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을음병


♣ 병징

잎과 가지에 발생한다. 처음에는 작은 암색병반이 생기고, 진전되면서 흑색, 그을음상의 균총이 병반 표면을 덮는다. 심하면 피막을 형성한 균사층이 병반의 표층에서 막이 형성되어 매우 지저분해진다. 

♣ 병원균과 생활사

병원균은 균사 및 자낭각의 형태로 월동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표피 기생균으로서 식물체에서 영양분을 흡수하지 않고, 진딧물 및 깍지벌레 등을 분비물을 이용하여 번식하므로 병발생은 이들 곤충의 밀도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을음병으로 인하여 식물체가 갑자기 말라죽는 일은 없으나, 발생이 심하면 동화작용을 방해하고, 과일의 상품가치를 떨어뜨린다.  

♣ 방제법

본 병의 병원균은 곤충의 분비물에 주로 기생함으로 진딧물이나 깍지벌레 등 해충을 철저히 방제한다.

[그을음병]
[그을음병]
[그을음병]
 

잿빛곰팡이병


♣ 병징

잎, 과실에 발생하나, 간혹 꽃에도 발생한다. 과실에는 처음 황갈색의 작은반점이 생기고, 점차 진전되면서 잿빛곰팡이가 밀생한다. 잎에는 처음 잎끝부분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잎중앙으로 확대되는데, 특히 상처가 있거나 다른 병의 병반부위에 복합감염되어 발생되는 수도 있다. 

♣ 병원균과 생활사

병원균은 Botrytis cinerea이며 분완전균류에 속하며 생육적온은 25℃ 전후이다. 복숭아 외에도 각종 과실류와 과채류에 기생하며 떨어진 잎이나 과실에 부생적으로 번식하여 과실에 접촉 전염한다. 유과에서 수확과까지 발생하지만 특히 유과와 수확진전의 과실에 발병이 많다. 병원균은 다습 조건에서 번식이 잘 되므로 비가 많이 오는 시기에 발생이 많다. 

♣ 방제법

과원 배수를 잘 되게 하고 가지의 과번무를 피하며 시설재배인 경우 개화기 전후에 환기를 충분이 한다. 약제는 이프로수화제, 가벤다·이프로수화제, 프로파수화제, 피리메타닐 액상수화제, 카프로수화제 등을 살포한다.

[잿빛곰팡이병]
[잿빛곰팡이병]
[잿빛곰팡이병]

핵  할

원인, 증상 및 방제 대책

핵할 초기의 종단면
봉합선 부위 균열선 관찰

복숭아 핵할 증상

증상

핵할이란 과실이 발육도중에 내과피(核)가 갈라지는 현상으로 상품성이 떨어진다. 조생종이 중·만생종에 비하여 발생이 많고, 큰 과실(大果)일수록 핵할이 많이 발생한다. 발생시기는 과실의 비대초기와 경핵기(硬核期)로 대별되는데 과실비대 초기의 핵할은 만개후 20∼40일경까지 로서 주공부(珠孔部)의 상방 또는 하방의 부분이 봉합선에 대하여 평행 또는 직각으로 갈라지고 과실이 발육함에 따라 이 균열은 중과피의 내부까지 이어지지만 이 시기의 핵(核)은 목화(木化)하지 않았기 때문에 점차 유합되어 정상화 된다. 경핵기중의 핵할은 품종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보통 6월 상순∼하순에 발생하고 일단 발생된 균열은 핵할로 진전된다.

원인

핵할의 발생정도는 해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과실비대가 촉진되는 해 일수록 핵할이 심하다.

과실생육초기의 핵할은 과실내 양수분의 급격한 변동에 의하여 유기된다.

경핵기중의 핵할은 핵층(核層)의 경도(硬度)가 급격하게 증가되어 수분이 빠져 나가기 때문에 용적이 수축되어 구체적으로 균열에 대하여 불안정한 상태에서 발생한다.

경핵기 이전의 기온은 핵할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저온일수록 핵할이 심하게 발생하고, 고온일수록 핵할이 적게 발생한다.

방지대책

핵할은 과실의 비대속도가 단기간에 빠르게 이루어질 때에 많이 발생하므로 과실비대가 낙화후 부터 꾸준히 계속 되도록 토양수분 및 시비관리를 철저히 한다.

큰 과실(大果)일수록 핵할이 심해지므로 적과를 너무 많이 하지 않도록 한다.

비료를 많이 주거나 과도한 관수를 삼가는 것이 좋다.

기지현상(忌地現象)

증상

기지현상이란 한가지 작물을 오랫동안 재배하였던 땅에 다시 동일작물을 재배할 경우에 생육이 불량하여 지고 과실의 생산력이 떨어지며 심하면 나무가 말라죽는 현상이다.

복숭아를 위시한 핵과류가 다른 과수보다 개식(開植)에 의한 기지현상이 특히 문제가 되고 있다. 예전부터 복숭아원을 개식하고자 할 경우에는 기존 과원은 폐원시키고 새로운 땅에 개원하기 때문에 시대에 따라 복숭아산지가 이동되는 것 같이 보여 복숭아의 산지가 이동하는 것이라는 말이 있었다.

원인

기지현상의 발생원인은 토양내에 독물질의 축적, 유해 미생물의 증가, 영양결핍, 토양의 물리성 불량 등 여러가지 요인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독물질설은 식물체내에 있는 청산배당체(靑酸配糖體)가 토양내에서 가수분해되어 생성되는 중간생성물인 시안화 수소(HCN)가 뿌리에 장해를 주어 생육이 나빠지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창산배당체는 잎, 줄기, 과실, 뿌리에는 프르나신(prunasin)이 존재하며 발육증기의 종자에는 아미그달린(amygdalin)이 존재한다.

복숭아 2년생 묘와 성목에서의 수체내 부위별 청산배당체의 함량(표 1)을 비교하면 성목의 뿌리와 2년생가지의 청산 배당의 함량이 현저하게 많아서 성목원을 어떤 원인에 의하여 개식하고자 할 때 토양내 잔존하는 뿌리, 종자 등에 의한 창산배당체의 축적이 많아 장해를 더 많이 받게 된다.

복숭아의 수체부위별 프르나신(prunasin)의 함량비교

(단위 : mg/g, dry wt.)

구 분

1년생 가지

2년생 가지

뿌 리

2 년 생 묘
성 목

1.26
2.21

6.01
4.90

-
9.10

4.95
32.25

토양내의 선충(線蟲)의 밀도도 기지현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표 2는 복숭아 재배지 토양과 재배하지 않은 토양의 선충의 종류와 밀도를 나타낸 것인데 재배지 토양에서 선충의 밀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복숭아재배지 토양과 재배하지 않은 토양의 선충밀도 비교

(단위 : 마리수/200g 토양)

선 충 의 종 류

재 배 지 토 양

무 재 배 지 토 양

Paratylenchus
Pratylenchus
Xiphinema
Tylenchorhynchus
Tylenchus
Meloidogyne
Rotylenchus

501
127
44
174
24
39
32

0
0
0
0
50
0
0

941

50

선충이 복숭아의 뿌리에 침입하면 뿌리에 기생해서 식해(食害)를 할 뿐만 아니라 청산배당체의 분해효소인 에멀신(emu-lsin)을 가지고 있어 청산배당체를 분해하여 중간생성물인 시안화수소 등의 독물질을 발생시키고 이로 인하여 뿌리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복숭아는 내수성(耐水性)이 약해서 뿌리의 산소요구도가 높은 과수이다.  만일 배수가 불량하여 뿌리의 호흡이 억제되면 뿌리에서 시안화수소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새로 심은 복숭아나 무의 뿌리는 먼저 복숭아나무가 심겨졌든 자리에 남은 잔존물에서 나온 독극물에 의하여 호흡을 저해받을 수도 있으나 토양조건이 혐기적인 상태에서 새로 심은 나무뿌리 자체에서도 유독물질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그 밖에 기지현상의 원인으로는 복숭아나무가 장기간 재배되어 토양내의 영양분이 모두 소모되어서 새로 심은 나무가 영양결핍으로 기지현상이 일어난다.

방지대책

개식(改植)을 할 때에 기지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우선 청산배당체가 함유되어 있는 종자, 뿌리, 가지 등 먼저 심겨져있던 나무의 잔존물을 철저히 제거한다.

토양내 선충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토양 훈증제(메틸브로마이드, 클로로피크린 등)를 재식 2∼3주전에 재식할 구덩이를 중심으로 하여 사방 30cm 부위에 3∼4ml씩 관주기로 주입하여 주면 효과적이다.
토양훈증제 사용은 인축에 유해하므로 전문기술이 없으면 사용하기 어렵다.

복숭아 기지현상 방지처리에 의한 나무생장촉진 효과

처    리

나무생장량
(g/주)

신 초 수
(개/주)

간주비대량
(mm)

노목원 토양에 유목재식

노목원 토양개량후 유목재식

67

236

9

22

34

51

※ 토양개량 : 토양소득 + 석회 및 퇴비 + 뿌리 잔존물 제거

배수를 양호하게 하여 뿌리가 호흡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하여준다.

개식시에는 충분한 유기물과 석회를 시용하여 토양을 중화시켜 토양내 무기성분의 유효도를 증진시킨다.

기지현상은 복합적인 요인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실제로 나무를 새로 심을 때에는 어느 한 요인만을 제거시킬 것이 아니라 모든 발병의 요인을 제거해야 한다.

우리나라 각지에 분포하며 수량에 큰 피해를 주는 일은 없으나 품질을 저하시킨다. 대체로 5월중순부터 6월중순경까지 발생하므로 이 기간에 비가 많으면 더욱 발생이 심하다. 조생종에는 피해가 적고, 중·만생종에는 많이 발생하는데 특히 황육계는 피해가 심하다.

가.

기주식물 : 복숭아, 사과, 살구, 매실나무

나.

병 징

 

열매를 비롯하여 나무가지, 잎 등에 발생한다. 열매의 표면에는 처음 약 3㎜크기의 흑색원형의 반점이 생기고 그 주위에는 언제나 진한 녹색이 나타난다. 과실에 증상이 세균성구멍병과흡사하여 혼동하기 쉬우나 흑성병은 과실 표피에만 나타나고 병반이 갈라지지 않아서 세균성구멍병과 증상이 다르다.
가지에는 6∼7월경 적갈색의 작은 반점이 생기고 점차 커지면서 짙은 갈색으로 변하며 가을 낙엽이 될때에는 병반은 다소 부풀면서 흑갈색으로 되고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2∼3㎜크기로 된다. 잎에는 처음 흑갈색의 작은 점이 생기고 후에 갈색의 둥근 점으로 되어 말라서 둥근 구멍이 뚫려 세균성구멍병 모양을 나타낸다.

다.

병 원 균

 

이 병원균은 불완전균병 암색선균(暗色線菌)에 의한 병으로 분생포자를 형성하며 병원균의 발육온도는 2∼32℃이고 발육 최적온도는 20∼27℃이다. 피해가지의 껍질병반은 조직안에서 균사의 형태로 겨울을 난 후 4∼5월경부터 포자를 형성하여 비, 바람에 운반되어 전염하는데 약 35일의 잠복기간을 거쳐 5월하순경이면 발병한다.

라.

전염경로

 

마.

방 제 법

 

① 발아전에 석회유황합제 5도액을 2회 살포한다.

② 열매를 솎은후 일찍 봉지를 씌운다.

③ 봉지씌우기가 늦어질 겨우 꽃이 진후 10일간격으로 다이센엠-45 600배, 톱신(지오판)1500배를 살포한다. 중, 만생종은 6월하순까지 살포할 필요가 있다.

가.

병 징

 

이 병은 뿌리나 뿌리와 줄기의 접합부 즉 지면부 및 주간에 발생하는 병으로 병이 진행되면 표피가 갈라지고 그 부위에 크고 작은 혹이 형성된다. 혹이 처음 형성될 때는 연한 갈색을 나타내며 조직도 무르나 오래된 혹은 흑갈색으로 변하여 경화되어 그 부분의 도관부 파괴가 일어나 수세가 저하된다.

나.

발생환경 및 전염경로

 

이 병은 사과, 배, 포도, 복숭아, 감, 밤나무 등 거의 모든 과종에 발생하나 모든 핵과류에 발생이 많고 피해도 심한 것으로 되어있다. 병원균은 감염된 토양이나 병든 묘목을 통하여 주로 전파가 이루어지므로 묘목의 구입시에는 묘목의 뿌리 부분에 혹이 형성되어 있는지를 세심히 관찰해 볼 필요가 있다. 이 병의 병원세균은 호기성이며 발육온도 범위는 0∼37℃이고 생육 적온은 25∼30℃이나 20℃ 내외에서 암종이 잘 형성된다.
병원균의 침입은 주로 지면부이하 뿌리 부분의 상처를 통하여 이루어지나 지상부 주간에 형성되는 혹은 토양중의 병원세균이 빗물에 튀어올라 상처를 통하여 감염되어 형성되기도 하며 뿌리로 침입한 병원세균이 도관부를 통하여 이동하므로써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고 알려져 있다.

다.

방 제

 

1) 재배적 방제

① 개원시에는 근본적으로 무병묘목을 사용해야 하므로 이 병의 발생이 없는곳에서 생산된 건전한 묘목을 심어야 한다.

② 병원균은 주로 상처를 통하여 침입하므로 재식 및 작업시 뿌리 부분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③ 이 병은 토양 pH가 높은 경우에 발생이 심하므로 발병이 확인된 토양에서는 석회 시용량을 줄이도록 한다.

④ 잘 부숙된 유기물질을 충분히 시용하여 수세를 튼튼히 한다.

2) 약제 방제

① 재식전에 묘목에 혹이 확인될 경우에는 소각 처분하는 것이 좋으나 부득이한 경우에는 혹을 완전히 제거한 후 스트렙토마이신제(1,000배) 등에 침지소독하면 약간의 효과가 있다.

② 발병이 극심한 토양은 토양소독제로 토양 소독을 실시해야 한다.

이 병은 주로 재배한지 10년 이상의 노목(老木)이나 오래된 과원에서 발생이 심하나 이 병이 심하게 발생하여 죽은 나무를 뽑아내고 새로운 유목으로 교체한 과원에서는 2∼3년생의 유목에서도 다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흰날개무늬병에 뿌리가 조금만 기생당한 감염 초기에는 지상부에 외부적인 쇠약증상이 뚜렷이 나타나지 않고 외관상 건전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지상부에 쇠약증상, 착화과다, 여름철의 위조, 잎의 황변 등의 이상증상이 확인될 즈음에는 이미 뿌리의 거의 모두가 침해되어 방제가 곤란해지므로 피해가 크게 나타난다. 한편 이 병원균은 토양내에서 오랜 기간을 살 수 있으며 기주범위도 특이하게 넓으므로 일단 이 병이 발병된 경우에는 막대한 방제노력과 비용이 투여되어야 하므로 경제적으로 손실이 아주 큰 병해중의 하나이다.

가.

병 징

 

지상부의 쇠약 증세는 뿌리의 상당 부분이 침해되어 병이 많이 진행된 후에 보여지게 된다. 다시 말하면 감염초기나 병의 진전이 경미한 경우에는 수년간 외관적으로 완전히 건전해 보인다. 그러나 병이 계속적으로 진전되면 잎색이 담황색으로 변하고, 신초의 생육이 불량하며, 조기에 낙엽된다. 가지의 선단부가 갑자기 고사되는 경우도 있으며 결국에는 나무 전체가 죽게 된다. 특히 병든 나무에서는 화아분화가 왕성해지므로 개화기가 빨라지고, 과실이 많이 착과되나 작아지고, 광택이 나쁘며 과피가 쭈글쭈글하고 수분이 적다. 심하게 피해를 받은 나무의 뿌리는 이 병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백색의 균사막으로 싸여 있으며 이 균사막은 시간이 경과하면 회색 내지 흑색으로 변한다. 굵은 뿌리의 표피를 제거하면 목질부에 백색 부채모양의 균사막을 확인할 수 있다.

나.

발생환경

 

흰날개무늬병은 재배한지 10년이 지난 노목이나 노후과원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이것은 자주날개무늬병이 10년 미만의 과수원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왜냐하면 자주날개무늬병균이 좋아하는 토양조건은 미숙전 토양으로, 이러한 장소에서는 토양산도가 낮으며 부식이 풍부하고 탄질율(炭窒率)이 높으며 건조하기 쉽다. 흰날개무늬병균은 이와는 정반대의 조건에서 생육이 좋다. 특히 화산회토나 토양입경이 큰 충적토에서 발병이 많다. 배수가 잘 이루어지나 항상 토양 수분이 충분한 토양에서 병원균의 생육이 양호하다. 이와 같은 토양에 잘게 부순 전정가지 같은 거친 유기물을 시용하면 이 유기물에서 병원균이 증식하여 더욱 심하게 발병된다.

다.

전염경로

 

라.

방 제

 

1) 재배적 방제

① 심하게 감염된 나무는 조기에 발견하여 완전히 굴취하여 소각한다.

② 수세에 영향을 미치는 강전정이나 과다결실을 피한다.

③ 병에 걸린 나무는 모든 과실을 적과하고 수세회복을 위한 조치를 취한다.

④ 배수가 잘되게 하고 조대 유기물의 시용을 피한다.

2) 약제 방제

① 나무를 심기 전에 지오판수화제(500배)나 베노밀수화제(1,000배)에 20∼30분 정도 묘목을 침지 소독한 후 재식한다.

② 발병된 나무의 치료는 뿌리를 굴취한 후 죽은 뿌리를 완전히 제거하고 지오판수화제(500배)나 베노밀수화제(1,000배)로 뿌리를 세척한 다음 복토할 흙에 약액을 잘 섞어서 복토한다. 그러나 발병정도가 심한 나무는 수년내에 재발병하므로 조기에 발견하여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하다.

③ 발병이 심한 과원에서는 토양소독제를 사용하여 토양소독을 실시한다. 토양소독제를 사용하기 전에 토양중에 있는 뿌리나 잔가지 등을 철저히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양소독은 20℃ 이하에서는 효과가 낮으므로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서 행하는 것이 좋으며, 소독제를 토양에 주입한후에는 비닐 등으로 토양표면을 피복하는 것이 좋다.

* 치료는 지오판, 베노밀 희석액을 수령×10ℓ 정도 관주하며, 인접된 나무도 동시에 관주한다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세력이 약한 나무, 수령이 많은 나무는 강전정을 할 경우 또는 병해충 및 바람, 추위에 의해 피해를 받아 나무세력이 약해진 경우에 발병이 심하다.

가.

기주식물 : 복숭아, 양앵두, 자두, 살구나무

나.

병 징

 

땅 표면 가까운 줄기부분 표피에 피해를 준다. 상처를 통해 침입하는 병균으로 처음에는 껍질이 약간 부풀어 오르나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마르게 되고 피해나무는 겨울을 난 후 심하면 말라죽는다. 늙은 나무에서는 피해부위에서 2차적으로 버섯 같은 것이 생기기도 한다. 병반은 봄과 가을에 확대되고 여름에는 일시 정지한다.

다.

병 원 균

 

이 병원균은 자낭균병 구과균(球果菌)에 의한 질병으로 상처를 통해 침입하여 피해부위 조직 속에서 겨울을 난 후 다음해에 발생을 계속한다. 발육온도는 5∼37℃이고 최적온도는 28∼32℃이며 포자의 발아적온은 18∼23℃이다. 균사의 발육에 필요한 pH는 5.6∼5.8이고 포자는 pH 4.2∼5.3이다.

라.

전염경로

 

마.

방 제 법

 

① 비배관리를 잘하여 나무수세를 튼튼하게 할 것이며 충분한 유기물을 시용한다(10a당 2000-3000).

② 강전정을 피하고 여름철 강한 직사광선이 줄기에 직접 닿으면 일소현상이 일어나므로 일소방제 대책을 세울것.

③ 추운 지방에서는 겨울철에 언피해를 받지 않도록 대책을 세우고 피해가지는 전정시 잘라 불태워 버린다.

④ 일단 병환부를 발견하면 깎아 내고 톱신페스트, 발코트도포제, 석회유황합제원액을 발라주어 재발을 방지한다.


증상

 

과실에 주로 발생하나 꽃, 잎, 가지에도 발생한다. 처음에는 과실의 표면에 갈색 반점이 생기고, 점차 확대되어 대형의 원형병반을 형성한다. 오래된 병반상에는 회백색의 포자덩어리가 무수히 형성되고, 더욱 진전되면 과일전체가 부패하고 심한 악취를 발산한다. 가지에는 주로 과일이 달린 부분에서 발생하여 진전되며, 심하면 가지가 고사한다.

병원균 : Monilinia fructicola

 

진균계의 자낭균문에 속하며, 자낭포자와 분생포자를 형성한다. 균사가 뭉쳐 경화된 균핵에서 깔대기 모양의 자낭반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자낭이 형성된다. 분생포자는 병반상에 연쇄상으로 무수히 형성되며, 균사의 최적 발육온도는 25℃내외이고, 습도가 높을수록 발아율이 높다.

발병조건 및 전염경로

 

균사 또는 포자의 형태로 병든 부위에서월동하여 다음해 1차 전염원이 된다. 분생포자는 자낭포자와 함께 비바람 또는 곤충에 의해서 전파되며, 열매의 과점이나 잎의 상처, 기공을 통해 침입하며, 특히 성과기에 피해가 크다. 잠복되어 있는 병원균은 수송중이나 저장중에 발생하여 큰 피해를준다.

방제

 

병든 과실이나 가지는 일찍 제거, 소각한다.
봉지 씌우기를 하면 병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밀식을 피하고 통풍이 잘 되도록 한다.
꽃피기 직전에 약제방제를 하여 과일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5월 이후 방제약제를 살포한다.

월동직후 석회유황합제 5도액을 살포하고 5월부터 7월까지 다코닐 600배, 안트라콜 600배 등을 교호로 살포한다(방제약제 참조).

 병균이 과실에 침입하면 1∼2일후에 발병하므로 수확 20일전에 적용약제를 살포할 한다.

'과일나무재배 > 복숭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숭아 병해-흰날개무늬병  (0) 2007.12.24
복숭아 병해- 줄기마름병  (0) 2007.12.24
복숭아 병해- 오갈병  (0) 2007.12.24
복숭아 병해 -탄저병.  (0) 2007.12.24
복숭아 병해 -역병  (0) 2007.12.24
증상

 

잎, 꽃, 신소, 유과에 발생하나 주로 잎에 많이 발생한다. 처음에는 잎표면에 적색 내지 황색의 융기현상이 나타나고, 점차 비후해져 잎은 주름살이 생기고 오그라든다. 병든잎의 표면과 뒷면에는 백색분말(자낭)이 생기고, 오래되면 갈색에서 흑색으로 변하여 낙엽된다. 병원균은 세포내에 증식하면서 효소를 분비하여 세표의 이상비대 증상을 나타낸다.

 

병원균 : Taphrina deformans

 

 

진균계의 자낭균문에 속하며, 자낭포자와 분생포자를 형성한다. 자낭은 자낭각 없이 병반상에 나출되어 있으며, 자낭포자는 무색, 구형 또는 난형이다. 자낭포자가 분아해서 구형의 분생포자를 형성한다. 병원균의 발육 최적온도는 20℃전후이고, 12~21℃에서 기주체의 침입이 쉽게 이루어진다.

 

발병조건 및 전염경로

 

 

병원균은 분생포자의 형태로 줄기 표면이나 눈에서 월동하여 다음해 1차 전염원이 된다. 이른 봄 전엽기에 주로 발생하고, 특히 한냉하고 봄비가 자주오는 지방에서 많이 발생한다. 24℃이상의 온도하에서는 발병되기 어렵다. 따라서 해에 따라 병 발생의 차이가 매우 심하다.

 

방제

 

 

이병엽을 신속히 제거, 소각한다.
과습하지 않게 관리하고, 동해를 받지 않도록 한다.
개화직전 방제약제를 살포한다.

'과일나무재배 > 복숭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숭아 병해- 줄기마름병  (0) 2007.12.24
복숭아 병해-잿빛무늬병  (0) 2007.12.24
복숭아 병해 -탄저병.  (0) 2007.12.24
복숭아 병해 -역병  (0) 2007.12.24
복숭아 병해 -세균성 구멍병  (0) 2007.12.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