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밭작물재배 > 참깨.들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들깻잎, 항균·항암 효과에 철분 함량 최고 (0) | 2007.06.06 |
---|---|
참깨농사일기 (0) | 2007.06.06 |
참깨 안전 재배기술 -논산 (0) | 2007.05.13 |
참깨 안전다수확 재배기술 (0) | 2007.05.11 |
들깻잎주년생산을 위한 비가림 재배법 (0) | 2007.05.01 |
|
들깻잎, 항균·항암 효과에 철분 함량 최고 (0) | 2007.06.06 |
---|---|
참깨농사일기 (0) | 2007.06.06 |
참깨 안전 재배기술 -논산 (0) | 2007.05.13 |
참깨 안전다수확 재배기술 (0) | 2007.05.11 |
들깻잎주년생산을 위한 비가림 재배법 (0) | 2007.05.01 |
필수실천과제
시기 |
사업명 |
작업내용 | ||||||||||||||||||||||||||||||||||||
1~4월 |
품종 선택 |
○ 한섬깨, 안산깨, 단백깨, 진주깨 (2모작용) | ||||||||||||||||||||||||||||||||||||
적지 선택 |
○ 물빠짐이 좋은 참흙, 또는 모래참흙 ○ 토양산도 : pH 5.0~8.0 (연작지는 좋지않음) | |||||||||||||||||||||||||||||||||||||
5 |
밑거름사용 |
○ 시비기준 : 8-4-9kg/10a ※ 전용복비(16-8-18) : 50kg(2포)/10a ○ 규산질비료 : 150kg(개간지 : 석회 300kg, 용인 100kg 보충) | ||||||||||||||||||||||||||||||||||||
종자 소독 |
○ 분의소독 : 베노람수화제 4g/종자 1kg (씨앗에 물기가 없을 때) | |||||||||||||||||||||||||||||||||||||
파 종 |
○ 종자량 : 0.3~0.6kg ○ 심는거리 : 70㎝이랑에 30×10㎝ 2줄파종 | |||||||||||||||||||||||||||||||||||||
제초제사용 |
○ 투명비닐 : 파미드수화제, 알라유제, 알라입제중 선택 ○ 흑색비닐 피복시 제초제 사용 약해발생 | |||||||||||||||||||||||||||||||||||||
5~8 |
관리 및 병충해방제 |
○ 솎음 : 본엽 2~3매시 1본 남기고 뽑은후 구멍막음. ○ 병충해 방제
| ||||||||||||||||||||||||||||||||||||
수 확 |
○ 아래꼬투리가 2~3개 갈라질때 |
참깨 안전 재배기술
품종고르기
재배적지 |
파종방법
비닐구멍을 약간헤쳐 제초제 처리층을 부순후 참깨종자 3~5알씩을 넣고 복토함(복토흙은 강가의 모래 또는 마사토)
밑거름은 전용복비 (16-8-18)로
○ 보통밭 : 300평에 전용복비 50kg(2포)+소석회 150~200kg
○ 새로일군밭 : 300평에 전용복비 50kg+용인 100kg와 석회 300kg
잡초약사용
(300평당 살포량) |
※ 알라유제 30㎖, 파미드수화제 50g/물 20ℓ |
씨 뿌림량
0.3~0.6kg/300평당
비닐피복요령
○ 1모작 : 배색 또는 백색투명비닐
○ 2모작 : 흑색비닐
○ 두둑의 가운데는 약간 부르게, 양쪽 가장자리는 약간 낮게
토양수분
○ 적습(토양수분 60%정도) : 적기내 파종
○ 약간건조(토양수분 50~60%정도) : 적기파종후 강후 기다림.
적기파종
○ 파종적기 : 1모작-5월상ㆍ중순. 2모작-6월상순
○ 종자소독
주요관리
○ 솎음 : 본엽 2~4매 나왔을때 포기당 튼튼한 모 하나만 남기고 솎음(솎음 소홀할 때 도복 및 병발생 심함)
○ 보파 : 결주율 10%이상일때는 발아직후 보파실시
○ 순자르기 : 꽃이핀후 40일경(수확 20~25일전) 꽃이 핀 곳까지 잘라줌.
<도복우려시 줄지주설치>
처리내용 |
단작 |
2모작 | ||
수량 (kg/10a) |
지수 |
수량 (kg/10a) |
지수 | |
도복후 1일 지주설치 |
88 |
100 |
48 |
100 |
도복후 3일 지주설치 |
83 |
94 |
41 |
85 |
도복후 3일 엽면시비※ |
69 |
78 |
39 |
81 |
무처리 (방임) |
58 |
66 |
34 |
71 |
※ 옆면시비 : 요소 0.3% |
병충해방제
- 참깨농사의 성패는 장마철 병해방제에 있다.
병해명 |
증상 |
방제법 | |
돌 림 병 |
○ 줄기밑둥과 잎이 흑갈색으로 변하고 줄기가 썩으면서 쓰러진다. |
○ 병에 걸린 포기는 뽑아서 태우거나 땅속에 묻음. ○ 배수구 정비철저 ○ 산도판 (옥사실엠수화제) 500배 ○ 메타실엠지 1,000배액 살포 | |
시 들 음 병 |
○ 잎과 줄기끝(순)부터 시들다가 줄기밑둥이 적갈색으로 잘록해지면서 시들어 죽는다. |
○ 물빠짐 도랑을 깊이 쳐줌. ○ 옥시동수화제 1,000배액 7일간격으로 3~4회살포
| |
잎 마 름 병 |
○ 잎과 줄기에 갈색병무늬가 생기고 점점 커지며 서로 합쳐서 말라죽는다. |
○ 씨앗소독 ○ 돌려짓기 ○ 베노밀(벤레이트) 수화제 1,500배 ○ 푸로피(안트라콜) 수화제 500배, 3~4회 살포 |
주요충해피해 양상 및 방제법
해충명 |
피해양상 |
방제법 |
거세미나방 |
○ 줄기가 본질화 되기전 생육초기 에 피해가 심함. |
○ 씨뿌릴때 토양살충제 카보입제 (후라단, 큐라텔) 또한 폭심입제 (보라톤) 3kg/10a 살포 |
진 딧 물 |
○ 가물대 발생이 많으며 피해가 심함. |
○ 델타린유제(데시스) 또는 메타유 제(메타시스독스) 살포 |
수확
○ 아래부분 꼬투리가 2~3개정도 갈라지기 시작할 때 수확
○ 말리는 도중 비를 맞아 색이 변하지 않도록 사전대비
<참깨 3종농약 혼용가부표>
잎마름병약 |
돌림병약 |
시들음병약(옥시동수화제) |
베노밀수화제 (벤레이트) |
옥사실엠수화제(산 도 판) |
◎ |
메타실 수화제(리 도 밀) |
× | |
메타실엠수화제(리도밀엠지) |
□ | |
트로피수화제 (안트라콜) |
옥사실엠수화제(산 도 판) |
◎ |
메타실 수화제(리 도 밀) |
× | |
메타실엠수화제(리도밀엠지) |
◎ |
잎마름병약 |
돌림병약 |
진딧물약 | |
메타유제 (메타시스독스) |
델타린유제 (데시스) | ||
베노밀수화제 (벤레이트) |
옥사실엠수화제(산 도 판) |
- |
◎ |
메타실 수화제(리 도 밀) |
□ |
× | |
메타실엠수화제(리도밀엠지) |
◎ |
◎ | |
프로피수화제 (안트라콜) |
옥사실엠수화제(산 도 판) |
- |
◎ |
메타실 수화제(리 도 밀) |
□ |
□ | |
메타실엠수화제(리도밀엠지) |
◎ |
◎ |
잎마름병약 |
시들음병약 |
진딧물약 | |||||
메타유제 (메타시스독스) |
델타린유제 (데시스) | ||||||
베노밀수화제 (벤레이트) |
옥시동수화제 |
◎ |
◎ | ||||
프로피수화제 (안트라콜) |
옥시동수화제 |
◎ |
◎ | ||||
|
◎ 혼용가 |
□ 우려 |
×혼용불 |
|
참깨농사일기 (0) | 2007.06.06 |
---|---|
참께 재배법-임실 (0) | 2007.05.27 |
참깨 안전다수확 재배기술 (0) | 2007.05.11 |
들깻잎주년생산을 위한 비가림 재배법 (0) | 2007.05.01 |
들깻잎주년생산을 위한 촉성재배법 (0) | 2007.05.01 |
참깨 안전다수확 재배기술
1. 재배환경
가. 온도
○ 발아 최저온도 : 12℃내외(±2℃)
○ 발아 적정온도 : 25℃내외(±2℃)
○ 파종기의 적정지온 : 20℃내외
○ 발아, 생육초기, 화아형성 등에 필요한 적정온도 : 25∼27℃
○ 전 생육기간 동안 적산온도 : 2,700℃
나. 수분
○ 하루 중에 수분흡수가 가장 왕성한 시기 : 12∼18시
○ 수분부족에 가장 민감한 시기 : 유묘기∼개화기
다. 재배적지
○ 배수가 양호한 참흙 또는 모래참흙
○ 알맞은 토양산도 : pH 6∼7
- 적정산도 유지를 위하여 석회 필수 시용
○ 개간지나 참깨를 3년 이상 연작하지 않은 땅
2. 파종시기
○ 1모작 : 5월 상순∼5월 하순
○ 2모작 : 6월 중순
3. 파종량
○ 10a당 종자소요량 : 300∼600g
4. 품종선택
<표 1> 참깨 장려품종의 특성
5. 종자소독
○ 입고병 등 종자전염성 병해 예방
<표 2> 참깨종자 소독방법
약 명 |
처리 방법 |
베노람수화제 (벤레이트티, 큰나락, 삼공베노람, 씨쏘독) |
종자 1㎏에 약제 4g 분의 처리 |
지오람수화제 (호마이, 금나락) |
종자 1㎏에 약제 5g 분의 처리 |
6. 거름주기
<표 3> 거름주는 기준량
성 분 량(㎏/10a) |
전용복비(16-8-18) | ||
질 소 |
인 산 |
거 리 | |
8 |
4 |
9 |
50㎏ |
○ 지력에 따라 거름주는 양을 조절하여 생육 초기에 너무 웃자라지 않도록 함
○ 2모작은 용성인비 20㎏, 신개간지는 용성인비 100㎏, 석회 300㎏ 보충 하여줌
7. 잡초방제
○ 비닐피복 전에 잡초약 사용으로 노력절감(흑색비닐 사용시 불필요)
○ 잡초약 사용 3∼4일후 비닐을 피복함
<표 4> 참깨 적용 잡초약
약제명 |
처리시기 |
10a 사용량 |
사용방법 |
알라유제 (라쏘) |
복토후 3일이내 토양처리 |
150 |
물20ℓ당 30㎖희석 10a당 100ℓ살포 |
파미드수화제 (데브리놀) |
비닐피복전 (잡초발생전) |
300g |
물20ℓ당 50g희석 10a당 120ℓ살포 |
* 알라유제(라쏘)는 비닐피복 재배시에 약해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사용 지양 |
8. 비닐피복 및 파종
○ 참깨전용 규격유공비닐 사용 안전재배
- 1모작 : 백색투명비닐
- 2모작 : 흑색비닐
○ 알맞은 포기수 : 10a당 20,000주
○ 두둑을 70㎝로 좁게 만들고 한두둑에 2열씩 심음(열간 30㎝)
- 두둑사이 30㎝, 포기사이 10㎝
○ 무공비닐을 피복한 후 점파기를 활용하여 파종하는 경우에도 유공비닐을 사용할 때와 같이 재식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함
【 규격유공비닐 피복 2열 재배의 잇점 】 |
○ 씨뿌리기 등 재배관리가 편리하고 물이 잘 빠져서 습해가 적어짐 ○ 햇빛쪼임과 통풍이 잘 되어 병 발생이 적어짐 |
9. 솎 음
○ 본엽이 2∼4매 나왔을 때(싹튼 후 약 2주) 포기당 튼튼한 묘 1본만 남기고 솎아 줌
○ 솎음작업이 지연될 경우 웃자람, 도복, 병 발생이 많음
10. 보 식
○ 결주율이 10% 이상 될 때 수량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싹튼 직후 덧뿌리거나 사전에 별도로 육묘한 묘로 보식함
○ 보식용 묘는 폿트육묘 또는 육묘상 설치 이용 육묘
11. 순지르기
가. 백색참깨
○ 꼬투리의 등숙율 향상
○ 적정시기 : 동일포장 동일품종에서 첫꽃이 피기 시작한 때로부터 35∼40일경(수확 20∼25일 전)
○ 방법 : 순지르기 당시 꽃이 핀 부위에서 실시
나. 흑색참깨
○ 꼬투리의 등숙율 향상 및 종피의 착색 증진
○ 적정시기 : 첫꽃이 핀 시기로부터 25∼26일경에 실시
○ 방법 : 제일 아래에서 달린 꼬투리 절간 위치로부터 18∼20절위에서 실시
<그림 1> 흑색참깨 순지르기에 의한 증수효과(1987, 작물시험장)
12. 병해방제
<표 5> 참깨 주요병해 종합방제 체계
작 형 |
방제회수 |
방제시기 |
돌림병 |
잎마름병 흰가루병 |
시들음병 세균성점무늬병 |
1모작 |
1 차 |
6월 하순 |
o |
|
o |
2 차 |
7월 상순 |
o |
o |
o | |
3 차 |
7월 중순 |
o |
o |
o | |
4 차 |
7월 하순 |
o |
o |
o | |
5 차 |
8월 상순 |
|
o |
| |
2모작 |
1 차 |
7월 중순 |
o |
o |
o |
2 차 |
7월 하순 |
o |
o |
o | |
3 차 |
8월 상순 |
o |
o |
o | |
4 차 |
8월 중순 |
o |
o |
| |
5 차 |
8월 하순 |
|
o |
|
<표 6> 참깨 병해의 증상과 방제법
병명 |
증 상 |
방 제 법 | ||
잘 록 병 |
∧ 입고병 ∨ |
o발아초기 저온다습할 때 발생이 심하여 입모수확보가 어려움 o어린모의 줄기 밑부분(지제부)이 썩음 |
o씨앗소독 o비닐덮기재배로 저온기지온을 높여줌 o1모작 발생상습지는 10일정도 늦추어 씨뿌림 | |
잎 마 름 병 |
∧ 입고병 ∨ |
o7월중순부터 발생되기 시작하여 8월상순 이후 심해지며 고온다습할 때 발생이 심함 o잎에 모가생긴 병반이 생기고 후에 흑변이 진전되며 심하면 |
o씨앗소독 o돌려짓기 o약제방제 -베노밀(다코스,두루다,벤레이트)수화제 1,500배액 -만코지(다이센엠45,펜코젭)수화제 500배액 -타로닐(다코닐,금비라)수화제 500배액 | |
낙엽이 되고 줄기에는 불규칙한 줄무늬가 생김 | ||||
돌 림 병 |
∧ 역병 ∨ |
o장마철 고온다습할 때 주로 물빠짐이 나쁘고 과습한 포장 특히 물에 잠겼던 부위에 발생이 심함 o잎은 이병 부위에서부터 물결모양의 흑갈색 무늬를 이루며 번져나감 o땅위 10㎝높이까지 줄기가 흑갈색으로 변하면서 시들음 증상을 보이다가 줄기 전체가 물러썩어 쓰러짐
|
o배수구정비 철저 o병에걸린 포기 일찍제거 o약제방제 -메타실ㆍ가벤다(리도참)수화제, 포름씨수화제 1000배액 -메타실수화제(리도밀)1000배액 -포세틸알(알리에테)수화제 500배액 -옥사프로(산도판에이)수화제 500배액 -옥사실엠(산도판)수화제 500배액 -메타실(리도밀)입제 4㎏/10a -메타실엠(리도밀엠지)수화제 400배액 -옥시딕실ㆍ쿠퍼(산도판골드)수화제 500배액 | |
풋 마 름 병 |
∧ 입고병 ∨ |
o7∼8월 고온기 과습한 포장 특히 물에 잠겼던 곳에서 국부적으로 나타나며 줄기와 잎이 녹색상태로 갑자기 시드는 증상을 일으켜 포기 전체가 말라죽음 |
o돌려짓기 o소석회를 10a당 200~400㎏줌 |
병명 |
증 상 |
방 제 법 | |
시 들 음 병 |
∧ 위 조병 ∨ |
o6월상순부터 병의 발생이 시작되어 6월하순∼7월상순에 많이 나타나며 주로 배수가 잘되고 건조한 모래땅에서 발생이 심함 - 줄기반쪽썩음병은 7월중순 이후 수확기까지 발생됨 o포기전체가 시들음증상을 반복하다가 결국 시들어 죽게되는데 아래줄기의 병든 부분이 잘록하게 들어가고 줄기표면에 적갈색의 실선이 보이며 줄기와 뿌리를 잘라보게 되면 속이 적갈색으로 변색되어 있음 o 도관을 따라 병균이 침입하므로 다른병보다 약제방제효과는 다소 떨어짐
|
o돌려짓기 o병에 걸린포기는 일찍 제거 o발병상습지는 2모작 재배 o약제방제 -옥시동수화제 500배액 |
흰 가 루 병 |
∧ 백 분병 ∨ |
o생육중기까지는 발생이 적으나 후기에 많이 발생됨 o1모작보다 2모작재배시 발생이 많음 o잎에 흡사 밀가루를 뿌린 것처럼 흰가루가 덮이는데 심하면 포기전체가 하얗게 됨
|
o잎마름병 방제에 준함 -메타실가벤다수화제 1000배액 |
세 균 성 점 무 늬 병 |
∧ 세균 성 반 점 병 ∨ |
o장마기에 많이 발생되며 처음에는 잎에 조그마한 암갈색의 반점들이 형성되나 병반이 커지게되면 엽맥을 따라 경계를 이루며 뚜렷한 다각형의 흑갈색 병반을 이룸 o 이병되어 피해를 받은 부위는 밝은 갈색을 띄다가 바람에 날려 없어져 잎에 구멍이 생김
|
o시들음병 방제에 준함 |
13. 수 확
○ 1모작의 경우 8월 상중순, 2모작의 경우 8월 하순∼9월 상순에 줄기 아래부분의 고투리가 2∼3개 갈라질 때
○ 아침이나 저녁에 베어 작은 단으로 묶어 세워 말린 후 털되 말리는 도중에 비를 맞지 않도록 해야 고품질 참깨 생산할 수 있음
- 비닐하우스를 설치 이용하거나 말목을 양쪽에 박고 장대 또는 철사를 늘여 작은 참깨단을 세워 놓고 비가 올 때는 비닐을 덮어 줌
○ 정선된 종자를 저장할 때는 수분함량이 매우 중요하므로 충분히 건조 (수분함량 10% 정도)하여 저장해야만 고유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음
참께 재배법-임실 (0) | 2007.05.27 |
---|---|
참깨 안전 재배기술 -논산 (0) | 2007.05.13 |
들깻잎주년생산을 위한 비가림 재배법 (0) | 2007.05.01 |
들깻잎주년생산을 위한 촉성재배법 (0) | 2007.05.01 |
동글2호-잎 모양이 좋은 잎들깨 ‘동글2호’ 개발 (0) | 2007.04.29 |
1. 특징 가. 학명 : Perilla Frutescens Britton 나. 이용 :
다. 주요성분 :
2. 성상 가. 우리나라 재배역사는 삼한시대 이전부터 재배한 것으로 판단되며 나. 잎은 줄기에서 호생으로 나오며 가을에는 10일마다 2매씩 나온다 다. 들깨는 대표적인 단일식물로 금산지방에서는 자연재배시 8월 1일 ~6일까지 화아분 화가 유기되고 6일에 개화한다. 라. 들깨의 개화 한계일장은 13시간 43분으로 일조시간이 짧으면 개화가 촉진되고 길 경우 화아분 억제된다. 마. 화아분화후 고온하에서 개화가 촉진되며 일장이 16시간 이상에서는 온도로 관계없이 개화가 지연된다.
3. 현황 가. 재배면적
4. 재배기술 가. 재배환경 1)재배적지
2)재배시설
3)재배온도
4)재배일장
5)품종
6)종자채종
7)본포준비
※ 3년이상 묵은 종자는 발아율이 급격히 떨어지며, 당년에 채종한 종자를 곧바로 파종하면 발아가 잘 되지않으므로 2~3개월간 자연휴면 처리후 파종한다.
8)관리
9)출하
5. 비가림 재배시 문제점 및 유의사항 가. 토양
|
참깨 안전 재배기술 -논산 (0) | 2007.05.13 |
---|---|
참깨 안전다수확 재배기술 (0) | 2007.05.11 |
들깻잎주년생산을 위한 촉성재배법 (0) | 2007.05.01 |
동글2호-잎 모양이 좋은 잎들깨 ‘동글2호’ 개발 (0) | 2007.04.29 |
들깨잎 짱아찌 만들기 (0) | 2007.04.17 |
1. 특징 가. 학명 : Perilla Frutescens Britton 나. 이용 : 다. 주요성분:
2. 성상 우리나라 재배역사는 삼한시대 이전부터 재배한 것으로 판단되며 잎은 줄기에서 호생으로 나오며 가을에는 10일마다 2매씩 나온다.
3. 현황 가. 재배면적
4. 재배기술 가. 재배환경
2)재배온도
3)재배시설
4)재배일장
5)품종
6) 종자채종
7) 본포준비
※ 3년이상 묵은 종자는 발아율이 급격히 떨어져, 당년에 채종한 종자를 곧바로 파종하면 발아가 잘 되지 않으므로 2~3개월간 자연휴면 처리후 파종한다.
8) 관리
9) 출하
5. 촉성재배시 문제점 및 유의사항 가, 수막재배
|
참깨 안전다수확 재배기술 (0) | 2007.05.11 |
---|---|
들깻잎주년생산을 위한 비가림 재배법 (0) | 2007.05.01 |
동글2호-잎 모양이 좋은 잎들깨 ‘동글2호’ 개발 (0) | 2007.04.29 |
들깨잎 짱아찌 만들기 (0) | 2007.04.17 |
참깨의 주요병충해 (0) | 2007.04.15 |
잎 모양이 좋은 잎들깨 ‘동글2호’ 개발 |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영남농업연구소는 기존의 잎들깨보다 더 둥근 심장형 잎 모양과 특히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잎 뒷면 색이 여름철 재배에서도 잘 나타나 상품성이 높은 새로운 깻잎용 품종 ‘동글2호‘를 개발하였다. 깻잎에는 항산화능력이 큰 보라색 색소인 안토시아닌이 함유되어 있어 건강에 좋은 잎채소로 인기가 높으며, 밀양과 금산 지역의 고소득 작물로 자리를 잡고 있다. 최근 잎 뒷면 보라색 발현과 크기를 작게 하기 위한 억제재배가 성행하고 있으며, 잎 크기가 15㎝ 이상 되지 않고, 잎이 두꺼워 저장성이 좋으며, 잎 뒷면의 보라색이 잘 발현되는 품종을 선호하고 있다. 잎들깨의 상품성에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인 잎 뒷면 보라색은 온도가 올라가면 옅어져서 여름철 재배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데 ‘동글2호’는 여름철 재배에도 잎 뒷면 보라색이 잘 나타나 상품성이 높다. 또한, 기존 품종보다 더 둥근 심장형 잎 모양을 하고 있으며, 식물체 길이가 53㎝ 정도로 잎 수확 작업에 효율적이고, 최대엽장이 15.6㎝로 작아 노동력 부족 시에도 유리하다. ‘동글2호’는 씨앗이 10월 30일경에 익어 노지채종 때 서리 피해를 볼 수 있으므로 비가림재배를 통해 채종해야 충실한 종자를 얻을 수 있다. 시설재배 내 2년간 생산력검정시험 결과 ‘동글2호’는 10a(300평)당 수확할 수 있는 깻잎 무게는 5,643㎏이며, 종자증식단계를 거쳐 2008년부터 농가에 보급될 예정이다. |
들깻잎주년생산을 위한 비가림 재배법 (0) | 2007.05.01 |
---|---|
들깻잎주년생산을 위한 촉성재배법 (0) | 2007.05.01 |
들깨잎 짱아찌 만들기 (0) | 2007.04.17 |
참깨의 주요병충해 (0) | 2007.04.15 |
[스크랩] 참깨의 벌레 ===> 박각시 나방 (0) | 2007.03.29 |
들깻잎주년생산을 위한 촉성재배법 (0) | 2007.05.01 |
---|---|
동글2호-잎 모양이 좋은 잎들깨 ‘동글2호’ 개발 (0) | 2007.04.29 |
참깨의 주요병충해 (0) | 2007.04.15 |
[스크랩] 참깨의 벌레 ===> 박각시 나방 (0) | 2007.03.29 |
파종시기지연에 따른 수량감소율 (0) | 2007.03.28 |
참깨의 주요병해충
모잘록병
풋바름병
돌림병
시들음병
잎마름병
모잘록병
○ 병징
참깨가 잘 발아하지 않거나, 어린 모의 땅가까이에 있는 줄기가 잘록하여 지면서 쓰러진다.
○ 발생시기 및 환경
육묘기간, 이어짓기를 하여 병원균이 많아진 포장에서 많이 발생한다.
○ 방제법
- 종자 전염되는 병원균이 많고 잘록병균이 토양에 많이 있으므로 벤레이트티수화제300배액 에 2~3시간 종자소독한 후 말려서 파종한다.
풋마름병
학명: Pseeudomonas solanacearum Smith 영명: Bacterial wilt 일명: Aogare-byo |
○ 병징
처음에는 2~3일간 시들음증상을 나타내지만 아침, 저녁으로 회복되다가 갑자기 잎들이 아 래로 축 처지면서 픗 마른다. 줄기도 수침상으로 변색되는 경우도 있으며, 병무늬가 나타난 곳에는 우유빛의 세균성덩어리가 흘러나온다. 줄기를 잘라 눌러보면 세균덩어리가 나오는 것을 확실하게 알 수 있다.
○ 발생시기 및 환경
7~8월경 배수가 불량하거나 이어짓기를 한 포장에서 발병이 심하다.
○ 방제법
- 돌려짓기(5~6년)
- 배수철저
- 석회시용(10a당 200~400kg)또는 퇴비를 사용한다.
돌림병
학명: Phytophthora nicotianae var. parasitica (Dastur) Waterhouse 영명: Phytophthora blight 일명: Eki-byo |
○ 병징
이어짓기를 하여 병원균이 많아진 밭에서는 땅 가까이에 있는 줄기가 돌아가면서 흑갈색의 수침상으로 변색되고 잎이 시들음 증상을 보이며 줄기가 썩고 말라 죽는다. 병든 포기로부 터 2차 전염된 경우에는 잎에 수침상이며 갈색을 띄는 불규칙한 원형의 큰 겹무늬가 생기며 줄기 윗부분에도 줄기가 빙 돌아가며 흑갈색의 수침상 병무늬가 생긴다. 병든 포기는 꼬투 리가 갈색으로 변하면서 말라버리고 결실이 된지 않는다.
○ 발생시기 및 환경
보통 온도가 높아지고 강우가 많아지는 7월 초순부터 발생이 시작되며, 7월 중순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수확기까지 계속 피해를 준다. 특히, 장마기에 침수되거나 물빠짐이 좋지 않을 때 많이 나타난다.
○ 방제법
- 이랑을 만들어 배수를 철저히 해준다.
- 이어짓기를 하지말고 화본과 작물과 돌려짓기를 한다.
- 비닐피복 재배를 한다.
- 코사이드 1,000배액, 캪탄500배액 또는 리도밀 2,000배액을 7월 초순부터 10일 간격으 로 3~4회 식물체 전체에 충분히 뿌려주며 장마중이라고 중간에 갠날이 있으면 반드시 약 제를 살포해야 한다.
시들음병
학명: Fusarium oxysporum Sch. f. sesami 영명: Fusarium wilt 일명: Ityo-byo |
○ 병징
참깨가 어릴 때에는 잘록병을 일으키고,생육중기 이후에는 뿌리 윗부분의 줄기가 적갈색으 로 면색되거나 흑색으로 변색되며 잎은 누렇게 변하며 시든다. 포장에서는 군데군데 발병된다.
○ 발생시기 및 환경
생육기간동안 언제나 발생하며 모래땅에서 많이 발생한다.
○ 방제법
- 퇴비를 주어 길향균의 활성을 높인다.
- 돌려짓기
- 석회를 사용한다.
- 객토를 실시한다.
잎마름병
학명: Corynespora cassucola (Berkeley et Curtis) Wei 영명: Leaf blotch 일명: Hagare-byo |
○ 병징
7월중순 이후 아랫잎이 불규칙한 병무늬가 생기며, 심해지면 잎이 누렇게 되고 낙엽이되며, 윗잎에도 부정형의 병무늬가 생긴다.
○ 발생시기 및 환경
병원균은 주로 종자전염되며, 종자소독을 하지 않으면 일찍부터 발병되지만, 주로 생육중기 이후에 많이 발생한다.
○ 방제법
- 벤레이트티 200배액에 2~3시간 종자소독한다.
- 다이센엠-45, 다코닐, 캪탄, 벤레이티수화제 또는 안트라콜수화제를 10일 간격으로 2~3 회 뿌려준다.
동글2호-잎 모양이 좋은 잎들깨 ‘동글2호’ 개발 (0) | 2007.04.29 |
---|---|
들깨잎 짱아찌 만들기 (0) | 2007.04.17 |
[스크랩] 참깨의 벌레 ===> 박각시 나방 (0) | 2007.03.29 |
파종시기지연에 따른 수량감소율 (0) | 2007.03.28 |
생육중 야간조명의 영향 (0) | 2007.03.28 |
| ||
|
들깨잎 짱아찌 만들기 (0) | 2007.04.17 |
---|---|
참깨의 주요병충해 (0) | 2007.04.15 |
파종시기지연에 따른 수량감소율 (0) | 2007.03.28 |
생육중 야간조명의 영향 (0) | 2007.03.28 |
[스크랩] 9,참께 재배양식및 작형 (0) | 2007.03.26 |
|
참깨의 주요병충해 (0) | 2007.04.15 |
---|---|
[스크랩] 참깨의 벌레 ===> 박각시 나방 (0) | 2007.03.29 |
생육중 야간조명의 영향 (0) | 2007.03.28 |
[스크랩] 9,참께 재배양식및 작형 (0) | 2007.03.26 |
[스크랩] 1.참께 재배 방법 (0) | 2007.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