곶감을 10일 정도 1차 건조한 다음 더운물에 담갔다가 다시 말리면 품질이 아주 좋아진다고 〈일본농업신문〉이 보도했다.

이 신문은 일본에서 최고 품질을 자랑하는 곶감 주산지인 후쿠이현 미나미에치정의 이마조 특산감진흥회장 다키노씨의 사례를 들어 이같이 소개했다.

다키노씨에 따르면 감의 열매살이 부드러워지기 직전인 11월 하순에 수확한 약간 떫은 감이 곶감용으로 가장 좋다.

수확한 당일 감 껍질을 벗기는데 최대한 얇게 깎는다. 곶감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배꼽 부위의 껍질은 그대로 남긴다.

실외 건조는 관리하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이 잘 통하는 실내에서 감을 말린다. 비와 서리를 맞아 감이 젖으면 곰팡이 발생의 원인이 된다.

곶감의 당도는 건조과정에 좌우되기 때문에 습도가 높은 장소는 피하고 온열장치를 해서 온도를 30℃ 안팎으로 맞춘다.

10일 정도 지나면 사람 귓불 정도의 감촉이 되는데 이때 40℃ 물에 1분 정도 담갔다가 재건조하면 감 표면이 검게 변하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다시 10~20일이 지나면 감이 수축되기 시작하는데 손으로 부드럽게 펴줘야 한다. 이렇게 1개월을 말리면 최고 품질의 곶감이 완성된다.
단감 열매솎기보다 꽃봉오리솎기가 품질 향상에 월등히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도농업기술원 단감연구소에 따르면 단감의 꽃이 활짝 피기 이전인 5월 중·하순에 꽃봉오리를 솎았을 때 과일 한개 무게가 250g 이상인 대과 비율이 45%, 167g 이하인 소과 비율이 6%였다.

그러나 여름철 장마가 끝나고 7월 상·중순에 열매를 따낼 경우는 대과 비율은 17.2%에 불과한 반면 소과 비율은 68%나 돼 상품성이 크게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꽃봉오리솎기와 열매솎기를 병행했을 때는 대과 비율 26%, 소과 비율 14%로 중간 수치를 보였다.

꽃봉오리를 솎는 방법은 열매가 달리는 주가지에 새로 난 가지 수가 3개 이하일 때는 1~2개의 꽃봉오리를 남기고, 새 가지 수가 4개 이상일 때는 가지의 세력을 감안하여 2~5개의 꽃봉오리를 남긴다. 다만 꽃가루받이(수꽃)나무가 전체 나무의 8% 미만이거나 자람세 관리에 자신이 없는 농가는 꽃봉오리솎기를 삼가는 것이 안전하다. ☎055-211-5691

'과일나무재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의 용어,  (0) 2007.07.28
곶감, 더운물 담갔다 말리면 고품질 .  (0) 2007.07.28
“대봉” 감나무 가지절단현상 원인.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12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11월.  (0) 2007.07.28
‘대봉’ 감나무에서 5월 상중순경, 흔히 일어나고 있는 새 가지의 절단현상 원인이 밝혀져 감 재배농가의 관심을 받고 있다.

감 ‘대봉’ 품종은 ‘봉옥’, ‘갑주백목’, ‘하찌야’ 등으로 불리며, 홍시로 소비되는 품종으로 단감을 제외한 떫은 감 품종들 중에서 전국적으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품종이다.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상주감시험장은 감나무 ‘대봉’ 품종의 봄철 어린가지 절단 현상은 올해 자란 새 가지의 가운데 부분이 잘려져 떨어지는 현상으로 주로 꽃봉오리가 달린 부분 위쪽에서 발생하는데 해마다 5월에 상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발생 원인이 불분명하여 감 재배농가에서는 순나방이나 명나방과 같은 나방류의 애벌레에 의한 피해로 판단 농약을 살포하여 방제하는 사례가 많았다.

도 농업기술원 상주감시험장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이러한 현상은 ‘대봉’ 품종에서만 나타나며 봄철 강한 바람이 그 원인으로 밝혀졌다.

연구결과 방풍망을 설치하였을 때 피해 발생율은 2.4%로 방임시 18.3%에 비해 크게 낮았다. 방위별로는 서쪽 방향으로 뻗은 가지에서 36.3%로 발생률이 가장 높았는데 이것은 봄철에 부는 바람이 주로 서풍으로 바람을 맞는 쪽 가지에서 피해가 많기 때문이다. 또한 나무 한 그루당 평균 피해 발생률은 16.3% 정도로 감 수확기에 과실 품질이나 수량에는 큰 지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도 농업기술원 상주감시험장 허민순 박사는 ‘대봉’ 품종의 새 가지 절단 현상의 원인이 바람 피해인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감 재배농가에서는 해충으로 오인하여 농약을 살포하는 사례가 없도록 당부하였다.

12 월달 관리

작  업  명

주               요               내               용

정 지 전 정

 ㅇ정지.전정

<전정의 요령>

  ㅇ자르기 전 가지선정 및 구상이 중요하다.

  ㅇ위에서부터 차례로 굵은가지부터 차례로 한다.

    -굵고 불필요한 가지를 제거 한다.

    -주지,아주지 선단을 잘라내고 시작한다.

    -상하가 겹칠 것 같은 가지는 아래를 우선해서 남긴다.

    -내향지,교차지는 망설이지 말고 잘라 버린다.

    -직상지는 갱신할 때 외는 잘라 없앤다.

    -경쟁상대로 되는 가지는 잘라 없앤다.

    -측지는 갱신 이외는 솎음전정을 한다.

    -짧은가지는 전정하지 않는다.

    -말라죽은 가지는 기부에서 잘라 버린다.

  ㅇ간벌의 기준은 우산을 쓰고 지나갈 정도의 수간거리가 좋다.

<품종별 전정 요령>

ㅇ부유는 가지의 신장및 충실도 양호한 장과지를

  많이 남긴다.

ㅇ송본조생 부유는 부유보다 결과모지를 30% 많이 남기며 가능한 아래로 드리워진 것을

   남긴다.

ㅇ이두는 결과모지도 두눈 이상이면 선단의 한개 눈은 잘라 버린다.

ㅇ도근조생,평핵무는 단과지를 많이 남긴다.

ㅇ서촌조생은 80cm정도의 긴 결과모지를 반정도 잘라내면 암꽃이 착생한다.

 거친껍질.낙엽

제거

ㅇ거친껍질 벗겨 소각

ㅇ전정지,낙엽 제거 소각

밑거름 주기

ㅇ시비적기:낙엽후 15일∼2하순(년내가 유리)

※밑거름 주기(kg/10a)

구  분

주는시기

질소

인산

칼리

마그네슘

만생종

밑거름

12~3월

10

12

12

6

조생종

밑거름

11~12월

10

12

6

6

 

※수령별 년간 시비 성분량(kg/10a)

수령

질소

인산

칼리

비옥지~척박지

비옥지~척박지

비옥지~척박지

1~4년

2

1

1

5~9년

2~4

1~2

2~3

10~14년

5~8

2~5

3~5

15~19년

10~15

5~8

8~12

20년이상

15~20

8~12

12~18

ㅇ퇴비주기

  -10a당 성목원1.8톤  유목원 1톤 시용

  -낙엽후 되도록 일찍 시용

  -질소분 적은 퇴비 시용이 안전하다.

 ※가축분 퇴비 시용 한계(10a)

  -우분 : 3,000kg

  -돈분 : 1,000kg

  -계분 : 100~500kg

※유기물 가을 적량 시용: N,P,K 30%씩 감량 시용

  유기물 봄 적량 시용: N 50%, P,K 40%씩 감량 시용

경 영 진 단

ㅇ표준진단표에 의한 경영진단 새해영농에 반영

  -농업기술센터에 비치되어 있는 진단표 활용

 

11 월달 관리

작  업  명

주               요               내               용

 저장고 관리

ㅇ증발기 성에 제거

ㅇ적정 습도 유지 관리

ㅇ저장시설 미비,용량부족,관리부주의 등으로 저    장고 내에 온도의 변화가 클 경우 과

    피흑변 등    의 장해가 발생한다.

수확 저장

ㅇ10월의 관리에 준한다

 묘 목 심 기

ㅇ과수원 개원 농가 묘목 식재

  -비옥지 : 5×6m 또는 6×6m

  -척박지 : 5×5m 또는 5×6m

ㅇ계획적 밀식 재배 묘목 식재거리

  -2배심기(5점심기) : 5×6m식재 - 4주 중앙에 1주 식재-반당 66주 심어 최종 33주 남김

  -4배심기: 3×3m 식재후 최종 6×6m 거리로 남김(반당 111주심어 최종 28주 남김)

ㅇ심은후 관리

  -가을 심기후 접목부위까지 복토

  -이른봄 복토흙 제거후 검은 비닐 멀칭

밑거름 주기

ㅇ시비적기:낙엽후 15일∼2하순(년내가 유리)

※밑거름 주기(kg/10a)

구  분

주는시기

질소

인산

칼리

마그네슘

만생종

밑거름

12~3월

10

12

12

6

조생종

밑거름

11~12월

10

12

6

6

 

※수령별 년간 시비 성분량(kg/10a)

수령

질소

인산

칼리

비옥지~척박지

비옥지~척박지

비옥지~척박지

1~4년

2

1

1

5~9년

2~4

1~2

2~3

10~14년

5~8

2~5

3~5

15~19년

10~15

5~8

8~12

20년이상

15~20

8~12

12~18

ㅇ퇴비주기

  -10a당 성목원1.8톤  유목원 1톤 시용

  -낙엽후 되도록 일찍 시용

  -질소분 적은 퇴비 시용이 안전하다.

 ※가축분 퇴비 시용 한계(10a)

  -우분 : 3,000kg

  -돈분 : 1,000kg

  -계분 : 100~500kg

※유기물 가을 적량 시용: N,P,K 30%씩 감량 시용

  유기물 봄 적량 시용: N 50%, P,K 40%씩 감량 시용

 

'과일나무재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봉” 감나무 가지절단현상 원인.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12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10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9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8월.  (0) 2007.07.28

10 월달 관리

작  업  명

주               요               내               용

 저장고 준비점검

ㅇ저장고 소독

  -과실 입고전 저장고 1㎡당 유황 20~30g 훈증방법과 1% 포름알데히드,또는 5% 차아

    염소산나트륨(유한락스,표백제) 수용액 분무후 건조

 수     확

ㅇ수확적기

  -과정부 칼라챠트의 색도가 6.0(등적색)인데 이때 열매 꼭지부의 색도는 5.0(등황색)을

   기준

<단감의 성숙도 판정 지표(부유)>

당도(BriX)

과실주두부 색도

과실꼭지부 색도

경도(kg/∮5mm)

13

5.0~5.5

3.5~4.0

2.7~2.6

14

6.0

5.0

2.6~2.5

15

6.5

5.5~6.0

2.5~2.4

<수확요령>

ㅇ수확은 장갑을 끼고 한다.

ㅇ수확 바구니 안쪽에 천을 깔아 과일 상처 없게

ㅇ과경은 짧게하여 상처 나지 않게

ㅇ젖은 과일은 닦지말고 선풍기로 건조

ㅇ수확 바구니로부터 콘테이너로 �길 때 1차 선과

 선     별

등급

무게(g)

10kg 개수

15kg개수

비고

2L

250~294

34~40

51~60

l

213~249

41~47

61~70

M

189~212

48~53

7180

s

167~188

54~60

81~90

2S

150~166

61~67

91~100

저     장

ㅇ수확한 과실은 반드시 예냉 또는 예건시켜 저장

<예냉>

  -수확한 과실이 저장고에 들어왔을때 송풍기를 돌려 빠른시간내 과실의 품온을 -1℃부

     근까지 떨어뜨리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박스 내부에 온도계를 꽂아 과실온도가 -1℃ 부근이 되도록 온도관리

<예건>

  -여건상 예냉이 어려울 때 수확한 과실을 통풍이 잘되는 그늘에서 3~5일 건조시켜 꽃

    받침을 구부려 부러지지 않을 정도까지 건조시켜 저장

ㅇ적재방법

  -바닥에 깔판 깔아 더미와 더미사이,더미와 벽면사이, 더미와 천장사이를 50cm이상 공

    간을 두어 공기순환 및 온도분포 고르게 해야 하며 적재용적율을 65~75%를 유지해야

    한다.

ㅇ저장온도

  -저장고의 온도는 ±0.5℃ 이내로 제어되는 정밀도가 높은 저장고에 -1℃±0.5℃로 설

   정한다.

  -저장습도는 90~95% 유지한다.

 

'과일나무재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별관리포인트-12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11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9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8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7월.  (0) 2007.07.28

9 월달 관리

작  업  명

주               요               내               용

병 충 방 제

ㅇ탄저병,노린재,쐐기나방 위주로 방제한다.

ㅇ9월상중순 이후에는 농약살포를 지양한다.

<노린재의 효과적인 방제법>

  -이른아침 일찍 이슬 깨기전 방제한다.

  -나무 꼭대기에서부터 아래로 농약을 살포 한다

  -황색 유아등을 설치한다.

  -수확 끝날때까지 썩은생선,고기 등을 담은 어망을 과원 주변에 일정간격 설치해 준다.

  -노린재 등록약제(데시스,스미치온,파프,트레본 등을 살포한다.

  -전기 살충기를 시험 설치후 효과 좋으면 50m간격으로 설치하는 방법도 있다.

조생종 수확

ㅇ조생종 단감 수확 출하

ㅇ단감 착색 촉진 방법

  -8월중순 이후 과원바닥 면적의 50% 반사 필름 피복 ⇒ 숙기 4일 단축

  -에세폰을 9월상순경 ℓ당 20mg의 농도로 살포 ⇒ 숙기 13일 단축 효과

가을거름주기

ㅇ거름주는 시기와 비율 및 량

구분

시기

질소

인산

칼리

마그네슘

만생종

9하~10상순

5kg

-

-

-

조생종

9상순

6kg

-

-

-

※밑거름 시용은 가급적 년내에 주는 것이 좋다.

 

※수령별 년간 시비량(성분량:kg/10a)

수령

질소

인산

칼리

비옥지~척박지

비옥지~척박지

비옥지~척박지

1~4년

2

1

1

5~9년

2~4

1~2

2~3

10~14년

5~8

2~5

3~5

15~19년

10~15

5~8

8~12

20년이상

15~20

8~12

12~18

 

 

 

'과일나무재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별관리포인트-11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10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8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7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6월.  (0) 2007.07.28

8 월달 관리

작  업  명

주               요               내               용

병 충 방 제

ㅇ대상병충: 노린재,탄저병,꼭지나방 방제

  -과일에 단맛이 생기는 8중순~9상순에 기주식

   물에서 노린재 성충이 과원으로 집중 날아드는 시기 (8월상순 방제 필수)

기 상 재 해

ㅇ태풍 사전,사후대책

  -파풍망 등을 사전 설치 보강한다.

  -강풍이 예상되면 무리하게 고정하지 말고 강풍 통과후 나무 세우고 지주를 받쳐준다.

  -찢어진 가지는 나사조임 또는 새끼줄로 결속하여 유합을 꾀한다.

  -부러진 가지는 잘라내고 유합제를 도포해 준다.

  -낙엽된 나무는 낙엽정도에 따라 적과해 준다.

   .낙엽 30%이하 : 적과 안함

   .낙엽 31~50% : 20% 적과

   .낙엽 51~70% : 30% 적과

   .낙엽 71%이상 : 40% 적과

  -질소의 토양 시용은 절대 해서는 안된다.

  -피해 받은 나무는 밑거름 시용시 낙엽정도에 따라 줄여주고 양질의 유기물을 시용해

    야 한다.

  -전정은 늦게 시작하되 약전정으로 해서결과모지를 넉넉히 남겨둔다.

 

 

 

 

'과일나무재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별관리포인트-10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9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7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6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5월.  (0) 2007.07.28

7 월달 관리

작  업  명

주               요               내               용

적     과

ㅇ마지막 열매솎기

  -결과모지에서 발생된 새가지수가

   * 3개이하일 때 : 1개

   * 4개이상일 때 : 2개 남김

  -엽과비를 기준 할 때

   * 어린나무 : 15장

   * 성과수 : 20장

   * 늙은나무: 25장에 1과 기준으로 적과

하 계 전 정

ㅇ불필요한 가지 수시 제거

ㅇ늘어진 가지는 매달아 주던지 지주로 받혀준다

병 충 방 제

ㅇ대상병충: 낙엽병,탄저병,깍지벌레류

<7월의 병해충 방제>

가. 병해
7월 상순경에 둥근무늬낙엽병균의 포자비산이 종료되므로 이 시기에 탄저병 또는 흰가루병과 함께 낙엽병을 방제한다. 6월에 방제를 충분히 하였고, 강우가 없거나 병 발생이 심한 과원이 아니라면 약제살포를 생략할 수도 있다.

지난해 탄저병 발생이 많았던 과원은 비 오기 전 보호살균제를 살포하거나 비가 그친 직후 침투성 약제를 살포할 필요가 있다.

탄저병의 경우 병든 가지나 과실은 수시로 제거하여 소각하거나 땅속에 묻어야 전염을 막을 수 있다. 탄저병은 이 때에 방제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가을 성숙기에 과실에 훨씬 큰 피해를 주므로 철저한 방제를 해야 한다. 흰가루병은 심각한 피해를 주지는 않으나 발병이 증가할 경우 적용약제를 살포하여야한다.
* 약제종류는 첨부파일 내용을 참고하십시오.

나. 충해
7월이 되면 노린재 발생이 많아지고 감꼭지 나방도 2화기 성충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노린재는 방제가 매우 까다로운데, 재배적 방법과 아울러 약제방제를 하여야 방제효과를 높일 수 있다. 노린재 방제를 위한 재배적 방법으로는 과원 내 기주식물을 제거하고, 기피효과를 위하여 야간에 황색나트륨등(150W)을 설치 등을 들 수 있다.
노린재 방제약제를 살포할 때는 합성피레스로이드 계통 약제를 연용하는 것보다 다른 약제와 교호로 살포하는 것이 과원 내 천적 곤충의 소멸을 막고 응애류의 발생을 줄이는 방법이다. 합성피레스로이드계 약제로는 델타린 유제, 싸이스린 수화제, 에토펜프록스 수화제·유제 등이 있고 치아니코티닐계로 치아메톡삼 입상수화제가 있다.
감꼭지나방은 유충기에는 과실 속에 서식하기 때문에 약제를 살포해도 효과가 거의 없다. 따라서 나방이 된 성충기에 살포해야 하는 데 6월 상·중순기에 이어 2번째로 성충이 되는 시기가 7월 하순~8월 중순경이다.
감꼭지나방에 등록된 적용약제들은 종류가 많이 있으므로 노린재 또는 깍지벌레가 피해가 많은 과원에서는 이들 해충과 겸해서 방제할 수 있는 약제를 선택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과일나무재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별관리포인트-9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8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6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5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4월.  (0) 2007.07.28

6 월달 관리

작  업  명

주               요               내               용

하 계 전 정

ㅇ적심 및 가지 비틀기

  -결과모지로 쓸 도장지는 가지끝에서 3잎 남기고 적심하여 비틀어 유인: 6월중순까지

ㅇ도장지 다발생 및 착과불량주 철사 결박하기

  -시기: 만개 10일후

  -방법: 코팅철사 18번선으로 지제부 10cm위 주간에 수피가 함몰(1mm정도)되게 죄어

            준다.

  -해제: 결박 60일후 제거

ㅇ환상박피: 전정톱으로 수피를 원형으로 절단해 준다.
  < 방법 >
세력을 안정시키기 위한 환상박피는 대개 개화 후 1~2주경에 나무 세력에 따라 3~6mm 정도의 폭으로 처리한다. 처리 시기가 빠를수록, 처리 폭이 넓을수록 수세 감소가 현저해진다.

생육 후기에 늦게 처리하거나 폭을 1cm 이상 넓게 할 경우 유합 부위가 경화되지 않아 겨울철에 이 부분이 동해피해를 받을 위험이 높아지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박피 부분은 절단면이 깨끗하도록 처리되어야 하며, 박피 후 즉시 그 위에 비닐 테이프를 감아 해충을 침입을 막고 유합을 촉진시켜야 한다. 1~2개월 후 박피 부위가 유합되었을 때에 비닐 테이프를 제거한다.

< 주의 사항 >
환상박피를 하면 지상부의 동화양분이 수피를 통해 뿌리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기 때문에 뿌리 특히 세근의 생장이 현저히 감소한다. 세근은 산소 흡수속도가 저하되며, 목부 수액 중 질소 및 칼리 농도가 저하되고, 신초 내 질소, 칼리 및 마그네슘 함유율이 감소하는 등 양분 흡수가 제한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환상박피 폭을 너무 넓게 하거나 2년 연속 처리하면 수세 감소가 지나쳐 겨울철에 가지들이 동해를 받거나 나무 생육이 부진하여 장기적으로는 수량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환상박피를 하면 동화산물의 뿌리 전류는 줄어드는 반면, 과실로의 전류는 증가되어 낙과가 감소하고 착과량이 과다해져 나무에 부담을 줄 수 있다. 그러므로 엽수에 맞춰 생리적 낙과가 끝날 무렵부터 일찍 적과하여 적정한 착과량으로 조절하여야 한다.
박피 부위에 애기유리나방과 명나방류 애벌레의 침입을 받지 않도록 병해충 방제시 이 부위에 약액이 충분히 묻도록 해야 한다.

ㅇ여름전정 요령
  - 6월 중하순경에 일부를 솎고 나머지 도장지는 비틀어 휘어 두었다가 7월 하순경에 제거하는 방법. 이 경우 가지 상태가 좋으면 그대로 두어 내년에 결과모지로 사용할 수도 있음(화아분화가 잘 됨).

  - 6월경에는 도장지들 중 일부만 솎고 나머지들은 7월 하순경까지 기다렸다가 제거, 도장지들을 일찍 그리고 많이 제거할수록 재생장지가 발생하여 문제가 됨(탄저병, 흰가루병 발생). 7월 하순쯤에 제거하면 재생장지 발생이 많지 않음

병 충 방 제

ㅇ가지의 1차 생장기 병충방제

  -대상병충: 탄저병,낙엽병,흰가루병,꼭지나방 위주 방제

※6월중하순 흰가루병 필수 방제

   깍지벌레 발생 포장 6월중하순 필수 방제

여름거름주기

ㅇ주는시기: 6하~7상순

ㅇ주는량 (성목,kg/10a)

구분

주는시기

질소(요소)

인산

칼리(염가)

마그네슘

만생종

6하~7상순

5(11)

-

6(10.2)

6

조생종

6상~중순

4(8.8)

-

8(13.6)

6

ㅇ여름거름을 가급적 피해야 할 경우

토     양

ㅇ토성에 관계없이 토심이 깊고 보수    력이 좋은 토양

기상조건

ㅇ일조량이 적고 기온 낮을 때

ㅇ여름에 강우가 많을때

나무의상태

ㅇ유목

ㅇ신초의 신장이 7월상.중순까지 계속될 때

ㅇ도장지의 발생이 많고 매년 가지의 경    화가 잘 안될 때

비배관리

ㅇ계분과 구비를 매년 사용하는 경우

ㅇ시비 구덩이를 파서 유기물과 비료를    주는 경우

ㅇ매년 멀칭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ㅇ겨울비료가 늦어 3월에 다량 사용하    는 경우

출하목표

ㅇ조기출하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

 

 

 

'과일나무재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별관리포인트-8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7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5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4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3월.  (0) 2007.07.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