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꽃, 과실 및 잎에 발생한다. 개화 후 시드는 꽃잎에서 발생하며 회갈색으로 썩는다. 어린 과실에서는 꽃이 붙어있는 부위에서부터 연갈색-황갈색으로 부패하기 시작하여 과실 전체로 퍼지면서 무르고, 과습이 지속되면서 표면에는 수많은 포자가 밀생한다. 대개 지면에 가까이 있는 과실에서 발생하기 쉽다. 잎에서는 꽃잎이 떨어지거나 병든 과실과 접촉한 부위에서 발생하고, 회갈색의 둥근 대형 병반이 형성된다.
|
|
Botrytis. cinerea Pers. ex Fr.로 곰팡이균이다. 분생포자는 병반상에서 생긴 나무가지 모양의 분생자경에서 형성되며, 무색-담갈색, 원형-난형으로 크기는 환경조건에 따라 매우 달라지나 대개는 길이가 18㎛를 넘지 않는다. 오래된 병반부위에는 월동을 위한 휴면구조인 검고 불규칙한 쥐똥모양의 균핵이 형성된다. 균은 15~25℃에서 생육이 양호하며, 최적 생육온도는 21℃이다.
|
|
병원균은 기주식물이나 다른 유기물이 있는 토양에서 부생적으로 번식하며, 토마토, 가지, 딸기 등 다른 작물에서도 잿빛곰팡이병을 일으킨다. 균은 포자, 균사 및 균핵 형태로 토양 중이나 이병 잔재물에서 월동하고, 다음해 전염원이 된다. 전염은 월동 분생포자, 균사에서 형성된 분생포자, 균핵이 발아하여 형성된 분생포자가 비산하여 시들어 가는 꽃잎에 도달하고, 꽃잎에 있는 화분 등을 영양원으로 하여 발아한 후 침입한다. 꽃잎을 감염한 병원균은 만연하면서 계속하여 어린 과실을 침해한다. 포자가 만연한 꽃잎이 잎에 떨어지면 잎에서도 병반이 형성된다. 병은 대개 저온 다습한 조건에서 발병하기 쉬우므로 대개 12월부터 다음해 4월까지 하우스 재배에서 발병이 많다. 특히 무가온 재배나 야간 보온의 불충분으로 하우스를 밀폐된 상태로 방치하면 환기가 부족하고 다습한 조건이 되면서 병 발생이 심하게 된다. 또한 3~4월경 빈번한 강우와 심한 일교차는 발생을 조장하며, 밀식이나 질소비료의 과용으로 덩굴과 잎 등이 너무 무성해지면 발생이 심해진다. 시설재배에서는 하우스에 따라 발병정도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대개 하우스 관리와 방제가 소홀하여 병 발생에 양호한 기상환경이 되었을 경우에 많이 발생한다.
|
|
하우스 내 환기를 철저히 하여 과습하지 않도록 한다. 하우스 바닥은 멀칭하여 실내가 다습하지 않도록 하며, 토양으로부터 병원균의 전염을 막는다. 무가온 하우스재배에서 발병이 심하므로 저온이 되지 않도록 관리해야한다. 수정이 끝난 꽃은 꽃잎을 제거하여 병원균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막는다. 이병과나 잎은 발견 즉시 제거하여 소각한다. 밀식하지 않도록 하고 질소질 비료를 과다하게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일단 발병하면 방제가 쉽지 않으므로 약제를 살포하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균은 약제저항성이 쉽게 유발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므로 단일약제의 연용을 피하고, 작용 기작이 다른 약제를 교호 살포하여 병원균의 약제 저항성을 막아야 높은 방제효과를 거둘 수 있다.
|
|
표 1. 오이잿빛곰팡이병 방제 등록약제 |
적용약제
|
사용적기
|
물20ℓ당 사용약량
|
10a당 사용약량
|
안전사용기준
|
시 기
|
횟 수 |
디크론수화제
|
발병초 7일간격
|
33g
|
약액이 충분히 묻도록 살포
|
수확 7일 전까지
|
5회이내 |
메파니피림·가벤다짐 액상수화제
|
〃
|
20㎖
|
〃
|
수확 3일 전까지
|
3회이내 |
이프로수화제
|
〃
|
20g
|
〃
|
〃
|
4회이내 |
포리옥신수용제
|
〃
|
4g
|
〃
|
수확 7일 전까지
|
3회이내 |
포세칠알·이프로수화제
|
〃
|
40g
|
〃
|
수확 2일 전까지
|
〃 |
프로파수화제
|
〃
|
20g
|
〃
|
수확 5일 전까지
|
〃 |
프로파미분제 |
발병초 7일간격 |
- |
300g
|
수확 2일 전까지 |
6회이내 |
프로파과립훈연제
|
〃
|
-
|
300g
|
〃 |
〃 |
플루퀸코나졸·피리메타닐액상수화제
|
〃 |
20㎖
|
약액이 충분히 묻도록 살포
|
〃
|
3회이내 |
피리메타닐·크로로타로닐액상수화제
|
〃
|
20㎖ |
약액이 충분히 묻도록 살포 |
수확 3일 전까지 |
〃 |
후루디옥소닐과립훈연제 |
〃
|
-
|
300g |
수확 2일 전까지
|
〃 |
후루디옥소닐액상수화제 |
〃
|
10㎖
|
약액이 충분히 묻도록 살포 |
수확 3일 전까지
|
〃 |
|
|
농약공업협회. 2002. 농약사용지침서.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2000. 채소 병해충 진단과 방제. 아카데미서적 331 p. 안국평. 1998. 일본 식물병해대사전. 전국농촌교육협회 1276 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