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두콩은 맛이 담담하여 먹기에 불편함이 없으며  콩중에서 약효가 가장 높은 콩이다

작두콩은 맛을 달고 성질은 따뜻하며 독은없다

몸을 따뜻하게하고 신장을 튼튼하게 하며 온기를 돋구고 기를 밑으로 내려준다

 

음식 재료이기도 하면서 온갖 난치병에 그 위력을 발휘한다

작두콩으로 담근 된장 간장 고추장 같은 발효 식품은 암. 위궤양. 염증. 심장병 신장병 간장병

등의 질환에 큰 효력을 발휘한다

 

작두콩 씨앗에는 우레아제. 혈구응집소 글루코시다제. 카날린 나바린등의 아미노산과 녹말 단백질

등이 풍부하게 들어 있으며

비타민의 경우는 일반 콩과 비교 자체가 되지 않을 정도로 다량 함유되여 있다

 

특히 일반콩에는 극소량만 들어 있는 비타민 A와C가 다량들어 있다는것이 참 이상한 일이다

그 뿐만이 아니라 일반 곡물류에는 비타민A. C는 없거나 극 소량만 들어 있는데 유독 작두콩에만

바타민A.C가 다량 함유되어 있는지가 연구 과제이다

 

작두콩에 들어 있는 혈구응집소는 콘카나발린 A 등 여러가지 글로블린 성분으로 되어 있는데

이성분은 암세포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어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작두콩 혈구응집소를 암세포와 같이 배양한 결과 24시간내에 암세포 95%가 녹아없어졌다고

합니다

 

이미 실험용 쥐를 통해서 항암 효과는 밝혀진 것이지만 앞으로 연구가 계속된다면 난치병

환자들에게 희속식을 줄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작두콩의 효과는 매우 빨라서 비염. 아르레기 질환 축농증 중이염 치조농루 치은염 입냄세등은

2-3 주일 만에도 효과를 본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작두콩은 염증을 삭히고 어혈을 풀어주는데는 탁월한 약리 작용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며

원기를 북돋아 주는 보약의 효능도 있습니다

 

남.여.노.소 그 누가 복용해도 좋으며 1년 내내 장복을 해도 좋은 가장 이상적인 식품인

동시에 의약품 준할 정도의 약성을 지니고 있다고 합니다

 

일본에서는 식초에 저린 작두콩을 즐겨 먹으며 치과에서도 의약품 보조 재료로 사용한 곳이 있다고

합니다  

 

중국에서는 작두콩으로 만든  드링크를 의약품으로 판매하고 있다고 합니다

 

중요성분 분석표 (mg/100g)

종   류  비타민A.  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B3. 비타민C

일반콩     1              0.60          0.17         3.2         1

작두콩    137            1.90          0.90         13.6      21.5

(참고 : 일반콩은 농진청식품분석표. 작두콩은 한국식품연구소시험성적표에 의거 작성)

 

복용방법

0.가루를 만들어 율무차 마시듯 복용(커피 스푼으로 2-3스푼)

0.콩을 약간 볶은 다음 물 1리터에 콩알 10여개를 넣고 적은 불로 물이 반으로 줄어들때까지

  달인후 차 마시듯 복용

0.기타 된장 간장 고추장 청국장 효소 콩고물등 다양한 방법으로 복용할수 있고 어성초. 짚신나물.

  한련초 예덕나무 해표초 녹나무 지금초 여정실 산사자 마 감초 등등 다른 약초와 같이 혼합 사용

  하면 더 좋은 효과를 볼수도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신중을 기해야 하기 때문에 여기서 논하지

  않겠습니다

 

 

 

 

 

   

출처 : 작두콩사랑농장(약초와효소)010-9579-9279
글쓴이 : 박현복 원글보기
메모 :

오늘부터 2007년 작두콩 농사를 시작합니다.

오늘 파종을 시작으로 약 200여일간의 작두콩 농사과정을 올려볼까 합니다.

 

먼저 침종후 발아까지 과정입니다,

 

1. 촉틔우기 과정

 

                             스티로폴 박스바닥에 화장지 깔고

 

                         콩을 물에 젖은 화장지 위에 올려놓고 물을 적신다

 

                                    젖은 수건으로 덮어준다

 

                          약 5일정도 지나면  아래의 사진상태가  된다

그러면 밭에다 파종을 하여도 된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작두콩 발아율이 별로 좋질 않기 때문이다.

출처 : 농사를 사랑하는 모임
글쓴이 : 바우지기(김동희) 원글보기
메모 :

포트에 파종을 하여여 하며, 포트 육묘를 하시는분은 육묘가 다 자라는 시기 (약 4월 25일경 본밭에 정식)에 정식을 하세요

직파를 하실분은 촉틔우기를  먼저 하신후에 이번주말경에 밭에 직파를 하심이 가장 적절한 시기입니다.

올한해 작두콩농사 풍년드시길 바랍니다.

 

저는 요번주 토요일과 일요일에 본밭에 직피합니다

지금 촉틔우기 위하여 파상후 침종합니다.

 

제 농사 일지를 간단히 적어 올려봅니다,.

 

2007년 3월 20일 퇴비살포

2007년 3월 20일 석회살포

2007년 4월 7일 비료살포

2007년4월 10일 로터리 및 고랑타기

2007년 4월 12일 비닐멀칭

출처 : 농사를 사랑하는 모임
글쓴이 : 바우지기(김동희) 원글보기
메모 :

 

작두콩 포트파종시기가 다가왔다.

파종시기는 지방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지만 (늦 서리의 영향-서리피해방지)대략 4월5일부터 4월15일경에 포트에 파종하여 이식한다.

 1.준비물

   1.작두콩씨앗(흰색):103개.

   2.작두콩씨앗(붉은색):15개.

   3.플러그(9구):12개.

   4.상토:1포.

 2.파종일시:4월 8일.

 

 3.파종과정.

 

 

 

파종을 위한 준비물

 

 

1.작두콩 배꼽부분에 칼로 살짝 상처를 낸다.

 

2.물에 24시간 담갔다.

 

 

           처음물에 담근모습.

 

           24시간 물에 담근후의 모습

 

24시간 물에 담근모습.

 

2.플러그에 상토를 체우고 물을 충분히 뿌린다.

 

 

3.파상침종한 씨앗을 배꼽부분이 밑을 향하게 하여 포트에 심는다.

 

 

 

 

4.그위에 상토를 2-3센티 덮고 물을 충분히 준다.

 

 

 

*파상침종한것과 안한것과의비교.

 

 

 

         

     작두콩 재배 시기가 되어 감에따라 총 정리를 하여 봅니다      

 

                     올해도 작두콩 농사 잘 지어 보세요

 

여 기는 바우골 입니다.

 

작두콩의 재배 노하우는 발아입니다. 발아율이 보통 60-70% 정도에  그치다보니

비싼 작두콩을 재배하기에 부담이 갑니다.

위의 사진처럼 먼저 싹을 틔운다음에 포트에 파종을 하면 85% 이상 올릴수 있습니다.

 

 

 

 

 

 

 

 

 

 

 

출처 : 농사를 사랑하는 모임
글쓴이 : 바우지기(김동희) 원글보기
메모 :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출처 : 농사를 사랑하는 모임
글쓴이 : 바우지기(김동희) 원글보기
메모 :
         
  칼콩(작두콩)의 파종기 및 재식거리
 
기관 :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성명 : 이재웅
 
전화 : 043-229-2670
           
  1. 파종기
    가. 파종기에 따른 개화요소일수
      파종기가 3월 25일에서 5월 5일로 늦어짐에 따라 개화일수는 4~28일 단축되었는데 밤의 기온 상승 때문으로 생각된다. 광에 노출된 콩의 종자는 낮의 기온에 관계없이 밤의 높은 기온이 개화 및 협의 형성을 촉진하는데 이와 같은 결과, 칼콩의 개화는 일장보다 온도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림 1. 파종기에 따른 개화소요일수

   
    나. 파종기에 따른 지상부 생육상황
      경장은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43~89㎝ 감소하였는데 이는 생식생장기에 접어듦에 따라 영양생장이 억제된 결과로 생각된다. 주경절수는 4월 25일 파종기에서 가장 많았으며 개체당 분지수는 4월 15일 까지는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로는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경태는 대체적으로 4월 5일 파종구까지는 증가하다 그 이후의 파종기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표 1. 파종기에 따른 작두콩의 지상부 생육상황
   
파종기(월.일)
경장(cm) 주경절수 분지수 경태(cm)
3.25
4. 5
4.15
4.25
5. 5
337
294
291
286
248
24
24
24
27
25
3.2
3.7
3.7
2.9
2.4
9.1
9.2
8.8
8.0
7.5
       
    다. 파종기에 따른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
      개체당 협수 및 입수도 4월 5일 파종까지는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는데 탈협이 야간의 저온조건에서 심하게 유발되며 개화가 늦어짐에 따라서도 유발된다는 보고와 일치하였다. 개체당 입수는 파종기가 가장 늦은 5월 5일 파종구에서 가장 적었는데, 이는 입비대시의 탈립에 기인된 것으로 생각된다. 개체당 입수의 증가는 개체당 협수의 증가 및 협당 입수의 증가로 인하여 이루어졌다. 100립중은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4~19g감소하였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100립중이 생육기간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보고와 일치되는 경향이였다. 10a당 수량은 4월 5일 파종구에서 307㎏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개체당 입수의 증가가 직접적인 수량증가를 가져왔기 때문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 비닐하우스에서 칼콩 재배시 적정파종기는 4월 상순으로 판단되었다.
       
    표 2. 파종기에 따른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
   
파종기
(월.일)
협수
(개/개체)
입수
(개/개체)
100립중
(g)
수량
(㎏/10a)
지수
3.25
4. 5
4.15
4.25
5. 5
7.2
6.9
6.6
5.9
5.4
44.6
49.7
46.6
42.9
41.3
247
243
238
234
228
299
307
283
263
244
106
108
100
  93
  86
       
  2. 적정 재식거리
    가. 재식거리가 지상부 생육에 미치는 영향
      재식거리가 넓어짐에 따라 경장은 길어지는 경향이었다. 주경절수는 재식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개체당 분지수도 0.1~0.5개 증가하였다. 유한신육형 콩의 경우에도 같은 경향이며 ㎡당 63개체에서 33개체로 감소함에 따라 분지수가 2.8~1.6개 증가한다는 보고와도 일치하였다. 경태는 재식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0.3~0.6㎜굵어졌다.
       
    표 3. 재식거리에 따른 지상부 생육상황
   
재식거리
(휴폭×주간㎝)
경장
(㎝)
주경절수
(개)
분지수
(개/개체)
경태
(mm)
60×30
60×40
60×50
90×30
90×40
90×50
292
297
301
305
307
310
23
24
26
25
26
27
3.4
3.5
3.7
3.6
3.7
3.9
8.6
8.9
8.9
8.9
9.1
9.2
     
    나. 재식거리에 따른 수량구성요소와 수량
      개체당 협수는 재식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0.5~3.5개 증가하였고 개체당 입수도 7.8~28.4개 증가하였으며 100
립중도 무거운 경향을 보였다. 재식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경장, 분지수, 경태 및 수량구성요소에서 증가를 보였으나, 10a당 종실수량에서는 휴폭 60㎝, 주간 30㎝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의 확보로 인하여 28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무한신육형이 유한신육형에 비하여 절수, 입수, 100립중의 주경 의존도가 크며, 따라서 밀식조건에서 많은 수량이 가능하다는 보고와 일치하였으며 비닐하우스에서 칼콩 재배시 적정재식거리는 60×30㎝가 적당하다고 판단되었다.
     
    표 4. 재식거리에 따른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
   
재식거리
(휴폭×주간㎝)
협수
(개/개체)
입수
(개/개체)
100립중
(g)
수량
(㎏/10a)
지수
60×30
60×40
60×50
90×30
90×40
90×50
6.2
6.7
6.7
7.4
9.1
9.7
40.8
47.0
54.8
48.6
62.7
69.2
234
238
239
234
240
244
283
276
252
260
244
229
103  
100  
91
94
88
83
     
  참 고 문 헌
   
  김홍식 외. 한작지. 35(1).
______ 외. 한작지. 38(2).
박금용 외. 한작지. 32(4).
박승의. 1970. 강원농시보고서.
이장우 외. 1977. 경기농시보고서.
   
         
  칼콩(작두콩)의 특성과 일본·대만의 재배법
 
기관 : 작물과학원
 
성명 : 유용환
 
전화 : 031-290-6685
           
  1. 원산지 및 내력
    가. 원산지
      칼공(Canavalia gladiata (Jacq.) DC)은 열대아시아가 원산지로 열대 및 아열대지역(아프리카, 아메리카, 아시아, 오스트랄리아)에 널리 분포하며 특히 인도에서 많이 재배되고 회교도가 많이 이용한다. 야생종은 인도에서는 발견되지 않으나 서아프리카~필리핀에 걸쳐 분포하고 있는 야생의 덩굴성 식물 Canavalia virosa Wightel Arn 으로부터 분화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나. 내력 및 재배역사
      동아시아에서는 비교적 오래 전부터 재배되어 오다가 17세기 유럽인에 의하여 서부인도 및 일본에 동시에 소개되었다. 중국에서는 식물본초(食物本草, 12~13세기)에 칼콩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강호(江戶)시대 초기에 도입된 것으로 추정되며 다식편(多識編, 1630)에 기록이 있다.
  칼콩은 인도에서 많이 재배되며 중국에서는 화남지방에 재배된다. 일본에서는 소규모로 재배되고 있다.
   
    다. 용도 및 이용
      칼콩은 피복작물, 사료작물, 채소로 이용된다. 어린 푸른 꼬투리는 인도, 미얀마, 스리랑카와 동아시아에서 채소로서 널리 이용된다. 백색 종피 계통은 잠두의 대체품으로 충분히 자란 종자를 꼬투리에 든 채로 요리하고 식용한다. 칼콩 종자는 소금물로 두 번 교체하면서 철저하게 삶는다. 시험적으로 소량을 먹어 보며, 만약 설사 또는 두통과 같은 해작용이 없으면 다량을 대체 식품으로 먹을 수 있다. 아시아에서는 하룻밤 침지하고 중탄산나트리움이 든 물로 연해질 때까지 끓이고 씻어내며 새물로 끓여서 카레나 으깬 감자와 같이 사용하기 위하여 두드린다. 볶은 종자는 커피대용품으로 이용한다.
  일본에서는 어린 꼬투리를 주로 복신지(福神漬)하거나 박지(粕漬), 미쟁지(味·漬)의 재료로 이용된다. 또한 근년에는 개화직전의 신선한 꽃을 초지(醋漬, 식초에 침지)하여 적색 또는 녹색으로 염색한 것을 마른안주로 이용한다. 완숙한 종자는 사포닌을 함유하고 유독하므로 소금물이나 물로 여러 번 교체하여 삶는 것이 안전하다. 삶은 콩이나 금단(金·으깬 콩이나 고구마 등에 밤 등을 넣은 식품)을 만들거나 또한 고기와 삶으면 맛이 좋다.
  분홍색 종자는 전통 한약으로 사용된다. 효능과 주치대상을 보면 온중하기(溫中下氣), 익신박원(益腎撲元), 허한구역(虛寒嘔逆), 구토복장(嘔吐腹腸), 신허요통(腎虛腰痛), 담천(痰喘)을 치료하고 항종양작용이 있다.
  선칼콩은 인도네시아에서 담배전작의 녹비작물로 재배되고 말레이시아, 미국 동남부, 하와이 및 열대 아메리카의 트리니다드와 푸에르 토리코에서는 피복작물로 많이 재배된다. 선칼콩은 녹색으로 칼콩에 비하여 꼬투리가 연약하고 향미가 강하다. 꼬투리는 성장시 신선한 콩을 채소용으로 건조 종자는 식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자중에 있는 canavalin의 독소 HCN이 있어 설사, 구토를 야기하므로 반드시 삶아 익힌 후 물 속에 2~3시간 담근 후 외피를 제거하고 식용으로 가능하다. 선칼콩 응집소는 각종 암치료제에 기인한 변형세포, 인체 임파선 세포의 변형에 대하여 응집이 가능하나, 상응한 세포의 독성은 생산하지 않으며 또는 기타 PHA에 기인한 세포독성에 대한 억제가 가능하고 항암작용이 있다.
   
  2. 성상
    가. 형태적 특성
      (1) 잎과 줄기
        일반으로 덩굴성이나 그렇지 않은 품종도 일부 볼 수 있다. 본래는 다년생이나 온대지역에서는 1년생 작물로 취급한다. 덩굴성인 것은 초세가 강하여 경장이 4~5m에 달한다. 분지는 비교적 적고 개체당 2~3개가 있다. 엽신은 3소엽이 복엽을 이루고 엽병은 엽신부분보다 짧은 특징이 있다. 소엽은 길이가 10~18㎝, 폭이 6~14㎝ 정도이고, 모용이 약간 있으며(glabrescent : 微毛), 엽선은 끝으로 갈수록 점차 뽀족하여지는 점첨두(漸尖頭, acuminate)로 꼭대기에서는 끝이 짧다.
     
      (2) 화기
        꽃은 크고 길이가 3.5㎝ 전후로 희거나 분홍색으로 아름답다. 주로 자가수정을 하나 충매에 의한 것도 20%정도이며, 때로는 그 이상의 타식율을 보인다. 꼬투리는 약간 만곡하며 모서리가 도출한다. 길이는 15~25㎝, 폭 3~5㎝이며 성숙하면 굳어지게 되고 내부는 면상(綿狀)백막조직에 종자가 들어 있다.
     
     
     
그림 1. 칼콩(작두콩)재배광경
   
      (3) 종자
        꼬투리에는 종자가 8~16개 들어 있고, 홍색이나 때로는 백색을 띠며 길이는 2.5~3.5㎝, 배꼽은 암갈색으로 길이가 2.0~2.5㎝로 아주 길고, 백립중은 180~240g이며, 입형은 장타원형이다. 발아양상은 콩과 같이 지상발아형(epigeal germination type)이다.
     
    나. 영양적 특성
      어린 꼬투리의 성분은 수분이 89.0%, 단백질 2.4%, 지방 0.14%, 탄수화물 5.3%, 섬유 및 무기질 3.2%로 동부, 강낭콩과 큰 차이가 없다. 종자 100g당 단백질 함량은 27.4%, 지방 2.9%, 탄수화물 66.1%, 섬유 8.3%, 회분 3.6%이다.
     
    표 1. 칼콩 종실의 주요 영양 성분 (100g당 성분, J.A. Duke : 1981)
   
열량
(kJ)
수분
(%)
단백질
(g)
지방(g) 탄수화물(g) 섬유
(g)
회분(g) 칼슘
(mg)

(mg)

(mg)
비타민B₁(mg)
비타민B₂(mg) 비타민
PP(mg)
1628 1.12 27.4 2.9 66.1 8.3 3.6 177 334 7.8 0.87 0.17 2.02
     
    표 2. 칼콩의 8종 필수 아미노산함량 (J. A. Duke : 1981)
   
단백질
(%)
라이신
(g/16g N)
메치오닌
(g/16g N)
쓰레오닌
(g/16g N)
로이신
(g/16g N)
이소로이신
(g/16g N)
페닐알라닌
(g/16g N)
발린
(g/16g N)
30.0 5.1 1.0 3.9 6.4 3.5 4.0 4.0
       
  3. 재배법 (일본, 대만의 예)
    가. 재배 개요
      (1) 작형의 분화
        재배면적이 매우 적어서 작형의 분화도 없다. 고온을 좋아하는 작물이므로 촉성, 반촉성 작형은 성립되지 않는다. 만상을 두려워 할 때는 직파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약간 빨리 파종하여 육묘, 이식재배한다.
       
      (2) 산지상황과 적지조건
        현재 작부가 거의 되지 않으나, 복신지(福神漬)의 재료 또는 박지(粕漬)의 재료로 계약 재배되고 있다. 생육이 왕성하며, 관동 이서에서는 재배가 가능하므로 판매 경로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나. 품종 특성
      (1) 일본
        백화(白花)계와 적화(赤花)계(자홍색)가 있으며, 백화계는 주로 종실을 채소로 이용하고 적화계는 꼬투리용이다. 품종의 분화는 거의 없다.
       
      (2) 대만
        적도두, 백도두, 하와이종이 있다. 적도두는 종실이 크고 홍색이며, 꽃은 자홍색이고, 꼬투리는 크고 녹색이며, 품질은 다소 양호하고, 절임용이다. 백도두는 종실이 크고 백색이며, 꽃은 백색이고, 꼬투리는 녹색이고 품질은 양호하며 절임용이다. 하와이종은 종실이 작고 백색이며, 꽃도 백색이고, 꼬투리는 작고 품질은 양호하며, 절임용 또는 삶아서 식용으로 이용한다.
       
    다. 생육경과와 재배 요점
      (1) 재배환경
        칼콩은 비교적 내한발성이고, 다른 두과작물에 비하여 내염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열대원산이어서 고온을 좋아하고 25℃ 전후의 기온이 적합하다. 광범위한 토양에서 생육할 수 있어 양토에서 사질토까지도 적합하다. 중점토에서는 종자가 굵어 발아시 호흡량이 많아 발아가 나쁘게 된다. 약간 산성을 좋아하여 pH 5.0~7.1에서 재배가 가능하다.
       
      (2) 파종 및 육묘
        일본에서는 노지에 직접 파종할 경우 파종기는 만상의 우려가 없는 4월 중순에서 5월 상순이며, 하우스에서 육묘하는 경우에는 3월 상순~4월 중순이다. 자엽과 초생엽이 특히 크므로 육묘할 때 파종밀도에 주의한다. 대만에서는 일반적으로 4~5월에 파종하며, 직파 또는 묘상에 파종한다. 파종 후 얇게 복토하거나 부숙퇴비를 덮는다. 약 7~15일경에 출아한다. 종자의 발아연한은 3년이다.
       
      (3) 시비
        시비량은 까치콩에 준한다. 10a당 질소 1㎏, 인산과 칼리 1.5㎏내외를 준다. 전작에서 다비를 했거나 비옥한 토양에서는 질소를 주지 않는다.
       
      (4) 정식및 관리
        정식적기는 제 2본엽 전개기이며 파종 후 25일 전후에 해당한다. 이 보다 지연되면 이식에 따른 손상이 심해 주의하여야 한다. 재식밀도는 일본에서 휴폭을 120㎝내외로, 주간 80㎝내외로 한다. 덩굴이 신장하므로 지주를 240㎝ 높이로 세우고 적당한 높이에서 적심한다. 대만에서는 휴폭 75㎝, 주간거리 36㎝로 하여 본엽 2~3매시 정식한다. 시비량은 까치콩에 준한다. 10a당 질소 1㎏, 인산과 칼리 1.5㎏내외를 준다. 전작에서 다비를 했거나 비옥한 토양에서는 질소를 주지 않는다.
       
     
     
그림 2. 칼콩(작두콩)의 수확후 건조 광경
       
      (5) 수확
        8월 상순부터 수확이 가능하다. 꼬투리는 10~15㎝이면서 부풀고 거칠어지기 전에 수확한다. 적기가 되면 고투리가 급격히 경화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종자는 꼬투리가 성숙되면 수확한다. 과숙하면 꼬투리가 떨어지게 된다. 미숙종자는 파종후 3~4개월만에 수확 가능하고 성숙된 종자는 8~10월에 수확된다. 수량은 사료용은 녹체로 40~50MT/㏊이며, 종실수량은 700~900㎏/㏊이다.
       
  참 고 문 헌
   
  成河智明. 1988. 農業技術大系 野菜編 10 : ナタマメ. 社團法人 農山漁村文化協會. 日本. 基11-13.
黃涵. 1992. 豆類蔬菜. 刀豆. 豊年社. 臺灣. 41-43.
胡家蓬. 1994. 中國作物遺傳子源. 食用豆類. 中國農業出版社. 中國. 256-276.
Duke. J. A. 1983. Handbook of legumes of world economic importance. Plenum Publishing Corporation. New York. USA. 41-43.
Purseglove, J. W. 1968. Tropical crops. Dicotyledons 1. : Lguminosaeo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245-246.
   

 

                       바우골의 작두콩 먹는방법소개

 

 

 

 

출처 : 작두콩 재배(바우골)017-653-9742
글쓴이 : 바우지기 원글보기
메모 :

                       작두콩의 효능에 대하여 ..

 

알레르기는 우리 몸의 면역체계가 외부에서 들어오는 각종 물질들에 대해 지나치게 민감하게 반응하여 나타나는 여러 가지 증상이다. 알레르기라고 하면 두드러가니 비염 같은 것만을 생각하기 쉬운데 알레르기로 인한 증상은 매우 다양하다. 두통, 피로, 두드러기, 피부병, 재채기, 콧물, 비염 등을 일으키기도 한다. 또 눈물이 나기도 하고 눈아래 검은 반점이 생기기도 한다.

알레르기는 온갖 만성질병의 원인이 되는데 천식, 기관지염, 류머티스성 관절염, 당뇨병, 암, 아토피성 피부염, 편두통, 위장병, 만성피로증후군등이 그 예이다. 알레르기는 크게 환경과 음식 알레르기로 나눌 수 있다. 환경 알레르기는 나무나 풀 같은 식물과 꽃가루로 인한 것이 가장 많다. 알레르기를 잘 일으키는 음식은 밀가루, 옥수수, 달걀, 우유와 모든 유제품, 토마토, 조개, 게, 땅콩, 화학조미료등이다.

▶ 다양한 약리작용을 지닌 만능약
작두콩의 약리효과는 매우 다양하면서도 뛰어나서 만능약이라 할 만하다.
첫째, 작두콩은 비염, 축농증, 치질, 편도선염, 중이염, 갖가지 종기 등 화농성 질병에 효과가 탁월하다. 몹시 귀찮고 고통스러우며 여간해서는 잘 낫지 않으며 수술을 해도 얼마 지나지 않아 재발하곤 하는 치질이나 축농증, 중이염이 작두콩을 먹고 깨끗하게 나은 보기가 적지 않다. 작두콩에는 고름을 빼내는 작용과 함께 염증을 삭이는 작용이 매우 강하다.

둘째, 뱃속을 따뜻하게 하고 기를 잘 통하게 하므로 위나 장이 허냉하여 생긴 염증이나 궤양, 딸꾹질 등에 효력이 크다. 작두콩은 위와 장의 기능을 튼튼히 하여 구토, 복통, 설사, 변비를 모두 낫게 한다. 뱃속이 더부룩하고 소화가 되지 않을 때나 뱃속이 허냉하여 딸꾹질이 날 때, 고질적인 설사나 변비에 작두콩을 차로 끓여 먹거나 가루내어 먹으면 좋다.

셋째, 신장의 기능을 튼튼히 한다. 작두콩은 신장이 허약해서 생기는 요통, 발기부전, 정력감퇴등에 효과가 높다.

넷째, 어혈을 삭이고 혈액순환을 좋게 하며 피를 살리는 작용이 있다. 심하게 부딪히거나 멍이 시퍼렇게 든 데, 죽은 피가 뭉쳐 있는데, 타박상 등에 작두콩을 달여 먹거나 가루 내어 붙이면 효과가 신통하다.

다섯째, 변비와 비만을 치료하는 효과가 높다. 작두콩은 기를 밑으로 끌어 내리고 장의 기능을 튼튼하게 하여 변비를 없애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작두콩을 오래 복용하면 살결이 고와지고 기미가 없어지며 몸 속의 지방질이 분해되어 빠져 나오므로 비만증이 낫는다.

▶ 작두콩을 약으로 이용하는 방법
딸꾹질에는 작두콩을 가루 내어 하루 8~12그램씩 따뜻한 물로 먹는다.
백일기침에는 작두콩 열 개를 감초 3~4그램과 함께 물 1리터에 넣고 700밀리리터쯤 되게 약한 불로 달여서 그 물을 하루 세 번 나누어 마신다.

콩팥 기능이 약해서 생긴 요통에는 작두콩 몇 개를 돼지 콩팥 속에 넣고 작두콩 잎으로 싸
서 푹 쪄서 먹는다.
축농증이나 비염에는 묵은 작두콩을 은은한 불에 볶아서 가루 내어 술과 함께 하루 10그
램씩 먹는다.

▶ 작두콩을 식품으로 이용하는 방법
● 작두콩차 : 작두콩을 약간 거뭇거뭇한 정도로 볶아 가루로 만들어 두고 뜨거운 물에 3~5
그램씩 타서 마신다. 흑설탕이나 꿀을 넣어 마셔도 좋다.

● 작두콩 장국 : 된장국이나 청국장국 같은 국이나 찌개에 작두콩 가루를 10그램씩 섞어서
먹는다. 맛도 좋고 병도 고칠 수 있다.

● 작두콩 된장 · 간장 : 작두콩을 메주로 쑤거나 청국장처럼 띄워 간장을 담근다. 죽염과 유
황을 먹여 키운 오리, 마늘 등을 같이 넣고 담근 간장은 온갖 질병을 고치는 식품인 동시
에 약이 된다. 작두콩에는 소화효소가 많이 들어 있어 소화가 잘 된다.

● 작두콩고물 : 작두콩을 볶아 가루 내어 인절미나 떡에 묻혀 먹는다. 맛도 괜찮고 병을 고
치는 데 도움이 된다.

출처 : 작두콩 재배(바우골)017-653-9742
글쓴이 : 바우지기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