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포유 및 육성기 성장발육과 출하체중과의 관계 |
|
육성비육시 24개월령이상 장기간 비육을 실시하였음에도 출하체중이 낮을 경우는 |
|
|
|
|
|
|
|
|
가. 이유시 체중 또는 비육 밑소로 활용하는 6개월령 체중이 150㎏이하로 적거나, 나. 6개월령부터 12개월령까지 육성기간 6개월 동안 비육우를 저영양(평균 일당 증체량 0.5㎏이하)으로 사육함으 로서 비육전기이후 농후사료 다급으로 증체 를 시켜도 비육개시 시 체중이 상대적으로 적어 출하체중도 적게 된다 다. 반면에 육성기 동안 볏짚과 농후사료 급여량을 높여 고영양(평균 일당증체 량 1.0㎏이상)으로 사육하였을 때 는, 비육전기 이후 농후사료 다급으로 증체 를 시켜도 반추위의 기능장해로 출하체중이 높아지지 않는다. 따라서 비육우의 출하체중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유시 체중을 높이고 육성기간 동안의 일당증체량이 0.7~ 0.8㎏이 되도록 사육하여야 한다. |
|
|
|
|
|
|
|
이유시 체중을 높이는 방법으로는 무엇보다도 먼저 어미소의 산유량이 풍부하고 포육능력이 우수한 자질을 가진 어미소로부터 태어난 송아지일 것이 전제로 되지만, 그 밖에 비육 밑소로 활용되기 전까지 사고 없이 성장하여야 한다. |
|
|
|
|
|
|
|
2. 무리 전체의 이유시 체중을 높이는 송아지 사양관리 |
|
|
가. 송아지의 사고를 방지하는 방법 |
|
|
송아지의 질병은 대다수가 설사를 동반한 소화기질병과 폐렴을 동반한 호흡기질병이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1) 우사 내는 가능한 건조하게 하되 정기적인 청소, 세척, 약품소독 등을 실시하여 송아지가 각종 병원균 등에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2) 초유를 가능한 한 빨리 충분한 양을 먹도록 하여 송아지가 스스로 각종 질병 원인으로부터 저항할 수 있는 힘을 갖도록 해준다. 어린 송아지는 어미 소의 초유로부터 병원체에 저항할 수 있는 면역항체를 부여받게 된다. 비타민 A도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비타민 A는 병원균에 대한 저항성을 높여준다. (3) 각종 스트레스에 노출되지 않도록 해주고, 물은 신선한 것을 자유롭게 충분히 먹을 수 있도록 해주며, 피로, 급격한 환경변화 등의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유의한다. 특히 어린 송아지는 추위에 약하므로 보온에 유의 하여야 하나 기상상태가 좋으면 운동장에서 자유롭게 운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 (4) 보조사료는 소화가 잘되도록 연한 양질건초를 충분히 급여하여 반추위 발달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한 후 보통 사료로 전환하고, 가능한 한 어미소의 사료를 먹지 않도록 하며 특히 변패된 사료를 먹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5) 분만전 어미소에 대한 조사료 다급은 어린송아지의 설사예방 및 수태율 향 상을 증진시키지만 어미소의 사 료급여 수준이 부족하면 산유량이 감소되므 로 분만전·후 어미소의 사료급여에 유의한다. (5) 그 밖에 질병에 대한 조기발견 조기치료가 최우선이다. |
|
|
|
|
|
|
|
|
나. 초유의 적기포유에 의한 질병예방 |
|
|
|
(1) 한우의 포육능력과 적기 초유포유 |
|
|
|
한우 임신우 1,000여두를 대상으로 분만후 송아지 포육과 관련된 습성을 조사한 결과(표 1), 초산우의 경우 포육 경험이 없고 산유량도 적어 분만후 3~4시간 이내에 충분한 양의 초유 포유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송아지도 출생 후 4시간 이내에 자력으로 초유를 흡유하는 개체는 전체의 82.7% 였고 나머지 17.3%는 어미소가 거부하거나 송아지의 원기부족으로 자력으로 포유를 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이 적정시간 내에 초유를 흡유하지 못하는 개체들은 성별로는 수송아지가 암송아지보다 많았고, 체중별로는 생시체중이 20㎏이하 또는 30㎏이상인 송아지에서 많이 나타났다. |
|
|
|
|
|
|
|
|
|
표 1. 분만후 시간경과에 따른 한우 송아지의 초유 포유 |
(단위 : %) | |
|
|
|
성 별 |
송아지 분만후 |
인공포유 |
30분 이내 |
2시간이내 |
4시간이내 |
수송아지 암송아지 평 균 |
7.7 11.5 9.6 |
42.3 39.5 40.9 |
30.8 33.6 32.2 |
19.2 15.4 17.3 | |
|
|
|
|
|
|
|
|
|
(2) 사고발생축에 대한 초유급여 요령 |
|
|
|
어미소가 송아지를 분만하는 과정에 사고가 발생하여 정상적인 포유과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분만 즉시 인공포유를 실시하도록 한다. 인공포유는 어미소가 정상축이고, 송아지에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어미소를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움직이지 못하게 한 후 송아지를 일으켜 세워 스스로 젖을 빨게 하거나 손으로 착유하여 포유시키되, 분만후 3일령까지는 1일 2~3회, 1회 800~1,000㎖가 적당하다. 그러나 어미소에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젖소 초유를 냉동 저장한 후 이용하되 1회분을 800~1,000㎖ 단위로 하고 42℃에서 중탕 가열 후 급여한다. |
|
|
|
|
|
|
|
|
다. 포유기 보조사료 급여와 조기이유 |
|
|
|
(1) 송아지의 어미젖 요구량 |
|
|
|
생시 및 이유시 체중과 출하체중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송아지의 이유시 체중을 높여야 하는데, 어미소의 산유량이 부족하면 송아지의 이유시체중이 적어 초임시기(암소) 및 출하시기(수소)가 지연되고, 송아지는 고가의 어린송아지용 사료가 추가로 소요되며 어미소는 방목위주 다두사육이 곤란하여 송아지 생산비가 높아지게 된다. 어미소 산유량은 이유시 체중의 약 66%를 지배하는 중요한 요인이므로 이유시 체중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미소의 산유량을 높여야 한다. 한우의 산유량은 분만 후 180일간 1일 평균 3.5㎏(전기간 총 628㎏)이지만 송아지가 유전적으로 성장하기 위해 요구되는 양은 분만후 4개월간은 1일 평균 5.2㎏이나, 산유량은 요구량의 77% 수준인 1일 4.0㎏이고, 분만후 6개월간은 요구량이 일평균 6.4㎏이나 산유량은 요구량의 54% 수준인 1일 3.5㎏ 밖에 되지 않아 전체적으로 어미소의 젖 생산량이 적다고 할 수 있으며(표 2), 부족되는 시기도 생후 60일령 전후이므로 송아지의 적정성장을 위해서는 어미소의 젖 이외에 보조사료를 급여하거나 또는 조기이유 후 일반축과 같은 관리가 불가피하다. |
|
|
|
|
|
|
|
|
|
표 2. 한우의 산유량 및 송아지의 어미젖 요구량 |
|
|
|
구 분 |
분만후 월수 |
평균 |
총량 |
생시 |
1 |
2 |
3 |
4 |
5 |
6 |
송아지 체중(㎏) 어미젖요구량(㎏/일) 산유량(㎏/일) |
27.1 - - |
42.0 3.6 4.7 |
58.3 4.4 4.3 |
78.8 5.8 3.7 |
100.9 7.1 3.2 |
124.3 8.3 2.7 |
149.5 9.2 2.2 |
- 6.4 3.5 |
- 1,159 628 | |
|
|
|
|
|
|
|
|
|
(2) 보조사료 급여 |
|
|
|
송아지의 적정성장을 위해 어린송아지사료(인공유) 및 양질목건초를 급여하되 어린송아지사료는 7~10일령부터 섭취훈련을 시켜, 생후 20~30일령 이후에는 1일 300g이상을 섭취토록 하고 양질 목건초는 출생직후부터 자유채식토록 함으로서 부족되는 영양소의 공급과 함께 반추위의 발육을 촉진해야 한다. 표 3에서와 같이 어린 송아지에 대해 보조사료 급여시 4개월령 체중 및 증체량은 각각 무급여 대비 42.5 및 68.7%가 증가하였고, 보조사료 소요량은 4개월령 이유시 인공유 60㎏, 양질건초 10㎏이었으며, 6개월령 이유는 인공유 100~150㎏, 양질건초 20~30㎏이었다. 따라서 송아지 따로먹이기 시설을 설치하되 깔짚은 볏짚보다 입자가 굵고 잘 마른 톱밥을 사용하며, 이유 전까지는 어미소의 포유와 함께 보조사료를 급여하도록 한다. |
|
|
|
|
|
|
|
|
|
(3)조기이유 |
|
|
|
한우 젖은 환금성이 없으므로 어미소가 초산이거나, 경산우라도 쌍태를 포유시키거나 어미소가 허약할 때 또는 어미소의 사료로서 풀사료와 농가부산물을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없을 때는 조기이유가 유리하나 그렇지 않을 때는 어미소의 번식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관리할 수 있다면 이유시기를 다소 늦추어도 좋다. 왜냐하면 우유만큼 영양가가 높고 소화율이 높은 사료가 없기 때문이다. |
|
|
|
|
|
|
|
|
|
표 3. 이유전 송아지에 대한 보조사료 급여효과 |
|
|
|
구 분 |
월령별 체중(㎏) |
증체량(㎏) |
생시 |
1 |
2 |
3 |
4 |
총량 |
1일 |
보조사료 급여(A) 보조사료 무급여(B) 효과(B/A,%) |
27.0 27.0 - |
42.0 43.0 97.7 |
58.3 57.9 100.7 |
78.8 66.3 118.9 |
100.9 70.8 142.5 |
73.9 43.8 168.7 |
0.62 0.37 167.6 | |
|
|
|
|
|
|
|
|
|
이유는 일반적으로 4개월령 전후에 하지만 건강상태(체중)나 보조사료(인공유 및 건초) 섭취량에 따라 60일령에도 가능하다. 60일령의 조기이유는 체중 65㎏이상으로 배합사료를 1일 0.7㎏이상 섭취할 때 가능하고 보조사료(인공유 및 건초) 급여는 송아지의 적응기간을 고려하여 생후 20~30일령부터 급여가 바람직하며, 이유시에는 급여하는 사료의 종류를 갑작스럽게 바꾸지 말고 약 2주정도의 기간동안 인공유를 조금씩 줄이면서 육성사료의 비율을 높여준다. 포유기간이 길어지면 어미소가 약해지고 발정재귀가 늦어질 수 있으며 송아지의 반추위 발달이 늦어진다. |
|
|
|
|
|
|
|
3. 포유기 및 육성기 사료급여 수준 |
|
송아지는 자연포유 또는 인공유나 대용유를 먹는 갓난 송아지와 보조사료를 먹기 시작하는 어린송아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앞으로 번식우 또는 비육우로서의 능력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도록 반추위가 잘 발달되도록 사육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반추위의 발달은 출생시 1.2ℓ(전체위의 23.8%)이나 3개월령이 되면 10~15ℓ(58.5%)로 발달되고 성우가 되면 150~200ℓ(80.6%)가 되는데 보통 생후 10개월 정도가 되면 큰소의 기능과 같아진다(표 4). 송아지에게 액상사료만 급여하면 반추위의 발달이 늦어지고 사료섭취량도 적어진다. 질이 좋은 조사료(목건초)는 생후 10일경부터 조금씩 자유스럽게 급여하지만 청초 및 담근먹이는 젖을 뗀후 4개월령이후부터 소량씩 급여하되 분의 상태를 관찰해서 급여량을 조절한다. 이 시기에 질이 나쁜 조사료를 급여할 때는 비타민 A가 부족하기 쉬우므로 비타민 ADB12제를 분만후 반추위의 기능이 성우 수준으로 되는 10개월령까지 2~3개월간격으로 근육주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육성기는 이유후 12개월령(체중 250㎏내외) 까지 기간으로 뼈, 내장, 제 1위 등 소화기관과 근육발달이 왕성한 시기이다. 조사료를 자유채식토록 하고 육성기용 배합사료를 육성전기에는 체중의 2.0%내외, 육성후기에는 체중의 1.5%내외로 제한급여한다. 성성숙이전 초발정이 오는 춘기발정기 이전의 사양관리에 유의하여 초발정이 빨리 오도록 하고 성성숙 이전에는 1일 증체량을 0.6㎏내외가 되도록 사육해야 한다. 번식적령기 이전에 조기번식을 시키는 것은 오히려 번식효율을 감소시킴으로 주의를 요한다. |
|
|
|
|
|
|
|
표 4. 송아지의 성장에 따른 위 용적 변화 |
(단위 : ℓ) | |
|
구 분 |
출생시 |
3주 |
3개월 |
6개월 |
12개월 |
성우 |
1·2위 3위 4위 |
1.3(23.8%) 0.2 3.5(71.0%) |
3.0(37.5) - 4.5(56.0) |
10~15 0.5 6(35.2) |
36.5(66.5) 2.0 10(18.5) |
68.0(75.5) 8.5 12(13.3) |
150~200(80.6) 7~18 8~12(8.1) | |
|
|
|
|
|
|
|
육성기에 양질조사료를 많이 급여하였을 경우의 이점은 다음과 같다.
가. 조사료의 거침과 부피에 의하여 제 1위와 소화기 전체를 충분히 발달시켜 장기간의 비육에도 지속적인 증체를 얻 을수 있고, 나. 골격을 잘 발달시켜 출하체중이 큰 비육우를 만들기 위한 기초체형을 만들 수 있으며, 다. 육성기부터 내장이나 근육과 근육사이에 지방이 부착되는 것을 막아 조기 과비를 예방할 수 있다. 라. 그밖에 많은 반추작용에 의한 침의 다량분비 촉진으로 제 1위의 발효상태 를 양호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기 때 문에 소화기관이 잘 발달된 번식밑 소가 될 수 있다. |
|
|
|
|
|
|
|
4. 이유송아지의 입식초기 관리 |
|
어미소로부터 젖을 떼거나 외부에서 구입하는 송아지는 보통 3~5개월령의 어린 송아지로 환경변화에 따른 저항력이 약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사육장소 및 사료변화 등의 스트레스를 받게되어 각종질병에 대한 저항성이 약해지고 위의 운동도 약해지기 쉬우므로 입식초기에 아래와 같은 조치를 취하도록 한다.
가. 구입할 송아지는 가능한 한 2시간 이상의 장거리 수송은 피해야 하고 수송 시에도 한 차내에 너무 많은 두수를 적 재 하지 않도록 한다. 나. 축사는 소독을 하고 바닥은 건조하게 깔짚을 깔아주고 안정감이 있도록 해 주며 우사의 환기에 유의한다. 다. 도착 후 첫날은 물을 충분히 먹을 수 있도록 하며 질좋은 건초를 두당 0.5㎏씩 급여하되 건초가 없을 때는 깔짚 재 료를 깨끗한 볏짚으로 하여 언제나 먹을 수 있도록 한다. 라 도착후의 물은 겨울철에는 따뜻한 물(여름에는 시원한 물)을 급여하고 안정 시키면서 스트레스 방지와 피로회복을 위하여 비타민 ADB12와 영양제를 주 사하고 질병예방을 위해 항생제를 2~3일 간격으로 주사한다. 마. 배합사료는 체중의 0.5~1.0%수준의 량을 오전 오후로 나누어 2~3일간 급 여하고 3~4일 후부터는 분의 상태를 살피면서 0.5㎏씩 증량해주어 목표량 까지 증가시킨다. |
|
바. 사료적응은 2 ~ 3주간 점차적으로 실시하되 가능한 한 입식 전 사료를 급여하고 서서히 변경사료로 전환함으로 서 설사가 나지 않게 한다. 사. 인공유(어린송아지 사료)를 급여하던 송아지는 인공유와 중송아지 사료를 70 : 30으로 4~5일간 급여 후 완전히 중송아지사료로 바꾸어 준다. ⑧식욕이 좋지 않은 송아지는 제 1위 강화제나 소화제를 급여토록 하며 이때 내부 기생충 구제도 병행한다.
생후 3~4개월령(체중 100㎏내외)에 구입한 송아지는 우선 이유 스트레스의 극복과 변화된 자연환경에 잘 적응시키면서 아직 소화기관의 발달이 충분한 상태가 아니므로 영양이 풍부한 어린 송아지 사료를 체중의 2.5%내외(또는 자유채식)로 급여하면서 양질의 조사료를 자유채식시켜 6개월령에 체중 140㎏ 내외가 될 수 있도록 사양관리 한다. 이후부터는 육성기에 사용할 조사료에 적응될 수 있도록 조사료도 변경시킬 뿐 아니라 금후의 성장단계에 맞는 사양관리 체계로 전환하도록 한다. |
|
|
|
|
|
|
|
참 고 문 헌
강수원 외. 1991. 한우송아지의 성장발육에 관한 연구. 농시논문집(축산편). 농림부, 전국한우협회. 2001. 한우고급육 기술교육 교재. ______, 축산기술연구소, 농협중앙회. 2001. 한우 고급육생산기술. 축산기술연구소. 2000. 최신 한우·젖소 번식사양기술. ______________. 1999. 생산비절감을 위한 새로운 한우사육기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