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병충해 |
호두나무는 다른 과수에 비해 병충해의 피해가 적은 편이지만 방임한 상태에서는 치명적인 해를 입는 일이 있다. 따라서 적기에 방제를 하는 것이 안전하다. |
병해충명 |
가해부위 |
발생시기 |
방 제 법 |
어스렝이나방 |
잎 |
5∼6월 |
디프수화제 1,000배액,메프수화제 1,000배액 살포 |
미국흰불나방 |
잎 |
5∼10월 |
〃 |
박쥐나방 |
줄기, 가지 |
6∼7월 |
벌레구멍에 철사를 넣어 찔러 죽이거나 메프수화제를 넣고 진흙을바름 |
깍지벌레 |
줄기, 가지 |
년중 |
기계유 유제 25배액 살포, 나무에 붙어 있는 벌레 (깍지)를 문질러 없앰. 메치온유제, 디메로유제 1,000배액 |
탄저병 |
잎, 과피 |
5∼8월 |
디이센엠 -45를 2~3회 살포 4-4 보르도액 2 ~ 3회 살포 |
뿌리썩음병 |
뿌리 |
9∼10월 |
토양소득, 석회시비, 배수조건 개선 |
가지마름병 |
가지 |
3∼7월 |
8.8식 보르도액살포, 석회유황합제 살포 통풍 및 일광조건이 좋도록 정지전정 |
갈색고약병 |
줄기, 가지 |
4∼6월 |
3월중 석회유황합제 살포 통풍 및 일광조건이 좋도록 정지 전정 |
|
병해 |
1) 탄저병(bitter rot, Glomerella cingulata〈STONEMAN〉 SPAULDING et SCHRENK) |
〔병 증〕炭疽病(탄저병)은 토양이 과습한 우기, 그리고 점질토양에 많이 발생하는데, 특히 유목기에 많이 발생한다. 5월 하순∼6월 상순까지는 새 가지에, 6월 하순∼7월 상순에는 잎과 가지에 발병한다. |
2) 줄기마름병(胴枯病(동고병); chestnut blight, Endothia parasitica〈MURR〉 P.J. et H.W. ANDERSON) |
〔병 증〕3월경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6∼7월에 심해진다. 줄기나 가지에 발병하며, 동해로 인한 상처부위에도 발병한다. 피해부분은 처음에는 적갈색으로 변하지만 이어서 潰瘍狀(궤양장)이 되며, 등황색의 소립이 밀생하고, 건조해짐과 동시에 균열이 생기고 거칠어진다. |
3) 뿌리썩음병(根朽病(근후병); Armillaria root rot, Armillaria mellea〈VAHL.〉QUELET) |
〔병 증〕생육기간 중 언제든지 발생하지만, 특히 발아 후에 많이 발생한다. 뿌리에만 발병하지만, 이 병에 걸린 나뭇잎은 황변되어 낙엽되고 가지도 고사된다. |
4) 기타 병해 |
이 밖에 날개무늬병·腐爛病(부란병) 등이 있으며, 발아 전에 석회황합제 5도액을 살포하고, 생육기간에는 6-6식 보르도액을 살포한다. |
|
충해 |
1)어스렝이나방(樟蠶(장잠); camphor silk moth, Dictyoploca japonica Butler) |
〔가해증상 ꎼ 생태〕1년에 1회 발생하며, 越冬卵(월동란)은 5월에 부화하고, 孵化幼蟲(부화유충)은 잎을 갉아 먹는다. 유충이 크면 더 많은 잎을 갉아 먹으며, 발생수가 많아지면 나뭇잎 전체를 갉아 먹어 가지고 고사되고 나무가 쇠약해져서 겨울에 동해를 입기 쉽다. |
2)호두꼭지나방 |
〔가해증상 및 생태〕6월에 산란하여 7∼8월에 성충이 된다. 유충이 靑皮(청피)와 核皮(핵피) 사이에 침입하여 幼果(유과)를 떨어지게 하여 큰 피해를 준다. |
3) 호두나무잎벌레(Walnut leaf-beetle, Gastrolina depressa Baly) |
〔가해증상 및 생태〕1년에 1회 발생하며, 성충으로 월동하여 5월경 잎에 산란한다. 유충은 잎 표면 에 모여 엽육을 그물모양으로 엽맥만 남기고 먹는다. |
4) 화랑곡나방(Indian meal moth, Plodia interpunctella Hubner) |
〔가해증상 및 생태〕1년에 2∼3회 발생하며, 어린유충 또는 노숙유충으로 월동한다. 저장해충으로서 핵피의 기부로부터 들어가 인(仁)을 먹어1회 큰 피해를 준다. 불충분하게 건조된 과실에서 많이 발생된다. |
'과일나무재배 > 호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도나무재배 (0) | 2007.05.24 |
---|---|
어린 줄기를 이용한 호도나무 접목방법 (0) | 2007.04.21 |
호두나무 재배(5)-식재후 관리 (0) | 2007.04.12 |
호두나무 재배(4)-식재 (0) | 2007.04.12 |
호두나무 재배(3)-번식 (0) | 2007.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