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박의 바이러스병

1. 서문

  지구상의 많은 작물 및 유용식물이 바이러스 병의 발생으로 말미암아 막대한 피해를 받고 있어 인류에게 직접 간접으로 끼치는 손실이 대단히 크다. 바이러스병은 곰팡이(사상균)나 세균(박테리아)에 의하여 발생하는 다른 병들과는 달리 일단 병에 걸리면 약제살포등의 직접적인 방법으로서는 방제할 수 없다. 다시 말해서 현재까지는 바이러스병을 방제할 수 있는 특효약이 없다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바이러스병의 가장 좋은 방제대책은 "바이러스병에 걸리지 않게 하는"것이다. 만약 먼 뒷날 바이러스병에 특효한 농약이 발견된다면 이때까지의 바이러스병 방제대책에 대한 개념이 크게 달라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비단 바이러스병 뿐만 아니라 다른 어떤병이라도 그 병에 대한 병원체, 병징, 전염경로등 성질을 충분히 알고 정확하게 파악한다면 방제대책은 훨씬 손쉽게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바이러스병에 걸리지 않게 하기"위한 방제대책은
① 바이러스병의 전염원(傳染源)의 제거 또는 소멸
② 바이러스병의 전염경로의 차단
③ 바이러스병 면역성 또는 저항성 품종 재배의 세 가지로 집약하여 생각할 수 있다.
  만약 바이러스병 면역성 품종이 있다면 아무리 전염원이 많고 전염 매개체가 많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 품종을 재배하면 바이러스병에 대한 걱정은 없을 것이며 또 얼마간 저항성이 있는 품종이 있다면 품질이나 수량이 문제시되지 않을 때 이러한 품종을 재배한다면 바이러스병의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바이러스병이 발생하려면 어디엔가 병원체인 바이러스가 반드시 있어야 하며 어떤 전염경로를 거쳐 식물에 옮겨져 발생하게 되므로 전염원과 전염경로의 두 가지 모두 또는 어느 한쪽을 철저히 제거하든지 차단 시킬 수 있다면 바이러스병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실제 농사에 있어서는 이 전염원과 전염경로를 완전히 제거하거나 차단 시킬 수 없으므로 이 두가지를 병행실시 하든지 위에 말한 세 가지를 종합하여 방제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어떤 한 작물에 발생한 바이러스병의 병원(病原)바이러스가 한가지 일때는 비교적 방제하기 쉬우나 대부분의 경우 두 가지 세 가지 또는 그 이상 여러 가지 바이러스가 복합 감염되어 발생하므로 이들 바이러스에 따라 전염원, 전염 경로, 저항성 품종이 각각 다르며 또 바이러스가 갖고있는 여러 가지 성질이나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바이러스병 방제대책은 복잡해진다.

    CMV추정                  WMV추정                   WMV추정

2. 바이러스병 어떤 병인가?

  1) 바이러스병이란?

  바이러스란 식물체에 침입하여 바이러스병을 일으키게 하는 병원체로서 사상균이나 세균보다 그 크기가 훨씬 작은 입자이며 다른 병원체는 생물임에 비하여 생물과 무생물의 양극한(兩極限)에 있다. (표1)
  그러므로 바이러스를 정의하는데 다음의 세가지가 필요한 조건이 된다.
  ① 보통 현미경으로는 볼 수 없으며 전자 현미경에 의해서만이 관찰할 수 있는 아주 작은 입자이다.
  ② 반드시 식물에 병을 일으키게 하는 능력을 갖고 있다.

표1. 자연계에서의 바이러스의 위치(생물과 무생물의 사이)


번식
생물


번식
생물

곰팡이(사상균)

-배추 노균병

-22~28×22~30μ

세균(박테리아)

-배추 무름병

-1.2~3.0×0.5~1.0μ

리켓챠

 

-800×300nm

마이코프라즈마

-대추나무 위축병

-800×80nm


자기
증식




대형 바이러스

-감자황화위축
바이러스병

-380×75nm

중형 바이러스

-담배모자이크
바이러스병

-300×15nm

소형 바이러스

-오이모자이크
바이러스병

-30nm

증식
하지
않음

분자

-란알부민
-헤모그로빈

-9×3nm
-2.8×0.6nm

          ※ 1μ=1/1,000㎜, 1㎚=1/1,000,000㎜

  ③ 살아있는 식물 세포 속에서만 증식되며 시험관속의 배양액에서 인공배양은 불가능하다.
  이 세 가지 조건을 다른 병원균, 유전자와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표2. 바이러스와 다른 미생물과의 비교

항  목

바이러스

노균병

도열병

유전자

초 현미경적인 크기
식물에 대한 감염성
살아있는 세포속에서만 증식



×

×

×


×

  2) 바이러스병의 발견

  바이러스가 세상에 최초로 알려진 것은 식물 바이러스인데 1886년 화란에서 독일인 아돌프 마이어(Adolf Mayer)가 담배의 모자이크 바이러스병에 걸린 잎의 즙액을 건전한 담배식물의 잎자루에 주사한 바 똑같은 모자이크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발견한데서 비롯한다. 이때 이 병즙액을 끓여서 주사한 것은 모자이크 병징이 나타나지 않아 담배의 모자이크 바이러스병은 세균에 의하여 발생하는 병이라 생각하여 왔다.
  그후 1892년 러시아인 드미트리 이바노브스키(Dmitri Ivanovski)가 담배의 모자이크 바이러스병 즙액을 세균여과기로 여과하여 건전한 담배식물에 접종한바 모자이크 증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이 병원체는 세균보다 더 작은 것임을 주장하여 여과성인 병원체라 생각하여 왔는데 다시 6년 후인 1898년 화란인 마르티누스 베이에 르니크(Martinus Beiiernik)에 의하여 비로서 바이러스(여과성 병독 도는 여과성 병원체)라 불리어지게 되었고 이와 때를 같이하여 다른 식물이나 사람, 가축 등에서 바이러스에 의한 병들이 차례차례 밝혀지기 시작하였다.
  바이러스가 담배에서 발견된 약 30년 후인 1910년대 후반 미국에서 처음 오이, 토마토, 감자 등의 바이러스병의 발생이 발표되면서 채소 작물에 발생하는 여러 가지 바이러스병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이때까지 생리적인 원인에 의한 생육 이상으로만 생각하여 오던 병원체를 알 수 없는 여러 가지 병들의 정체가 하나하나 밝혀지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이들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었으며 1960년대에 들어서 비로서 감자와 무 바이러스병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3) 바이러스병의 피해

  바이러스 입자가 식물체에 침입하게 되면 침입한 부분에만 병징이 나타나는 것과 식물체전체에 병징이 나타나는 것이 있는데 전신적으로 감염이 되는 것은 건전한 식물에 비하여 생육이 부진하여 특히 열매나 종자를 필요로 하는 식물에서는 개화수가 적어지고 수정율이 낮아져 착과율이 낮든지 불임이나 임신불양이 되므로서 수량이 낮아진다. 생육 초기에 감염되어 발병할수록 피해가 심하며 생육 후기에 감염 발병하는 경우에도 수량에 미치는 영향은 적지않다. 피해의 정도는 바이러스의 종류와 상대식물에 따라 다르나 가벼운 것은 5∼20%, 심한 것은 50∼80%의 수량 감소를 가져온다.

  4) 바이러스병은 어떻게 전염되는가?

  식물바이러스는 자기자신이 직접 식물체를 뚫고 들어가서 병을 일으키지 못하며 언제나 타동적으로 세포속으로 들어가서 비로서 병을 일으킨다. 따라서 바이러스병이 퍼지는 경우를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① 병에 걸린 식물의 일부가 다음세대의 전염원(傳染源)이 된다(종자, 괴경, 구근, 삽목, 포기나누기 등)
  ② 어떤 특정한 생물(곤충, 곰팡이, 토양선충)의 매개에 의하여 전염된다.
  ③ 건전한 식물과 병에 걸린 식물의 접촉에 의하여 전염된다(접목, 즙액, 잎이나 뿌리 및 줄기의 접촉)
  따라서 바이러스병의 전염 경로는 종자전염, 즙액전염(접촉전염), 접목전염, 새삼덩굴에 의한 전염, 영양번식에 의한 전염, 토양(생물)에 의한 전염, 충매전염(蟲媒傳染)등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가. 종자전염

  현재까지 알려진 680여종의 식물 바이러스병 중 약 10%에 해당하는 60여종이 종자전염 하는 것으로 밝혀졌고, 주로 콩과식물과 박과 식물에서 종자전염의 많은 예를 발견할 수 있으며 종자에 의한 바이러스병 전염율은 보통 5-20%라고 알려져 있으나 개중에는 50%를 넘는것도 많다.
 이들 바이러스가 식물에 따라 전염되는 것이 다르며 바이러스의 계통이나 식물의 품종간에 차이가 있다. 담배 겹무늬 바이러스(TRSV)는 콩에서 100% 종자전염 하나 상치에서는 21% 전염할 뿐이다.
  콩과 식물에서는 한꼬투리 속의 콩종자 중에도 바이러스가 전염된 종자와 전염 안된 종자가 있으며 꼬투리가 달린 위치에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바이러스병의 종자 전염은 배(胚)속에 들어있는 바이러스 입자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이 보통인데 수박 종자에서 오이 얼룩 모자이크 바이러스(CGMMV)가 토마토나 고추종자에서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 전염의 경우처럼 종피속이나 종피표면에 붙어있는 바이러스 입자에 의하여 발병하는 수도 있으며 강낭콩 동부 모자이크 바이러스(SBMV)처럼 배나 종피에 바이러스가 침입하여도 종자가 완숙하면 불활성화되어 전염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바이러스가 종자의 배에 침입하는 경로는 ① 모식물(母植物)에서 옮겨가는 경우 ② 바이러스를 갖고있는 꽃가루의 수분에 의하여 씨방에 들어가는 경우가 있는데 후자의 경우를 화분전염이라 한다. 식물이 바이러스병에 감염되는 시기가 늦을수록 전염율이 낮아지며 특히 개화이후의 감염은 거의 종자전염하지 않는다. 콩 모자이크바이러스(SMV)나 콩위축 바이러스(SSV)의 경우, 병에 걸린 식물에 건전한 식물의 화분을 수분하든지 반대로 건전한 식물에 병에 걸린 식물의 화분을 수분하였을 때 모두 종자 전염을 일으키나 후자가 전자보다 전염율이 낮으므로 바이러스의 종자전염은 모식물에 의하여 배에 침입하여 발병하는 것이 많다고 볼 수 있다.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걸린 토마토나 고추종자, 오이 얼룩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걸린 오이 종자처럼 종피속이나 종피표면에 바이러스가 있는 경우는 발아한 어린싹이 자랄 때 접촉감염이 되어 전염되는 것이다.

  나. 즙액전염(접촉전염)

  바이러스병에 걸린 식물의 즙액속에 있는 바이러스 입자가 직접 건전한 식물에 접촉되어 그 아주 작은 상처를 통하여 들어가 바이러스병을 일으키는 것을 즙액전염 또는 기계적 전염이라 하는데 포장에서 바람이나 관리작업중에 잎과 잎이 서로 접촉하여 전염이 일어나는 접촉전염도 이에 속한다.
  많은 식물 바이러스병의 대부분이 즙액 전염이 되며 실제 농사에서 살펴보면 감자의 씨눈쪽을 자를 때 절단칼에 묻은 즙액으로 감자 X바이러스가 전염되며 또 감자밭에서 병포기의 잎과 건전한 포기의 잎이 서로 접촉하여 감자X바이러스, 감자S 바이러스가 전염되고 박과 채소의 적심때 병포기를 만지든 손에 묻었든 즙액이 건전한 포기에 옮겨져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를 전염시키거나 담배를 피우던 손으로 토마토나 고추의 곁눈을 따줄 때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가 전염되는데 즙액 전염은 주로 관리작업 중에 많이 일어나므로 주의를 요한다.

  다. 접목전염

  대부분의 바이러스병이 접목에 의하여 전염이 가능하다. 그러나 실제 바이러스병의 연구를 위한 접목시험을 제외하고는 그리 흔하지 않으며 다만 과수에서 대목이나 접수의 어느한쪽이 바이러스병에 걸린 재료를 사용하여 접목묘를 양성했을때에 흔히 일어난다.
  사과의 고접병(高接病)은 환엽해당이나 삼엽해당을 대목으로 한 사과모수(母樹)에 바이러스병이 잠재되어있는 데리셔스계 품종의 접수를 고접했을 때 모수가 쇠약하는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 경우 바이러스는 접목에 의하여 전염되는 것이다.

  라. 새삼덩굴에 의한 전염

  기생식물인 새삼덩굴에 의하여 바이러스병이 전염되는 수가 많다. 병에 걸린 식물에 기생하고 있는 새삼덩굴의 끝부분을 건전식물에 감아주면 바이러스는 새삼덩굴을 통하여 건전한 식물에 옮아가게 된다. 새삼덩굴은 100여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연구에 의하면 17종의 새삼덩굴중 110종이 오이모자이크 바이러스, 5종이 알팔파 모자이크 바이러스를 전염 시켰다. 그러나 강낭콩 황반 모자이크 바이러스(BYMV)나 감자Y바이러스(PVY)등은 새삼덩굴에 의하여 전염되지 않는다. 새삼덩굴에 의하여 전염되는 병은 바이러스가 새삼덩굴속에서 증식되는 경우와 단지 체내 양분의 이동에 따라 바이러스가 운반만 되는 경우가 있다.

                 선충에의한 바이러스 감염              새삼덩굴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

  마. 영양번식에 의한 전염

  영양번식을 하는 식물이 바이러스병에 걸려 있으면 여기에서 생육하는 어린묘는 모두가 바이러스병에 걸려있게 된다.
  감자, 나리, 튜립, 딸기, 고구마등 괴경, 인경, 구근, 괴근, 삽목, 삽아, 포기나누기로서 번식하는 식물은 종묘의 이동에 의하여 급속하게 바이러스병이 퍼지게 되어 바이러스병을 제거하는 것이 쉽지 않다. 이와같은 바이러스병을 없애기 위하여는 건전종묘의 육성만이 가능하며 건전한 포기가 다시 바이러스병에 걸리지 않도록 격리된 곳에서 증식하지 않으면 안 된다. 건전한 종묘의 육성에는 무병독주를 선발하거나 종자전염을 하지 않는 것은 진정종자(眞正種子)에서부터 시작하는 방법이 있는데 최근에는 생장점의 조직배양에 의하여 바이러스 무병독주를 얻어내는 방법이 개발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바. 토양(생물)에 의한 전염

  토양에 서식하고 잇는 아주 작은 생물에 의하여 전염되는 바이러스병이 있다. 전염매개체가 밝혀지지 않았을 때에는 토양전염으로 알려져 왔으나 현재는
  ① 토양선충에 의하여 전염되는 것
  ② 토양 곰팡이에 의하여 전염되는 것으로 나눈다. 이외에 토양중에 남아있던 식물 조직속에 바이러스가 들어있다가 뿌리와의 접촉에 의하여 전염된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토양선충에 의하여 바이러스병이 전염된다는 사실은 1958년 헤윗트에 의하여 포도의 부채꼴잎 바이러스에서 처음 발표되었고 곰팡이에 의한 전염은 1960년 히다까에가 담배 왜화 바이러스가 Olpidium이라는 곰팡이의 매개로 전염된다고 보고되었다.

3. 수박의 바이러스병

  1) 수박에 발생하는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병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는 1916년 Dcolittle과 Jagger에 의하여 처음 알려져 바이러스로서 오이, 참외, 수박 등 박과 식물뿐만 아니라 토마토, 상치, 당근, 페추니아 등 45과 124종의 식물에 바이러스 병을 일으키며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전세계에 널리 분포 발생하고 있다.

  가. 바이러스의 모양, 크기, 성질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는 지름 30㎚의 공 모양의 입자로서 열에 견디는 힘이 약 70℃(10분간), 희석 한계점이 1/10,000, 실온(20℃)에서 병원성의 지속 기간이 3∼6일이다.

  나. 전염원 및 전염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는 숙주 범위가 매우 넓어 수많은 식물에 기생성을 갖고 있어 국화과 식물에서부터 벼과 식물에 이르기까지 많은 식물이 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병을 일으키며 식물 바이러스 중에서 가장 많은 숙주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식물이 모두 전염원이 되고 있으며 중요한 숙주 식물들은 표3과 같다.

표3.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주요한 숙주 식물들

과 명

식 물 명

과 명

식 물 명

국 화 과

도라지과
박 과

현 삼 과
가 지 과

꿀 풀 과
산 형 과
제비꽃과
봉선화과
콩 과

장 미 과

쑥갓, 상치, 국화, 해바라기, 우엉,
금잔화, 백일초, 거베라, 개망초
도라지, 초롱꽃
오이, 참외, 멜론, 쑤세미, 호박, 박,
동아, 수박
금어초, 오동나무
토마토, 고추, 가지, 담배, 까마중,
꽈리, 독말풀
박하, 살비아
당근, 셀러리
제비꽃, 펜지
봉선화
완두, 잠두, 강낭콩, 동부콩,
크로바, 루-핀
자두, 벚꽃나무

범의귀과
십자화과

미나리아재비과
석 죽 과
명아주과
여 뀌 과
붓 꽃 과

수선화과
천남성과
벼   과
닭의장풀과
밀 감 과

수국
무, 숫무, 유채, 갓, 양배추, 배추, 고추냉이, 컬리플라워
아네모네
패랭이꽃, 안개꽃, 별꽃,
끈끈이대나물
근대, 시금치
메밀, 마디풀
그라디오러스
수선, 상사화, 아마리리스
토란
옥수수
달개비, 나도생강, 자주양달개비
밀감

표4.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병 전염에 많이 관여하는 진딧물

1. 목화진딧물
5. 봇털진딧물
9. 씀바귀볼록진딧물
13.우엉수염진딧물

2. 복숭아혹진딧물
6. 박주가리진딧물
10.양배추가루진딧물
14.국화꼬마수염진딧물

3. 기장테두리진딧물
7. 연테두리진딧물
11.아카시아진딧물
15.찔레수염진딧물

4. 옥수수테두리진딧물
8. 버들쌍고리진딧물
12.대만수염진딧물
16.무우테두리진딧물

① 즙액 전염
  농작업중의 즙액 접촉에 의한 전염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험적으로는 모든 숙주 식물에 즙액 전염이 가능하다.

② 진딧물에 의한 점염
  복숭아 혹진딧물, 목화 진딧물의 비롯하여 60 여종의 진딧물에 의하여 아주 쉽게 전염되며 진딧물 이외의 다른 곤충에 의하여 는 전염되지 않는다. 진딧물에 의한 전염은 비영속적인 전염을 하며 진딧물의 모든 영충이 전염시킬 수 있다. 병식물에서 1분 미만의 흡즙으로 바이러스를 획득하여 전염 능력을 가지며 잠복기간 없어 1분 미만의 가해 흡즙으로 전염이 가능하다. 진딧물 체내에서의 지속기간은 4시간 미만이며 바이러스 보독 진딧물이 낳은 새끼 벌레를 통한 계대 전염은 되지 않는다.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병의 어떤 계통은 특정한 진딧물에 의하여 전염력을 상실하기도 하나 다른 종류의 진딧물에 의하여 전염성을 보유한다. 60여 종의 매개 진딧물 중 가장 많이 전염에 관여하는 진딧물을 적어 보면 표4와 같다.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병은 진딧물에 의한 전염은 진딧물의 종류와 바이러스의 계통에 따라 다르나 목화 진딧물이 다른 진딧물에 비하여 높은 전염율을 가지고 있으며 바이러스병의 계통 중에서 황반계(黃斑系)가 진딧물에 의한 전염율이 가장 낮다.

③ 종자 전염
  일반적으로 종자 전염은 하지 않으나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병은 동부 콩에 감염되었을 경우 4∼18%의 종자 전염이 일어난다고 하고있다.

④ 토양 전염
  토양 전염에 대한 연구 결과는 아직 없다.

⑤ 새삼덩굴에 의한 전염
  새삼 넝굴류에 이 바이러스가 감염되며 적어도 10종 이상의 새삼 넝굴이 이 바이러스를 전염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 바이러스병의 계통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병은 앞에 말한 바와 같이 숙주 범위가 매우 넓어 많은 식물에 바이러스병을 일으키며 많은 계통이 알려져 있고 서로 다른 식물에서 분리된 분리주 하나하나가 약간씩의 차이점을 보여 주고 있어 엄밀한 의미에서 매 분리주 마다 하나의 계통으로 볼 수도 있겠으나 판별 숙주상에 나타나는 병징의 차이와 각 숙주 식물에 대한 기생성의 차이로서 크게 묶어보면 보통계, 황반계. Y계(콩과 식물계), 십자화 식물계, 시금치계(명아주과 식물계), 박계(Laminaria 계) 등으로 대별할 수 있다.

  2) 수박 모자이크 바이러스병

  수박 모자이크 바이러스병은 1954년 Anderson이 처음 발표하였고 1960년 Regenmortel에 의하여 정식으로 인정된 바이러스로서 주로 박과 식물과 콩과 식물의 일부에 바이러스병을 일으켜 모자이크 증상을 나타내나 박과 식물에서는 오이 모자이크바이러스에 의한 병징보다 더 심하고 기형이나 위축현상이 심하다. 동북 아시아, 미국, 남 아프리카, 유럽 하와이 등에서 발생되고 있다.

  가. 바이러스의 모양, 크기, 성질
  수박 모자이크 바이러스는 길리 750㎚의 노끈 모양의 입자로서 계통에 따라 그 성질이 약간씩 차이가 있으나 대체적으로 보면 열에 견디는 힘이 55∼75℃(10분), 희석 한계점이 1/10,000∼1/100,000 실온(20℃)에서 감염력의 지속기간은 2∼10일이다.

  나. 전염원 및 전염
  수박 모자이크 바이러스병은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병과는 달리 자연 상태하에서 숙주 범위가 박과 식물과 콩과 식물의 일부에 국한되어 매우 좁다고 할 수 있으며 명아주를 제외한 모든 비 박과 식물에는 발병시키지 않는다. (표5) 그러나 실험실내에서 실험적으로는 17과의 식물에 발병시킨다는 연구보고도 있다.
  박과 식물은 이른 봄 하우스 재배에서부터 늦여름 억제 재배까지 연중 재배하게 되므로 전염원이 될 수 있는 식물은 일년 내내 존재한다고 보여지나 수박 모자이크 바이러스병은 숙주 범위가 매우 좁아 병 발생이 적어야 할 것 같으나 비교적 발병이 많은 것을 보면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보다 더 쉽게 진딧물에 의하여 전염되는 성질이 있는 것이 아닐까 추측되나 확실치는 않다.
  또한 이때까지 알려진 것 이외에 새로이 알려지지 않은 전염원 숙주 식물이 존재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생기나 이것은 금후 해결하여야 할 연구 과제의 하나이다. 이 바이러스병은 어떤 계통은 박과 식물에만 발병시키고 다른 계통은 박과 이외의 식물에도 약간 발병시키나 바이러스의 전염이 대단히 어렵다.

  ① 즙액 전염
  일반적으로 작업중의 즙액 접촉 전염은 안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하우스내 오이 재배에서 적심이나 정지 또는 수확 등 농작업 진행중 가위에 의한 즙액 전염은 40%, 손에 의한 즙액 전염은 14%나 되었다고 한다.

  ② 진딧물에 의한 전염
  진딧물을 제외한 다른 곤충에 의한 전염은 되지 않고 매개 진딧물로서는 목화 진딧물, 복숭아 혹진딧물, 완두 수염 진딧물의 3종이 알려져 있고 이들 진딧물의 계통 중 어떤 계통은 진딧물에 의하여 전염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 이 바이러스는 진딧물에 의하여 너무 쉽게 전염되는데 한 초기에 한 마리의 진딧물 가해 흡즙으로 약 60%가 감염되며 다섯 마리의 가해 흡즙으로 거의 100%가 감염된다. 또 복숭아 혹 진딧물보다 목화진딧물의 전염율이 약간 높은 편이다.

표5. 수박 모자이크 바이러스병의 숙주 범위

감염되는 식물

박과 : 호박, 오이, 멜론, 수박, 서양호박, 쑤세미 동아
콩과 : 완두, 오꾸라
명아주과 : 명아주

감염않되는 식물

 국화과, 가지과, 콩과 식물의 대부분, 십자화과, 非 박과 식물들

표6. 진딧물에 의한 수박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매개 전염 (고무로 1956)

진딧물류/진딧물수

1마리

5마리

10마리

목화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9/15
(60.0%)
8/15
(53.3)

15/15
(100.0)
14/15
(93.3)

15/15
(100.0)
14/15
(100.0)

 ※ 발병 포기 수/공시 포기 수 (  )는 전염율

  ③ 종자 전염
  수박 모자이크 바이러스병은 종자 전염은 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Lindberg(1956)은 그의 분리 주중에 종자 전염하는 것이 있었으며 고무로(1956) 등은 호박에서 1.06%의 종자 전염을 보고 한 바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종자 전염을 하지 않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④ 토양 전염
  수박 모자이크 바이러스는 토양 전염을 하지 않는다.

  다. 바이러스의 계통
  Webb와 Scott(1965)에 의하면 수박 모자이크 바이러스에는 WMV-1, WMV-2가 있다고하는데 아시아 지방에 발병하는 바이러스는 WMV-2 계통인 것 같다.

  3) 수박에 발생하는 오이 얼룩 모자이크 바이러스병

  오이 얼룩 모자이크 바이러스병은 1935년 Ainsworth에 의하여 처음 알려진 바이러스로서 오이에 녹색 모자이크와 함께 잎에 수포상(水泡狀) 병반을 형성하고 식물체 왜소를 일으키는 이외에 수박에서는 잎에 모자이크 증상을 나타내고 착과 전후에 감염된 것은 과일 내부가 물렁해지는 육질연변(肉質軟變)을 일으키는 멜론에 현저하지는 않으나 엽맥투명과 가벼운 모자이크의 증상을 유발하고 과일은 약한 모자이크을 나타내기도 한다. 오이에 있어서의 피해는 약 15% 정도의 수량 감소이며 아시아 계통의 어떤 품종 중에서 이 바이러스에 저항성인 품종은 아직 없다. 이 바이러스는 유럽, 인도 및 동북 아시아에 분포 발생하고 있다.

표7. 오이 얼룩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숙주 범위  (이노우에 1967)

전신 감염 식물

오이 호박, 서양호박, 폐포호박, 멜론, 참외, 동아, 수박, 조롱박

국부 감염 식물

쑤세미, 독말풀, 명아주, 페추니아, 담배(삼선, 화이트 벌리)

감염이 되지 않는 식물

토마토, 가지, 고추, 비-트, 시금치, 천일홍, 강낭콩, 팥, 콩, 잠두, 무, 순무, 상치, 쑥갓, 백일초 등

CGMMV와 복합감염 추정

표8. 오이 얼룩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몇가지 접촉 방법에 의한 전염  (이노우에, 1967)

접촉 방법

발병 주수

발병율

1. 병든 잎의 자른 부분을 건전지엽에 문지름
 2. 병든 잎을 건전주 자엽에 가볍게 문지름
 3. 병든 잎을 짓이긴 손으로 건전주 자엽에 가볍게 문지름
 4. 병든 잎을 자른 가위에 건전주 자엽을 자름
 5. 건전주 자엽에 병든 잎을 짠 즙액을 떨어트림

10/10 ※
10/10
12/12
 3/20
 1/12

 100.0 %
100.0
100.0
 15.0
 

※ 발병주수 접종주수

표9. 가위에 의한 오이 얼룩 모자이크 바이러스이 전염

접종식물

공시주수

발병 주수

접종 16일후

21일

23일

27일

발병율

오이(구루미 낙합H F1)

24

0

0

2

3

5

20.8%

오이(구루미 낙합2호)

24

2

3

0

0

5

20.8

호 박

5

0

0

1

1

2

40.0

표10. 접촉방법과 오이 얼룩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발병

접촉 방법

발병 주수

병포기의 덩굴과 포개어 수박밭에 방치
병포기의 덩굴과 마찰시킨다.
폿트에서 모를 뽑아 병포기사이에 심는다.
폿트에서 모를 뽑아 뿌리를 자르고 병포기새에 심는다.
병즙액이 묻은 손으로 측지를 자른다.
병 즙액이 묻은 손으로 덩굴 끝을 강하게 쥐어누른다.
인공 접종
무 처 리

1/2
2/2
0/2
1/2
1/2
1/2
2/2
0/2

 ※ 발병주수/처리주수

  가. 바이러스의 모양, 크기, 성질
  오이 얼룩 모자이크 바이러스는 길이 300㎚, 굵기 18㎚의 막대기 모양의 입자이며 열에 견디는 힘이 80∼90℃(10분간), 희석한 한계점이 1/1,000,000이상, 실온에서 보존하면 감염성의 지속기간은 1년 이상이며 실험적으로 0℃에서 보존할 때 감염성은 수년간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보다 훨씬 독성이 강한 바이러스병이다.

  나. 전염원 및 전염
  오이 얼룩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숙주 범위는 매우 좁아 주로 박과 식물에 국한되어 있다. 계통 판별 시험에서 독말풀, 담배, 페츄니아의 접종엽에 국부병반을 형성할 뿐으로 전염원은 대부분 박과 식물이다. (표 7)

CGMMV

표11. 70℃ 건열 처리한 병에 감염된 종자의 오이 얼룩 모자이크 바이러스병 검정         (니시 1967)

처리일수

종피배

혈청반응

접종점검

혈청반응

접종점검

1일
2
3
4
5
6
무처리

+
+
+
+
+
-
+

1/4 ※
0/4
0/4
0/4
0/4
0/4
4/4

+
+
+
+
+
-
+

2/4
0/4
0/4
0/4
0/4
0/4
4/4

  ① 즙액 전염
  이 바이러스는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 병과 마찬가지로 즙액 접촉 전염이 매우 강하며 재배 관리작업중 적심, 덩굴 다듬기 등을 할 때에 가위나 손의 접촉에 의하여 아주 쉽게 전염된다. (표 8, 9)

  ② 곤충에 의한 전염
  현재까지 알려진 것은 없으며 목화 진딧물, 복숭아 혹 진딧물, 오이 잎벌레의 어느 것에 의하여도 전염되지 않는다.

  ③ 종자전염
  오이에서 높은 율은 나타내나 이 바이러스의 종자 전염을 인정할 수 있으며 병식물에서 채종 1개월후의 종자로부터의 발병은 8%에 이르며(약 1.7% 내외로 추정하는 학자도 있음) 병식물에서 채종한 후 5개월 저장한 종자는 약1%의 전염율을 나타내었다. 또 병에 감염된 초기에서 수확한 과일에서 채취한 미숙 종자, 완숙종자, 종자주위의 피막, 과육에 대하여 항혈청 검정과 오이에 접종 시험을 병행해 본 결과 어느 부분에서든지 바이러스를 검출할 수 있었다. 종자 내부에까지 바이러스 병이 침투된 반백계 오이종자를 70℃의 건열 처리한 결과 완전히 건조된 종자의 전염율은 낮으며 채종 즉시의 종자는 발병율이 높다.

  ④ 토양 전염
  오이 얼룩 모자이크 바이러스 병이 발병되었던 포기 주위의 흙에 오이를 파종하든지 또는 그 흙의 침출액을 어린 오이에 접종하면 새 식물이 발병하는 것으로 보아 이 바이러스가 토양 전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토양 중에 병식물의 잔뿌리가 많이 남아 있을수록 병원성이 강하며 잔뿌리가 완전히 분해된 토양은 병원성이 없거나 또는 약하다.

  ⑤ 새삼 덩굴에 의한 전염
  오이 얼룩 모자이크 바이러스는 실새삼을 비롯한 3종의 새삼 덩굴에 의하여 전염된다.

  다. 바이러스의 계통
  오이에 녹색 모자이크를 나타내며 가끔 황색 모자이크를 나타내는 오이계와 수박에서 분리되는 수박계 그리고 1969년 일본요도지방의 오이에서 분리된 요도계의 3계통이 알려져 있으며 수박계는 오이에서 분리된 오이계와 같은 계통으로 추정되어 왔으나 C. amaranticolor와 독말풀에 나타나는 반응이 달라 다른 계통임이 밝혀졌다. (표 12)

표12. 오이 얼룩 모자이크 바이러스 3계통의 숙주반응

계통명/식물명

C.amaranticolor

독말풀

오이계
수박계
요도계

-
국부반점
국분반점(때론 전신감염)

국부반점
-
국부반점

  ① 바이러스 입자의 형태와 크기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 … 지름 30㎚의 공모양의 입자
  수박 모자이크 바이러스 … 길이 750㎚의 노끈 모양의 입자
  오이 얼룩 모자이크 바이러스 … 기이 300㎚, 굵기 18㎚의 막대기 모양의 입자

  ② 전염 방법
  수박에 바이러스 병을 일으키는 세 가지 바이러스의 전염방법의 차이를 요약해 보면 표13과 같다.

  ③ 판별 식물에 대한 반응
  수박에 바이러스병을 일으키는 3종의 바이러스는 박과 식물에서 나타나는 병징은 비슷한 점이 많으나 몇 가지 판별 식물에 나타내는 반응이 각각 다르므로 이 병징을 종합해보면 표 13과 같다.

표13. 수박의 바이러스병을 일으키는 이 바이러스들의 전염 방법

바이러스

전염 방법

즙액접촉

진딧물

종자

토양

새삼덩굴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
수박 모자이크 바이러스
오이 얼룩 모자이크 바이러스

-?
+
+

+
+
-

-?
-?
+

-
-
+

+
-
+

표14. 수박에 발생하는 3종의 바이러스 판별 식물과 그 반응

판별식물

명아주

독말풀,페츄니아

수박

N.glutinosa

바이러스의 종류

접종엽

상엽

접종엽

상엽

접종엽

상엽

접종엽

상엽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
수박 모자이크 바이러스
오이얼룩모자이크바이러스
 

국부반점
국부반점
-
 

-
-
-
 

-
-
국부반점
 

전신모자이크
-
-
 

국부반점
-
-
 

전신모자이크
전신모자이크
전신모자이크,
괴저증상

-
-
-
 

전신모자이크
-
-
 

표15. 70℃ 건열 처리한 오이 종자의 발아 및 생육

처리일수

실험실 내 샤-레

토 양

치상종자수

발아알수

발아율(%)

파종종자수

정상생육주수

정상생육주율(%)

2일
3일
4일
6일
무 처 리

51
56
49
84
72

35
47
38
56
59

68.6
83.9
77.6
66.7
81.9

42
42
42
42
42

37
38
35
35
40

88.1
90.5
83.3
83.3
95.2

 ※ 건열처리 후 3개월된 종자를 사용

표16. 교배작업에 의한 오이 얼룩모자이크 바이러스의 전염

병포기의 화분을 교배

교배 20일후

교배 25일후

병포기의 화분을 교배
건전한 포기의 화분을 교배

3/13 ※
0/13

7/13 ※
0/13

표17. 병포기의 수꽃 각부의 오이얼룩모자이크 바이러스의 존재

검정 부위

즙액접종에 의한 발병율

화  분
수  술
꽃  잎

4 / 4
4 / 4
4 / 4

  ※ 발병주수/공시주수

  다. 방제대책
  수박의 바이러스병 방제는 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전염 방법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해하고 그 전염 경로를 종합적으로 차단하는 방법을 취하므로서 가능하다.

  ① 전염원의 제거 및 진딧물 방제
  수박의 바이러스병에서 가장 발생이 적고 피해가 적은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와 수박 모자이크 바이러스는 주로 진딧물에 의하여 전염되므로 전염원이 되는 숙주식물의 제거와 진딧물 기생을 방지하는 것이 바이러스병 방제의 요점이 된다. 포장 주위의 바이러스에 감염된 박과 식물과 달개비, 별꽃, 명아주등 숙주가 되는 잡초는 완전히 제거해야 하며 진딧물이 기생하지 않도록 육묘시 한냉사의 피복, 파종정식기의 조정, 벼과 작물의 간작등 경종적 방법과 약제처리 방법 및 약제 선택에 신경을 써야 한다.

  ② 작업도구 및 손의 소독
  수박에 있어서 수박 모자이크 바이러스와 오이 얼룩  모자이크 바이러스는 적심, 정지, 넝쿨 다듬기 등 작업시에 즙액의 접촉에 의하여 많이 전염하므로 바이러스병에 감염된 포기를 다루던 가위, 칼, 손등은 반드시 제3인산소다 10% 용액에 10초간 이상 담구어 소독한 다음 다른 건전한 포기를 다루어야 하며 요즘 간편한 방법은 물1ℓ에 탈지분유 100g을(10%용액) 풀어서 가위나 작업도구 및 손을 자주 담가서 소독 작업에 임한다.

  ③ 종자소독
  오이 얼룩 모자이크 바이러스병은 종자 전염하므로 종자를 소독하여야 한다. 종자 소독은 73℃에 3일간 처리하면 종자내에 침투되었던 바이러스는 불활성화 된다. 이때 발아율이 약간 떨어지지만 열처리하지 않는 종자에 비하여 70∼80%는 발아하며 발아후의 생육도 순조로우나 열처리 기간이 길면 발아가 늦어지는 경향이 있으며(표15) 실제적으로 농가에서 처리하기에는 처리 온도를 정확히 조절하기가 불가능하고 또 다량처리가 곤란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손쉬운 방법으로서는 제3인산소다 10% 용액에 20분 침지하였다가 충분히 물에 씻는것인데 충분히 물에 씻으면 약해는 없으나 발아가 약간 늦어지는 결점이 있다.

  ④ 윤작
  오이 얼룩 모자이크 바이러스병은 감염된 식물의 유체(遺體) 및 잔뿌리가 토양중에 남아있어 토양전염을 하므로 감염된 수박 식물을 제거할 때 잔뿌리까지 완전히 제거하여야하며 발병하였던 포장은 최소한 2년 동안은 박과 식물을 재배하지 말고 윤작하여야 한다.

표18. 수박 바이러스병 증상에서 분리되는 병원 바이러스

 

바이러스의 종류

바이러스병 주수

포기별로 분리된 병원
바이러스의 분포

CMV
WMV
CMV+CGMMV
CMV+WMV

6주(44%)
2주(14%)
3(22%) 주
3주(22%)

병원바이러스 별로
분리된 포기수

CMV
WMV
CGMMV

12주(86%)
5 (36%) 주
3주(21%)

비고 : 일본의 시험결과 ( )내는 발생%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