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깜부기병
 

1. 병징

이삭, 잎, 줄기에 발생하며, 뿌리에도 드물게 발생한다. 감염부위는 이상비대로 인해 큰 혹으로 변한다. 이 혹은 처음에 광택이 있는 백색막에 싸여 있으나 나중에는 이 막이 터지고, 그 속에서 흑색, 가루모양의 후막포자가 나온다. 병든 이삭은 전혀 수확을 할 수 없는 상태로 변한다.

병징


2. 병원균 : Ustilago zeae (Beckm.) Unger

진균의 일종으로 담자균에 속하며, 후막포자를 형성한다. 후막포자는 황갈색 내지 흑색으로 구형 또는 타원형이며, 표면에 짧은 돌기가 있고, 그 크기는 8∼13×8∼11㎛이다. 후막포자는 발아하여 전균사와 소생자를 형성한다. 소생자는 분아에 의해 증식하며, +성의 소생자와 -성의 소생자는 접합한다. 이 균의 발아온도는 최저 8℃, 최적 26∼34℃, 최고 36∼38℃이다.

후막포자


3. 발병

토양 또는 식물체의 병든 부위에서 후막포자의 형태로 월동하고, 발아하여 소생자를 형성한다. 소생자는 바람에 의해 비산하여, 식물체에 붙게 되면 발아하여 병을 일으킨다. 소생자는 단성인 경우 식물체에 침입하여 병반을 형성할 수는 있으나, 혹은 형성하지 못하고, 이성간의 접합에 의해 생긴 균사만이 식물체에 침입후 혹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병의 잠복기간은 7∼21일이다.


4. 방제

저항성으로 알려진 품종을 재배하며, 병발생이 심한 포장은 적어도 3년 이상 다른 작물과 돌려짓기(윤작)를 한다. 발병된 식물체는 조기에 제거하여 태워버리고, 병든 식물체가 들어 있는 퇴비는 포장에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종자는 파종전에 베노람수화제(벤레이트티, 큰나락)로 소독하고, 재배중에는 질소비료를 과다하게 시용하지 않도록 한다.

[참고문헌]

  1. Farr, D. F., Bills, G. F., Chamuris, G. P. and Rossman, A. Y. 1989. Fungi on Plants and Plant Products in the United States. APS Press. The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St. Paul, Minnesota, USA. p.430.
  2. Shurtleff, M. C. 1984. Compendium of Corn Diseases. The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St. Paul, Minnesota, USA. p.15∼16.
  3. 농약공업협회. 1995. '95농약사용지침서. p.38
  4. 박종성. 1976. 新稿 植物病理學. 鄕文社. 서울. p.365-366.

 

'밭작물재배 > 옥수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형별 재배요령-의령  (0) 2007.05.01
[스크랩] 옥수수 수염  (0) 2007.04.18
옥수수의 충해-흰줄오갈병  (0) 2007.04.15
옥수수들깨이어짓기  (0) 2007.04.09
대학 찰 옥수수 포트 파종  (0) 2007.04.08
ㅇ  흰줄오갈병

1. 병징

식물체 전체가 위축되고, 생장이 매우 부진하다. 잎 표면과 잎집은 엽맥을 따라서 돌출되고, 흰색 내지 담갈색의 불규칙한 줄무늬가 생긴다. 감염된 식물체의 잎은 색깔이 짙고, 위쪽 잎의 가장자리가 찢어지거나 주름이 생기기도 한다. 병든 식물에서는 이삭이 생기지 않거나 생기더라도 매우 작으며, 변형된 형태로 보인다.

병징


2. 병원 : Rice black-streaked dwarf virus (RBSDV)

바이러스의 일종으로 식물 Reovirus그룹의 Fijivirus에 속한다. 벼흑조위축바이러스로서 입자는 구형이고, 그 직경은 75∼80㎚이다. 불활성 온도는 50∼60℃이고, 보존한도는 잎즙액에서 5∼6일, 충체내에서 6일 이상이다.


3. 발병

이 바이러스병은 애멸구에 의해서 영속적으로 전반된다. 애멸구는 전년도의 검은줄오갈병(흑조위축병)에 걸린 벼에서 월동한 세대의 성충이나 봄에 보리 혹은 밀의 감염주에서 나온 제 1세대 성충으로서, 옥수수에 비래하여 감염을 일으킨다. 애멸구는 옥수수에서는 번식하지 않고, 감염된 옥수수도 전염원이 되지는 않는다.


4. 방제

저항성으로 알려진 품종을 재배하고, 옥수수의 생육초기에 애멸구를 방제한다.

[참고문헌〕

  1. 岸國平. 1988. 作物病害事典. 全國農村敎育協會. 東京, 日本. p.81.

 

'밭작물재배 > 옥수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옥수수 수염  (0) 2007.04.18
옥수수의 병해-깜부기병  (0) 2007.04.15
옥수수들깨이어짓기  (0) 2007.04.09
대학 찰 옥수수 포트 파종  (0) 2007.04.08
옥수수다수확재배  (0) 2007.03.29
 옥수수 - 들깨 이어짓기

옥수수는 밑거름 왕창 때려 넣고, 풀만 잡으면 먹는다.
개꼬리(수술) 나올 때 웃거름 한 번 더 주면 좋다.

따는 게 고역이긴 하다.
낭창낭창한 회초리 하나 들고, 칼날 같은 이파리를 죄 때려서 떨궈놓고 들어가면 조금 낫다.

이파리를 다 따내는 건 아니고,
사람 들어가서 옥수수 딸 수 있게, 한 줄 건너, 한 줄씩 잡으면 된다.

풀 매는 게 고역이라, 비닐 멀칭을 하기도 하는데,
이래 놓으면, 옥수수 밑둥에서 내려와 땅에 꽂히는 뿌리가 문제다.
이 뿌리가 비닐을 잡기 때문이다.

 옥수수 - 들깨 이어짓기를 한다.

옥수수 후작으로 들깨를 심는 것이다.
옥수수 대를 베어서 헛골에 깔고,
옥수수 뿌리 사이사이에 들깨 모를 심는다.

그러면 들깨가 그늘을 만들어서, 남아있던 옥수수 뿌리가 삭아버리기 때문에 비닐 걷기가 편하다. 천평, 이천평 단위로 넓은 밭에 옥수수를 심는 경우에는 비닐을 안 쓸 수가 없으니, 이렇게 하면 좋겠다 싶다.

 

'밭작물재배 > 옥수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수수의 병해-깜부기병  (0) 2007.04.15
옥수수의 충해-흰줄오갈병  (0) 2007.04.15
대학 찰 옥수수 포트 파종  (0) 2007.04.08
옥수수다수확재배  (0) 2007.03.29
옥수수의 병해-깨씨무늬병  (0) 2007.03.28

다락골에 이식 할 대학 찰 옥수수 씨앗 포트파종.

 

준비물.

  대학찰옥수수씨앗.

  플러그25구6판.

  상토1포대.

 

파종일시:4월8일.

 

파종방법.

 

 1.대학찰옥수수씨앗을 24시간 물에 침종한다.

 

    침종전의모습.

 

 

 

 

  24시간 침종후 모습.

 

 

 

 

 2.준비한 플러그에 상토를 체워 넣고 충분히 물을 준다.

 

 

 

 

 3.침종한 씨앗을 상토 위에 눌러 파종한다.

 

 

 

 

 4.그 위에 상토를 덮고 충분히 물을 준다.

 

 

 

'밭작물재배 > 옥수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수수의 충해-흰줄오갈병  (0) 2007.04.15
옥수수들깨이어짓기  (0) 2007.04.09
옥수수다수확재배  (0) 2007.03.29
옥수수의 병해-깨씨무늬병  (0) 2007.03.28
옥수수의 병해-붉은곰팡이병  (0) 2007.03.28

 가. 작부체계

 알곡을 목적으로 하는 옥수수재배는 강원도를 중심으로 경기, 충북 및 경북의 산간지에서 단작(單作)으로 하는 것이 일반화되었고, 감자나 콩과 섞어심기하는 경우도 있지만 점차 적어지는 경향이다.
 섞어짓기를 하게 되면 콩의 경우 옥수수의 그늘로 인하여 차지한 면적만큼의 수량을 낼 수 없지만 키가 큰 옥수수에는 유리한 결과를 가져와 섞어짓기의 효과가 인정된다.  감자와 섞어짓기하였을 경우에는 키가 큰 옥수수가 햇볕을 가리기는 하지만 감자에 서늘한 온도를 만들어 주는 이점이 있어 두 작물의 수량이 함께 많아진다.  그러나 섞어짓기는 거름주기, 김매기 및 수확 등의 작업이 불편하고 품이 많이 들기 때문에 재배면적이 적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단옥수수의 이용이 많아지면서 평야지의 채소밭위주나 주택 가까이에 조금씩 심어 간식용으로 재배되던 옥수수도 점차 적어지고 있는 경향이다.  옥수수는 이어짓기를 해도 땅가림현상이 적은 편이지만 퇴비와 같은 유기물을 충분히 주거나 콩과작물과 돌려짓기를 하는 것이 좋다. 

 

 나. 씨앗준비

 옥수수씨앗은 교잡종과 기타품종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교잡종 씨앗은 종자검사기관의 검사를 거쳐 보증된 종자로서 소독하여 포장한 것이므로 묵은 종자가 아닌 이상 안심하고 쓸 수 있다.  그밖의 방임수분품종이나 합성품종 등은 농가에서 씨를받아 이용할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벤레이트티나 오소사이드와 같은 종자소독약을 처리해서 쓴다.
 한편 교잡종옥수수는 보는바와 같이 첫해(F₁)에는 수량이 높지만 여기에서 종자를 받아 심은 제2대(F₂)의 수량은 합성품종보다도 떨어지므로 반드시 새로운 교잡종자를 심도록 해야 한다.

 

 다. 밭만들기
 

 옥수수는 거칠게 경작해도 잘 적응하는 작물로 생각되어 왔으나 깊게 갈고 흙을 곱게 깨뜨려야 뿌리가 잘 발달하고, 흙의 통기도 잘되어 생육이 좋아진다.  가을에서 깊게 갈고 봄에는 얕게 가는 것이 생육을 잘되게 할 뿐더러 잡초와 병충해를 적게하는데 효과가 있다.  깊게 갈 때의 증수효과는 2년까지는 별로 볼 수 없으나 3년차부터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다.

 

 라. 씨앗심기

 (1) 심는시기

 싹튼 바로 뒤의 어린옥수수는 생장점(生長點)이 흙속에 있으므로 늦서리의 피해를 입더라도 생육에 별 영향이 없으므로 밭조건이 좋으면 되도록 일찍 심는 것이 좋다.
 평야지에서는 4월상순 부터, 산간지에서는 5월하순 이후에 파종하면 수량이 크게 떨어진다.

 

 (2) 심는간격

 이랑나비와 포기사이에 의해 심는 본수가 결정되는데 이랑나비는 관리작업에 지장이 없는 한 좁게 하는 것이 수량이 많으며, 60㎝정도로 하는 것이 알맞다.  교잡종옥수수의 경우 알곡수량은 10a당 4,000~5,500본에서 가장 많으며, 심는 씨앗의 수는 포장발아율(圃場 芽率 : 80%)을 감안하여 6,000~6,500알을 심는 것이 알맞다.
 알맞는 심는 간격은 품종에 따라 다르다.  재래종은 10a당 3,300본, 합성품종은 4,400본이 가장 알맞으며, 그 이상 배게 심으면 줄기가 약해져서 쓰러지게 되어 오히려 수량이 감소된다.  그러나 수원19호 등 교잡종옥수수는 키가 비교적 작고 쓰러짐에 강하여 배게 심어도 쉽게 쓰러지지 않지만 배게 심을수록 이삭이 달리지 않는 포기가 증가하고, 한이삭에 달리는 알맹이수가 적어지며, 태풍이나 비를 동반한 바람이 불면 쓰러지기 쉬우므로 심는 간격은 10a당 5,500본이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안전하다.

 

 (3) 심는 양과 방법
 

 씨앗의 양은 심는 방법이나 심는 밀도, 씨앗의 발아능력에 따라 결정된다.  넓은 면적에 기계로 심을 때에는 솎기를 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고 밭에서 싹트는 비율을 약 80~85%로 감안해서 심게 되는데 심는 밀도를 10a당 5,500본으로 하면 씨앗의 낱알수는 6,470~6,880개가 소요된다.  100알무게가 30~34g이라면 약 1.9~2.3㎏의 종자가 소요된다.  심는 방법은 미국과 같이 넓은 면적에 트랙터로 6~12줄을 한꺼번에 심는 방법이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는 손으로 심는 것이 보통이다.  손으로 심는 것보다 2배의 능률을 올릴수 있는 기구(콘자바)가 있으나 아직 보급되지 못하고 있다.

 

 마. 거름주기

 옥수수는 식물체가 크고, 햇빛을 이용한 탄소동화능력이 월등한 작물로서 거름을 빨아들이는 힘이 강하고 거름에 대한 효과도 크기 때문에 척박한 땅에서도 거름주기에 따라 많은 수량을 올릴 수 있다.
 옥수수가 자라면서 빨아들이는 거름의 성분별(成分別) 흡수량(吸收量)과 옥수수식물체중에서 차지하는 각 성분의 비율은 일본의 경우 10a당 3요소의 흡수량은 질소 12.6㎏, 인산 5.7㎏, 칼리가 8.3㎏으로 질소의 흡수량이 가장 많았고, 미국 오하이오주에서 조사한 것을 보면 질소가 16.8㎏, 인산이 2.8㎏ 그리고 칼리가 8.4㎏으로서 토양조건과 수량수준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었지만 역시 질소거름의 흡수량이 가장 많고 다음이 칼리질이며, 인산질거름이 제일 적었다.
 생육시기별로 보면 칼리질비료는 생육초기에서 출수개화기까지 대부분이 흡수되며, 질소와 인산은 성숙기까지 흡수가 계속된다.  식물체의 부위별, 3요소성분별 분포를 보면 출수개화 직후까지는 줄기와 잎 등의 영양생장부분에 대부분 분포하던 것이 옥수수알이 커가면서 알곡으로 이동되어 줄기와 잎 등에는 그 비율이 낮아지고 알곡으로 대부분 모이게 되는데 특히 질소와 인산질거름이 더 뚜렷하다.  옥수수는 3요소거름 이외에도 석회나 마그네슘의 흡수량도 적지 않다.
 거름주는 양은 땅의 거름기나 생육기간, 품종별로 달라지는 비료의 흡수량에 따라서 결정하여야 하지만 땅을 걸차게 하고 수분이나 영양분을 잘 간직하게 하려면 화학비료는 물론 퇴비와 같은 유기질거름을 되도록 많이 주어야 한다.
 한편 옥수수는 품종에 따라 거름에 대한 효과가 크게 다르다.
시험성적을 보면 합성품종인 황옥 3호는 질소를 10a당 13㎏이상 주면 쓰러져 오히려 수량이 감소하지만 수원19호는 질소 시비량이 많을수록 수량이 증가하였다. 질소의 효과는 토양과 기후에 따라서도 다르므로 흡수량을 감안하여 아래표와 같이 표준시비량을 결정하여 추천하고 있다.

 

 ○ 옥수수 10a당 표준 시비량

 

비료성분별\품 종 별

합성품종(황옥 2호)

교   잡   종

질                소
인                산
칼       리      질

13
10
10

18
15
15


 

 개간지의 땅은 특히 유기물질과 인산질함량이 낮기 때문에 퇴비와 인산질거름의 효과가 뚜렷하였으며, 석회질 성분도 포함되어 있고, 또 비효가 높은 구용성인산이 포함되어 있는 용과린이나 용성인비는 중과석과 같은 인산질비료 보다 효과가 크다.
 질소질거름은 전량을 밑거름으로 주는 것 보다는 반량정도를 웃거름으로 주는 것이 좋다.  웃거름 주는 때는 옥수수잎이 7~8매 즉 옥수수키가 무릎높이 정도로 자랐을 때가 가장 효과적이며, 더 늦어질 수록 효과는 떨어진다.  모래땅에서는 질소의 유실이 심하므로 웃거름을 2번 주면 더욱 효과적이다.
 인산과 칼리질거름은 밑거름으로 하고, 산성토양에서는 PH가 6.5정도가 되도록 석회를 시용하여야 한다.

 

 바. 관    리
 

 옥수수밭의 관리작업으로서는 솎기, 김매기, 물대주기, 물빼기 등을 들 수 있겠지만 특별히 베게심은 경우외에는 솎아줄 필요가 없다.  물대주기는 특히 가뭄이 심한 때 외에는 우리나라의 기상여건으로서 큰 효과가 없으며, 경사지에 흔히 심는 옥수수밭에 물대주는 시설을 한다는 것은 타산이 맞지도 않는다.  옥수수는 습해에 약하므로 장마철의 물빼기 관리에 힘써야 한다.
 기음약을 사용할 때에는 북주기를 하여 지표면의 약층(藥層)을 깨뜨리지 않도록 하고, 남은 잡초는 손으로 뽑아주는 것이 보통이다.  옥수수에 알맞는 기음약으로는 씨마진(씨마네)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씨마진은 잎이 넓은 광엽잡초에 효과가 크고, 화본과잡초(禾本科雜草)에는 효과가 적으므로 알라(라쏘)와 같이 화본과잡초에 효과가 큰 제초제와 섞어쓰는 것이 살초효과가 크다.  씨마진은 약해가 없고, 표준량의 2배인 10a당 200g까지 뿌리면 제초효과가 좋다.

 

 

* 출처 : 농진청 표준영농교본 - 67

'밭작물재배 > 옥수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수수들깨이어짓기  (0) 2007.04.09
대학 찰 옥수수 포트 파종  (0) 2007.04.08
옥수수의 병해-깨씨무늬병  (0) 2007.03.28
옥수수의 병해-붉은곰팡이병  (0) 2007.03.28
옥수수의 병해  (0) 2007.03.28
         
  깨씨무늬병
 
기관 : 농업과학기술원
 
성명 : 김완규
 

전화 : 031-290-0439

           
  1. 병증상
    잎, 잎집, 포엽 등에 발생한다. 잎에서는 처음에 갈색을 띈 작은 반점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1㎝ 정도 크기의 방추형 혹은 타원형 병반으로 확대된다. 병반의 가장자리는 보통 자색 내지 적색을 띄게 된다. 병반은 후에 그 내부가 퇴색되고, 암갈색으로 변하며, 분생포자가 많이 형성되어 우산모양으로 보인다. 병반의 주위에는 흔히 몇 개의 겹무늬가 나타나기도 한다. 잎집과 포엽 등에서도 잎에서와 같은 병반이 흔히 형성된다.
   
 
 
그림 1. 옥수수 깨씨무늬병의 병징
   
  2. 병원체
    Cochliobolus heterostrophus (Drechs.) Drechs. (무성세대: Bipolaris maydis (Nisikado & Miyake) Shoemaker 진균계의 자낭균문에 속하며, 자낭포자와 분생포자를 형성한다. 자낭세대는 자연상태에서 드물게 형성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발견된 적이 없다. 분생포자는 긴 방추형으로 약간 굽은 모양이고, 담갈색 내지 황갈색을 띠며, 3~13개의 격막을 가지고 있다. 분생포자는 꼭지부위(hilum)가 돌출되어 있지 않고, 발아시 양쪽 끝에서 발아관이 나온다. 이 균의 생육 온도범위는 10~35℃이고, 생육 최적온도는 28~30℃이다.
   
  3. 발병
    병원균은 병든 부위에서 분생포자와 균사의 형태로 월동후, 분생포자에 의해 1차 전염을 하며, 병반에서 다시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2차전염을 한다. 이 병은 옥수수의 전 생육기에 걸쳐 발생하며, 병원균은 종자전염에 의해 전반되기도 한다. 옥수수의 생육 후기에 온도가 높고, 비가 많이 오게 되면 병 발생이 매우 심하게 된다.
   
  4. 방제
  ○ 이 병에 잘 걸리지 않는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한다.
○ 종자를 소독하여 파종한다.
○ 병든 식물체는 옥수수 수확 후 제거하여 태워버린다.
   
  표 1. 깨씨무늬병 종자소독 약제
 
적용약제 사용적기 물20ℓ당
사용약량
씨앗 20ℓ당
사용약량
안전사용기준
시기 횟수
베노람수화제
파종전(침지) 100g
20ℓ
- -
   
  참 고 문 헌
   
  박종성. 1976. 신고 식물병리학. 향문사.
Shurtleff, M. C. 1984. Compendium of corn diseases. The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St. Paul, Minnesota, USA

'밭작물재배 > 옥수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 찰 옥수수 포트 파종  (0) 2007.04.08
옥수수다수확재배  (0) 2007.03.29
옥수수의 병해-붉은곰팡이병  (0) 2007.03.28
옥수수의 병해  (0) 2007.03.28
옥수수의 병해  (0) 2007.03.28
 
           
  붉은곰팡이병
 
기관 : 농업과학기술원
 
성명 : 김완규
 

전화 : 031-290-0439

           
  1. 병증상
    옥수수의 수확기 및 저장 중 이삭에 발생한다. 수확기에는 주로 이삭의 끝부분에서부터 감염이 시작되어 안쪽으로 변색되어 썩어 들어가는 증상으로 나타나며, 저장중에는 이삭의 어느 부위에서나 낟알이 변색되어 썩는 증상으로 나타난다. 심하게 병든 이삭은 포엽과 함께 전체적으로 썩으며, 포엽과 이삭 사이에는 분홍색 내지 적색을 띤 곰팡이 균사와 포자덩어리가 많이 형성된다. 저장중에는 병든 이삭의 종자가 변색되어 썩으며, 종자에는 병원균의 흰 균사가 자라 뒤덮고, 후에 종자에는 분홍색 내지 적색의 분생포자 덩어리가 형성된다. 심하게 병든 이삭은 전체적으로 붉은 색을 띠며 썩는다. 이 병에 걸린 옥수수 이삭을 돼지 등 가축의 사료로 쓰게 되면 중독을 일으킨다.
   
 
 
그림 1. 옥수수 붉은곰팡이병에 이병된 이삭
   
  2. 병원체
    Gibberella zeae (Schw.) Petch(무성세대: Fusarium graminearum Schwabe) 진균계의 자낭균문에 속하며,
자낭포자와 분생포자 및 후막포자를 형성한다. 자연상태에서는 자낭세대가 드물게 형성되며, 주로 무성세대인 분생포자가 형성된다. 이 균은 소형분생포자는 형성하지 않고, 대형분생포자만을 형성하는데, 대형분생포자는 초생달모양으로 3~7개의 격막을 가지고 있으며, 그 크기는 25~62 × 2.5~5.0㎛이다. 후막포자는 무색 내지 담갈색이고, 구형이며, 그 직경은 10~12㎛이다. 이 균의 생육적온은 24~26℃이다.
   
  3. 발병
    병원균은 병든 이삭과 포엽 등에서 자낭, 및 분생포자와 균사의 형태로 월동후, 1차전염을 하며, 병반에서 다시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2차전염을 한다. 이 병은 옥수수의 암술 형성기에 발생이 시작되며, 수확기를 거쳐 이삭의 저장중에도 계속 발생한다. 암술형성기에 비가 자주 오면 병원균의 감염이 잘 일어나 병 발생이 심하게 된다.
   
  4. 방제
  ○ 이 병에 잘 걸리지 않는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한다.
○ 종자를 소독하여 파종한다.
○ 수확기를 늦추지 않도록 한다.
○ 수확시 이삭이 비에 맞지 않도록 주의한다.
○ 병든 식물체는 옥수수 수확 후 제거하여 태워버린다.
○ 저장중 저장고의 습도를 저장 이삭에 대해서는 18% 이하로, 종자에 대해 서는 15% 이하로 낮게 유지한다.
   
  표 1. 붉은곰팡이병 종자소독 약제
 
적용약제 사용적기 물20ℓ당
사용약량
씨앗 201당
사용약량
안전사용기준
시기 횟수
베노람수화제
파종전(침지) 100g
201
- -
   
  참 고 문 헌
   
  박종성. 1976. 신고 식물병리학. 향문사.
Shurtleff, M. C. 1984. Compendium of Corn Diseases. The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St. Paul, Minnesota, USA.
   

'밭작물재배 > 옥수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수수다수확재배  (0) 2007.03.29
옥수수의 병해-깨씨무늬병  (0) 2007.03.28
옥수수의 병해  (0) 2007.03.28
옥수수의 병해  (0) 2007.03.28
옥수수의 충해-조명나방  (0) 2007.03.28
         
  흰줄오갈병
 
기관 : 농업과학기술원
 
성명 : 김완규
 

전화 : 031-290-0439

           
  1. 병징
    식물체 전체가 위축되고, 생장이 매우 부진하다. 잎 표면과 잎집은 엽맥을 따라서 돌출되고, 흰색 내지 담갈색의 불규칙한 줄무늬가 생긴다. 감염된 식물체의 잎은 색깔이 짙고, 위쪽 잎의 가장자리가 찢어지거나 주름이 생기기도 한다. 병든 식물에서는 이삭이 생기지 않거나 생기더라도 매우 작으며, 변형된 형태로 보인다.
   
 

그림 1. 옥수수 흰줄오갈병의 병징


  2. 병원체(Rice black-streaked dwarf virus : RBSDV)
    바이러스의 일종으로 식물 Reovirus그룹의 Fijivirus에 속한다. 벼 흑조위축바이러스로서 입자는 구형이고, 그 직경은 75~80㎚이다. 불활성 온도는 50~60℃이고, 보존한도는 잎즙액에서 5~6일, 충체내에서 6일 이상이다.
   
  3. 발병
 
 이 바이러스병은 애멸구에 의해서 영속적으로 전반된다. 애멸구는 전년도의 검은줄오갈병(흑조위축병)에 걸린 벼에서 월동한 세대의 성충이나 봄에 보리 혹은 밀의 감염주에서 나온 제 1세대 성충으로서, 옥수수에 날아가서 감염을 일으킨다. 애멸구는 옥수수에서는 번식하지 않고, 감염된 옥수수도 전염원이 되지는 않는다.
   
  4. 방제
    저항성으로 알려진 품종을 재배하고, 옥수수의 생육초기에 애멸구를 방제한다.
   
  참 고 문 헌
   
  岸國平. 1988. 作物病害事典. 全國農村敎育協會. 東京, 日本. 81.
   

'밭작물재배 > 옥수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수수의 병해-깨씨무늬병  (0) 2007.03.28
옥수수의 병해-붉은곰팡이병  (0) 2007.03.28
옥수수의 병해  (0) 2007.03.28
옥수수의 충해-조명나방  (0) 2007.03.28
옥수수의 특성  (0) 2007.03.28
           
  깜부기병
 
기관 : 농업과학기술원
 
성명 : 김완규
 

전화 : 031-290-0439

           
  1. 병증상
    암수의 이삭, 줄기, 잎, 그리고 드물게 뿌리에 발생한다. 병든 부위는 이상비대(異常肥大)로 말미암아 혹으로 변하며, 큰 혹의 직경은 10㎝ 이상에 달한다. 혹은 초기에 광택이 있는 하얀 막에 싸여 있으나 후에 이 막이 터지고 속에서 검은 가루모양의 후막포자가 나온다.
   
 
 
그림 1. 옥수수 깜부기병의 병징
   
  2. 병원체
    Ustilago zeae (Beckm.) Unger 진균계의 담자균문에 속하며, 후막포자를 형성한다. 후막포자는 구형 내지 장타원형으로 황갈색을 띠고, 표면에 짧은 돌기가 있으며, 그 직경은 8~13㎛이다. 후막포자는 발아하여 전균사(前菌絲)와 소생자(小生子)를 형성한다. 소생자는 분아(分芽)에 의해 증식하며, +성과 -성이 있어 접합을 하기도 한다. 후막포자는 일정한 휴면기간 없이 발아할 수 있으며, 생존기간은 5~7년이다. 후막포자의 발아 최저온도는 8℃, 최적온도는 26~34℃, 최고온도는 36~38℃이다. 이 병원균에는 다수의 생태형이 존재한다.
   
  3. 발병
    병원균은 병든 부위 혹은 토양내에서 후막포자의 형태로 월동후, 발아하여 소생자를 형성한다. 이 소생자는 바람에 의해 비산(飛散)되어 옥수수식물체에 부착하게 되면 균사를 내어 연약한 조직을 뚫고 식물체내에 침입한다. +성 또는 -성의 단성(單性)소생자에서 생긴 균사도 옥수수식물체에 침입하여 병반을 형성할 수는 있으나 혹을 형성할 수는 없다. 즉 소생자의 이성간 접합에 의해 생긴 균사만이 혹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병의 잠복기간은 7~21일간이다.
   
  4. 방제
  ○ 이 병에 잘 걸리지 않는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한다.
○ 종자를 소독하여 파종한다.
○ 재배시 식물체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주의한다.
○ 질소질비료의 과용을 삼가하고, 균형시비(均衡施肥)를 한다.
○ 병든 식물체는 일찍 제거하여 태워버린다.
○ 병든 식물체는 퇴비로 쓰지 말아야 하며, 병든 식물체가 들어 있는 퇴비는 포장에 시용하지 않도록 한다.
   
  표 1. 깜부기병 종자소독 약제
 
적용약제 사용적기 물20ℓ당
사용약량
씨앗 20ℓ당
사용약량
안전사용기준
시기 횟수
베노람수화제
파종전(침지) 100g
20ℓ
- -
   
  참 고 문 헌
   
  박종성. 1976. 신고 식물병리학. 향문사.
Shurtleff, M. C. 1984. Compendium of corn diseases. The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St. Paul, Minnesota, USA.

'밭작물재배 > 옥수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수수의 병해-붉은곰팡이병  (0) 2007.03.28
옥수수의 병해  (0) 2007.03.28
옥수수의 충해-조명나방  (0) 2007.03.28
옥수수의 특성  (0) 2007.03.28
옥수수의 적정시비량과 시비방법  (0) 2007.03.24
  조명나방
 
기관 : 작물과학원
 
성명 : 임대준
 

전화 : 031-290-6763

           
    학명은 Ostrinia furnacalis(Guen’e)로 명나방과에 속하며 유럽에 분포되고 있는 O.nubilaris와는 다른 종이다.
   
  1. 숙주 및 분포
    숙주는 옥수수를 비롯한 조, 피, 율무, 수수, 기장 등 화본과를 가해하며 한국, 일본, 중국, 인도, 필리핀, 호주 등에 분포한다.
   
  2. 형 태
    가. 성 충
      몸 길이는 13~15㎜이고 날개를 편 길이는 25~35㎜으로 앞날개에는 물결무늬가 있고 뒷날개에는 한줄의 황색띠가 있으며 암컷은 담황색내지 적갈색이고 수컷은 암황갈색내지 암적갈색이다.
           
    나. 알
      긴 지름이 0.8㎜의 납작한 타원형이며 산란초기에는 담황색이나 부화시기에는 회흑색으로 변한다.
           
    다. 유 충
      몸길이 20~25㎜내외로 전체가 거의 담황색내지 암갈색으로 머리와 앞가슴 피부판은 흑갈색이며 각 마디에 담갈색의 육질돌기가 많이 나 있다.
           
    라. 번데기
      길이 12~16㎜내외로 갈색내지 암갈색으로 얇은 고치속에 들어 있다.
           
   
   
그림 1. 옥수수 조명나방의 생육시기별 형태, 피해 양상
           
    1. 조명나방성충 2. 알덩어리 3. 유충의 가해 3₁: 수꽃(어린유충) 3₂ : 줄기(다자란유충) 3₃ : 수꽃대 피해
4. 번데기 5. 알좀벌 5₁ : 성충 5₂ : 기생알덩어리(화살표)
           
  3. 생활사
    1년에 2~3회 발생하며 추운 북부지방에서는 2회 발생하고 노숙유충으로 월동하여 이듬해 봄에 번데기가 된다. 제 1회 성충은 5월 하순~6월 중순에 걸쳐 우화하고 주로 벼과 식물에 알을 낳으며, 제 2회 성충은 7월 중순~8월 초순에 우화하여 옥수수, 율무, 조 등의 잎 뒷면에 알을 낳는다. 제 3회 성충은 8월 중순~9월 초순에 우화하여 추운 지역은 이보다 10일 정도 늦게 발생한다.
  성충은 야간등화에 유인되며 수명은 약 2주간으로 산란전 기간은 3~4일이고 산란기간 약 1주일동안 10여 개의 알덩어리로 300~1000개의 알을 잎 뒷면에 2~4열의 고기비늘모양으로 중첩하여 산란한다. 알기간은 4~6일, 유충기간은 25~30일(월동유충은 300일정도), 번데기 기간은 월동하지 않은 세대에서는 3~15일, 월동세대는 2~24 주로 옥수수 줄기, 옥수수이삭의 속대, 낙엽속 등에서 월동한다.
           
  4. 가 해
    매우 잡식성 해충으로 제 1화기 어린유충은 무더기로 살며 초기에 상부 또는 중부의 잎 뒷면 엽육을 식해하며 2~3령 이후에는 엽초 또는 줄기속으로 파고 들어가 속을 가해한다. 피해가 심하면 바람에 줄기가 부러지거나 먹어 들어간 부분의 위쪽이 말라죽게 되어 기계작업이 어려워지며 종실에 피해를 받으면 품질과 수량이 떨어진다. 특히 당 함유량이 많은 품종일수록 피해가 커 상품가치를 떨어뜨리므로 경제적 손실이 크다. 내부로 먹어 들어간 곳에서 담갈색의 똥을 밖으로 배출하므로 다른 벌레와 구별하기 쉽다.
           
  5. 방제법
    가. 화학적 방제법
      6~7월경 제2화기 성충발생이 시작되면 후라단 입제나 침투성 살충제를 1주 간격으로 2~3회 뿌린다. 주의할 것은 단옥수수 이삭을 수확하기 20일 전에는 살충제를 뿌려서는 안된다.
           
    나. 재배적 방법
    (1) 옥수수 수확 후 포장내 피해주 또는 다른 식물체를 깨끗이 제거하거나 이듬해 봄 유충이 활동하기 전 그루를 태워 유충밀도를 낮춘다.
(2) 출수전에는 어린유충이 수꽃을 식해하며 수술대 속으로 먹어 들어감으로 피해를 받은 수술대는 잘라 태워 유충의 분산을 막는다.
(3) 단옥수수나 초당옥수수 등 당 함유량이 많은 품종은 조기재배 함으로써 해충가해 시기를 피한다.
(4) 조명나방에 대한 내충성은 식용옥수수, 사료용옥수수, 찰옥수수 순으로 강하므로 용도별로 선택 재배하여 피해를 경감시킨다.
           
    다. 생물적 방제
      알 기생봉으로 알좀벌(Trichogramma sp.)과 유충 기생봉인 고치벌 등이 있으며 알좀벌은 기생율이 높아 대량 증식하여 방제에 이용할 수 있다.
           
  참 고 문 헌
   
  김인환 외. 1971. 원색생태 농림해충도설. 학창사.
농촌진흥청. 1978. 식량작물의 해충도감.

'밭작물재배 > 옥수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수수의 병해  (0) 2007.03.28
옥수수의 병해  (0) 2007.03.28
옥수수의 특성  (0) 2007.03.28
옥수수의 적정시비량과 시비방법  (0) 2007.03.24
옥수수육묘의 적정크기  (0) 2007.03.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