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혈액형의 정의
    혈액형은 적혈구항원형과 혈액단백·효소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넓은 의미의 혈액형은 적혈구 및 백혈구항원형과 혈액단백·효소형을 지칭하며, 좁은 의미의 혈액형은 적혈구항원형만을 지칭한다. 적혈구 및 백혈구항원형이란 혈구막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에 대하여 항혈청을 이용한 혈청학적방법으로 검사하여 항원형을 분류하는 것을 말한다. 항원이란 다른 동물에게 비경구적으로 주입하였을 경우 항체생산을 유발시키며, 그 항체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물질을 말한다. 항체는 항원의 자극으로 생산되어 그 항원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γ글로빈분자이다.
  항혈청이란 항체를 포함하고 있는 혈청을 말하며, 항혈청의 종류로는 동종항혈청, 이종항혈청, 정상혈청, 면역혈청, 미흡착항혈청, 단리항혈청, 검사용 표준항혈청 등으로 구분된다. 혈액단백·효소형이란 혈청 및 혈구중에 존재하는 각종 단백질 및 효소를 전기영동법으로 검출한 생화학적 다형을 의미한다. 단백질·효소의 다형은 주로 아미노산배열 차이에 의해서 발생하며, 검출은 전기영동 후 색소에 의한 염색으로 실시한다. 특히 효소다형(isozyme)은 효소에 특이적으로 분해되는 기질을 반응시켜 만들어진 물질을 발색하여 검출한다.
  혈액형 검사성적의 객관성은 매우 중요하다. 즉, 동일한 시료에 대하여 분석자 혹은 분석기관간에 서로 다른 결과를 보고하여서는 안된다. 특히, 국제간의 생식세포 유통시에는 혈액형검사 성적이 첨부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검사성적의 신뢰성 및 국제적으로 동일한 성적을 얻기 위하여 국제동물학회(ISAG)가 주관이 되어 혈액형 검사의 비교동정시험을 4년 1회 간격으로 실시하고 있다. 2000년도 소 혈액형 국제비교동정시험에는 한국의 축산기술연구소를 비롯한 47개국 약60 연구기관이 참가하였다. 국제비교동정시험은 참가 연구기관이 국제학회가 제공한 동일한 시료에 대하여 적혈구항원형, 혈액단백·효소형 및 DNA다형을 분석하여 각각의 성적을 학회에 보고한다. 학회는 각 연구기관의 성적을 비교 검토하여 각연구기관이 유사한 성적을 보고한 것에 대하여는 국제적으로 통용할 수 있는 실험방법으로 추천하고 있다.
           
  2. 혈액형 검사법
    혈액형검사에 이용되는 혈액은 경정맥 혹은 미정맥에서 채혈하며 항응고제로 헤파린을 이용한다. EDTA를 이용할 경우에는 효소 활성으로 효소좌위를 검출 할 수 없게된다. 적혈구항원형의 검사에는 적어도 혈구세척을 3회 이상한 신선한 혈구가 이용되며 혈액단백·효소형의 분석에는 혈장과 적혈구를 냉동하여 분석시 해동하여 이용한다.
     
    가. 적혈구항원형
      적혈구항원형에서는 말하는 시스템(blood group system)이란 유전학에서 말하는 유전자 좌위(genetic locus)에 상당하지만, 동일 시스템에 속한 다수의 항원을 결정하는 유전자가 연쇄관계가 있는 복수의 유전자 좌위에 분포하는 경우가 많이 있기 때문에 별도로 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동일한 시스템에 속한 항원은 직선적아형(linear subgroup), 비직선적아형(nonlinear subgroup) 및 phenogroup을 형성하는 경우도 쉽게 관찰된다.
  국제동물유전학회에는 11개 시스템에 속하는 93개의 적혈구 항원형이 보고되었다. 가장 많은 항원이 관찰되는 시스템은 B시스템으로 54개의 항원이 밝혀졌다. 적혈구 항원형의 검사방법으로는 검사 개체의 2% 적혈구 부유액20㎕과 항혈청40㎕을 혼합한 후 15분간 실온에 방치한 후 특이반응의 유무를 관찰하고 보체를 20㎕첨가하여 반응시킨다. 소의 용혈반응에는 보체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보체는 신선한 토끼의 혈청을 2배로 생리식염수로 희석하여 사용한다. 판정은 용혈의 정도를 6단계로 하며, 보체첨가 후 1시간 30분, 3시간, 5시간 경과시의 반응의 정도를 기재한다(그림 1).
           
   
   
그림 1. 적혈구항원형의 용혈반응
           
    나. 혈액단백·효소형
      소의 혈액단백효소형 검사는 혈통확인을 위한 친자감별, 품종·집단구조의 분석, 양적형질과 관련성 등 넓은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혈액단백·효소의 다형은 확실하게 유전하는 형질로 비교적 쉽게 검출할 수 있다. 더욱이 관찰한 대부분의 밴드로 유전자형을 확정할 수 있고, 적혈구항원형 검사시 필요한 항혈청을 만들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유전표식으로서의 이용성은 매우 크다. 지금까지 26단백·효소좌위에 다형의 검출이 보고되었으나, 국제적으로 9개 좌위가 표준화되어 각 유전자의 명칭도 통일화되었다. 검사는 주로 전분, 한천 및 Polyacrylamide 겔을 지지체로 하여 각각의 단백 및 효소형에 적합한 전극 및 겔 완충액에 직류전기을 통하여 pH 및 분자량의 차이로 다형을 검출하고 있다(그림 2). 한우에 있어서는 홀스타인(Holstein)종에서는 관찰할 수 없는 유전자가 Albumin, Hemoglobin, Transferrin, Carbonic anhydrase등의 유전자 좌위에서 관찰할 수 있으며 혈통관리 및 집단구조의 분석에 매우 유용한 수단으로 자리하고 있다.
           
   
   
그림 2. 수평식 Polyacrylamide 겔에 의한 전기영동상
           
  3. 혈액형의 응용
    가. 개체식별 및 친자감별
      (1) 개체식별
        혈액형은 선대로부터 유전되는 형질이며 일생을 통하여 변하지 않고 자손에게도 유전된다. 현재 축산 선진국의 경우 종축등 중요가축에 대하여는 등록시 혈액형검사성적도 같이 등재하고 있으며 우리 나라도 한우 종모우에 대하여는 별도로 혈액형검사성적이 보존하고 있다.
           
      (2) 친자감별
        혈액형으로 친자관계를 조사·확인하는 주목적은 혈통등록사업, 개량사업 및 번식기술의 확인 등이다. 한우 종모우선발을 위한 후대검정시 혈액형검사로 관련 개체에 대하여 친자확인을 하여 육종개량의 정확성을 기하고 있다. 또한 인공수정, 수정란이식 및 핵이식 등의 기술 수준을 객관적으로 입증하는 수단으로서도 혈액형 검사는 이용되고 있다. 친자 판정은 송아지의 혈액형을 지배하는 유전자는 모두 그 양친의 모든 유전자 좌위에서 1개의 대립유전자가로 성립된다는 원칙에 따라서 실시한다. 따라서 이 원칙에 모순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친자관계는 부정된다. 판정을 효율성을 표시하는 지표로는「부권 부정률」을 이용한다. 2001년도 국내에서 시행하는 혈액형검사에 의한 부권 부정률은 약96%로 계산된다.
           
    나. 프리마틴과 난성판정
      소의 이성쌍태의 암컷 중에는 프리마틴이 높은 빈도로 발생한다. 프리마틴개체는 불임을 보이며 그 원인으로는 어미의 태반내에서 암수태아의 요장막이 융합되어 암 태아가 수컷의 성호르몬물질의 영향을 받게 되어 발생하게 된다. 이런 경우 태어난 암수 송아지는 2종류의 혈액세포를 보유하게되어, 혈액형검사로 적혈구 키메라가 증명되며 암컷에 대하여 프리만틴 판정을 하게된다.
  난성판정은 같은 성의 쌍태가 생산되었을 경우 일란성 혹은 이란성 쌍태를 구분하는 판정을 말하며 혈액형검사는 난성판정시 유효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다. 집단유전학적 응용
      혈액형 유전자빈도의 통계학적 해석으로 집단의 유전학적특성 및 집단간의 유전학적 관계를 해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특정유전자의 유무로 집단 특징을 구별하는 경우에는 계통 및 품종의 순수성을 확인할 수 도 있다. 지금까지 조사된 한우의 혈액형을 지배하고 있는 유전자를 집단유전학적으로 해석하여 한우의 기원을 유추하면 다음과 같다. 한우 혈액형을 지배하는 유전자는 주로 북방형 계통에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며 10%이하의 낮은 빈도로 남방형 계통에서만 보이는 유전자도 다수 관찰된다. 이상의 결과로 한우는 북방형 계통의 집단에 속하지만 남방형 계통 집단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되어지며 한우의 성립에는 다수의 집단이 관여하였던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라. 경제형질과의 관계
      1980년도에 MHC연구가 발전하여 면역생물학적인 형질과 혈액형과의 관계가 조금씩 구명되기 시작하였다. Larsen등은 혈액형과 유방염 발생관계를 조사하여 M시스템의 혈액형이 제 1유기 및 제 2유기에서 유방염 발생과 관련되며, M'인자를 보유하고 있지 않는 개체가 보유한 개체보다 유방염 발생률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그 후의 연구로 BoLA가 유방염에 영향을 주며 M시스템은 BoLA와 같은 염새체상에 위치하며 BoLA-A시스템의 A16항원과 M'항원간에는 공통성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참 고 문 헌

박용호 외. 1996. 동물유전공학. 선진문화사.
Ito, S. and M. Kanemaki. 1987. Jpn. J. Zootech. Sci., 58 : 771-780.
Larsen, B. 1982. Anim. Blood Grps. biochem, genetics., 13 : 115-121.
岡田育穗 외. 1995. Animal Genetics. 養賢堂. 東京.

'가축키우기 > 한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의 발정관찰과 수정적기 판단 방법  (0) 2008.01.29
한우 유전능력의 활용요령  (0) 2008.01.29
우량 한우 선정요령  (0) 2008.01.29
한우 개량체계  (0) 2008.01.29
주요 외국 육용종  (0) 2008.01.29
  1. 우량 한우 선정의 필요성
    가. 한우의 경제형질
      (1) 한우의 경제형질
        한우의 경제형질(발육, 체형, 육질 등)은 유전과 환경에 의하여 좌우된다. 유전적인 능력과 환경요인 모두가 한우를 사육하는데 중요한 것으로 일단은 유전적 능력이 우수해야 되는데 능력이 우량한 소가 능력이 불량한 소에 비하여 성장이 빠르거나 육질이 좋아 도체등급을 잘 받을 수 있고 또한 송아지를 잘 키워 더욱 높은 소득을 가져다주기 때문에 우량한 소를 고른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표 1. 농가 사육시 한우의 평균 발육
     
구분
체중(kg)
구분
18개월령
수 소
암소
수소
암소
  3개월
  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
102.4
176.4
368.3
505.0
-
   84.4
138.4
240.1
315.3
396.6
체 고(cm)
체 장(cm)
흉 심(cm)
요각폭(cm)
흉 위(cm)
126.5
144.1
   70.1
191.2
191.2
116.6
130.1
  60.2
   38.7
159.5
      자료 : 가축개량관련자료 (제9차 한우개량 추세 조사, 축산기술연구소, 2001)
           
      나. 우량 한우 선발방법
        (1) 능력검정에 의한 선발
        ○일정 기간내에 소의 능력을 직접 검정하여 개체별 유전능력을 판단 선정 하는 가장 정확한 우량우 선발     방법으로 당대검정과 후대검정이 있으며,
○시간과 경비가 많이 소요되고 전문기술과 인력이 필요하고,
○주로 연구기관 등의 검정 기관에서 이용하였다.
           
        (2) 외모에 의한 선발
          소의 외모는 골격의 구조와 생리적 기능간의 상호작용으로 표현됨으로 소의 능력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으며, 품종별로 가장 이상적인 체형과 자질 등을 제시한 심사표준에 의한다. 외모심사는 어디에서나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가축 품평회나 종축의 등록시에 이용되며, 한우는 후구가 빈약하고 사고(斜尻) 등 육용 체형으로 개량 할 점이 많다. 그러나 외모심사는 심사자의 주관에 치우칠 경향이 있음으로 선정의 효과는 크지 못할 수도 있다.
           
  2. 외모를 관찰하는 요령
      소를 평평한 곳에 바른 자세로 세우고 소 키의 2~2.5 배정도 떨어진 곳에서 그림 같은 순서로 돌아가면서 소의 각 부위를 관찰한다. 소에 접근할 경우에는 소를 안심시키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고 필요한 곳을 어루만져 주면서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①, ⑤번 위치에서 몸 전체의 뻗어남과 길이, 체적, 체각 부위의 균형, 체부위의 이행상태, 체상, 하선, 영양상태, 윤곽품위, 모색, 자질 등. ②, ④번 위치에서 소의 어깨 및 요각의 부착정도와 갈비의 개장 정도. ③번 위치에서 체폭으로써 어깨, 등, 허리, 엉덩이 폭과 다리의 지세 생식기 등. ⑥번 위치에서 털, 피부의 탄력성, 어깨갈비의 부착, 유방과 음낭 등. ⑦번 위치에서 소의 얼굴, 목, 어깨의 목부분과 이행정도. ⑧번 위치에서 머리, 가슴의 폭, 지세. ⑨번 위치에서 성질의 불안정도, 필요하면 입을 열어 혀와 이를 살펴본다.
           
   

그림 1. 외모관찰요령




그림 2. 체적관측


그림 3. 균형관측


그림 4. 윤곽과 자질 관측
           
    (가) 외모별 주요관측 사항
      (1) 체적과 균형
          발육은 소의 나이에 상당하는 발육정도가 좋다. 체적은 체폭, 체심, 체장이 풍부하고 클수록 좋으며, 전체 균형은 목과 머리, 목과 다리, 전·중·후구가 각각의 나이에 비교하여 좋게 보이는 소로 체상·하선 모두가 곧고 서로 수평을 유지함이 좋다.
       
      (2) 자질과 품위
      윤곽 : 선명하고 몸 전체가 느슨하지 않은 것이 좋다.
자질 : 피모가 윤기 있고 부드러우며 밀생하고 피부는 여유, 두께, 탄력성이 있으며 뿔, 발굽, 뼈의 모양과 크기
          는 적당한 것이 좋다.
품위 : 몸의 생김새, 자질, 얼굴 등에서 받는 인상으로 암컷은 암컷답고 수컷은 수컷다워야 종축으로서 가치가             있으며 지나친 비만은 좋지 못하다.
           
     
         
그림 5. 머리와 목 관측
      (3) 머리와 목
        이마와 콧날이 평직하고 넓은 것이 좋으며 오목하거나, 볼록한 것, 틀어진 것은 좋지 않다. 가슴, 턱의 지느러미 암소에서는 적은 것이 좋고 숫소에서 흉수(가슴지느러미)는 어느정도 발달한 것이 좋다.
  얼굴모습은 길이와 폭의 균형이 좋고 입비경과 비공이 큰 것이 좋다. 목은 짧은 듯하고 이행이 양호하며 두터운 것이 좋고 가늘고 길며 목위가 오목한 것은 좋지 않다.
           
     
         
그림 6. 전구와 중구관측
           
      (4) 전 구
      전체 : 전체 폭이 넓고 깊고 충실하고 가슴은 깊으며 가슴 바닥은 평평하고 앞가슴은 겨드랑이가 충실한 것.
어깨 : 기갑이 두텁고 붙임이 좋으며 경사가 알맞고 어깨끝이 돌출하지 않고 어깨뒤는 충실한 것.
           
      (5) 중 구
      전체 : 폭이 팽팽함과 늘씬하게 뻗어남이 좋다.
배요 : 등과 허리는 넓고, 길고, 강하고 평직하며 후구에 이행이 좋은 것.
갈비 : 각도가 크게 잘 벌어져 있고, 갈비간격이 넓고 부착이 좋은 것.
배 : 느슨하지 않고(처지지 않음) 하겸부가 충실한 것.
           
      (6) 엉덩이
      전체 : 전체 폭이 길고 충실해야 한다.
모양 : 뒤에서 보나 옆에서 보나 경사가 적고 모양이 좋은 것
요각 : 돌출하지 않은 것으로 암컷은 각진 모양이 있고 수컷은 둥근 모양을 띈다.
십자부 : 평탄해야 할 것.
           
      (7) 넓적다리
      전체 : 넓고 두텁고 충실하게 생긴 것.
형태 : 옆측에서 보아서 윗넓적다리 모두 두텁고 충실하며 안쪽으로 잘려 올라간 것 같은 형태가 아닌 것.
           
     
         
그림 7. 엉덩이와 넓적다리 관측
           
      (8) 지세와 보양
      균형 : 월령에 맞는 균형이 필요하다.
지세 : 바르고 잘 발달되어 있을 것
보양(걸음걸이) : 경쾌하고 바른 것.
           
      (9) 유기
      유기전체 : 균형있게 발달하고 유연한 것.
유방 : 뒤에서 보나 옆에서 보나 용적이 큰 것.
유두 : 배열이 좋고, 크고, 부드러운 것,
유정맥 : 크고 긴 것.
     
         
그림 8. 지세와 보양관측
         

         
그림 9. 유기관측
           
        참 고 문 헌

농촌진흥청. 1993. 한우(표준영농교본).
오봉국 외. 1993. 가축육종학. 선진문화사.

1. 한우 개량체계 변화
       한우의 개량체계 변화는 시대적으로 크게 광복전·후로 구분되며 6.25전쟁 이후인 1954년도에 정부는 감소된 한우의 증식을 위하여 개량과 번식을 장려하는『가축보호법』을 제정(법률 제 306호)하였으며 이 보호법에는 한우의 심사, 한우의 등록 및 도축제한에 관한 사항을 고시하였다.
   본격적인 한우의 개량체계는 1960년 4월에 농림부 주관하에 축산시험장 화산지장에서 농촌진흥청, 대학교수, 한우개량관련기관이 중심이 되어 한우개량협의회가 1차로 개최되어 한우의 개량목표, 한우개량방법, 한우의 심사표준 및 측정방법, 한우의 사양표준을 제정할 것을 명시하면서 시작되었다.
           
      가. 1969년도에는 제 1회 전국 한우 참피온 대회를 개최하여 선발된 우수축을 일반 종모우로 관리하면서 전국           한우 개량을 위한 종축으로 활용.
나. 1970년대 초반에 처음으로 고령지 시험장에서 검정 시스템을 통하여 고령지 시험장의 능력 검정을 필한
      일 반종모우로 선발하여 활용.
다. 1979년도부터 우량한우 생산기반 구축 및 순수혈통보존을 목적으로 전국 8개소에 개량기초집단조성을 시 
     작으로 1992년 200개소, 1995년 250개소를 개량단지로 조성하여 암소 150천두(2000)를 관리하여 우수 종축
     생산에 기여하고 있고 현재까지도 개량농가(단지) 육성사업을 수행.
라. 1985년도에 당·후대검정체계에 의한 보증종모우 선발을 하였으며 당대검정은 국립종축원 남원지소와 고
      령 지시험장(현, 축산기술연구소 대관령지소), 도 종축장에서 실시하게 되었는데 고령지시험장과 국립종축
     원은 자체 생산축에서 태어난 수송아지를 검정하였고, 도 종축장은 개량단지(현, 개량농가 육성사업)에서          생산된 수송아지를 매입하여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선발된 후보종모우는 축협중앙회 한우개량사업소에 분
     양하여 관리.
        후보종모우에서 생산된 정액을 개량단지와 한우개량사업소 암소축군에 인공수정하여 생산된 수송아지를
     대상으로 후대검정을 실시하였으며 1987년에 한우 보증종모우가 처음으로 탄생.
마. 1993년도에 농림부가 한우산업종합대책을 설정하면서 1992~2001한우개량목표(표 1)를 수립하게 되었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축산법 제 5조 3항에 의거하여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가 가축개량 
      총괄기관으로 지정됨과 동시에 검정체계를 변경(그림 1).

           
     
           
    표 1. 한우 개량목표
   
형질

년도
체중(㎏)
도 체
6개월령
18개월
도체율
(%)
등지방두께
(㎝)
등심면적
(㎠)
육질1등급 비율
(%)
1992
179
477
57.6
0.75
75.8
15
1997
190
515
57.7
0.75
76.1
30
2001
200
550
57.8
0.75
76.4
60
개량량/연간
2.3
8.1
0.02
-
0.07
5.0
           
  2. 한우의 검정체계
    가. 능력검정
      (1) 당대검정
         한우 당대검정은 우수 후보종모우를 선발하고자 실시하는 검정인데 우수한 암소의 유전능력을 기본으로 계획교배에 의하여 생산된 수송아지에 대한 능력의 검정·평가를 통하여 선발되어진다. 표 2는 1983년부터 2000년까지 당대검정을 통하여 생산된 후보종모우 두수로 이 기간 중 축산기술연구소는 매년 2~15두의 후보종모우를 선발하여 전기간 134두를 선발하였다.
           
      표 2. 기관별 후보종모우 생산현황
     
           
      (2) 후대검정
         축산기술연구소는 1993년에 가축개량 총괄기관으로 지정됨에 따라 1985년부터 축협중앙회 한우개량부에서 수행되던 후대검정을 조사지역의 다양성을 통한 능력검정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서 1998년부터 축산기술연구소 대관령지소와 남원지소(그림 2, 3)에서 조사하기 시작하였다.
   개량의 방향이 육량증가에서 육질개선으로 바뀌어지고 육질평가 대상인 근내지방도의 개선이 18개월령 이후인 비육후반기에 이루어지게 되어 후대검정기간을 1991년생부터는 18개월령에서 22개월령으로 연장하여 검정토록 하였으며 1998년부터는 다시 근내지방도의 평가를 보다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24개월령으로 연장하여 수행 되도록 개선하였다. 또한 고급육 생산기술이 거세를 바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1996년도부터는 후대검정축도 거세를 실시하여 검정되도록 하였다.
   표 3은 1989년부터 1995년까지 수행된 후대검정 결과로 개량방향이 바뀌어짐에 따라 보증종모우(그림 4, 5)를 선발하기 위한 선발 지수식도(표 4) 같이 변화하게 되었는데 육량중심의 종모우 선발시는 6개월령 체중, 일당증체량, 배장근단면적 등이 주로 선발지수로 이용되었으나 육질개선을 위하여는 근내지방도를 선발 지수로 이용하게 되었다.
           
     

표 3. 연차별 보증종모우 선발 두수

     
구분
년도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후보종모우공시
검정완료후손수
보증종모우선발

27
261 
21
(1)
28
297 
20
32
291 
21
(3)
32
291 
21
(1)
29
276 
20
17
149 
11
28
317 
19
39
297 
21
38
384 
23
39
327 
20
40
291 
16
40
267 
20
39
370 
16
40
351 
17
           
      표 4. 연도별 보증종모우 선발지수식의 변화
     
년도
선 발 지 수 식
1987
1993

1994
1999

   I = BW6(6개월령체중) + 85.1ADG(일당증체량) + 4.93MS(근내지방도)
   I = 14.37BW6(6개월령체중 육종가) + 2.00ADG(일당증 체량육종가) +
        160.0MS(근내지방도육종가)
   I = 2.00ADG(일당증체량 육종가) + 160.0MS(근내지방도육종가)
   I = 0.75SBVcwt(도체중육종가 표준화값) + 0.75SBVema(배장근단면적
        육종가의 표준화값)+ 1.5 SBVms(근내지방도육종가의 표준화값)
           
     

그림 2. 대관령 후대검정 전경

그림 3. 남원지소 후대검정 전경


그림 4. 선발된 보증종모우(KPN199)



그림 5. 선발된 보증종모우(KPN249)

           
      참 고 문 헌

농림부. 2000. 가축개량관련자료. 축산기술연구소.
한국 종축개량협회. 1984. 종축개량.축산기술연구소.
축산기술연구소. 2000. 축산시험연구보고서.

           
1. 품종의 정의와 종류
      소의 품종이란 소의 외모적인 특성, 즉 모색(毛色), 체형(體型), 체격(體格)등과 소의 생산능력 등이 유전적으로 비교적 같은 무리의 집단을 말한다.
           
    표 1. 세계의 소 품종
   
구 분
유럽계통
인도계통
잡 종
(유럽계×인도계)
  유 용 종
  육 용 종
  겸용종(유,육)
  역 용 종
  역용 및 육겸용종
  역용 및 유겸용종
  역용, 유, 육겸용종
  공인된 품종
  재 래 종
80
26
61
10
27
 8
87
194
105
3
10
2
24
8
15
59
54
67
 3
10
 2
 1
 2
-
11
 3
26
86
46
65
35
37
23
157 
251 
198  
총 계
499
121  
29
449 
    자료 : Krauslich(1981)
           
      세계적으로 소 품종의 종류를 보면 소를 사육하는 목적에 따라 고기를 생산하는 순수한 육용종만도 46개 품종에 이르고 그 외에 유용종, 역용종, 겸용종 및 재래종을 합하면 무려 449개 품종에 이른다고 한다.
  소 품종은 원산지나 그 외 입지조건, 형태적 특징으로 분류하기도 하나 소를 사육하는 목적 즉 용도에 따른 분류가 흔히 사용되고 있다. 우유생산을 주로 하는 소는 유용종(乳用種), 고기생산이 주인 육용종(肉用種), 일을 하는데 이용되는 역용종(役用種), 용도를 겸하고 있는 겸용종(兼用種)이 있는데 이에는 우유와 고기 생산을 겸한 유육(乳肉) 겸용종, 우유와 일을 겸한 유역(乳役)겸용종, 일과 고기를 겸한 역육(役肉)겸용종 등으로 분류하는 것이 대단히 많다.
  아시아나 아프리카의 개발 도상국가에서는 주로 일소가 매우 중요하나 축산선진국에서는 2차대전 후 농업기계의  보급으로 일소가 없고 유럽 각국에서도 유용, 유육 겸용종에서 착유를 한다.
  그러나 북미에서는 고기와 젖을 생산하는 용도의 구분이 분명하다. 그러므로 유럽에서의 유용종은 우유:고기의 비율이 6:4 이상은 우유이고, 육용종은 4:6 이상이 고기이며 겸용종(유육)은 5.5:4.5, 5:5, 4.5:5.5의 비율을 보인다.
용도에 따른 소의 체형을 보면 육용종은 쇠고기 생산형으로 섭취한 사료를 이용 최대한의 양질의 쇠고기를 생산하는 체형으로 풍만한 전, 중, 후구가 균형있게 발달한 장방형이고 다리가 짧은 듯하다.
  유용종은 야위고 각진형이고 전구가 경쾌하나 중구는 길고 후구가 크며 유기(乳器)의 발달이 좋고 옆, 앞등에서 보면 쐐기형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이들의 체형은 섭취한 사료로 최대한의 우유를 생산하기에 특별히 적합하도록 되어 있다.
  유육(乳肉)겸용종은 육용종과 유용종의 중간형이다. 역용종은 전구(前軀)가 묵중하고 네다리가 크고 근육의 발달이 양호하다. 또한 소 체구의 크기에 따라서 체구가 큰 대형종, 중간정도인 중형종, 작은 체구인 소형종으로 나누기도 하지만 그 한계가 뚜렷하지는 않다고 한다.
           
  2. 외국의 주요 육우품종의 특성
    가. 앵거스(애버딘 앵거스 : Aberdeen Angus)
      원산지는 영국의 스코트랜드 지방으로 1875년에 육성되어 북부유럽, 미국, 카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 기타 각국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미국에서도 가장 많이 사육하고 있는 품종중의 하나이다. 특히 뉴질랜드에서는 75%, 아르헨티나에서는 전육우 품종의 52%가 앵거스에 해당된다고 한다. 세계 육우의 3대품종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에 도입된 것은 1955년 축산시험장에서 시험용으로 1두 도입된바 있으며 1965년도에 당시 농협에서 52두를 도입한 것이 처음이다.
           
   
       
그림 1. 앵거스
     
      털색은 검정색으로 우성이나 미국에는 간혹 갈색의 것도 있어 레드앵거스(Red-Angus)라고도 부르며 뿔은 없다. 다리가 짧아 땅땅한 인상을 주고 체형은 장방형이며 방목에 적합하고 발육도 빠르지만 다소 신경질적이기도 한다. 특히 조숙성(早熟性)이 강하고 도체의 지방 발달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유달리 많아 지방교잡이 잘되는 특성을 갖고 있기도 하다.
  체중은 생시가 27~29㎏이지만 큰소는 암소가 550~600㎏, 수소는 770~800㎏이다. 육질과 고기맛이 매우 우수한 것이 특징이며 도체율은 65~67% 정도이다.
 
   
표 2. 앵거스 발육능력
(단위 : kg)
   
구별
생시*
100일
200일
300일
400일
500일
600일*
성우*
수 소
암 소
29
27
133
120
241
210
355
282
471
346
586
405
615
403
770
600
    주) * : 1985년 성적임.
자료 : 영국 M.L.C(1990)
     
    나. 헤어포드(헤리포드 : Hereford)
           
         
         
그림 2. 헤어포드
           
      원산지는 영국의 헤어포드(Hereford) 지방으로 이곳은 기후풍토가 양호하여 방목초지가 무성하다. 이 소는 체중과 체구가 크고 넓은 그 지방의 일소에서 연유하였다고 한다. 1790연도에 개량되어 영국, 미국, 카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 세계 각국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세계 3대 육우품종중 하나이다. 우리나라에는 1955년 축산시험장에 9두, 1958년 제주 송당목장에 12두를 도입한 것이 처음이지만 1972년에 이시돌 목장에 985두가 도입되었고 최근에는 샤로레종과 같이 많이 도입된 품종이다.
  털색은 적갈색이지만 목, 머리 가슴, 배, 다리 등에 흰무늬가 있는 얼룩소인데 특히 얼굴에 있는 흰색은 다른 품종과의 교배시에 자손에 나타나는 우성이다. 주로 무각종(無角種)이지만 유각종(有角種)도 있다. 체구는 짧으나 체폭이 넓고 성장이 빠르며 기후풍토에 적응력이 강하고 방목에도 알맞다.
  체중은 생시가 33~36㎏이며 큰소는 암소가 650~670㎏이고 수소는 850㎏내외로서 앵거스종보다는 다소 크고 산육능력도 높아 도체율이 65~70%이다.
           
   
표 3. 헤어포드의 발육능력
(단위 : kg)
   
구별
생시*
100일
200일
300일
400일
500일
600일*
성우*
수 소
암 소
36
33
132
122
238
209
348
282
469
346
570
396
827
545
850
670
    주) * : 1985년 성적임.
자료 : 영국 M.L.C(1990)
     
    다. 샤로레(Charolais)
      원산지는 프랑스 동부의 샤로레(Charolais) 지방의 프랑스 재래종에 심멘탈과 쇼트혼종을 교배시켜 1887년에 육성되었다. 그리고 샤로레는 불란서 중부, 영국, 독일 등 북구 북미, 호주, 뉴질랜드 등에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교잡종 생산에 많이 쓰여지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1969년에 냉동 정액으로 도입되어 한우와의 교잡시험에 이용되었고 1971년 서울 샤로레목장에 일본에서 3두, 1972년에는 경기 청평목장이 미국으로부터 95두를 도입한 것이 처음이었으나 1980년대 도입육우 도입시에 많이 도입된 품종이기도 하다.
           
   
       
그림 3. 샤로레
           
      털색은 흰색에서부터 유백색(Cream) 혹은 볏짚색깔의 연갈색으로서 뿔이있으나 없는 것도 있다. 체구가 가장 크고 뒷몸이 잘 발달되어 성장이 대단히 빠르고 살고기(적육, 적육) 생산형으로 대형종이다. 그러나 송아지의 생시체중이 커서 난산율이 다소 높고 번식율이 낮은 편이지만 수소는 교잡종 생산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체중은 생시가 43~45㎏이며 큰소는 암소가 700~800㎏, 수소가 1,000~1,200㎏정도이다. 육질과 고기맛이 다소 떨어지는 편이지만 도체율은 65%전후이다.
           
   
표 4. 샤로레의 발육능력
(단위 : kg)
   
구별
생시*
100일
200일
300일
400일
500일
600일*
성우*
수 소
암 소
45
43
176
158
320
275
467
371
617
450
748
518
827
545
1,100
800
    주) * : 1989년 성적임.
자료 : 영국 M.L.C(1990)
           
    라. 심멘탈(Simmental)
      원산지는 스위스 서부의 심멘탈 지방으로 1862년에 공인 받았다. 주로 알프스 산악지대에 많으나 스위스, 오스트리아, 남부독일을 비롯하여 북·남미에까지 널리 분포되어 있다. 우리나라에는 1908년에 종모우 3두가 일본에서 도입되어 한우와의 교잡종 생산 이용 시험에 처음으로 쓰여지고, 그 후 1978년 강원도 삼양목장에 카나다로부터 2,000여두가 도입된 바 있고 이 품종 역시 1980년대 육우 도입시에 도입된 품종이다.
           
   
         
그림 4. 심멘탈
           
      털색은 황갈색 또는 적갈색이지만 머리와 다리 등이 흰색이며 뿔이 있다. 체격과 나라와 지역에 따라서 변이가 크며 유육겸용종이라고도 하지만 유육 비율도 크게 다르다. 스위스, 프랑스는 5:5이지만 영국, 미국은 4:6으로 육용종으로 본다.
  체중은 생시가 39~42㎏이고 큰소는 암소가750~800㎏, 수소가 1,000~1,200㎏이고 도체율은 60%내외로서 낮은 편이다. 산유능력으로서 유용종쪽은 유량이 4,000㎏ 내외이고 유지율은 4%정도이다.
           
   
표 5. 심멘탈의 발육능력
(단위 : kg)
   
구별
생시*
100일
200일
300일
400일
500일
600일*
성우*
수 소
암 소
42
39
176
158
314
270
456
355
600
425
721
485
756
510
1,100
750
    주) * : 1985년 성적임.
자료 : 영국 M.L.C(1990)
     
    마. 브라만(Brahman)
      원산지는 미국 남서부 멕시코 연안에서 1854~1926년에 인도소를 도입개량 육성했으며 남미에서는 제뷰(Zebu)라고도 한다. 미국 남중부, 호주 북동부, 브라질등 중남미 제국과 열대, 아열대에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주로 육용우의 교잡종 착출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1957년도에 제주도 송당목장에 275두가 도입된 것이 처음이고 제주한우와 본종의 교잡에 의한 제주한우개량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털색은 회백색, 남적색, 흑색 등이고 어깨에 혹이 있는 유각종이다. 귀가 늘어지고 흉수가 많이 늘어져 있다. 성질이 거친 편이지만 더위나 외부기생충(진드기등)에 강하다. 체중은 생시가 30㎏ 내외이고 큰소는 암소가 500~550㎏, 수소가 800~830㎏ 정도이다. 육질이나 고기맛이 떨어지는 편이고 도체율은 60% 내외이다
           
    바. 싼타(싼타 거투르디스 : Santa Gertrudis)
           
   
   
그림 5. 싼타
           
      원산지는 미국의 텍사스주로서 1918년부터 브라만과 쇼트혼종을 교배시켜 혈액비가 3/8:5/8로 고정된 소로서 1940년에 공인 받았다. 우리나라에서는 1950년도 후반에 제주도에 브라만종과 같이 도입되었다. 현재 미국 남서부필리핀, 호주 북동부, 중남미 제국에 분포되어 있다.
  털색은 엷은 적색 또는 적갈색이며 유각종이지만 무각종도 있다. 앞가슴의 흉수와 귀는 늘어졌으며 수소에는 견봉(肩峰)이 있다. 더위에 강하며 외부기생충에도 강하다. 체중은 큰소에서 암소가 600㎏, 수소는 1,000㎏ 정도로서 브라만종보다 큰 편이고 도체율도 60~65% 정도이다.
  또한 외국에 있어서 육우 품종들에 대한 생산능력의 평점을 비교하여 보면 표.6에서와 같이 번식능력은 대체적으로 소·중형종들이 양호한 반면 성장율이나 도체율면에서는 대형종들이 우수한 결과를 얻고 있다.
           
    표 6. 육우의 품종별 생산능력의 평점비교
   
구분
앵거스
헤어포드
샤로레
심멘탈
브라만
싼타
리무진
홀스타인
  번식 능 력
  육성우 폐사율
  생시체중
  이유시체중
  1 세 체중
  성성숙 월령
  성성숙시체중(♀)
  성성숙시체중(♂)
  F1잡종강세(♀)
  F1잡종강세(♂)
  사료 효율
  지 육 량
  지 육 율
  육질평가순위
4.86
4.14
4.43
2.86
5.57
4.71
2.86
3.00
3.14
4.71
3.14
2.71
5.00
1    
4.50
3.83
3.00
2.50
3.17
3.50
3.33
3.37
3.33
3.67
3.67
3.50
3.33
9    
2.86
2.00
2.57
4.57
4.86
2.14
4.57
4.00
4.71
1.86
3.57
4.86
1.86
16   
3.29
2.43
2.57
4.71
4.71
3.43
4.00
3.71
4.57
4.00
3.86
4.00
2.43
2    
2.14
3.43
3.86
3.00
3.00
2.43
3.43
3.43
3.29
3.29
3.00
3.43
2.71
30    
2.14
3.17
3.17
3.57
3.57
2.86
3.86
3.86
3.43
3.14
3.14
3.43
2.71
30    
3.00
3.00
3.29
3.57
3.71
2.86
3.57
3.43
3.86
2.86
3.86
4.71
2.29
18    
3.4   
3.14
2.86
4.43
4.29
3.29
4.14
3.86
2.86
3.57
3.29
3.71
2.29
13    
    주 : 1) ① 평가기준 : 5(수), 4(우), 3(미), 2(양), 1(가)
      2) ② 순위 : 47 품종 중의 평가순위
자료 : F. Lessiter(1975)
           
      이상 국내에 도입되었던 육우품종들의 특성과 외국에서의 산육능력(産肉能力) 등을 알아 보았다. 국내 사육환경에서 외국육우들의 발육능력을 한우와 비교한 결과를 보면, 표 7에서와 같이 방목지에서 육성시 1일 증체량이 한우가 0.56㎏인데 비하여 육우들은 0.62~0.65㎏으로서 한우보다 11~16%가 더 빨랐음을 나타냈고 방목육성 후 큰소비육시는 1일증체량이 한우가 0.97㎏인데 비하여 육우들은 1.03~1.28㎏으로서 6~32%가 발육이 빨랐고, 도체율도 한우 60.6%에 비하여 62.0~62.7%로써 한우보다 더 많음을 보여 주었으나 대체적으로 외국에서의 산육능력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표 7. 도입육우의 방목육성시 수소의 발육능력
   
구분
체 중(kg)
일 당 증 체
개시시
종료시
증체중
무게(kg)
지수
한 우
사 로 레
앵 거 스
헤어포드
홀스타인
144.8
194.0
219.3
205.5
193.8
248.8
310.0
363.3
318.8
305.0
100.0
116.0
117.0
113.0
111.2
0.56
0.64
0.65
0.62
0.62
100
114
116
111
111
    자료 : 축시(1981)
           
    표 8. 육우의 방목후 큰소비육 산육능력
   
구분
체 중(kg)
일 당 증 체(kg)
개시시
종료시
무게
지수
사료요구율
(TDN)
도체율(%)
한 우
사 로 레
앵 거 스
헤어포드
홀스타인
238.8
297.5
316.8
319.2
293.4
442.4
566.0
532.8
516.4
560.0
0.97
1.28
1.03
1.07
1.27
100
132
106
110
131
6.39
5.94
7.54
6.83
6.36
60.6
62.0
62.7
62.2
58.6
    자료 : 축시(1980~1981)
           
    참 고 문 헌

축산시험장. 1980-1981. 육우품종별 능력검정. 축산시험연구보고서.
M.L.C. 1990.
內勝元男. 1978. 세계의 손. 양현당.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