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자 병해충방제 및 저장법

 


1. 유자 병해충 방제

  유자는 감귤속에 속하므로 병해충의 발생도 감귤류에서와 거의 비슷하나 감귤 류에서 문제가 되는 궤양병과 화살깍지벌레에 대해서는 저항성이 있어 발병되거 나 기생되는 일이 거의 없다. 주요 병해는 창가병, 검은점무늬병, 수지병, 잿빛 곰팡이병 및 스템피팅병이며, 주요 충해는 귤응애, 진딧물, 귤굴나방, 잎말이나 방류 및 방화곤충(애초록꽃묻이, 총채벌레류)등이다. 밀식하거나 통풍이 나쁜 과원에서는 등나무깍지벌레가 발생되며, 수세가 약한 나무에는 산호제깍지벌레의 발생이 많다.

가. 병해
(1) 더뎅이병
  병징은 주로 어린잎에 감염되며 처음에는 황반상의 작은 반점이 나타나고 이것이 돌출되어 끝부분은 담갈색으로 콜크화된다. 잎이 어느 정도 자라난 후에 감염되면 창가상(부스럼 딱지모양)의 병반이 나타난다.

  과실에도 어릴 때에 감염되면 세포의 이상증식을 일으켜 돌기형으로 되나 어느 정도 자란 후에 감염되면 창가상의 병반이 나타난다. 발생이 심하면 잎은 기형이 되고, 생육이 저하되며, 어린과실은 조기에 낙과되고, 남아있는 과실도 외관이 흉하여 상품가치가 크게 떨어진다.

  병균의 전염은 잎, 가지, 과실의 병반부에서 균사의 형태로 월동하며, 다음해 의 주 전염원은 잎의 병반 특히 가을에 착생된 잎의 병반이다. 월동 병반상의 병원균은 분생포자가 형성되어 발아직후의 햇가지에 1차감염되고, 감염된 새잎 위에서 포자를 형성하여 다른 잎이나 과실로 2차감염이 계속된다. 잎은 전개된 후 2개월 이상 경과되면 발병되지 않으므로 영양생장이 왕성한 묘목이나 어린 나무에서 발생이 많다. 또한 이 병의 감염 및 발병은 강우가 깊은 관계가 있어 봄에 비가 많은 해에 발생이 많다.

  방제방법으로는 잎이 전개되는 시기의 초기방제가 중요하며, 특히 개화기 부터 유과기까지의 방제가 과실의 피해를 감소시킨다. 개화기에는 베노밀수화제, 지오판수화제 등을 살포하여 잿빛곰팡이와 동시에 방제하고, 과실이 어린 유과기 에는 프로피수화제, 디치수화제 등을 살포하여 검은점무늬병과 동시방제 한다.

(2) 검은점무늬병
  잎에서는 주로 새잎의 뒷면에 작은 흑점이 나타나고 그 주위는 누렇게 변하나 이 반점은 점차 커지면서 다소 융기되고 황색의 띠는 없어진다. 흑점은 산재하는 것이 보통이나 집단을 이루기도 하고 때로는 물방울이 고였던 윤곽처럼 둥근테를 이루기도 한다.

  햇가지에 전염되면 잎에서와 같은 흑점이 생기나 심하게 감염되면 선단부 부터 적갈색을 띠며 말라죽게 되므로 가지마름병이라고 한다. 과실에서도 잎에서와 같이 흑점이 산재되는 흑점상이 가장 흔하다. 병포자를 포함한 물방울이 고이거 나 흘러간 자리에는 흑점이 형성되는 누반상을 나타내며, 더욱 심하게 감염되면 병반이 밀집되어 과실표면 전체가 적갈색을 띠고, 거칠어 건전한 부분은 거의 볼 수 없는 이괴상을 보인다.

  병원균은 마른가지에서 균사 또는 병자각의 형태로 월동하며, 이러한 마른가지 가 전염원이다. 포자는 건조상태에서는 전염되지 않고 강우시에 빗방울에 섞여 잎, 가지, 과실에 전염되어 기공이나 각피를 통하여 침입한다. 잎이나 과실의 병반내에 있는 병원균은 연내에 사멸되므로 이 병반으로 부터의 2차감염은 되지 않는 것이 이 병의 특징이다. 마른가지에 번식한 병원균은 2년까지는 강력한 전염원이 되나 그 이후는 차차 약해진다.

  방제법으로는 전염원이 되는 마른가지나 죽은 가지는 철저히 제거하여 태우거 나 깊이 묻는다. 노목의 갱신, 밀식원의 간별, 건조나 한해등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여 가능하면 마른가지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수세를 강화시킨다. 약제로 만코지수화제, 켑타폴수화제, 디치수화제등을 살포한다. 약제살포는 6월상 중순, 7월중순, 8월하순에 걸쳐 3회정도 하며, 200㎜이상 비가 내린 후에는 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좋다.

(3) 수지병
  수지병의 증상은 가지나 줄기의 껍질이 우침상으로 되어 독특한 냄새가 풍기는 황갈색의 수지가 스며 나온다. 이 병반부는 암갈색으로 되고, 검고 작은 입자가 형성되며, 수지가 분비되지 않게 되면 나무 껍질이 마르고 그 윗부분은 죽게 된다. 원줄기의 밑둥이 피해를 심하게 받으면 나무 전체가 죽기도 한다. 병원균은 가지나 줄기에 적극적으로 침입하지는 않으나 수세가 쇠약하면 상처 가 난 부분이나 말라 죽은 조직으로 침입한다. 피해부에 형성된 병자각으로 부터 흘러내리는 포자가 빗물에 의해 전파되어 전염되며, 병원균의 침입 및 병세의 진전은 주로 장마기와 가을에 이루어진다.

  이 병은 발병되면 완전한 방제가 어려우므로 예방에 힘쓴다. 한해 건조의 피해 낙엽이나 강전정에 의한 가지의 햇볕데임등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고, 수세의 유지 및 강화를 도모한다. 전정시에 크게 잘린 부분은 발코트를 발라 상처부위가 잘 아물게 한다. 발생된 병반부는 초기에 잘 깎아 내고, 석회유황합제 원액이나 톱신페스트, 발코트 등을 발라준다.

(4) 잿빛곰팡이병
  이병의 증상은 꽃은 꽃잎과 꽃실이 갈색으로 변하여 부패되며, 생리적인 낙과를 조장한다. 저장과실은 암갈색의 수침상으로 되어 회색곰팡이가 발생되고 부패된다.

  병원균은 과원 주변의 부패물에 생존하며 포자는 비, 바람, 곤충 등에 의하여 전염된다. 푸른곰팡이 및 녹색곰팡이병은 저장과실의 병해이나 잿빛곰팡이병은 저장과실을 침해하는 것 외에 꽃이나 새잎을 침해한다. 특히 개화기에 비가 많으 면 발생이 많다.

  방제법으로는 개화기에 베노밀수화제, 지오판수화제를 살포하여 창가병과 동시 방제한다. 수확전에도 다코닐수화제, 지오판수화제, 베노밀수화제를 살포한다.

  과실에서 병원균은 상처난 부분으로 침입하므로 수확, 운반 및 저장작업시에 과실에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한다. 수확은 맑은 날 이슬이 마른 후에 하는 것이 좋다.

(5) 스템피팅병
  스템피팅병의 발병이 심하면 나무 전체가 현저하게 쇠약하게 되며, 잎이 작고 가장자리가 말린다. 가지의 껍질을 벗겨 보면 목질부에 골 모양으로 홈이 나타 난다. 과실은 유과시에 낙과가 많고, 착과된 과실은 비대가 불량하여 작고 착색 이 되지 않는 것이 많다.

  이 병은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된다. 묘목을 양성하기 위하여 접목을 할 때 보독된 나무로 부터 접수를 채취, 이용하게 되면 감염된다. 건전한 나무에서는 병에 걸린 나무로 부터 흡즙한 귤혹진딧물에 의해 매개 전염된다.

  방제법은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되기 때문에 일단 발생이되면 방제법이 없으므 로 예방에 유의한다. 묘목을 육성할 때는 무독모수를 선발하여 접수를 채취, 이용한다. 수세가 쇠약하게 되면 발병이 조장되므로 깊이갈이 및 시비의 합리화, 적당한 전정, 결실조절, 각종 재해로 부터의 피해를 방지하여 수세를 강건하게 유지한다. 포장관리시는 수시로 2∼3년생 가지의 껍질을 벗겨보아 목질부에 골이 나타나거나 과실이 다소 기형으로 되고 결실량이 적어 경제성이 낮아질 경우에는 뿌리까지 뽑아내어 소각한다. 진딧물의 방제를 철저히 한다.

나. 충해
(1) 귤응애
  귤응애는 주로 잎에 기생하여 수액을 흡수하므로 피해잎은 엽록소가 파괴되어 황백화되며, 생리기능이 현저히 저하되어 조기 낙엽을 초래한다. 과실이 피해를 받으면 과실표면의 엽록소가 소실되어 착색이 불량해진다.

  1년에 10여회 발생되며 알, 애벌레, 성충이 혼재된 상태로 월동한다. 귤응애의 발육은 알→애벌레→전약충→후약충→성충의 형태로 되나 발육속도는 온도가 높 을 수록 빠르다. 부화하여 다음 세대의 알을 낳기까지의 기간은 20℃에서는 약14 일이나 7∼8월의 고온기에서는 평균기온이 25℃ 이상이면 7∼10일이다. 성충은 여름철에 18일 정도 살며, 전 생육기간은 35∼40일이다. 기후가 온난한 곳에서는 겨울에도 다소 번식된다. 밀도는 3월경부터 점차 증가하여 6월중순∼7월상순경에 가장 높고, 그후 고온기에는 현저히 감소되며, 9월에 다시 증가한다.

  방제법으로는 응애는 약제에 대한 저항성이 문제가 되므로 주성분이 동일한 약제를 계속하여 사용하지 않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월동충에는 기계유유제, 발아기 전후에는 테디온유제 등을 살포한다. 여름철 방제는 사란, 켈센, 프릭트 란, 오마이트, 씨트라존, 살비왕, 피라니카, 산마루 등을 교대로 살포한다. 약제 살포는 잎당 1∼2마리 정도가 발견될 때 마다 발생초기에 중점방제를 한다.

(2) 진딧물류
  진딧물류의 피해는 4∼6월의 햇가지가 발생될 때와 9∼10월에 많으며,특히5∼6 월에 많다. 잎은 오그라들어 기형이 되기도 하고, 햇가지는 신장이 정지된다.

진딧물의 분비물은 잎이나 과실에 그을음병을 유발하여 과실의 상품을 현저하게 저하시킨다.

  감귤류에 기생하는 진딧물은 귤진딧물, 목화진딧물, 탱자진딧물, 조팝나무진딧 물 등이 있다. 1년에 10여세대 발생되며, 주로 가지의 눈 주위에서 알로 월동한 다. 알에서 깨어난 애벌레는 7∼10일 후에 암컷의 성충이 된다. 봄부터 가을에 걸쳐서는 단위생식을 한다. 발생시기는 종류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4∼6월의 기온이 저온으로 경과되어 새잎의 경화가 늦고, 이 시기에 비가 적으면 발생이 많다.

  방제법으로 동계에는 기계유유제를 살포하여 월동란을 방제한다. 생육기에는 메타유제, 데시스유제, 모노포스액제, 조아진 등을 살포한다.

  목화진딧물이나 조팝나무진딧물은 약제에 대한 정항성이 크므로 피리모수화제 에 디디브이피(DDVP)등을 혼용하여 살포하는 것도 좋다.

(3) 귤굴나방
  귤굴나방 알에서 깨어난 애벌레는 잎살을 뚫고 먹어 들어간다. 먹어 들어간 자리에는 꾸불꾸불한 굴이 생기고, 그 속에는 벌레의 똥이 검은 줄을 지은 형태 로 남아 있다. 성목보다는 유목에서 피해가 많고, 특히 여름순과 가을순에 피해 가 많다.

  1년에 5∼6회에 발생하며, 성충은 잎뒷면 등에서 월동하여 봄순이 나오기 시작 하면 알을 낳는다. 알은 주로 잎 뒷면의 잎맥을 따라 1개씩을 낳으며, 알에서 깨어난 애벌레는 알과 잎이 맞닿는 면에서 부터 잎살을 뚫고 들어가 즙액을 빨아 먹으며 자란다. 이 해충은 성장이 빨라 알기간이 약 3일, 애벌레 기간이 6~8일, 번데기 기간이 4~11일로 한여름에는 한 세대가 14일정도이다. 노숙 애벌레는 잎 의 가장자리를 접어 길이가 5㎜내외인 방추형의 고치를 만들고 그 속에서 번데기 로 된다.

  방제법으로 이 해충은 알에서 깨어난 애벌레가 새잎 속으로 뚫고 들어간 후에 는 방제가 어려우므로 봄순이나 여름순이 발생되는 시기에 5∼7일 간격으로 약제 를 살포한다. 약제로는 칼탑수용제, 오메톤액제 등을 살포한다.

(4) 산호제 깍지벌레
  가지나 줄기에 산호제 깍지벌레가 기생하면 나무껍질이 회색을 띠게 되고, 피해가 진전되면 나무껍질에 균열이 생기며, 수세가 쇠약해져서 말라 죽는다. 과실에 기생하면 착색이 늦어지고, 피해부위는 움푹들어간다.

  1년에 2∼3회 발생하며, 대개 약충으로 월동한다. 월동한 약충은 5월 하순∼6월 상순경에 성충이 되며, 교미후 새끼를 낳는다. 새끼로 사는 태생기간은 5∼6주간 계속되며, 이 기간에 약 400마리를 낳는다. 수컷이 될 약충은 생후 2∼3주 동안 3회 탈피하여 그 후 날개가 있는 유시충이 되고, 암컷은 생후 약32일 동안 3회 탈피하여 성충이 된다. 제1세대의 애벌레는 7월중, 하순경에 성충으로 나타나기 시작한다. 제2세대의 애벌레 발생은 8월상순에 가장 많고, 9월 하순∼10월상순경 에 성충이 된다. 제3세대의 애벌레 발생은 해에 따라 12월까지 계속된다.

  방제법으로 월동기에는 기계유유제를 살포한다. 제1세대의 애벌레가 비교적 집중되어 있으므로 이 세대의 애벌레 발생이 거의 끝난 6월 중순경에 방제하는 것이 효과가 높다. 제2세대는 과실에 기생하는 애벌레를 방제하기 위해 8월 중순 ∼9월상순경에 약제를 살포한다. 약제로는 수프라사이드 유제, 디메트유제 등을 살포한다.

2. 저장
가. 과실의 형질과 저장성
  단기저장은 12월까지 간이로 저장 하는데 과습(95~100%)과 건조(75%이하), 고온(10℃이상)의 조건만 되지 않으면 상온저장고를 이용하여 저장이 가능하다.

  단기저장용으로는 장기저장에 적합하지 못한 큰 과실이나 80%이상의 완전착색과 부피가 다소 적게 발생된 과실, 궤양성 호반증 또는 상처가 적은 유자 등을 사용 한다.

  장기저장용 과실로는 유자나무 바깥부분에 달린 과실 또는 햇볕을 많이 받는쪽 과실, 과실의 표면이 거칠고 껍질이 두꺼운 과실, 착색이 50∼70%정도로 다소 덜 익은 과실과 100g 전후의 무게를 지닌 중간크기의 유자 등이 저장성이 높아서 유리하다.

나. 예비조치
  수확한 유자는 2~3주간 바람이 잘드는 창고나 헛간, 작업장 등에 발이나 선반 을 만들어 그 위에 과실을 3겹정도 쌓거나 또는 나무상자나 얇은 콘테이너에 넣어 쌍아두는 예비조치를 하여야 한다. 그러나 수확한 많은 유자를 한꺼번에 예비조치하는 데는 넓은 장소가 필요하므로 창고밖에서 1주일정도 단축예비조치 를 하였다가 순차적으로 저장고에 넣도록 하며, 저장고내가 모두 채워질 때까지 창문이나 환기구멍을 개방하여 환기시키고 창문이 작은 저장고의 경우는 환풍기 로 강하게 환기시키도록 한다. 단, 저온저장독에서는 밀폐도가 높아 창고내에서 는 예비조치가 어려우므로 창고밖에서 예비조치를 한후 저장시키도록 한다.

  예비조치의 정도는 간이 단기저장고는 온도가 8℃전후이고, 습도가 80∼85% 정도되므로 예비조치를 할 필요가 없다. 만약 예비조치를 하게되면 꼭지가 마르 고 열매꼭지가 시들어 상품성이 떨어진다. 그러나 1개월이상 장기저장할 유자는 반드시 예비조치가 필요한데 예비조치의 정도는 1∼2월에 판매하기 위해 상온 저장고에 저장할 경우에는 2∼3%, 저온저장고에 저장하여 4월 이후에 판매할 경우는 5%이상(6∼7%)이 필요하다.

다. 저장중의 온·습도조절
(1) 온·습도조절
  저장고내의 온도가 낮을수록 호흡량이 적어 저장성이 높아지나 온도가 너무 낮 으면 과실이 얼게되고 반대로 온도가 너무 높으면 썩게되므로 저장온도를 3℃로 하는 것이 좋다. 유자의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예비조치 감량을 포함하여 총감량을 12%이상으로 하고 열매껍질은 약간 시든상태로 저장하면 상온저장고에 서도 3월까지 썩지않고 저장이 가능하다. 유자는 열매껍질이 생명이므로 열매껍 질을 신선하게 저장하기 위해서는 습도를 높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습도 가 너무 높아도 과실이 정상으로 호흡을 할 수 없어 부패가 심하게 되므로 열매 껍질이 시들지 않고 싱싱하게 저장하려면 습도를 85%가 되게 유지하여야 한다.

(2) 상온저장고의 관리
  저장고내의 온도는 바깥기온에 의해 좌우되므로 밀폐가 낮을수록 그 영향이 크다. 따라서 11월은 7∼8℃,12월은 5∼6℃,1월이후는 3∼5℃로 유지토록 하는데 온도관리를 하기위해서는 기온이 가장 낮은 이른 아침이나 해가 뜰때 찬공기를 환기시켜주어 저장고내의 온도를 낮추도록 하며, 바깥온도가 영하로 내려갈 때는 3℃전후가 될 때 환기시키도록 한다. 또 1월부터 3월까지는 기온이 낮아 저장고 내 온도가 영하로 내려갈 수도 있으므로 이때는 가온을 하여 온도를 높여주어야 한다.

  습도관리는 저장고내의 습도, 환기, 밀폐도, 비등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일반적 으로 습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바닥에 물을 뿌려주거나 창문에 젖은 거적을 달아 주는 것을 비롯, 과실위에 신문지를 덮어 물을 뿌려주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가습기를 사용하면 간단하게 습도를 높일 수 있다. 그러나 반대로 습도를 낮추 기는 무척 어려워 지나치게 습기가 많은 것 같이 보이면 바깥습도가 낮은날 환기 하고, 기온이 낮은 날도 환기횟수를 많게하여 저장고내 습도를 낮추거나 제습기 를 사용하여 습기를 제거하는 것이 좋다.

(3) 저온저장고의 관리
  예비조치가 거의 끝난 유자를 순차적으로 저장고에 저장시킨 후 1∼2일 동안은 1℃씩 내려 목표로 하는 온도 5℃가 되게 한다. 즉 처음저장일은 10℃, 2일째는 9℃, 4일째는 8℃, 6일째는 7℃, 9일째는 6℃, 10일째는 5℃가 되게 한다. 습도 는 밀폐도가 높으면 바깥기온의 영향을 적게 받을 뿐만 아니라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공기가 수분을 함유한 양이 적어 지나치게 습기가 많은 상태로 되기 쉽다

  그리고 저장고에 저장하는 유자의 양이 적으면 유자로부터 발생되는 수분량이 적 고 또한 냉방기 냉기구의 온도차에 의해 이슬이 맺혔기 때문에 저장고내 공기중 수분이 밖으로 나와 저장고내의 습도가 내려가므로 가습이 필요하나 그 이외는 가습을 실시할 필요가 없다.

(4) 환기방법
  저장고내 공기를 환기시키려면 흡기구와 배기구의 뚜껑을 열어주면 되지만 온도,습도를 바꾸어 주고자 할 때는 흡·배기구와 창문을 열어주면 된다. 한편 저온저장고의 경우 저장고내 온도가 잘 바꾸어지지 않을 때는 환풍기를 사용하여 아침 일찍 환기시키는 것이 좋으나 기온이 특히 낮은 날에는 기온이 올라갈 때 까지 기다렸다가 환기를 시키도록 한다.  

[참고문헌]

  1. 특수과수재배, 농촌진흥청
  2. 과수병해충 생태와 방제, 농촌진흥청
  3. 겨울농민교관교육교재, 농촌진흥청
  4. 과수전문반교재, 농촌진흥청
  5. 유자재배기술, 오성출판사, 김의부
  6. 과수원예, 향문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