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
|
'텃밭채소가꾸기 > 오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이의 충해(8)-담배거세미나방 (0) | 2007.04.15 |
---|---|
오이의 충해(7)-뿌리혹선충 (0) | 2007.04.15 |
오이의 충해(5)-작은각시들명나방 (0) | 2007.04.15 |
오이의 충해(4)-점박이 응애 (0) | 2007.04.15 |
오이의 충해(3)-호박과실파리 (0) | 2007.04.15 |
![]() | ||||||||||||||
![]() |
|
![]() | ||||||||||||
![]() |
![]() | |||||||||||||
|
오이의 충해(8)-담배거세미나방 (0) | 2007.04.15 |
---|---|
오이의 충해(7)-뿌리혹선충 (0) | 2007.04.15 |
오이의 충해(5)-작은각시들명나방 (0) | 2007.04.15 |
오이의 충해(4)-점박이 응애 (0) | 2007.04.15 |
오이의 충해(3)-호박과실파리 (0) | 2007.04.15 |
![]() |
|
![]() | ||||||||||||
![]() |
![]() | |||||||||||||
|
오이의 충해(7)-뿌리혹선충 (0) | 2007.04.15 |
---|---|
오이의 충해(6)-오이잎벌래 (0) | 2007.04.15 |
오이의 충해(4)-점박이 응애 (0) | 2007.04.15 |
오이의 충해(3)-호박과실파리 (0) | 2007.04.15 |
오이의 충해(2)-꽃노랑총채벌래 (0) | 2007.04.15 |
![]() | ||||||||||||||
![]() |
|
![]() | ||||||||||||
![]() |
![]() | ||||||||||||||
|
||||||||||||||
![]() |
오이의 충해(6)-오이잎벌래 (0) | 2007.04.15 |
---|---|
오이의 충해(5)-작은각시들명나방 (0) | 2007.04.15 |
오이의 충해(3)-호박과실파리 (0) | 2007.04.15 |
오이의 충해(2)-꽃노랑총채벌래 (0) | 2007.04.15 |
오이의 충해(1)-오이총채벌레 (0) | 2007.04.15 |
![]() | ||||||||||||||
![]() |
|
![]() | ||||||||||||
![]() |
![]() | |||||||||||||
|
오이의 충해(5)-작은각시들명나방 (0) | 2007.04.15 |
---|---|
오이의 충해(4)-점박이 응애 (0) | 2007.04.15 |
오이의 충해(2)-꽃노랑총채벌래 (0) | 2007.04.15 |
오이의 충해(1)-오이총채벌레 (0) | 2007.04.15 |
오이의 주요 병충해 (0) | 2007.04.15 |
![]() | ||||||||||||||
![]() |
|
![]() | ||||||||||||
![]() |
![]() | |||||||||||||
|
오이의 충해(4)-점박이 응애 (0) | 2007.04.15 |
---|---|
오이의 충해(3)-호박과실파리 (0) | 2007.04.15 |
오이의 충해(1)-오이총채벌레 (0) | 2007.04.15 |
오이의 주요 병충해 (0) | 2007.04.15 |
난황유 살포로 병충해방제 및 품질향상 (0) | 2007.04.15 |
![]() | ||||||||||||||
![]() |
|
![]() | ||||||||||||
![]() |
![]() | |||||||||||||||||||||||||||||||||||||||||||||||||||||||||
|
|||||||||||||||||||||||||||||||||||||||||||||||||||||||||
![]() |
오이의 충해(3)-호박과실파리 (0) | 2007.04.15 |
---|---|
오이의 충해(2)-꽃노랑총채벌래 (0) | 2007.04.15 |
오이의 주요 병충해 (0) | 2007.04.15 |
난황유 살포로 병충해방제 및 품질향상 (0) | 2007.04.15 |
[스크랩] 오이 육묘기술 (0) | 2007.04.02 |
오이의 주요병해충
모잘록병
덩굴쪼김병
흰가루병
이슬병과 탄저병
잿빛곰팡이병
세균성점무늬병
뿌리혹선충
모잘록병
학명: Rhizoctonia solani Kuhn, Pythium spp. 영명: Damping~off 일명: Naetigare-byo |
○ 병징
모를 기를 때 땅 가까이에 있는 줄기가 잘록하여 지면서 쓰러지거나 병원균이 많은 상 토에 종자를 심었을 때에는 발아가 안되는 경우가 많다.
○ 발생시기 및 환경
육묘기에 과습하거나 밀식 하였을 때 많이 발생한다.
○ 방제법
- 싸이론훈증제를 씨뿌림 또는 옮겨심기 2~3주 전에 흙덩이가 없게 흙을 곱게 친 다음, 땅고르기를 하고 가로,세로 각각 30cm씩 토양관주기로 넣는다.
- 잘록병에 잘 듣는 약제를 뿌린후, 갈아서 흙과 잘 섞는다.
△전용약제: 피신엔비, 에디졸분제(안타)
덩굴쪼김병
학명: Fusarium oxysporum Sch.f.sp. cucumeriunm Owen 영명: Fusarium wilt 일명: Turuware-byo |
○ 병징
발병초기에는 시들음 증상이 나타나고, 병징이 심해지면 줄기가 황갈색으로 변하고 진 물이 나거나 곰팡이 가루가 생기며 포기가 말라죽는다.
줄기속도 갈색으로 변색되고 줄기가 세로로 쪼개진다.
○ 발병시기 및 환경
열매가 열리기 시작할 때부터 발생하기 시작하며, 기온이 20℃전후의 전온일 때 발병 이 심하다.
○ 방제법
- 호박은 이 병에 걸리지 않으므로 호박을 이용하여 접목제배를 한다.
- 싸이론훈증제로 토양훈증 소독을 실시하며, 베노람수화제로 종자 소독을 실시한다.
- 베노람수화제(벤레이트티)를 10일 간격으로 2~3회 관주한다.
흰가루병
학명: Sphaerotheca fuligena (Sch) Pollacci 영명: Powdery mildew 일명: Udonko-byo |
○ 병징
잎위에 흰가루와 같은 곰팡이가 생기고, 오래된 병무늬는 지저분한 흰가루처럼 되거나 퇴록증상을 나타낸다.
○ 발생시기 및 환경
건조할 때 많이 발생하며 비료를 과용했을 때 많이 발생한다. 특히
하우스재배에서는 거의 연중 발생한다.
○ 방제법
- 바리톤 수화제 2000배액, 샤프롤유제 800배액, 아프칸유제 1,000배액, 훼나리유제 400배액,또는 모레스탄3,000배액을 발별초부터 10일 간격으로 2~3회 살포한다.
이슬병과 탄저병
영명: Downy mildew(이슬병), Anthracnose(탄저병) 일명: Beto-byo(이슬병), Tanso-byo(탄저병) |
○ 병징
이슬병의 병무늬는 잎에만 나타나는데 잎에 있는 맥을 따라 모가진 노란색 무늬가 생 기고, 탄저병 병무늬가 생기고, 병무늬는 둥글며 약간 번지는듯한 무늬가 생긴다.
○ 발생시기 및 환경
이슬병은 습도가 높고 기온이 20°~24℃일 때, 탄저병은 저온이며 비가 자주 오고 비료를 많이 주었을 때 많이 발생한다.
○ 방제법
- 이슬병: 발생초기부터 아래 약중에서 7~10일 간격으로 2~3회 뿌려준다.
△전용약제: 마네브, 메타실엠(리도밀엠지), 포세칠알(알리에테),포스만 수화제(로닥스)
△전용약제:만코지(다이센엠45),타로닐(다코닐),프로필(안트라콜),지네브, 갭타폴(디포라탄,모두나),홀펫(폴판,팔탄), 쿠퍼(코사이드),갭타폴액상(디포라탄),디크론수화제(유파렌)
△탄저병:스팟트수화제 1,000배액을 발별초무터 7일 간격으로 뿌려준다.
잿빛곰팡이병
학명: Botrytis cinerea Persoon 영명: Gray mold 일명: Haiiro-kabi-byo |
○ 병징
과일 끝부분, 꽃이 달렸던 곳에 잿빛의 곰팡이가 핀 것을 볼수 있다.잎에는 등근 병무 늬가 생기고 병무늬 가운데 잿빛곰팡이가 핀다.
○ 발생시 기 및 환경
하우스내 관수,과다밀식, 배수불량 또는 흐린 날씨가 계속될 때 많이 발생한다.
○ 방제법
- 하우스에서는 환기를 하여 주거나 난방장치를 하여 저온 다습하지 않도록 한다.
- 병든포기는 제거 한다.
- 발병초기에 7일 간격으로 2~3회 약을 뿌린다.
△전용약제:프로파(스미렉스),빈졸(놀란),디크론 수화제(유파렌)
세균성점무늬병
학명: Pseudomonas syringae pv. lachrymans (Smith et Bryan)Young et al 영명: Angular leaf spot, Bacterial spot 일명: Hanten-saikin-byo |
○ 병징
종자전염된 균에 의하여 자엽에 조그만 둥근 병무늬가 생기며,나중에는 큰 잎에 수침 상이며 갈색인 병무늬가 생긴다. 과일에도 암갈색의 병무늬가 생기고 습하면 우유빛의 세균덩어리가 흘러나온다.
○ 발생시기
종자를 통해서 병원균이 전염되고 습도가 높을 때 하우스에 제배하는 오이에 많이 발 생한다.
○ 방제법
- 70℃의온도에 3일간 종자소독한다.
- 하우스 자재의 소독
- 질소질비료 과용 금지 및 과습방지
- 보르도액등 동제 농약이 효과 있으나 약해가 나지 않도록 주의한다.
뿌리혹선충
○ 형태 및 발생
암컷은 서양배 모양이고 수컷은 실모양의 선충이다. 사질토양에서 잘 번식하며 세대기 간은 25℃ 이상에서 4~5주 걸린다. 암컷은 알주머니 속에 알을 낳는데 알은 기주가 있으면 곧 깨어나 뿌리로 침입하며 기주가 없거나 조건이 나쁘면 깨어나지 않고 휴면 하게 된다.
○ 피해
뿌리에 혹을 만들어서 수분과 양분의 흡수능력을 저해하므로 생장이 억제되고 한낮에 는 지상부가 시들며 잎이 누렇게 변한다.
○ 방제법
모판흙을 사용 전에 증기 또는 훈증제로 소독한다. 생육 중에는 카보후란 입제 또는 모캪을 작물 근처 토양중에 뿌리고 덮어준다
오이의 충해(2)-꽃노랑총채벌래 (0) | 2007.04.15 |
---|---|
오이의 충해(1)-오이총채벌레 (0) | 2007.04.15 |
난황유 살포로 병충해방제 및 품질향상 (0) | 2007.04.15 |
[스크랩] 오이 육묘기술 (0) | 2007.04.02 |
오이 육묘시 환경관리 (0) | 2007.03.29 |
오이·상추·장미 등에 ‘난황유’ 살포…병해충 방제·품질향상 효과 | ||||||
|
오이의 충해(1)-오이총채벌레 (0) | 2007.04.15 |
---|---|
오이의 주요 병충해 (0) | 2007.04.15 |
[스크랩] 오이 육묘기술 (0) | 2007.04.02 |
오이 육묘시 환경관리 (0) | 2007.03.29 |
[스크랩] 열을 쫓아주는 오이 (0) | 2007.03.29 |
![]() | |
|
오이의 주요 병충해 (0) | 2007.04.15 |
---|---|
난황유 살포로 병충해방제 및 품질향상 (0) | 2007.04.15 |
오이 육묘시 환경관리 (0) | 2007.03.29 |
[스크랩] 열을 쫓아주는 오이 (0) | 2007.03.29 |
오이의 재배관리 (0) | 2007.03.24 |
(가) 온도관리
○ 오이 육묘시 온도관리 기준
(나) 물관리 및 비료관리 발아시 상토가 너무 건조하면 종자가 종피를 벗지 못하므로 파종복토후에는 충분히 관수한다. 그러나 발아후에는 관수량이 너무 많으면 모종이 웃자라고 병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육묘초기에는 2~3일에 1회, 육묘중기 이후에는 매일 1회씩 오전 중에 물을 주고 고온기에는 더 자주 관수한다. 가급적 물주기는 맑은 날 오전 중에 하고 저녁 무렵에는 육묘폿트의 표면이 약간 마른 느낌이 들 정도가 되면 웃자라지 않고 병발생도 적다.
(다) 햇빛관리 햇빛은 모든 식물이 자라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환경요소이므로 가급적 햇빛을 많이 받도록 한다. 특히 겨울철에 육묘를 할 때에는 햇빛이 부족하면 모종이 연약하고 웃자라 좋은 모종을 가꾸기가 어려우므로 가능한 한 햇빛을 많이 받도록 커튼, 보온덮개 등을 일찍 열어준다. 육묘하우스의 북쪽을 알루미늄 필름으로 피복하면 반사광을 이용할 수 있어 부족한 광량을 보충할 수 있다. 그러나 한 여름철 육묘시에는 30%정도 차광을 하여 잎온도 상승을 억제한다.
(라) 탄산가스(CO₂) 관리 자연상태의 공기중에는 300ppm의 탄산가스가 있지만 톡성, 반촉성재배 등은 시설에서 모종을 길러야 된다. 그러나 시설내는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탄산가스 부족이 되는 경우가 있다. 탄산가스를 시용하면 모종의 무게는 물론 건물중, 엽면적, 엽중/엽면적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생육이 촉진되어 모종을 적기에 정식할 수 있어 조기수량이 접목 모종은 23%, 무접목묘는 18%가 증수된다.
(마) 모종 굳히기(순화) 포장에 정식하기 전에 외부환경에 견딜 수 있도록 모종을 굳히는 것을 순화 또는 경화(하드닝)라고 한다.
* 출처 : 농진청 표준영농교본 - 66 |
난황유 살포로 병충해방제 및 품질향상 (0) | 2007.04.15 |
---|---|
[스크랩] 오이 육묘기술 (0) | 2007.04.02 |
[스크랩] 열을 쫓아주는 오이 (0) | 2007.03.29 |
오이의 재배관리 (0) | 2007.03.24 |
오이의 병충해 관리 (0) | 2007.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