 계분은 8.4, 돈분은 12.2, 우분은 20.1로 나타나 있다. 인산은 계분, 돈분, 우분이 각각 4.84, 5.99, 2.80%이며, 칼리는 각각 1.45, 0.77 및 0.45%로서 다른 유기성 폐기물과 비교하여 인산함량이 높은편이다. 반면에 중금속 함량은 다른 산업 및 도시폐기물과 비교하여 현저히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나. 수분조절제의 특성

  퇴비원료로 이용되는 재료 중에는 퇴비화 전에 수분 공급이 필요한 볏짚, 왕겨 등도 있다. 그러나 최근에 퇴비원료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가축분뇨, 식료품 부산물 등은 수분함량이 높아 반드시 수분조절제 이용이 필요하다. 수분 조절제로는 톱밥이 가장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왕겨, 산업부산물 및 무기재료까지 이용이 검토되고 있다.

  1). 톱 밥

  톱밥은 국내 가축분 퇴비의 수분조절제와 팽화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료이다. 톱밥은 C/N율이 높고, 입자가 크며, 수분 흡수량이 높기 때문에 퇴비화를 위한 부자재로 적합하다.

<표 8-3> 부재료 종류별 상대 흡수율 비교

톱밥

왕겨

팽화왕겨

절단볏짚

Vermiculite

제지박

Fly ash

ALC

100

49

96

119

81

54

7

10

 

        ※ Fly ash : 화력발전소 연탄재, ALC : 폐경량기포콘크리트

  그러나 톱밥은 리그닌 함량이 높기 때문에 잘 분해되지 않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톱밥은 가축분 등 이분해서 유기재료와 혼합 퇴비화 후에도 유기물로서 또는 비료 대체원으로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 가축분 등 수분함량이 높고 C/N율이 낮은 재료와 혼합하여 퇴비를 제조 이용하기 때문에 톱밥의 특성이 제약 요인은 되지 않지만 톱밥이 퇴비원료로 다량 혼합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표 8-4> 톱밥의 주요 성분함량

셀 룰 로 스

헤미셀룰로스

리 그 닌

기 타

50∼60 %

10∼20 %

침엽수 : 20∼30 %

회분, 조지방, 탄닌, 색소 등

활엽수 : 20∼40 %

 

  2). 왕 겨

  왕겨는 입자의 크기와 형태로 보아 함수율이 높은 재료의 팽화제로는 적합하지만 수분 흡수율이 낮아 수분조절제로는 톱밥보다 능력이 떨어진다. 최근에는 왕겨의 수분 흡수율 향상을 위하여 팽연화 또는 마쇄왕겨를 이용하는 퇴비 공장도 있다. 팽화왕겨는 수분흡수율이 톱밥과 유사하며 C/N율 및 화학적 조성이 톱밥보다 우수하다.

  왕겨는 팽화시켜 돈분 퇴비화의 부재료로 사용할 경우 퇴비제조 후에 톱밥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을 뿐만 아니라 부분적으로는 톱밥보다 질적인 측면에서 우수하다. 제조가격도 톱밥 제조비용의 절반 수준으로서 경제성도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표 8-5> 왕겨의 성상에 따른 물리성

가 공 형 태

가비중 (g/㎤)

비중 (g/㎤)

최대흡수율(%)

생 왕 겨

1.10

1.66

151.06

팽화왕겨

0.17

1.66

315.64

마연화왕겨

0.18

1.55

282.21

펠렛화왕겨

1.18

1.65

116.58

 

 

<표 8-6> 돈분 퇴비화 부재료 종류별 퇴비의 품질

성 분

전발효(1차발효)

후발효(2차발효)

톱 밥

팽화왕겨

톱 밥

팽화왕겨

수분(%)

23.2

23.5

17.0

18.1

pH(1:5)

8.5

8.4

8.4

8.2

OM/N

43.2

39.2

44.3

40.3

T-N(%)

1.88

1.87

1.80

1.88

유기물(%)

81.3

73.5

79.8

77.4

EC(9dS/m)

43.3

46.4

41.9

44.2

무씨 발아율(%)

73.8

76.8

100

100

 

  3). 볏 짚

  볏짚은 수분흡수율이나 팽화제로서 기능이 우수하지만 가밀도가 너무 낮아 다루기가 불편하여 전문 퇴비제조 업체에서 활용이 어렵다. 그러나 자급퇴비 제조에는 톱밥이나 왕겨보다 볏짚을 절단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퇴비제조 수단이 될 수 있다.

<표 8-7> 수분조절제 종류별 장단점

구분

장 점

단 점

기 타

짚류

○ 통기성 개량효과가 큼
○ 분해가 비교적 용이

○ 수집시기 제한
○ 수집에 많은 인력 소요
○ 절단작업 필요

○ 사료 이용량 많음
○ 수확작업시 절단 살포

왕겨

○ 통기성 개량효과 큼
○ 분쇄된 왕겨는 흡습성이 큼(톱밥과 유사함)

○ 분해가 어려움
○ 가공에 인력과 경비소요

○ 1톤당 가공비요 : 50,000원(`96년)

톱밥

○ 통기성 개량효과 큼
○ 흡습성이 큼

○ 지속적 수요량확보 곤란
○ 분해가 더딤
○ 작물생육 저해물질 함유 (미부숙시)

○ 1톤당 가공비용 : 107,000원(`96년)

 

          

 

 다. 퇴비화 방법

  퇴비화 방법은 크게 퇴적식과 교반방식으로 구분한다. 퇴적식은 퇴비원료를 충진하고 인위적으로 뒤집기를 할 수 있는 기계시설을 설치하지 않는 퇴비화 방식이다. 교반식 퇴비화 시설은 퇴비화 시설 내부에 교반기를 설치하고 동력으로 퇴비를 1일 1∼2회씩 뒤집어 줄 수 있도록 고안된 방법이다.

  1). 퇴적방식 퇴비화 방법

  퇴적식 퇴비화 방법의 가장 일반적 형태는 농가에서 발생되는 두엄이나 농산 부산물 등을 퇴비장에 쌓아두고 부숙시켜 다음해 농사에 사용하던 우리의 전통 퇴비화 방식이다. 최근에는 퇴비장 바닥은 콘크리트, 지붕은 비가림 시설, 그리고 바닥은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통풍시설을 설치한 개량형 간이 퇴비화시설이 이용되는 곳도 있다.

  퇴적식 퇴비화 방법의 가장 개량된 형태는 통기를 하는 상자혀 퇴비화시설로서 일명 고정 통풍식 퇴비화시설이라고도 한다. 고정 통풍식 퇴비하장치는 폭 2.5m×3.8∼5m×높이 2m의 사각형 시설을 설치하고 시설바닥에 공기공급을 위한 통기시설을 설치한 형태이다.

  2). 교반식 퇴비화 방법

  교반방식은 형태에 따라 개방 무통기형, 개방 통기형 및 밀폐ㅔ 통기형으로 구분한다. 개방형 교반식 퇴비화시설은 국내에 직선형 교반식과 원형 교반식 퇴비화시설로 알려져 있으며 직선형 교반시설이 원형교반식 시설보다 대규모 처리에 적합하다.

<표 8-8> 퇴비화 방법의 종류 및 명칭

구 분

명 칭

비 고

퇴비화

퇴적방식

무통기형

간이퇴비화 시설(야적)

비가림 시설 없음
비가림 시설 있음
속성발효기 등

간이퇴비화 시설(실내)

간이퇴비화 장치

통기형

간이퇴비화 시설(실내)

 

상자형 통기 퇴비사 시설

 
 

구분

명칭

비고

퇴비화

교반방식

개방·무통기형

직선형 퇴비화 시설

직선형 교반시설
원형 교반시설

원형 퇴비화 시설

개방 통기형

직선형 퇴비화 시설

직선형 교반시설
원형 교반시설

원형 퇴비화 시설

밀폐 통기형

종형 퇴비화 시설

탑형 교반시설
통로형 교반시설

횡형 퇴비화 시설

 

축사

수분 조절제와
혼합 함수율 조정

발효조
(1∼2회 교반/일)
(호기성 발효)

퇴비화
(완숙퇴비화)

 

          

 

 라. 퇴비화 촉진방법

  1). 퇴비부숙 촉진제

  퇴비 원료중에는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이 존재하기 때문에 조건만 알맞으면 퇴비화 1∼2일 이내에 퇴비화에 적합한 미생물이 자연적으로 확보된다. 퇴비 부숙촉진을 위하여 초기에 인위적으로 분리 배양한 미생물을 접종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퇴비제조를ㄹ 위한 미생물 접종은 현실적으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미생물 접종이 필요한 경우라면 잘 부숙된 퇴비를 퇴비원료의 1/100 정도 혼합시켜 주는 것이 현실적이다.

  2). 원료의 혼합

  퇴비제조에 이용되는 원료는 종류에 따라 수분함량, C/N율, 입자밀도, 입자크기 등이 각기 다르다. 따라서 퇴비제조는 단일원료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2가지 이상의 원료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원료의 혼합이 균일하면 균일할수록 퇴비화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3). 퇴비더미는 너무 낮으면 퇴비 발효열 손실이 크고, 너무 높으면 통기성이 나빠지고 퇴비부숙이 불균일 해진다. 퇴적높이는 자연 퇴적식은 60㎝, 기계식 퇴비화 장치는 200㎝정도가 적당하다.

  4). 통기 및 교반

  통기는 퇴비화 공정이 호기성이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하다. 송풍기를 사용하지 않는 퇴비화시설은 가축분 등 수분함량이 많은 재료를 퇴비화 할 때 톱밥, 수피(나무껍질), 왕겨와 같은 조직이 거칠은 재료와 충분히 혼합하여 퇴비더미내 자연통기가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겨울철 외부온도가 낮은 계절에 연속 송풍은 퇴비 중 온도를 낮추는 요인이 되므로 퇴비더미의 발효온도를 감안하여 조절을 할 필요가 있다.

 

 마. 퇴비화 기간

  퇴비 부숙온도와 부숙기간은 퇴비의 부숙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사항이다. 가축분 퇴비의 경우 부재료로 사용되는 재료의 특성과 관계없이 3개월 이상의 퇴비화 기간은 거치는 것이 사용측면에서 안전하다고 생각된다.

  퇴비원료는 퇴비화가 진행됨에 따라 유기물이 분해되므로 무게가 감소한다. 감소율은 재료에 따라 다르지만 가축분(우분, 계분)을 톱밥과 혼합하여 퇴비화 할 경우 부숙 3개월 후에 약 30%가 감소되고 유기물은 30∼40%가 분해된다.

  안정화에 필요한 기간은 자연조건에서 퇴적하여 퇴비화 하는 경우는 약 6개월의 기간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계식 퇴비화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는 최소한 전발효 20일, 후발효 60일 정도의 기간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과일나무재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별관리포인트-1월.  (0) 2007.07.28
단감 가해 노린재류 방제 약제 선발.  (0) 2007.07.28
석회유황합제.석회보르도액.  (0) 2007.07.28
적용약제.  (0) 2007.07.28
충해-뽕나무깍지벌레.  (0) 2007.07.28

1. 석회유황합제

  석회유황합제는 1881년 프랑스에서 포도 병해방제용으로 사용된 이후 값이 싸고 살균력과 살충력을 지니고 있어 각종 과수 병해충의 방제용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가. 살포효과

  살균작용은 본제의 유효성분인 다황화칼슘(CaS5)이 공기중에서 산소와 접할 때 생기는 활성황의 작용에 의해서 일어난다. 이 약제의 강한 알칼리성은 균체(菌體)나 환부조직을 부식시켜서 균체조직을 기계적으로 파괴하고 황의 침입을 쉽게 만든다. 균체속에 들어간 황은 조직내에서 탈탄소 작용과 산화물, 황화수소 등에 의해서 살균작용을 하게 되며 응애류나 깍지벌레에 대해서도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살충작용을 하게 된다.

 나. 사용방법

  1). 사용상 주의점

  약제를 혼합사용하는 용기는 금속제품을 피하며, 분무기 사용후에는 즉시 암모니아수나 초산액으로 씻고 다시 물로 잘 씻어 내도록 한다. 약제가 공기와 접하게 되면 분해가 촉진되므로 저장시에는 용기를 꽉 막아서 공기접촉을 막는다.

  2). 자가 조제법

  혼합비율은 물 20ℓ, 유황분말 5㎏, 생석회 2.5㎏으로 한다. 조제순서는 유황반죽 후 끓는 물에 넣고 붉은색이 날 대부터 생석회를 조금씩 넣는다. 약액이 끓기 시작하여 30∼40분 경과하면 거품이 없어지면서 자주색이 나타나는데 이때 화력을 낮추고 다른 용기에 약액을 닫아 불순물을 가라앉힌다.

<표 8-1> 농약의 안전사용기준 설정현황(2000.8)

                     원액농도
살포농도

20°

22°

25°

27°

28°

29°

30°

31°

32°

33°

보-메 5.0도

3.5

4.0

4.8

5.4

5.7

6.0

6.3

6.6

7.0

7.3

보-메 3.0도

6.6

7.5

8.9

8.9

10.3

11.3

11.3

11.9

12.4

12.9

보-메 0.5도

45.1

51.0

59.0

65.0

68.0

71.0

74.0

77.0

81.0

84.0

 

      * 희석예 : 25°원액을 보-메 5도액으로 희석살포하려면 4.8배의 물을 섞는다.
                      즉 원래 1말(20ℓ)을 넣으면 4.8배의 물을 넣게 되므로 희석약량은 5도액 5말 8되가 되는 것이다.

 다. 결정석회유황합제의 사용방법

  결정석회유황합제는 액상의 석회유황합제와 같은 원료로 만들어진 것으로 특수 환원제를 사용하여 만든 액체상태를 냉각시키면 황화태황을 주로한 결정체가 형성되는데 이것을 모아 만든 것이다. 전황화태황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중량, 용적이 적어 취급도 편리하며 비교적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므로 언제라도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사용방법은 동계에는 보통 30배액을 사용하며 조제순서는 결정석회유황합제를 잘게 깬 다음 미지근한 물을 소량 붓고 결정체를 녹여(30℃이하의 물 사용) 소정 농도의 물을 가하면 된다.

  취급상 주의사항으로는 25℃이상되는 곳에 보관하면 결정석회 유황합제가 물렁물렁 해져서 녹기 쉬운 상태가 되므로 냉암소에 보관하며, 개봉한 것은 공기의 접촉을 되도록 피해 밀봉해 두어야 한다.

          

2. 보르도액

  보르도액은 1883년 프랑스에서 유산동과 석회의 혼합액이 포도 노균병 방제에 효고가 있다는 것이 발견되면서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가. 살포효과

  식물체에 살포된 염기성 유산구리 석회가 건조되어 엷은 막이 형성되면 천천히 공기 중의 탄산가스, 탄산을 함유한 이슬, 식물이나 균의 분비액에 의해 가용상태의 구리염으로 되어 병원균과 접하게 된다.

  균체내에 침투된 구리이온은 정상적으로 양이온과 치환되거나 세포내에서의 과도한 산화촉진 등에 의해서 세포의 생리작용을 교란시켜 살균작용을 일으키게 된다.

 나. 사용방법

  보르도액은 효력의 지속성이 큰 살균제로서 비교적 광범위한 병원균에 대해서 유효하지만 생육기 살포는 약해가 심하므로 사용할 수 없다.

 <사용상 주의점>

  조제 즉시 살포해야 하며 오래두면 약효가 떨어진다. 예방제로서 대개 병징이 나타나기 2∼7일 전에 살포하도록 하며 살포액은 완전히 건조되어야 막이 형성되기 때문에 비오기 직전 또는 직후에 살포해서는 안된다. 약효의 지속성은 보통 2주 정도이다.

 다. 자가제조방법

  혼합비율은 4-8식 보르도액의 경우에는 물 100ℓ당 유산동 400g, 생석회 800g을 혼합한다. 조제순서는

   (1) 생석회에 물을 가하여 소석회를 만든다.

   (2) 다른 용기에 유산동을 잘게 빻아 더운물로 녹인다(이때 금속제 용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3) 소석회에 전체 사용물량의 20%에 해당되는 물을 가한다.

   (4) 다른 용기의 유산동액에는 나모지 물량 80%의 물을 가한다.
       (이때 두 용액의 온도는 되도록 같아야 하고 저온에서 혼합하는 것이 좋다).

   (5) 석회유액에 유산동을 서서히 부으면서 계속 젓는다.

   (6) 혼합이 끝난 후에 전착제를 가한다.

'과일나무재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감 가해 노린재류 방제 약제 선발.  (0) 2007.07.28
퇴비제조와 이용.  (0) 2007.07.28
적용약제.  (0) 2007.07.28
충해-뽕나무깍지벌레.  (0) 2007.07.28
충해-뿔밀깍지벌레.  (0) 2007.07.28

 가. 살균제

품 목 명

상 표 명

둥근무늬
낙엽병

탄저병

흰가루병

물 20ℓ당
사용약량

가벤다·누아리몰액상 수화제

온마을

20㎖

만코지 수화제

다이센-엠45, 펜코젭

 

40g

부탄엠 수화제

시스텐 엠

40g

지오판 수화제

톱신엠,톱네이트-엠,바로너,삼공지오판, 지오판

20g

베노밀 수화제

벤레이트, 두루다, 다코스

13g

포리옥신디 수화제

영일바이오

 

20g

디치 수화제

델란, 디치

 

20g

비타놀 수화제

바이코

10g

스팟트 수화제

스팟트

 

10g

이프로 수화제

로브랄, 균사리

   

20g

카프로 수화제

로브동

 

40g

타로닐 수화제

다코닐,금비라,타로닐

 

40g

훼나리·만코지 수화제

아시원

40g

디페노코나졸 수화제

푸르겐,디페노코나졸

 

10g

지오판·리프졸 수화제

굳타임,지오판·리프졸

20g

포리옥신디·지오판 수화제

보람

20g

아미톡타딘트리스알베실레이트 수화제

벨쿠트

 

20g

터부코나졸 수화제

실바코

 

10g

펜부코나졸 수화제

인다

 

20g

아족시스트로빈 수화제

아미스타

20g

펜코나졸 수화제

크린타운

   

20g

훼나리 수화제

훼나리

 

6.7g

헥사코나졸액상 수화제

헥사코나졸

 

10㎖

리프졸 수화제

트리후민

 

10g

          ○ 적용약제로 등록,    ◇ 등록은 안되었지만 방제효과가 있음

 나. 살충제

품 목 명

상 표 명

감꼭지
나방

노린재

깍지벌레

물20ℓ당
사용약량

그로포·주론 수화제

야무진

   

20g

델타린 유제

데시스, 델타린

 

20㎖

메프 수화제

스미치온,호리치온

20g

비티 수화제

슈리사이드,비티사이드, 바이오비트, 비바킬, 그물망, 비티

   

20g

싸이스린 수화제

스타터

   

10g

알파스린 유제

화스탁

   

20㎖

알파스린·그로포 유제

강타자,진굴탄

   

20㎖

크로르푸루아주론 유제

아타브론

   

20㎖

테부페노자이드 수화제

미믹

   

20g

플루페녹수론 분산성 액제

카스케이드

   

10㎖

에토펜프록스 수화제

트레본

 

20g

에토펜스록스 유제

세베로

 

 

20㎖

에토펜프록스·다수진 수화제

뚝심

   

20g

에토펜프록스·피리다 수화제, 유제

휘나래

   

20g
20㎖

주론 수화제

디밀린, 주론

   

5g

지오신 수화제

에비섹트

   

20g

칼탑 수용제

파단,쎄다,세다세

   

20g

크로르푸루아주론 유제

아타브론

   

10㎖

테프루벤주론 액상 수화제

노몰트

   

10㎖

푸라치오카브·주론 수화제

델타네트

   

20g

프로치오포스 수화제

다이빈

   

20g

피리다 수화제

토쿠치온

   

20g

할로스린 수화제

오후나크

   

20g

베스트 수화제

할로스린, 주렁

   

20g

훼녹시카브 수화제

파마치온

   

20g

칼탑·부프로페진수화제

인쎄가

   

20g

메치온 유제

다갈, 멸스타

   

20g

 

수프라사이드

   

20㎖

'과일나무재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비제조와 이용.  (0) 2007.07.28
석회유황합제.석회보르도액.  (0) 2007.07.28
충해-뽕나무깍지벌레.  (0) 2007.07.28
충해-뿔밀깍지벌레.  (0) 2007.07.28
충해-긴솜깍지벌레.  (0) 2007.07.28

학명 : Pseudaulacaspis pentagona (Targionitozzetti)

  1). 피해

  잎·가지 또는 과실에도 기생하여 즙액을 빨아먹고, 번식이 강하여 다수가 기생하면 숙주식물은 점차 쇠약해지고 심하면 말라죽는다. 최근에는 감나무와 차나무에 기생하는 것으로 부터 복숭아나무, 벚나무, 매실나무등에 가해하는 것을 별개의 종으로 구분하여 벚나무깍지벌레(P. prunicola)라고 부른다.

  2). 형태

  성충의 체장은 암컷의 경우 1.1mm, 수컷은 0.9mm 정도이며, 색깔은 암컷은 등황색이고 수컷은 등적색이다. 암컷의 깍지는 그 지름이 1.7-2.0mm이고 원형이며 색깔은 백색-회백색이고 중심부가 높고 두껍다. 알은 길이가 0.2× 0.1mm의 타원형이고 매끈하며 광택이 있다. 약충은 넓은 타원형이고 납질이며 회갈색이다. 번데기의 몸길이는 0.75mm가량이며 등황색이고 긴타원형이다.

  3). 생태

  1년에 3회정도 발생하나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어 남부에서는 4회 발생할 경우도 있다. 수컷은 교미하고 곧 죽고 성숙한 암컷으로 월동하는데, 월동한 암컷은 5월상순에 알을 낳으며 이 알은 5월중순에 부화하고 6월중순에 번데기가 되며 6월하순에 성충이된다. 제2회 성충은 8월하순에 알을 낳으며 이 알은 9월상순에 부화하여 9월하순에 번데기가 되고 10월상순에 성충이 된다.

  수컷은 극히 단명하여 수명이 1주일 이내이고 날개가 있으나 비상력은 약하다. 암컷은 가지에 고착하여 즙액을 흡수하고 수명도 길다. 깍지밑에 불규칙하게 40-200개의 알을 낳는데 백색의 알은 수컷이되고 등황색의 알은 암컷이 된다. 부화약충은 활발히 기어다니며 숙주식물로 분산하지만 제1회 탈피 후에는 고착생활을 하게 된다. 암컷은 3회 탈피한 후에 성충이 되어 번데기 시기는 없고, 수컷은 짧은 타원형으로 백색 솜털 같은데 깍지 속에서 번데기가 된다. 1주일 후에 날개가 있는 수컷이 우화한다.

  4). 방제

  봄철에 기계유유제 20∼25배액을 살포하고 발아 후에는 석회유황합제 0.3도액을 살포한다. 알에서 부화해 나오는 시기 및 약충의 활동기에 전문살충제를 살포한다.

 

'과일나무재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회유황합제.석회보르도액.  (0) 2007.07.28
적용약제.  (0) 2007.07.28
충해-뿔밀깍지벌레.  (0) 2007.07.28
충해-긴솜깍지벌레.  (0) 2007.07.28
충해-복숭아명나방.  (0) 2007.07.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