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루깍지벌레(桑粉介穀蟲 )
(Pseudococcus comstocki KUWANA Mulberry mealybug)

   (가) 기주식물 : 매실, 복숭아, 살구, 사과, 배, 감, 감귤,

   (나) 가해상태(加害狀態)
   기주식물의 즙액을 빨아 먹는데 심하면 과실이 기형으로 되며, 그을음병을 유발한다.

   (다) 형 태
   ○ 어른벌레는 몸길이가 3.0~4.5mm인 타원형이며, 황갈색이다. 흰가루로 덮여 있으며, 몸 둘레는 하얀가루의 돌기가 17쌍이 있고, 배끝의 1쌍이 특히 길어서 다른 것과 구별된다. 수컷으느 1쌍의 투명한 날개가 있고, 날개를 편 길이는 2~3mm이다.
   ○ 알은 황색의 넓은 타원형이며, 길이는 0.4mm이다.

   (라) 생활사(生活史)
   1년에 3회 발생하며 나무껍질, 밑, 뿌리근처, 가지사이에서 대개는 알로 월동하지만 암컷은 약충 또는 성충으로도 활동한다. 제 1회 발생은 6월에, 2회발생은 8월상순에, 3회발생은 9월상순 부터 10월상순 이다.


   (마) 방제법
   ○ 전정직후 봄철 일찍 기계유유제 20~25배액을 살포해 준다.
   ○ 발아후에는 석회유황합제 0.3도액을 살포한다.
   ○ 알에서 깨어 나오는 시기 및 어린벌레 활동기에 수프라사이드 1,000배액을 살포한다.


산호제깍지벌레(梨圓介穀蟲)
(comstockaspis perniciosa COMSTOCK San Jose Scale)

   (가) 기주식물 : 매실, 복숭아, 살구, 사과, 배, 감귤, 기타과수 및 관상식물류

   (나) 가해상태(加害狀態)
   주로 가지에 기생하며, 점차 심하면 깍지벌레로 뒤덮여 쇠약하게 되고, 결국 말라 죽게 된다. 여름철에는 잎, 과실에도 기생하는데 가해부분에 홍색의 둥근반점이 생기고, 과실에 기생하면 열매껍질(果皮)이 울퉁불퉁한 기형과가 된다.

   (다) 형 태
   ○ 암컷은 원형이고 중앙부가 융기된다. 제 3회 탈피각이 맨 나중의 깍지이며, 회색을 띠고, 지름이 3mm 가량이다. 깍지밑에 타원형이고 담황색인 벌레가 있다. 눌러보면 황색의 즙액이 나오는데 이것이 살아있는 것이다. 몸이 작으며, 1쌍의 날개가 있고, 홍색을 띤다.
   ○ 수컷은 작지만 길이는 암컷의 2배이다.
   ○ 부화약충은 몸길이 0.5mm이고, 몸은 타원형이며, 담홍색을 띤다.

   (라) 생활사(生活史)
   1년에 2~3회 발생하며, 대개 약충으로 기주식물에서 월동한다.때때로 성충으로 월동하는 것도 있다. 약충으로 월동하는 것은 5월하순부터 6월상순에 성충이 되어 교미후 알을 산란한다.

 

(그림1) 산호제깍지벌레의 애벌레발생소장

   
   (마) 방제법
   ○ 전정직후 봄철 일찍 기계유유제 20~25배액을 살포해 준다.
   ○ 발아후에는 석회유황합제 0.3도액을 살포한다.
   ○ 알에서 깨어 나오는 시기 및 어린벌레 활동기에 수프라사이드 1,000배액을 살포한다.
  

(그림2) 산호제 깍지벌레


 복숭아혹진딧물(桃赤蛾蟲 )
(Myzus persical SULZER, Green peach aphid))

   (가) 기주식물 : 매실, 복숭아, 자두, 살구, 벗나무, 감귤, 담배, 목화, 감자, 오이, 고추 등 10여종

   (나) 가해상태(加害狀態)
   잎에서 즙액을 빨아먹어 잎이 세로로 말리며 적색으로 변한다.

   (다) 형 태
   ○ 날개가 없는 무시충(無翅蟲) 암컷의 배는 적록색을 띠며, 배의 출동기가 뚜렷하다. 몸은 흑색으로 중앙부가 약간 팽대되어 있다.
   ○ 날개가 있는 유시충(有翅蟲) 수컷은 엷은 적갈색이며, 촉각은 3절(節)에 평균 12개의 원형 감각기가 있다. 배의 내면에는 각 마디에 흑색의 띠와 반문이 있다.

(그림1)복숭아 흑진딧물

 

   (라) 생활사(生活史)
   이주형9이주형)으로 여름에는 무 또는 배추에서 피해를 주다가 가을철에 매실나무로 와서 유시충(유시충)의 진딧물로 변하여 1년생 가지에 산란하여 월동한다.

 

겨울나기 알

간모

유시충

무, 배추, 감자
100여종

과수나무

알로 겨울나기

 복숭아나무                         6월          9~10회                             핵과류 1년가지에 산란
                     (부화 단위생식)           (여름기주)           (가을)  (교미)

 

(그림2)  복숭아 흑진딧물의 생활사

   
   (마) 방제법
   ○ 발생기에 진딧물 전용약제인 다이메크론, 조아진, 모노프, 주렁, 데시스, 메타시스톡스 800~1,000배액을 살포해 준다.
   ○ 월동기간중 조피작업 및 기계유제를 살포해야 한다.



복숭아유리나방(小透羽蟲 )
(Synanthedon hector BUTLER Cherry tree borer)

   (가) 기주식물 : 매실, 살구, 자두, 복숭아, 사과, 배나무, 벗나무

   (나) 가해상태(加害狀態)
   애벌레는 매실나무나 복숭아 나무의 껍질속을 가해하므로 나무수세가 약해지고 심하면 말라죽어 피해가 크다.우리나라의 중부 이남에서는 살구, 복숭아, 매실 등에 큰 피해를 주고 중부 이북에서는 사과, 배 등에 피해가 있다.

   (다) 형 태
   ○ 어른벌레의 몸길이는 15~16mm이며, 검은자색이고, 머리는 검은색이다.촉각은 기부가 약간 황색이고, 다른 부분은 전부 검은색이다.
   ○ 알은 납작한 구형이고, 담황색이다.나무껍질의 갈라진 틈에 1~2개씩 붙어 있다.
   ○ 애벌레는 머리가 황갈색이고, 몸은 담황색이며, 각 마디는 노란색이다. 몸길이는 23mm 정도이다.
   ○ 번데기는 황갈색이며, 배끝에 돌기가 있다. 몸길이는 16mm 정도이며, 나무껍질 밑의 고치속에 들어 있다.

   (라) 생활사(生活史)
   1년에 1회발생하며, 5월부터 9월까지 어른벌레가 기주나무 원줄기 아랫쪽에 알을 낳는다. 알에서 깨어난 애벌레는 나무껍질 밑에서 생장하여 월동하며, 이듬해 봄부터 연중 가해한다. 번데기의 껍질은 어른벌레가 탈출한 구멍 밖으로 노출되어 있다.성충(成蟲)은 낮에만 활동한다.

 

(그림1) 복숭아 유리나방의 발생 소장                                      (원시 : 1972)

   
   (마) 방제법
   ○ 벌레똥 또는 수지(수지)가 발견되면 애벌레의 잠입부위 이므로 칼이나 철사를 이용하여 직접 잡아준다. 월동후에는 애벌레의 갉아먹는 활동이 왕성하므로 늦어도 월동직전 까지는 잡아야 한다.
   ○ 원줄기에 피해가 심하기 전에 성충이 산란하지 못하도록 접촉성 살충제를 충분히 살포하고, 발생이 심한 곳에는 살충제를 혼용한 백도제를 발라준다.
   ○ 6월상순과 8월상순에 침투성 살충제를 살포한다. 유기인제 및 합성제충국제를 뿌릴 때는 줄기와 가지 부위에 충분히 묻도록 살포한다.
   ○ 피해부위는 전정시 잘라 성충이 되어 탈출하기 전에 불태워야 한다.
   ○ 피해부위에 살충제를 300~500배로 희석하여 주입해야 한다.

 

(그림2) 복숭아 유리나방


고약병(膏藥病)(Septobasidium bogoriense PARTOUILLARD. brown and gray lepra)  

 


이 병은 각지에 널리 분포하나 큰 피해는 없으며, 매실나무 생육기간중 언제든지 발병합니다.
특히 수세가 약한 나무에서 주로 발병합니다.
병원균은 깍지벌레(介穀蟲)의분비물(分泌物) 위에 착생하여 번식합니다.
병원균과 병징의 차이에 따라서 잿빛고약병 갈색고약병으로 분류합니다.

(가) 기주식물 :매실나무,뽕나무, 벗나무, 밤나무, 복숭아나무, 자두나무,배나무 등있습니다.

(나) 병징(病徵)
주로 묵은가지나 나무줄기에 발생합니다.
잿빛고약병 이거나 갈색고약병 이거나를 막론하고 이 병에 걸린 나뭇가지나 나무줄기의 표면에는 원형 또는 불규칙형의 두꺼운 막층(膜層)이 생기며, 고약을 바른 것과 같이 보입니다.
잿빛고약병은 처음에는 다색(茶色)이지만 나중에는 쥐색,자색을 띤 담갈색, 흑색의 띠를 두른 것과 같이 변하고 묵으면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그러나 갈색고약병반은 보통 갈색이며 가장자리에 좁은 회백색의 띠가 있습니다.
(다) 병원균
(잿빛고약병균-Septobasidium bogoriense PARTOUILLARD.갈색고약병균-S. tanakae<MIYABE> BOEDIJIN et STEIMANN)
이 병원균은 다같이 담포자를 형성합니다.
잿빛고약병균은 처음에는 무색이고,구형(球型)인 구상체(球狀體)를 형성하며, 그후 여기에서 담자낭이 형성됩니다.
담자낭은 무색 원통형으로서 약간 굽은 형태이고,크기는 24~48μ ×6~85μ이며, 4포(胞)로 되어 있는데, 각포(胞)에서는 소병(小病)이 생기며, 여기에 담포자가 착생합니다.
갈색고약병균은 구상체를 형성하지 않고 직접 담자낭을 형성합니다.
담자낭은 무색 방추형이고, 3~5포(胞)이며, 크기는 49~65μ ×8~9μ 인데, 각 포(胞)에서 소병(小病)이 생기고 여기에 담포자가 착생합니다.
이 담포자는 무색 단포(單胞)이고, 낫모양이며, 이것이 발아하여 직접균사를 형성합니다.


   (라) 전염경로

균사, 겨울나기

담포자

전염

침입, 감염

   병든 나무줄기                              6~7월                      묵은가지

 (마) 방제법
○ 겨울철에 석회유황합제 5도액을 살포하면 예방이 가능합니다.
○ 깍지벌레의 방제를 위해 월동기에 기계유유제 20배액을 살포하고 생육기에는 수프라사이드 1,000배액을 살포한다.
○ 병반 부위를 긁어내고 그 자리에다 그 부위에 석회유황합제 원액을 10배정도로 희석하여 발라줍니다.

 

   



날개무늬병(紋羽病))
[Helicobacidium mompa TANAKA-자문우병(紫紋羽病)
 Rosellinia necatrix (HARTIG) BERLESE- 백문우병(白紋羽病), violet root rot].

   (가) 기주식물 : 사과, 배, 복숭아, 매실 등 전과종(全果種)

   (나) 병징(病徵)
   수세(樹勢)가 약화되고, 잎이 적어지며, 황색을 띤다.계속되면 낮에는 시들었다가 밤에는 싱싱해졌다가 하면서 조기 낙엽되어 말라 죽는다.

   (다) 병원균
   이 병원균은 담포자를 형성하고, 병반은 표면에 자문우병(紫紋羽病)의 경우는 자홍색, 백문우병(白紋羽病)인 경구는 백색의 실같은 균핵(菌核)을 형성한다.

(그림1) 흰빛날개무늬병 병원균 모양

 

(그림2) 자주빛 날개무늬병 병원균 모양

 

   (라) 전염경로

균사

빗물

뿌리전염

발병

    토양월동

 

   (마) 방제법
   ○ 병에걸린 나무는 뽑아 불에 태운다.
   ○ 이 병의 피해로 나무가 죽은 곳은 클로르피크린, PCNB분제 등 토양살균제로 소독하거나 흙을 태워 소독하고 다시 재식해야 한다.
   ○ 병든 나무는 꽃, 과실 등을 따주어 수세(樹勢)를 안정시켜야 한다.

줄기마름병(胴枯病)
(Valsa leucostoma (PERS et FR) FR. Die-back Canker)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세력이 약한 나무, 수령(樹齡)이 많은 나무는 강전정(强剪定)할 경우 또는 병해충 및 바람, 추위에 의해 피해를 받아 나무세력이 약해진 경우에 발병이 심하다.

   (가) 기주식물 : 매실, 복숭아, 살구, 자두, 양앵두나무

   (나) 병징(病徵)
   땅 표면 가까운 줄기부위 표피에 피해를 준다. 상처를 통해 침입하는 병균으로 처음에는 껍질이 약간 부풀어 오르나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마르게 되고, 피해를 받은 나무는 겨울을 난후 심하면 말라 죽는다.
   늙은 나무에서는 피해부위에서 2차적으로 버섯 같은 것이 생기기도 한다. 병반은 봄과 가을에 확대되고, 여름에는 일시 정지한다.

   (다) 병원균
   이 병원균은 자낭균병 구과균(球果菌)에 의한 질병으로 상처를 통해 침입하며, 피해부위 조직속에서 겨울을 난후 다음해에 발생을 계속한다.발육온도는 5~37°c이고, 최적온도는 28~32°c이며, 포자의 발아적온은 18~32°c이다.
   균사의 발육에 필요한 산도(PH)는 5.6~5.8이고,포자는 산도(PH)4.2~5.3이다.

(그림) 복숭아 줄기마름병의 발생소장

   
 (라) 전염경로

균사, 자낭각 겨울나기

자낭포자

전염

침입, 감염

   암종의 껍질                                                             바람, 곤충                   가지상처                                                                                                            언피해 입은가지

 

   (마) 방제법
   ○ 비배관리(肥培管理)를 잘하여 나무 수세를 튼튼하게 할 것이며, 유기물을 충분히 사용한다. )10a당 2,000~3000kg)
   ○ 강전정(强剪定)을 피하고, 여름철 강한 직사광선이 줄기에 직접 닿으면 일소현상이 일어나므로 그늘이 약간 지도록 햇가지를 배치하는 등 일소방지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세균성구멍병(괴양병)
(Xanthomonas pruni(E. E SMITH) DOWSON. Bacterial shot hole)

   우리나라 각지에 널리 분포하여 적지 않은 피해를 주는 병이다.잎에 발생시 대체로 최초 발생은 4월하순경 부터이나 발생최성기는 7~8월 장마철이다.5월중 하순부터 과실과 햇가지(新梢) 등에 침입하여 발병한다.

   (가) 기주식물 : 매실, 복숭아, 살구, 자두, 양앵두 나무

   (나) 병징(病徵)
   잎의 발생초기에는 담황색 및 갈색의 다각형 반점이 나타나고, 후에 갈색에서 회갈색으로 변하면서 병반에 구멍이 생긴다. 구멍은 적고 연속해서 많이 나타나며, 구멍이 둥글기 보다는 다각형으로 되는 점이 다른 병과 구별되는 증상이다.가지에는 가지의 잎눈자리를 중심으로 둥글고 보라빛의 병반이 나타나며, 점차 갈색으로 되어 오목하게 들어간다.
   과실의 표피에는 갈색의 작은점이 나타나고 그후 흑갈색으로 확대되면서 부정형의 오목한 병반이 생긴다.

   (다) 병원균
   병원균은 짧은 막대모양의 세균이다. 발육 최저온도는 10°c이고, 최적온도는 25~30°c이며, 최고온도는 35°c이고, 사멸온도는 51°c에서 10분간이다.병균은 가지의 병반 조직속에서 잠복하여 겨울을 보낸후 다음해에 계속 발생한다.

(그림1) 세균성 구멍병의 병원균과 피해잎

 

(그림2) 세균성 구멍병의 발생소장

 

   (라) 전염경로

병원균 겨울나기

전염

친입,감염

       가지의 궤양부                                   비, 바람                           숨구멍, 껍질눈 상처

 

   (마) 방제법
   ○ 봄철 싹이 트기전에 석회유황합제 5도액을 뿌린다.
   ○ 전정이 피해받은 가지를 제거하고 과실에는 개화전부터 6월말까지 아연석회나 아그렙토 수화제 800배액을 주기적으로 3회정도 예방 살포한다.
   아연석회를 살포할 경우 4~5월상순에는 4-4식을 주 1회 정도 살포하고, 5월 이후에는 6-6식을 10일 간격으로 살포해 준다.잎의 예방에는 아연석회액이 효과적이나 과실의 예방에는 아그렙토 수화제가 좋다.
   ○ 비, 바람이 심한 곳은 방품림을 설치해야 한다.
   ○ 배수를 좋게 하고, 질소질비료를 과다하게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