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
작형별 출하시기 | ||||||||||||||
|
기상재해 및 병충해방제 대책 | ||||||||||
|
'약초재배 > 약초재배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년초란... (0) | 2008.04.14 |
---|---|
나물과 한약재로 이용하는 음나무 (0) | 2008.04.12 |
먹는 선인장 (0) | 2008.04.03 |
[스크랩] 천년초 재배 방법 (0) | 2008.04.03 |
천년초 재배방법 (0) | 2008.04.03 |
| |||||||||||||||||||||||||||||||||||||||||||||||||||||||||||||||||||||||||||||||||||||||||||||||||||||||||||||||||||||||||||||||||||||||||||||||||||||||||||||||||||||||||||||||||||||||||||||||||||||||||||||||||||||||||||||||||||||||||||||||||||||||||||||||||||||||||||||||||||||||||||||||||||||||||||||||||||||||||||||||||||||||||||||||||||||||||||||||||||||||||||||||||||||||||||||||||||||||||||||||||||||||||||||||||||||||||||||||||||||||||||||||||||||||||||||||||||||||||||||||||||||||||||||||||||||||||||||||||||||||||||||||||||||||||||||||||||||||||||||||||||||||||||||||||||||||||||||||||||||||||||||||||||||||||||||||||||||||||||||||||||||||||||||||||||||||||||||||||||||||||||||||||||||||||||||||||||||||||||||||||||||||||||||||||||||||||||||||||||||||||||||||||||||||||||||||||||||||||||||||||||||||||||||||||||||||||||||||||||||||||||||||||||||||||||||||||||||||||||||||||||||||||||||||||||||||||||||||||||||||||||||||||||||||||||||||||||||||||||||||||||||||||||||||||||||||||||||||||||||||
| |||||||||||||||||||||||||||||||||||||||||||||||||||||||||||||||||||||||||||||||||||||||||||||||||||||||||||||||||||||||||||||||||||||||||||||||||||||||||||||||||||||||||||||||||||||||||||||||||||||||||||||||||||||||||||||||||||||||||||||||||||||||||||||||||||||||||||||||||||||||||||||||||||||||||||||||||||||||||||||||||||||||||||||||||||||||||||||||||||||||||||||||||||||||||||||||||||||||||||||||||||||||||||||||||||||||||||||||||||||||||||||||||||||||||||||||||||||||||||||||||||||||||||||||||||||||||||||||||||||||||||||||||||||||||||||||||||||||||||||||||||||||||||||||||||||||||||||||||||||||||||||||||||||||||||||||||||||||||||||||||||||||||||||||||||||||||||||||||||||||||||||||||||||||||||||||||||||||||||||||||||||||||||||||||||||||||||||||||||||||||||||||||||||||||||||||||||||||||||||||||||||||||||||||||||||||||||||||||||||||||||||||||||||||||||||||||||||||||||||||||||||||||||||||||||||||||||||||||||||||||||||||||||||||||||||||||||||||||||||||||||||||||||||||||||||||||||||||||||||||
| |||||||||||||||||||||||||||||||||||||||||||||||||||||||||||||||||||||||||||||||||||||||||||||||||||||||||||||||||||||||||||||||||||||||||||||||||||||||||||||||||||||||||||||||||||||||||||||||||||||||||||||||||||||||||||||||||||||||||||||||||||||||||||||||||||||||||||||||||||||||||||||||||||||||||||||||||||||||||||||||||||||||||||||||||||||||||||||||||||||||||||||||||||||||||||||||||||||||||||||||||||||||||||||||||||||||||||||||||||||||||||||||||||||||||||||||||||||||||||||||||||||||||||||||||||||||||||||||||||||||||||||||||||||||||||||||||||||||||||||||||||||||||||||||||||||||||||||||||||||||||||||||||||||||||||||||||||||||||||||||||||||||||||||||||||||||||||||||||||||||||||||||||||||||||||||||||||||||||||||||||||||||||||||||||||||||||||||||||||||||||||||||||||||||||||||||||||||||||||||||||||||||||||||||||||||||||||||||||||||||||||||||||||||||||||||||||||||||||||||||||||||||||||||||||||||||||||||||||||||||||||||||||||||||||||||||||||||||||||||||||||||||||||||||||||||||||||||||||||||||
| |||||||||||||||||||||||||||||||||||||||||||||||||||||||||||||||||||||||||||||||||||||||||||||||||||||||||||||||||||||||||||||||||||||||||||||||||||||||||||||||||||||||||||||||||||||||||||||||||||||||||||||||||||||||||||||||||||||||||||||||||||||||||||||||||||||||||||||||||||||||||||||||||||||||||||||||||||||||||||||||||||||||||||||||||||||||||||||||||||||||||||||||||||||||||||||||||||||||||||||||||||||||||||||||||||||||||||||||||||||||||||||||||||||||||||||||||||||||||||||||||||||||||||||||||||||||||||||||||||||||||||||||||||||||||||||||||||||||||||||||||||||||||||||||||||||||||||||||||||||||||||||||||||||||||||||||||||||||||||||||||||||||||||||||||||||||||||||||||||||||||||||||||||||||||||||||||||||||||||||||||||||||||||||||||||||||||||||||||||||||||||||||||||||||||||||||||||||||||||||||||||||||||||||||||||||||||||||||||||||||||||||||||||||||||||||||||||||||||||||||||||||||||||||||||||||||||||||||||||||||||||||||||||||||||||||||||||||||||||||||||||||||||||||||||||||||||||||||||||||||
| |||||||||||||||||||||||||||||||||||||||||||||||||||||||||||||||||||||||||||||||||||||||||||||||||||||||||||||||||||||||||||||||||||||||||||||||||||||||||||||||||||||||||||||||||||||||||||||||||||||||||||||||||||||||||||||||||||||||||||||||||||||||||||||||||||||||||||||||||||||||||||||||||||||||||||||||||||||||||||||||||||||||||||||||||||||||||||||||||||||||||||||||||||||||||||||||||||||||||||||||||||||||||||||||||||||||||||||||||||||||||||||||||||||||||||||||||||||||||||||||||||||||||||||||||||||||||||||||||||||||||||||||||||||||||||||||||||||||||||||||||||||||||||||||||||||||||||||||||||||||||||||||||||||||||||||||||||||||||||||||||||||||||||||||||||||||||||||||||||||||||||||||||||||||||||||||||||||||||||||||||||||||||||||||||||||||||||||||||||||||||||||||||||||||||||||||||||||||||||||||||||||||||||||||||||||||||||||||||||||||||||||||||||||||||||||||||||||||||||||||||||||||||||||||||||||||||||||||||||||||||||||||||||||||||||||||||||||||||||||||||||||||||||||||||||||||||||||||||||||||
|
![]() |
|
작형별 출하시기 | ||||||||||||||
|
기상재해 및 병충해방제 대책 | ||||||||||
|
천년초란... (0) | 2008.04.14 |
---|---|
나물과 한약재로 이용하는 음나무 (0) | 2008.04.12 |
먹는 선인장 (0) | 2008.04.03 |
[스크랩] 천년초 재배 방법 (0) | 2008.04.03 |
천년초 재배방법 (0) | 2008.04.03 |
나물과 한약재로 이용하는 음나무 (0) | 2008.04.12 |
---|---|
강활 재배 작업관리일정 (0) | 2008.04.08 |
[스크랩] 천년초 재배 방법 (0) | 2008.04.03 |
천년초 재배방법 (0) | 2008.04.03 |
나른한 봄 … 활력을 북돋는 쑥 (0) | 2008.04.01 |
천년초 노지 재배 방법
묘종준비
2) 천년초 심을 밭 거름 넣고 로타리 치기
3) 거름 넣고 부드럽게 여러번 반복해서 로타리 쳐주기
4)비닐 두께 0.05m짜리 구입해서 벌칭 하여 양면 장갑이니 고무 장갑끼고 작업하기
5) 모든 작업이 끝나면 할일이 없답니다.
고랑도 부직포 깔아주면 풀걱정 할필요도 없구요.
이렇게 꽃이 피어납니다.
시비방법
시비는 유기질 비료를 사용함이 좋은데 이는 선인장의 성장이 일반 채소류보다 느린 식물이기에 채소류에
비교해서 농도가 높은 비료분을 주게 되면 뿌리를 상하게 할 수도 있다.
특히 화학비료와 같은 정해진 영양소의 짙은 농도의 비료는 성장에 오히려 저해 하므로 굳이 화학적 농도가
짙은 비료를 줄 시에는 직접 닿지 않도록 줄기로부터 20cm 간격을 주어 시비해준다.
유기질 비료는 화학 비료가 얻지 못하는 다양한 물질과 토착 미생물 등의 영향으로 성장과 질병 예방에 많은
도움을 준다. 이상적인 비료는 부엽토, 부식토, 바크 등에 용토와 혼합하면 보다 더 좋은 생육을 볼 수 있다.
배수가 잘되고 통기가 잘되는 토질(사토가 조금 섞인 흙이면 좋다)에는 통상적으로 보수성과 뿌리의 산소
공급이 좋으므로 유기질 비료의 양을 충분히 시비해 줌이 바람직하다.
▶ 밭갈이 방법
1. 손바닥선인장(한국의 토종 선인장)의 모종 식재에 따른 밭갈이는 통상 화분용 이식이 아니므로 전체
밭갈이 경운을 잘하고, 한번 모종 식재가 수년간 생육할 수 있어야 하므로 경운을 충분히해 준다.
2. 쟁기 날을 깊게 하고 로타리를 3회 이상 쳐서 흙을 곱게 한 후 고랑을 친다.
3. 두둑의 폭은 1.2m 로 하며, 고랑의 폭은 60cm 이상 띄우고 두둑의 높이는 20cm 정도 깊게 하여 배수가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한다.
▶ 비닐 씌우기(멀칭)
1. 한국의 토종 선인장 재배 시 어려운 작업은 제초 작업에 있다. 이는 가시 때문에 앉지도 서지도 못한
자세로 일을 해야 하므로 양쪽 고랑에 서서 작업에 임해야 하므로 두둑의 폭이 넓으면 가시의 찔림에
어려움이 많다.
2. 비닐의 폭은 150cm 의 폭을 사용하여 두둑에서 고랑까지 내려올 수 있도록 한다.
3. 비닐은 매년 갈아줄 수 없기에 수년간의 수명이 긴 비닐류를 사용해야 좋으며 통상 0.05mm의 두꺼운
불투명 비닐을 사용함이 좋다.
▶ 모종식재
1. 제일 중요한 뿌리와 줄기 그리고 열매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모종 선택이 중요하다.
모종은 묵은 줄기에서 선택하여 크기는 가로 지름 10cm, 세로 지름 15cm정도의 크기를 선택한다.
2. 모종 간의 이식 간격은 사방 50cm로 하며, 모종 간 이식 후 성장하면서 줄기의 겹침 방지와 뿌리의
충실함을 위해 충분한 간격이 좋다. (평당 15~20장)
3. 모종의 흙 덮이는 2/3정도 덮어 모종이 흙 속에서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흙 덮기를 잘해 주어야 한다.
4. 일단 흙 덮기를 한 후 라면 물을 주지 않아도 된다.
5. 모종 이식 후 비나 바람 등에 의한 파헤침이 있다면 다시 한번 손질을 하여 흙 덮기 보충을?해 준다.
6. 모종 이식은 3월 하순부터 11월 중순 까지 해도 무방하나 가능한 한 3월 초순부터 4월 중순까지 하여, 당해 년도 뿌리가
완전히 안착될 수 있도록 서둘러 이식을 마침이 좋다.
7. 모종 이식용 줄기는 식재 전 약7일전부터 따서 수분 빼기를 하고 식재 함이 좋다.
▶ 생육 단계의 일반관리
1. 초기 모종 식재의 관리
- 모종 식재 후 별도의 물을 줄 필요는 없다.
- 비나 바람 등에 의한 파헤침이 없도록 한다.
- 비닐 덮음(멀칭)이 잘 되어있는지 확인하고 흙으로 얹어 날리지 않도록 한다.
- 병충해는 없으므로 별도의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 검게 썩어가는 모종은 바로 뽑아 버리고 다시 새로운 모종으로 이식 관리해 준다.
- 꽃이 피는 것이 있으면 꽃을 따서 버리고 씨방도 따 버린다.
- 모종 식재 시기는 초봄에 이루어 지므로 배수나 바람 등의 영향으로 뿌리내림에 흔들림이 없도록 한다.
2. 묵은 줄기 관리
- 줄기간 간격에서 서로 겹침이 없나 확인한다.
- 별도의 병충해 방제를 위한 살충제 사용은 하지 않는다.
- 한 줄기당 위로 올라온 줄기의 수량이 총 15장 이상 되면 따내어 식용으로 사용해도 좋다.
- 꽃이 피고 열매가 맺으면 제초 작업 시 낙화 및 낙과가 되지 않도록 주의 작업한다.
수확
1. 시기와 방법 - 줄기의 수확은 년 중 가능하나 될 수 있으면 11월 하순부터 명년 2월 하순까지 작업을 함이 좋다. - 열매부터 수확을 한다. 열매의 수확은 10월 중순부터 해서 짙은 자색으로 변한 과실부터 우선 수확을 한다. - 줄기는 윗 부분 작은 것부터 아랫부분으로 내려가면서 가능한 총 5~6장정도 놓아두고 수확 할 수 있도록 한다. - 수확한 줄기와 열매는 사용할 수 있는 량 만큼 우선적으로 세척 등의 가공을 하고, 그렇지 않은 량은 저온저장 시설에 보관한다. - 수확한 보관물은 영하 1℃에서 영하3℃의 건냉한 곳에 보관한다(얼지 않는다). 2. 수확량 |
강활 재배 작업관리일정 (0) | 2008.04.08 |
---|---|
먹는 선인장 (0) | 2008.04.03 |
천년초 재배방법 (0) | 2008.04.03 |
나른한 봄 … 활력을 북돋는 쑥 (0) | 2008.04.01 |
약용식물 재배요약 (0) | 2008.03.31 |
▶ 시비방법
시비는 유기질 비료를 사용함이 좋은데 이는 선인장의 성장이 일반 채소류보다
느린 식물이기에 채소류에 비교해서 농도가 높은 비료분을 주게 되면 뿌리를 상하게 할 수도 있다.
특히 화학비료와 같은 정해진 영양소의 짙은 농도의 비료는 성장에 오히려 저해 하므로 굳이 화학적 농도가 짙은 비료를 줄 시에는 직접 닿지 않도록 줄기로부터 20cm 간격을 주어 시비해준다.
유기질 비료는 화학 비료가 얻지 못하는 다양한 물질과 토착 미생물 등의 영향으로
성장과 질병 예방에 많은 도움을 준다.
이상적인 비료는 부엽토, 부식토, 바크 등에 용토와 혼합하면 보다 더 좋은 생육을 볼 수 있다.
배수가 잘되고 통기가 잘되는 토질(사토가 조금 섞인 흙이면 좋다)에는 통상적으로 보수성과 뿌리의 산소 공급이 좋으므로 유기질 비료의 양을 충분히 시비해 줌이 바람직하다.
▶ 밭갈이 방법
1. 손바닥선인장(한국의 토종 선인장)의 모종 식재에 따른 밭갈이는 통상 화분용 이식이 아니므로 전체 밭갈이 경운을 잘하고, 한번 모종 식재가 수년간 생육할 수 있어야 하므로 경운을 충분히해 준다.
2. 쟁기 날을 깊게 하고 로타리를 3회 이상 쳐서 흙을 곱게 한 후 고랑을 친다.
3. 두둑의 폭은 1.2m 로 하며, 고랑의 폭은 60cm 이상 띄우고 두둑의 높이는 20cm 정도 깊게 하여 배수가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한다.
▶ 비닐 씌우기(멀칭)
1. 한국의 토종 선인장 재배 시 어려운 작업은 제초 작업에 있다. 이는 가시 때문에 앉지도 서지도 못한 자세로 일을 해야 하므로 양쪽 고랑에 서서 작업에 임해야 하므로 두둑의 폭이 넓으면 가시의 찔림에 어려움이 많다.
2. 비닐의 폭은 150cm 의 폭을 사용하여 두둑에서 고랑까지 내려올 수 있도록 한다.
3. 비닐은 매년 갈아줄 수 없기에 수년간의 수명이 긴 비닐류를 사용해야 좋으며 통상 0.05mm의 두꺼운 불투명 비닐을 사용함이 좋다.
▶ 모종식재
1. 제일 중요한 뿌리와 줄기 그리고 열매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모종 선택이 중요하다. 모종은 묵은 줄기에서 선택하여 크기는 가로 지름 10cm, 세로 지름 15cm정도의 크기를 선택한다.
2. 모종 간의 이식 간격은 사방 50cm로 하며, 모종 간 이식 후 성장하면서 줄기의 겹침 방지와 뿌리의 충실함을 위해 충분한 간격이 좋다. (평당 15~20장)
3. 모종의 흙 덮이는 2/3정도 덮어 모종이 흙 속에서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흙 덮기를 잘해 주어야 한다.
4. 일단 흙 덮기를 한 후 라면 물을 주지 않아도 된다.
5. 모종 이식 후 비나 바람 등에 의한 파헤침이 있다면 다시 한번 손질을 하여 흙 덮기 보충을 해 준다.
6. 모종 이식은 3월 하순부터 11월 중순 까지 해도 무방하나 가능한 한 3월 초순부터 4월 중순까지 하여,당해 년도 뿌리가 완전히 안착될 수 있도록 서둘러 이식을 마침이 좋다.
7. 모종 이식용 줄기는 식재 전 약7일전부터 따서 수분 빼기를 하고 식재 함이 좋다.
▶ 생육 단계의 일반관리
1. 초기 모종 식재의 관리
- 모종 식재 후 별도의 물을 줄 필요는 없다.
- 비나 바람 등에 의한 파헤침이 없도록 한다.
- 비닐 덮음(멀칭)이 잘 되어있는지 확인하고 흙으로 얹어 날리지 않도록 한다.
- 병충해는 없으므로 별도의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 검게 썩어가는 모종은 바로 뽑아 버리고 다시 새로운 모종으로 이식 관리해 준다.
- 꽃이 피는 것이 있으면 꽃을 따서 버리고 씨방도 따 버린다.
- 모종 식재 시기는 초봄에 이루어지므로 배수나 바람 등의 영향으로
뿌리내림에 흔들림이 없도록 한다.
2. 묵은 줄기 관리
- 줄기간 간격에서 서로 겹침이 없나 확인한다.
- 별도의 병충해 방제를 위한 살충제 사용은 하지 않는다.
- 한 줄기당 위로 올라온 줄기의 수량이 총 15장 이상 되면 따내어 식용으로
사용해도 좋다.
- 꽃이 피고 열매가 맺으면 제초 작업 시 낙화 및 낙과가 되지 않도록
주의 작업한다.
▶ 수확
1. 시기와 방법
- 줄기의 수확은 년 중 가능하나 될 수 있으면 11월 하순부터 명년 2월 하순까지 작업을 함이 좋다.
- 열매부터 수확을 한다. 열매의 수확은 10월 중순부터 해서 짙은 자색으로 변한 과실부터 우선 수확을 한다.
- 줄기는 윗 부분 작은 것부터 아랫부분으로 내려가면서 가능한 총 5~6장정도 놓아두고 수확 할 수 있도록 한다.
- 수확한 줄기와 열매는 사용할 수 있는 량 만큼 우선적으로 세척 등의 가공을 하고, 그렇지 않은 량은 저온저장 시설에 보관한다.
- 수확한 보관물은 영하 1℃에서 영하3℃의 건냉한 곳에 보관한다(얼지 않는다).
2. 수확량
- 수확량은 줄기가 평당 10~15kg 얻을 수 있다.
- 열매의 수확량은 평당 5~7kg 얻을 수 있다.
먹는 선인장 (0) | 2008.04.03 |
---|---|
[스크랩] 천년초 재배 방법 (0) | 2008.04.03 |
나른한 봄 … 활력을 북돋는 쑥 (0) | 2008.04.01 |
약용식물 재배요약 (0) | 2008.03.31 |
쪽 재배기술 (0) | 2008.03.21 |
나른한 봄 … 활력을 북돋는 쑥 | |
|
구 분 |
재배적지 |
번 식 및 파 종 | ||||
번식방법 |
파종량 (10a) |
파종시기 (월.순) |
파종방법 |
정식시기 | ||
강 활 |
․중북부산간지 ․표토가 깊고 적습한 식질 양토 |
종자번식 (육묘이식) |
6ℓ/33㎡ |
3하~4중 |
120cm두둑에 산파 |
3하~4중 (가을10 중․하) |
구기자 |
․전국 ․사질양토 |
삽 목 (휘묻이, 포기 나누기) |
2000~ 2700주 |
삽목:3~4월 (휘묻이:7~8 포기나누기 :10) |
주로삽목법 이용(삽수15cm 본포에 직접 삽목) |
3~4월 |
당 귀 (일당귀) |
․전국(남부 지방에 유리) ․질참흙, 모래참흙 |
종자번식 (직파,육묘 이식) |
직파 4.5~ 5.4ℓ |
3하 |
120~150cm 두둑에30cm 간격으로 조파 후 복토 |
|
참당귀 (토당귀) |
․중북부산간지 ․부식질이 많으며 배수 양호한 식질 양토, 사질양토 |
종자번식 (육묘이식, 직파) |
육묘이식 조파- 1.5ℓ/20㎡ 산파- 1.5ℓ/33㎡ |
3하~4상 |
120cm두둑 에 산파 또는 조파후 복토 |
3하~4상 |
도라지 (길경) |
․전국 ․부식질이 많고 배수가 잘되는 사질양토, 식질 양토 |
종자번식 (직파) |
3~4ℓ |
봄:3중하 (가을: 10하~11상) |
종자를 젖은 톱밥3~4배 에 혼합하여 90~12cm 두둑에 산파 후 흙 복토 짚피복 |
|
두 충 |
․전국 ․표토가 깊고 배수양호한 사질양토 |
종자번식 (육묘이식) |
종묘 150본 |
3하~4상 |
1.2~1.5m 두둑에산파 또는15~20 cm조파, 점파복토후 피복 |
10하~ 11상 봄:해빙 직후 |
만 삼 |
․깊은산중 음 습 하고 서늘 하며 부식질이 많고 표토가 깊은 사질 양토 |
종자번식 (육묘이식) |
1ℓ/ 50㎡ |
3중하~4상 (10하 ~11상) |
120cm두둑 에 산파 또 는 10~12cm 조파 |
3~4월 (10~ 11월) |
시 호 |
․전국 ․서늘하며 배수가 잘되고 비옥한곳 ․사질양토, 양토 |
종자번식 (직파) |
2.0ℓ |
3월중하순 (발아적온 18℃) |
휴폭 50~60cm 파폭 10~15cm 로 만들고 산파 |
|
황 기 |
․중북부지방의 서늘한 곳 ․표토가 깊고 지하수위 낮은 식양토 *모래땅,철분많은곳 부적합 |
종자번식 (직파재배) |
2~4ℓ |
가을: 10하~11상 봄 : 3하~4상 |
90cm두둑에 15×10cm 점파하고 3~5mm복토 |
|
산수유 |
․전국(남부 지방유리) ․배수가 잘되고 부식질이 많은 모래참흙, 자갈섞인 참흙 |
종자번식 (육묘이식) |
묘 150주 |
3월 |
120cm두둑 에20×20cm 간격으로 점파후 흙 덮고 피복 |
(11월 하순) 2하~3상 |
가. 분포 및 생김새
(1) 분포 및 재배내력
쪽의 원산지는 아시아 온대지방 중국 인도차이나로서 재배기원은 알 수 없으나 예로부터 인도에서 염료로 사용하였고 중국에서는 염료류(染料類)로서 세계 각지에서 재배하고 있음.
(2) 주산지
전남 보성, 나주 문평, 화순, 경남 진주 등 지역에서 일부 재배되고 있음.
(3) 생김새
마디풀과(여귀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으로서 60~150㎝ 정도 곧게 자라며 줄기는 원주형(圓株形)이고 마디가 뚜렷하며 잎은 호생(互生)하고 난원형(卵圓形) 또은 장타원형이며 잎자루가 짧고 잎면이 뭉툭하면서 끝이 날카롭거나 뽀족하며 거치가 없고 초질이다. 꽃은 수상화서(穗狀花庶)로 윗부분의 엽맥(葉脈)과 원줄기 끝에서 꽃대가 나와 옅은 분홍색의 꽃이 군생하여 피고 결실기는 9~10월이며 과실은 남실(藍實)이고 엽 가공품(葉加工品)은 청대(靑黛)이라고 함.
나. 성분, 이용 및 품질 기준
(1) 주요성분
식물전체 특히 잎에 indican(indoxyl-3-β-glucoside) 산화반응으로 indigo(靑藍色)와 indirubin(粉紅色)생성함.
(2) 용 도
○ 천연염료:防蟲, 防菌, 防染(옷감, 실, 불교경전 보관용 종이)
○ 천연색소 (고구려벽화, 식품화 장품, 의류 염색용)
○ 熱性煩渴, 肺炎, 喉頭炎, 氣管支炎, 肝炎, 胃炎, 口內炎, 黃疸, 痢疾, 吐血, 擁腫, 抗炎, 殺菌, 解熱, 强腸, 解毒, 消腫, 凉血, 止血)
(3) 품질 기준(약전, 생약 규격집) 순도 시험
○ 줄기 및 목질근:이 약은 줄기 및 목질근이 5.0% 이상 섞여 있어서는 안됨.
○ 이물:이 약은 줄기 및 목질근 이외의 이물이 1.0% 이상 섞여 있어서는 안됨.
○ 등급:쪽의 푸른색 원료로 염색한 전통적인 고급직물은 색이 미려하고 색감이 부드러우며 맛은 寒하고 苦하여 잎이나 全草를 잘게 썰어야 함.
다. 재배환경 및 적지선택
(1) 기 후
○ 온대성 작물로 비교적 기온이 따뜻하고 강우량 많은 곳에서 잘 자라고 이식후에 온도가 높으며 일사량이 많은 중남부 이남지방에서 재배가 유리함.
○ 생육성기에는 강우가 충분하고 수확기에는 일조시간이 많으며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생육이 양호하고 품질도 좋음.
(2) 토 양
○ 토심이 깊고 습기가 다소 많은편인 물빠짐이 좋은 곳인 비옥한 양토나 사양토임.
○ 지나치게 건조하면 발아율이 저하되고 장마철 배수가 불량하면 뿌리가 썩어 말라 죽음.
라. 식물분류 및 품종
(1) 품종명:품종은 小上粉으로 赤花種과 白花種이 있음.
(가) 한국에서 사용된 쪽(persicaria tinctoria):蓼藍(쪽 물들이는 쪽풀)
○ 한국쪽은 잎이 타원형으로 작고 끝이 둥그스름하여 엽색이 농록색인 반면에 일본쪽은 장타원형으로 잎이 크고 넓적하며 끝이 뾰족함.
○ 쪽나무(Rhaphiolepis ovata):능금나무과에 속하는 상록활엽관목, 잎은 난형, 타원형인데 거치가 없고 봄에 백색꽃으로 피며 열매는 梨科로 가을에 까맣게 익고 바닷가의 산록에서 자라며 한국 전남, 경남 및 일본에 분포하고 둥근 다정큼 나무(개쪽나무), 다정큼나무(참쪽나무)
○ 적화종:근밀착형 다분지형, 조생종, 2회 수확으로 다수성 임.
○ 백화종:적화종에서 분리 만생종, 내병성 강하고 수량성이 많아 품질아 우수함.
(나) 외국에서 사용된 쪽
○ 인도쪽(Indigofera tinctoria L.) - 아메리(Ameri), 인디고(indigo), 인도는 쪽의 주산지
- 칭크토리아종(실론쪽), 아니루종, 파우시 후로리아종
○ 남반구 사부시속의 쪽(The phrosia purpurea pers) - 藍草
○ 내죽도속의 쪽(Nerium tinctorium Roxb - 木藍대용(인도藍)
○ 유럽의 쪽(Isalis tinctorium L.) - 서양 松藍
○ 절강대청(phohgonum tinctorium Lour) - 중국 江南 大靑은 松藍, 절강대청은 재래의 쪽
○ 服州馬藍(Strobilianthes flaecidigo lius Nees)
- 속주람, 강릉부오람, 대람, 대청, 송람 등과 동일함.
(2) 재배상 유의점
○ 채종방법:척박한 토질에서는 건조하며 위조현상이 발생하고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 제초제 사용시 쪽도 같이 죽게 됨으로 주의해야 함.
○ 생육초기에 질소성분이 많아 생육이 너무 좋으면 개화가 빨라지므로 후기에 추비 중점 시비로 재배할 것
마. 재배법
(1) 종묘 번식 및 채종
(가) 번 식:종자 및 포기나누기
(나) 채종방법
○ 온상육묘 이식재배:1년생에서 채종
○ 10월 중~11월 상순에 선명한 빛깔을 띤 꽃잎이 아직 남아있을 때 잘라서 건조시켜 채종함.
(2) 재배양식
○ 온상육묘 이식재배
- 1 모작:3월 상순 파종, 5월 상순 정식,
․ 수확 - 1차:6월 하순, 2차:8월 중순, 최적기:7월 하순
- 2모작:4월 중순 파종, 6월 중순 정식,
․ 수확 - 1차:8월 상순, 2차:9월 하순, 최적기:9월 상순
○ 채종재배:쪽잎이 붉은색과 파란색이고 꽃이 붉은 꽃과 하얀 꽃을 구분하여 채종할 것
(3) 파종 및 육묘(묘 기르기)
(가) 묘판 적지
○ 햇빛이 잘 들고 통풍이 좋은 동남향의 밭을 선택함.
○ 비옥도가 중정도인 참흙, 모래참흙으로 물빠짐이 좋고 보수력이 좋은 곳
○ 모판은 덩어리가 없게 흙을 아주 잘게 부숴 부드럽게 고르게 정리함.
(나) 묘판면적(10a당)
○ 산파 15~19㎡(4.5~5.7평), 조파 20~30㎡(6~10평)
(다) 파종시기(정식 전 40~50일)
○ 육묘이식 재배:1모작 - 3월 상순, 2모작 - 4월 중순
(라) 파종량(10a당):500~750g(육묘 이식재배)
※ 산파시 26g/㎡ 기준(2g/1,000립)
(마) 종자준비
○ 협잡물을 제거시키고 충실하게 여문종자를 잘 정선하여 파종함.
○ 15~20℃ 명조건하에서 발아율이 높고 발아 소요일수가 짧음.
(사) 파종방법
○ 산파 100㎝ 이랑에 산파하거나 조파 100㎝ 이랑에 20~30㎝간격 조파하며 종자가 안보일 정도(1㎝) 흙덮음. (덮은 듯 마는 듯 얇게 덮음.)
※ 줄뿌림 파종법은 파종 노력절감, 수량 증대
(아) 묘판관리
○ 시 비:10㎡당 완숙퇴비 8~10㎏, 전층시비
○ 수 분:파종 후 짚, 왕겨 피복하고 충분히 관수할 것
○ 병충해 방제:입고병, 진딧물, 응애 등
○ 묘가 5~10㎝ 자라면 밀생한 곳은 2회 정도로 솎아주고 잡초를 뽑아 줌.
(4) 아주심기(定植)
(가) 묘 가리기:묘 크기 15~20㎝ 정도로 굵고 건실한 묘 선별
(나) 정식시기:1모작(5월 상순~중순), 2모작(6월 상순~하순)
○ 정식 후 활착이 잘 되도록 차광망 설치하거나 볏짚을 피복함.
(다) 재식거리
○ 육묘이식재배:조간 30~40㎝, 주간 20~30㎝ (1주 3~4본)
(라) 정식방법
○ 쪽 모종은 햇빛에 매우 약해서 뽑아놓고 1시간만 지나도 시들시들하고 잎이 고사되므로 뽑은 즉시 15~20㎝ 깊이로 골을 파고 45° 각도로 세워 심음.
○ 밀식하면 분얼수가 적고 키만 멀쑥하게 커서 하위엽은 전부 누렇게 떠서 쪽의 색소함량이 저하됨.
(5) 거름주기(10a당)
○ 화학비료 시용
- 밑거름:퇴비 1,500㎏, 요소 14㎏, 용과린 15㎏, 염화가리 10㎏
- 웃거름:1모작 - 6월 하순, 8월 중순
2모작 - 8월상순, 9월 하순에 요소 5㎏, 염화가리 4㎏씩 2회 분시 함.
(6) 김매기
○ 옮겨 심은 후 7~10일 내외가 되면 활착되고 1~2회 김매기와 함께 주간거리를 20~30㎝ 정도로 밴 곳은 솎아내고 결주 된 곳에 옮겨 심은 후 초기 생육이 저조하므로 초기에 잡초제거를 하지 못하면 방제하기가 어려움.
○ 쪽밭 잡초에 적용되는 고시된 제초제는 없으며 제초제를 사용하면 약해 피해가 크므로 사용시 주의를 요함.
(7) 주요 관리
○ 쪽은 물을 좋아하는 식물이므로 강우량이 부족할 때는 물을 충분히 주고 성장속도가 빨라서 많은 양분을 필요하므로 퇴비도 많이 시용하여야 함.
(8) 병해충 및 재해방지
(가) 병해충 방제:식물 자체의 향이 진하여 병해충가 별로 없으므로 농약 사용은 적게 할 것
○ 병해:갈색점무늬병, 진딧물 등
○ 충해:거세미, 굼벵이
(나) 재해방지
○ 한해:가뭄에 잎이 시들거나 생육에 지장을 초래함.
바. 수확 및 염색
(1) 수확시기
○ 함유량이 최대에 달하는 때로 이식한 후 70~75일경이며 쪽이 녹색의 푸른빛에 검붉은 반점이 하나둘씩 생기고 1~2개씩 꽃대가 올라오는 7월 하순과 9월 상순경임.
○ 2회 수확할 경우 1모작은 6월 하순, 8월 중순이고 2모작은 8월 상순, 9월 하순에 베어냄.
○ 이슬을 흠뻑 머금은 쪽을 베어야 작업하는 시간동안 쪽잎이 시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른 새벽 이슬이 많이 내렸을 때 일찍 나가서 쪽을 수확 함.
(2) 염색방법
(가) 염색이 필요한 도구, 매염제, 준비물 제작
○ 고무래:가로 15~20㎝, 세로 10~15㎝, 두께 2.5㎝ 정도 되는 판자를 여러개 구해 가운데에 지름 2㎝ 정도로 구멍을 뚫어 여기에 자루를 끼워 만듬.
○ 잿물 만들기:볏짚이나 콩대 등을 땔감으로 사용하면 그때 나온 재를 따로 모아서 보관 하고 염색할 때 촉매제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독하게 내려서 쓰면 세제 역할을 하기도 한다.
○ 잿물 내리기:시루바닥에 짚을 두껍게 깔고 그 위에 모아둔 재를 충분히 담고 팔팔 끓는 물을 붓는 다음에 쉬쉬쉭 소리를 내면서 물이 재에 스며들고 시루 밑으로 액체가 떨어진다. 이때 잿물을 손으로 만져 보아 미끈미끈한 정도가 심하면 물을 더 부어서 내리고 미끄러지는 소리가 뿌드득하면 내려진 잿물을 다시 한번 내려야 적당한 농도가 된다.
○ 석회 만들기:굴 껍질이나 조개껍질을 구해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물로 깨끗이 씻어서 햇빛에 잘 말려 조개껍질을 항아리에 담아서 가마에 넣고 구워야 한다. 가마가 식은 다음 구운 조개껍질이 담긴 항아리를 넓은 멍석을 깔고 그 위에 부어서 물뿌리개로 조개껍질위에 물을 조금 뿌린 뒤에 항아리에 다시 담아 뚜껑을 덮어놓고 물이 팔팔 끓을 때까지 구워서 항아리가 다 식었을 때 뚜껑을 열어 속에 들어있는 조개껍질이 전부 하얗게 가루가 되어 있을 것이다.
○ 쪽을 항아리에 담기:적당하게 묶인 쪽을 운반하여 유약을 바르지 않는 옛날 항아리에 담는다. 쪽을 항아리에 담을 때는 발로 꽉꽉 밟아서 빈틈없이 담은 다음에 흐르는 깨끗한 냇물 또는 지하수를 부어도 솟아오르지 않도록 돌로 눌러 놓고 3~6일 정도에 항아리를 보면 물이 맑고 파랗게 우러 나와야 한다.
○ 쪽을 건져내기 및 쪽대 말리기:항아리 속에 들어있는 쪽 풀을 건져내는데 이 작업은 쪽 색소를 얻기 위한 것이므로 항아리에 건져 올린 쪽대의 물기가 한방울이라도 허실이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건져낸 쪽대는 버리지 말고 마당이나 넓은 공간에 펼쳐서 말린 뒤 태워서 만든 잿물이 제일 좋은 것입니다.
(나) 쪽물 만들기
○ 체에 거른 쪽물:쪽을 항아리에 다 건지고 나면 작은 바구니를 준비하여 항아리속의 물위로 떠있는 쪽잎을 천천히 건져내고 건져낸 쪽잎을 체에 받쳐 걸러내는데 될 수 있는 대로 깨끗이 건져내야 한다.
○ 석회타기 및 고무래질:항아리의 물이 양동이로 10개정도 된다고 하면 석회를 한되 정도 넣는다. 처음에는 석회를 적당량을 넣고 조금씩 더 넣어 가면서 일을 하고 석회를 넣을 때 한꺼번에 붓지 말고 물위에 살살 뿌려 가면서 준비된 고무래를 항아리 속에 넣고 쪽물과 석회가 잘 섞이도록 저어주는데 고무래를 항아리 밑바닥까지 내렸다가 세게 위로 뽑아 올리듯이 젓는데 요령이고 석회가 자주 가라앉으려고 하는 성질 때문에 자꾸 위로 올리는 것이다. 처음에 황토색이었던 물빛이 점점 거품이 일면서 옥색으로 옥색에서 하늘색으로 하늘색이 점점 더 푸른색으로 변해 가면서 가지색이 되어 꽃거품이 일어날 때 까지 계속 실시한다.
○ 윗물 따르기 및 색소 방금 모으기:고무래질을 한 뒤 하루가 지나면 항아리속의 쪽 색소는 석회와 함께 모두 밑으로 가라앉아 있으므로 항아리 윗쪽에는 처음에 부었던 맑은 물을 최대한으로 항아리를 기울여서 따래내어 버리고 나면 그 속에 팥죽처럼 생긴 파랗고 보라빛이 도는 색소 앙금이 남는다. 물이 20말 정도 들어있는 항아리에 쪽을 담고 물을 따라보면 대충 4~5말 정도의 쪽색소 앙금을 모아서 1개의 항아리에 넣을 분량이 되는데 앙금을 모아둔 항아리는 하루정도 가만히 두면 또다시 항아리속의 앙금이 가라앉으면서 위에 맑은 물이 발생하므로 계속해서 물을 따라낸다.
○ 잿물 붓기:1일 후에 완전히 수분이 제거된 쪽 색소 앙금에다 잿물을 붓는데 항아리에 들어갈 수 있는 양의 1/4~1/5정도로 앙금을 모아둔 것은 붓는 잿물의 양이 바로 앙금의 4~5배이며 미리 내린 잿물을 솥에다 넣고 35~45℃가 될 정도로 끓이고 끓인 잿물을 부으면 항아리속의 쪽색소 앙금위로 거품이 살짝 올라오는데 이 거품은 별로 깨끗해 보이지 않지만 많은 양의 색소가 들어 있다. 잿물을 부어놓고 고무래질을 아주 천천히 까닥까닥 하는데 고무래를 항아리 속까지 쑥 집어넣었다가 다시 천천히 위로 올려주는 동작을 반복한다.
○ 물발세우기:잿물 넣은지 1주일 후에 항아리속의 색을 잘 살펴보면 색소가 많이 올라올수록 항아리 속의 물빛이 달아 진다. 이때 색소 앙금과 잿물의 비율이 1:4~1:5정도로 잘 맞춰진 상태에서 1~2주일이면 완벽하게 물발이 서지만 여기에는 색소앙금의 상태, 잿물의 농도 항아리의 상태도 문제가 되기도 하는데 날씨와 사람의 마음가짐이다.
그래도 잿물을 부어놓고 계속해서 고무래질을 하여 1~2주일이 지나도 쪽물이 일어나지 않으면 쪽물 항아리 1개에 술이 다 되어가는 아직 물을 타지 않는 상태의 젖내기 술 1ℓ 정도를 부을 때는 2~3일 간격으로 상태를 봐 가면서 2~3번 더 부어놓고 1주일이나 10일정도 기다리면 쪽이 살아서 올라오기도 하지만 조건이 잘 맞지 않으면 1개월 ~다음해 봄까지 걸리기도 합니다. 물발이 섰는지 여부는 항아리속의 쪽물 표면은 항상 군청색~보라색을 띠는데 이때 겉과 속의 물 색깔이 변하지 않으면 계속해서 고무래질 하여 기다려야 하고 물발이 완전히 섰다고 생각될 때 쪽물을 손으로 한번 휘저어 보면 항아리속의 쪽물이 배추색과 같은 녹색으로 변해 있는 상태가 쪽물이 제대로 된 것이다.
(다) 염색하기 전 재료준비
○ 전통적인 섬유에는 모시, 삼베, 무명, 명주 등은 3~4일 정도로 매일 2회씩 물을 갈아주면서 먹여있던 풀기를 빼기 위해 물에 담가 놓거나 소독약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거나 빨아서 완전히 표백하는 것이 나중에 염색할 때 얼룩이 지지 않는다.
(라) 쪽물들이기
○ 쪽물을 바가지로 떠내서 넓은 그릇에 따로 담고 거기에 준비되어 있는 마전하고 풀 뺀 천을 접히지 않게 잘 넣어 골고루 쪽물이 들도록 푹 담그고 계속해서 뒤집어 줘야 하는데 쪽물 속에서 나온 천을 녹색을 푸른색으로 변했을 때 꺼내서 손으로 꼭 짜서 빨래 줄에 넌 뒤에는 천이 위아래를 교대로 바꿔 줘야 한다.
○ 쪽 색소 앙금 거르기:한번 염색을 해서 완전히 마른천은 그대로 걷어다가 다시 한번 물을 들이기를 반복한다. 쓰고 난 쪽물을 다시 항아리에 부어서 한번 물을 들이고 두 번째 들일 때 첫 번째 것을 항아리에 붓지 않고 또다른 그릇에 쪽물을 떠내서 물들인다. 그렇게 쪽물을 쓰고는 잿물을 붓고도 쓰고 붓고 나면 나중에는 색소가 점점 엷어지는데 색소가 진하게 올라오지 않는다고 해서 버리지 말고 바구니에 잘 받쳐서 앙금만을 모으며 거른 앙금을 햇볕에 잘 말려 다음해에도 쓸 수 있도록 갈무리 해 두고 이렇게 갈무리해 둔 쪽을 다시 쓸 때는 잿물을 부으면 됩니다.
(마) 손질해서 마무리
○ 잿물제거:물들인 천이 다 말린 다음에 그대로 두지 말고 솥에 물을 끓여서 60~70℃가 되면 30분 정도 두어 천에 함유되어 있던 색소와 잿물 가운데 잿물만 빠져 나오게 되는데 뜨거움 물에 잿물을 뺀 다음 다시 찬물에 잘 헹궈서 완전히 제거하고 건조시킨 뒤 다음날에 다시 염색하며 염색 뒤 잿물 빼는 일은 매일하는데 천이 약한 것은 자주하고 무명이나 삼베같이 강한 것을 4~5회 염색하고 잿물을 빼준다.
○ 풀 먹이기:모시 한 필이면 밥 한공기 정도를 물에 불려 풀자루는 면이나 나이론 스타킹 두 겹으로 해서 만들어 풀자루에 밥을 넣고 주므르면 밥알이 으깨지면서 풀이 나오면 모시난 명주는 풀을 약하게 하고 무명이나 삼베는 풀이 세야 빳빳하게 탈탈 털어서 줄에 널고 천이 너무 바짝 마르지 않았을 때 걷어들며 양쪽에서 잡아당겨 잘 편 다음 홍두깨에 말아서 다듬질하거나 다리미로 다린다.
가. 특 성
(1) 분 포
옻나무는 원산지가 중국과 인도로서 우리나라와 일본 등지에도 분포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분포는 거의 전국에 분포되어 있는 수종이나 집단적으로 많이 심겨져 주산지를 이루고 있는 곳이 평안북도의 태천군, 강원도 원성군, 충청북도 옥천군, 경상남도 함양군 등으로 알려지고 있다.
(2) 나무의 자람세
옻나무는 옻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교목으로 높이가 20m에 달하고 가지가 굵고 회황색이며 어릴때에는 털이 있으나 곧 없어진다. 잎은 호생하며 잎자루까지 길이 25~40㎝ 이고 적은 잎은 9~13개이며 난형 타원상 난형으로 길이 7~20㎝ 넓이 3~6㎝로 가시가 없다. 표면에는 흔히 털이 있고 뒷면에는 적으나 액상에는 작은털이 있다. 꽃은 원추화로 액생하며 밑으로 처지고 길이 15~20㎝이며 잔털이 많다. 열매는 편원형으로 털이 없고 윤기가 난다. 꽃은 6월에 피어 9월에 익는다.
(3) 옻나무는 도료로서 이용가치가 높다
옻나무에서 나오는 옻칠 액은 도료로서 가치가 높아 예로부터 널리 이용되었고 재배를 권장하여 왔으나 최근 화학도료가 개발되어 싼 값으로 거래되고 있으므로 그 가치를 점차 상실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생산가는 높다고 하여도 화학도료인 합성칠(캬슈칠 원료)에 비하여 그 질이 우수하므로 재배가치가 인정된다.
나. 옻나무의 종류
옻나무의 종류는 덩굴옻나무, 검양옻나무, 개옻나무, 산검양옻나무, 옻나무 등이 있고 모두 알레르기성 피부염에 좋은 것이나 이 중에 옻을 이용하는 것은 옻나무이다. 옻나무의 재배품종은 육종된 것이 없고 개체에 따라 채칠량이 다른 것으로 취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나무껍질의 외관을 보아 식별하는데 그 명칭을 배살갗, 먹살갗이라고 한다. 먹살갗은 수피가 두텁고 비교적 평활한 것이 팽팽한데 이런 종류가 채집량이 많고 품질도 양호하다고 하나 이것은 계속 검토를 요하는 사항이다.
다. 옻나무의 재배방법
(1) 묘목 기르기
묘목 기르기 방법은 종자를 이용한 방법과 뿌리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종자이용법은 씨앗을 뿌린 당년에 발아가 되기 어려우므로 씨앗 관리에 유의 하여야 한다.
(2) 종자 파종
(가) 종자준비
옻나무 씨앗은 10월하순경~11월 상순 잎이 진후에 씨앗의 껍질이 담황색으로 변색된 후 딴다. 씨앗을 딸 어미나무는 그 지방에서 칠액량이 많이 생장되고 생장이 좋은 나무를 택하여 15~20년 이상의 나이가 많은 나무에서 채취한다.
또한 채취를 한 나무의 씨앗은 쭉정이가 많으므로 씨앗으로는 가치가 없다. 채취한 씨앗은 절구에 가볍게 찧어서 외피를 제거하고 씨를 골라낸다. 종실에서 얻어지는 씨앗은 부피의 약 35% 정도가 나온다.
(나) 종자의 발아 촉진
옻나무 씨앗은 그대로 파종하면 당년에 싹이 트지 않으므로 당년에 싹이 틀수 있도록 씨앗을 뿌리기 전에 발아촉진을 실시한다. 발아촉진법은 나무잿물을 이용한 잿물처리법, 농유산 처리법과 정맥기에 90% 가는 박피법이 있다.
(다) 밭 준비
밭은 물 빠짐이 좋고 메마르지 않은 모래참흙 등의 기름진 곳이라야 한다. 또한 물대기와 물빼기가 곳이 적당하다. 밑거름으로 10a당 요소 30㎏, 중과석 30㎏, 퇴비 2톤 등을 고루 뿌리고 살충제로 헵타크롤을 10a당 5㎏씩 뿌린 다음 깊게 갈아엎는다. 경운이 끝난 포장은 밭 전체가 고르게 한 다음 1m 폭으로 상을 만든 후 종자를 파종한다.
(4) 파 종
침종은 2~3일간 실시하고 밭 준비가 되면 120×30×15㎝으로 얕게 골을 파고 씨앗을 10a당 30~40ℓ비율로 뿌린 후 종자의 3배인 약 1㎝ 두께로 흙을 덮은 다음 짚을 얕게 깔아 주거나 70% 차광망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피복물 제거는 파종 후 25~30일 후 발아가 80% 정도 되면 실시한다.
라. 묘판관리
(1) 거름주기 및 김매기
씨앗을 뿌린 후 3~4주이면 싹이 완전히 나오므로 짚을 제거한다. 가뭄이 심하면 관수를 실시하도록 하고 비가 많으면 물 빠짐이 좋도록 해야 한다. 웃거름은 밑거름 시기에 땅의 힘을 보아서 적당한 시비를 하도록 하고 웃거름은 주지 않는 것이 좋으나 만일 거름기가 적다고 인정될 때에는 6월 하순 이전에 10a당 요소 4~5㎏ 내외를 맑은 날씨의 이슬이 거침 다음 골에다 주도록 한다. 제초는 1차 2~3㎝, 2차 7~8㎝, 3차 14~16㎝ 일 때 잡초가 무성하기 전 적기에 실시하여 연 7~8회의 제초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2) 솎음질
솎음질 여부는 묘목의 건실도를 좌우하므로 반드시 6월중순 이전까지 2~3회에 걸쳐서 김매기와 동시에 폭 사이 3~4㎝ 간격으로 솎음질을 하여 건실한 묘목을 ㎡당 64본 내외를 남겨두고 한다. 묘목이 필요 이상으로 많으면 뿌리의 발육이 불량하고 줄기의 굵기 생장이 낮아짐으로 적기에 솎음질을 실시해야 한다.
(3) 병해충 구제
어린 묘목에 피해를 주는 병해충은 탄저병과 진딧물 등인데 탄저병에는 4두식 석회보르도액이나 다이센 1,000배액을 2~3회 살포하도록 하고 진딧물은 유산 니코친 또는 마라치온 1,000배액을 살포하면 구제된다.
(4) 묘목 월동관리
11월 중하순의 낙엽 후에 묘목을 굴취하여 키 25㎝, 뿌리길이 20㎝, 뿌리직경 6㎜ 등 이상의 구격과 기 이하의 규격으로 구분하여 골라 10본을 한 단으로 묶어서 물빠짐이 좋은 양지 바른 곳에 묘목의 끝을 2㎝정도 남기고 짚은 묻고 낙엽 또는 검불을 덮어 동해를 예방한다.
마. 나무심기
(1) 심기에 알맞은 땅
옻나무는 잎이 크고 비교적 자람세가 빠르며 또한 자람세가 좋은 나무라야 칠액이 많으므로 비옥한 곳을 요하는 수종이다. 또한 공기 중의 탄산가스의 소다는 칠액의 합성에 큰 영향을 준다. 따라서 옻나무의 적지는 햇빛받기 좋고 공기 유통이 좋으며 땅은 배수가 잘 되는 모래참흙 또는 자갈 참 땅으로 석회질이 많은 땅이다. 그러므로 경사가 완만한 토심이 깊고 기름진 곳으로 주택 주변, 밭둑, 논둑, 강변제방, 산록 등이 좋다.
밑거름으로는 10a당 퇴비 1,200㎏ 또는 볏짚 800㎏를 시용한 후 그 위에 표토를 10㎝ 가량 덮어주고 이대는 반드시 석회를 시용하여야 한다.
(2) 심는 시기
옻나무의 심는 시기는 봄철 3월 하순~4월 상순 즉 땅이 녹음과 동시에 심는 것이 활착에 좋고 심는 해의 자람세가 좋게 된다. 또한 가을철 식재는 10월하순경에 심는 것이 적당하나 이 방법은 겨울을 나는 동안 고사할 우려가 있으므로 삼가해야 하며 만일 가을철에 심고자 할 때에는 30㎝ 정도 묻히도록 복토를 해주고 이듬해 봄 당이 풀리면 즉시 복토를 제거해 주어야 한다.
(3) 심는 본수
심는 본수는 땅의 질에 따라 척박지는 1.2 × 2.4m(347주/10a), 비옥지는 1.5 × 2.4m(277주/10a)로 심는 것이 적당하고 밀식은 피하는 것이 좋다.
(4) 심는 방법
옻나무를 심을 예정지는 심기 전에 집관목 밑 풀을 깍아 입지를 청결하게 정리한 후 심도록 해야 하며 나무 심을 구덩이는 지름을 40㎝, 깊이 40㎝로 파고 밑거름으로 복합비료를 1주당 30g을 흙과 섞어서 넣고 묘목의 뿌리에 비료가 닿지 않도록 겉흙을 메운 다음 묘목의 뿌리를 펼쳐서 심으며 이때에 모래땅은 깊이 심고, 참흙땅은 얕게 심어야 한다.
긴뿌리는 20㎝ 내외로 자르고 썩은뿌리, 상한뿌리, 마른뿌리, 병해충 피해가 발생한 뿌리는 예리한 칼로 자르고 심는다.
또한 심어진 자리에 웅덩이가지지 않도록 한다. 심기가 끝나면 낙엽을 덮어서 건조를 막는다.
바. 심은 후 관리
(1) 밑풀깍기
옻나무를 심은 주위에 잡초 및 잡목이 우거지면 그늘이 져서 옻나무의 자람세도 불량해지고 병해충발생의 원인이 되므로 식재 후 4년간은 6월 중순과 8월 상순경 연 2화에 걸쳐서 밑풀을 깍아 주어야 하며 심은 자리에 풀이 무성하게 되면 나무와 땅의 양분이 경쟁하게 되어 나무의 자람세가 나빠짐으로 1~2회의 풀뽑기와 주위를 개간하여 풀이 없도록 하고 흙이 푸실푸실하도록 하여 뿌리 발육이 좋도록 한다.
깍아진 풀은 나무 밑에 깔아서 퇴비가 되도록 함은 물론 풀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도 바람직한 일이다.
(2) 거름주기
비옥한 땅에서는 많은 시비가 필요치 않으나 대부분의 임지가 척박한 곳이므로 매년 봄철 일찍이 1주당 복합비료를 100g씩 나뭇가지 끝의 밑까지 개간을 하고 시비하면 효과가 있다.
또한 나무와 나무사이의 공터를 놀리는 곳은 잡초 잡목이 무성하므로 이곳을 개간하여 옻나무가 무성하기 전까지 콩과 작물을 간직하면 임내의 땅이 개량되고 옻나무의 생장이 좋아질 뿐 아니라 간작 수입이 생기고 투자 경비가 절감되는 등 효과적인 방법이라 하겠다.
사. 맹아갱신에 의한 옻나무 재배
식재 후 5~6년이면 채칠을 한 다음 벌채를 하는데 다시 조림할 필요가 없이 맹아갱신에 의하여 관리하면 2~3년 빨리 성목이 될 수 있다. 이는 뿌리에서 새순이 발생하여 새로 심지 않아도 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옻나무는 오래 살기 때문에 한번 심어 놓으면 곁순 발생으로 계속 칠을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수종이다.
아. 옻나무의 약리작용
옻의 주성분은 우루시올(urushiol)이며 처음에는 무색투명하나 공기에 접촉하면 산화효소의 작용으로 검게 변하여 옻이 된다. 우루시올은 경도(硬度)가 높고 아름다운 광택을 가진다. 채취한 옻은 오래 저장하여도 변하지 않으며 산이나 알칼리 또는 70℃ 이상의 열에 대해서도 변하지 않는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다른 색소와 섞어서 여러 가지 기구 및 기계의 도료로 쓰이며 목제품의 접착제로 사용된다.
특히 나전칠기는 한국 고유의 공예품으로 세계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한방에서는 통경․구충․복통․변비․진해 등에 사용된다. 또한 종자에는 왁스(wax)가 많이 들어 있어서 이것을 채취하여 목랍(木蠟)을 만들고, 목재는 가볍고 무늬가 고와서 가구재나 부목(浮木)을 만들고 연료로도 쓰인다.
옻을 만질 때는 손과 얼굴에 기름(식물유 또는 광물유)을 바르고 해야 하며 작업이 끝난 다음에는 따뜻한 비눗물로 씻거나 염화철 5g, 글리세린 50㎖, 물 50㎖를 섞은 물을 바른다. 옻이 이미 올랐을 때는 따뜻한 비눗물로 씻은 다음 베르츠수(시판약)를 3∼4회 바르면 치료된다. 간이 방법으로는 고운 소금을 물에 축여서 발진부에 바르면 가려움증이 사라지고 치유된다. 옻을 타는 사람은 10명 중 1명 정도이다.
동양에서는 예부터 옻이 식용과 약용으로 연용돼 왔고 어혈제거, 구충, 위장 질환, 여성의 생리불순 등 민간요법에 이를 이용하는 처방이 전래돼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여름철 보신용으로 옻나무의 수피와 가지를 옻닭, 옻오리 등에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 이루어진 연구결과를 보면 옻칠액의 주성분이며,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옻산 성분이 강한 항암, 항산화와 항균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숙취 해소와 위염억제효과도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칠액이 굳은 것을 분쇄하여 분말로 만든 것을 건칠(乾漆)이라 하는데 한방과 민간에서는 혈액촉진, 위산과다, 생리통, 어혈제거, 편도선염, 구충제로 쓰인다.
옻은 우수한 방부제이며 살충제이다. 소화를 돕고 어혈과 염증을 풀어 주며 피를 맑게 하고 온갖균을 죽이는 작용이 있다.
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몸을 따뜻하게 하며 신경통, 관절염, 위장병, 간병, 늑막염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 약용성분과 약효
(1) 한방의학에서의 오갈피
○ 이용부분:근피(根皮) 또는 수피(漱皮)
○ 맛:매우면서 부드럽다.
○ 채취:여름, 가을 양 계절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 효과가 미치는 부위:간, 신장
○ 복용법:다려 즙을 내거나 또는 술로 담가서 이용
(2) 효 능
○ 풍을 없애고 저림 현상을 없앤다.
○ 간과 신장의 허약으로 인한 무릎통증과 하체가 약해지는 증상 치료
○ 가시오갈피는 태양인의 약재로 활용하며, 금기사항은 성질이 신온(신 ․온)하여 몸에 진액을 없애고 화를 도와주기 때문에 몸에 진액이 부족하고 화가 많은 사람은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3) 현대의학에서의 오갈피
일본의 가시오갈피 효용연구 발표에 의하면 주성분들은 트리텔페토이드계의 배당체 즉, eleutheroside A~G 7종, 그루코스 등의 당류 및 카로틴, 비타민 B1, B2및 C 등이다. 이들은 특기할 만한 효용으로 신체 각부의 기능촉진 및 강장 작용이다.
이러한 조정작용은 신경계나 성인성 질병 그리고 순환기 계통의 여러 질병에 약효를 나타낸다. 더욱이 화학 합성 약품과 같이 약물 부작용이 전혀 없으므로, 장기간 복용하여도 약물중독의 위험이 없다. 중국문헌에 의하면 가시오갈피는 여러 생물활성 성분이 포함되어 있고 폭넓게 치료효과가 많은데, 이에 관련된 화학성분과 약리작용은 다음과 같다.
○ 콜레스테롤과 그 배당체:인체 내 콜레스테롤과의 배출을 촉진하고 혈중 콜레스테롤의 증가를 억제하며 그 밖에 종양 억제작용도 있다.
○ 세사민:진해, 소염, 기관지 질환 예방 및 항진균소의 작용이 있다.
○ 구미린성 분류:현저한 진정작용과 혈압 강화작용이 있다.
○ 시리진, 시리가레지놀:성선의 촉진, 정력, 전립선 중량을 증가시 미는 작용이 있으며, 또한 항피로 작용 및 흥분작용은 사포닌 보다 훨씬 우수하다.
○ 구일스틴, 하이페린:이 성분은 잎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진해 거담 작용과 관상 동맥의 확장 및 혈류량 증가 작용이 있다. 그 밖에 모세혈관의 저항력을 높이며 진정작용도 있다.
나. 특 성
오갈피종류는 오갈피, 가시오갈피, 섬오갈피, 서울오갈피, 지리산오갈피 등 우리나라에 10여종이 보고되고 있다. 가시오갈피[Acanthopanax senticosus (Ruper.et Max.) Harms.]는 희귀수종으로서, 높이 2~3m의 낙엽관목이며, 서늘한 한냉지에 자생한다. 가시오갈피와 오갈피[A. sessilkflorus(Ruper. et Max.) Seem.]는 매우 유사하나 몇가지 형태적 특성으로 구별할 수 있다.
잎은 엷은 녹색을 띄고 얇으며 오갈피나무와 달리 1~2년지와 엽병에 잔가지가 밀생하고, 특히 꽃자루가 길고 가늘며 열매는 9월에 성숙하자마자 떨어진다.
가시오갈피 분포는 치악산, 태기산, 덕유산 등지의 해발 700m 이상 되는 경사지의 상층 활엽수림의 배수 양호하고 부식질이 많은 토양에 잘 자란다. 세계적으로는 러시아의 사할린 및 동시베리아의 아루르강 유역, 중국의 흑룡강성과 일본의 북해도 지방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1) 종류별 특성
(가) 섬오가피
제주도에서 발견된 토종오가피로 잎이 가장 작고 가시가 밑으로 향한(낚시 바늘모양) 날카로운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봄에 가장 일찍 꽃이 피지만 거의 결실하지 않고 떨어진다.
번식은 주로 뿌리 꺾꽂이로 하며 성장이 빠르고 자라면서 가지가 늘어지는 형태이다. 내습성이 타 오가피에 비해 강하고 추위에도 무척 강해 전국 어디라도 재배가 가능하다. 제주도에서는 탐라오가피라하여 많은 재배가 되고 있으나 육지에는 아직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나) 토종오가피
종류가 워낙 많아 어떤 것이 어떤 종류인지 조차도 잘 모를 정도이다. 지리오가피, 중부오가피, 서울오가피 등이 있으며 섬오가피나 가시오가피를 제외한 모든 오가피를 말한다. 가장 많은 재배가 되고 있으며 성장도 빠르고 수확량도 많은 오가피이다.
가을에 검은 열매가 많이 결실한다. 전국재배가 가능한 수확량이 많은 오가피로 섬오가피와 같이 재배가 쉽다.
(다) 가시오가피
줄기에 잔 가시가 많은 오가피로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오가피도 있으나 중국, 북한, 시베리아 등에서 자생 또는 씨앗을 채취한 오가피가 많다.
오가피 중에서 가장 재배가 까다롭고 생산량이 적어 오가피나무이다. 여름이 서늘한 곳에서 재배하여야 하며 그런 조건을 맞추기 어려워 나무 밑에 재배를 하든지 또는 차광망을 덮어 재배하고 있다. 생산량은 보통 오가피에 비해 5~10% 정도 되기도 힘들다.
다. 번식법
(1) 종자번식
9월상순경 성숙열매를 채취하여 과육을 물에 담가 분리하고 종자를 약 3배의 물기가 있는 모래와 혼합한다.
망사자루에 혼합된 종자를 넣고 배수 양호한 토양에 약 1m깊이로 2년간 노천 매장한다.
가시오갈피는 열매가 익어도 씨눈이 미숙상태로 있어 종자가 발아하는데 2~3년이 소요되는데, 임업연구원 서부임업시험장에서는 발아촉진법을 개발하여 종자발아에 소요되는 기간을 6개월로 단축시켰으며, 발아율도 자연 상태에서 약 3%인 것을 59%로 증진시켰다.
(2) 가시오갈피 발아촉진과 그 효과 (개발된 번식기술 효과)
○ 1~2단계 처리시 종자 발아기간 6개월로 단축 (자연발아 2~3년) ○ 발아율 59%로 향상 (자연발아 약 3%) |
○ 종자를 습윤 처리하여 120일간 15℃유지(미배숙 → 성숙배 유도) 1단계 처 리된 종자를
○ Kinetin 150ppm에 24시간 침적하여 60일간 5℃유지 파종 파종 후 45일 묘, 파종 후 5개월 묘
- 파종상은 배수양호 장소 선택 유기질 비료 고르게 펴놓고 깊게 갈아엎음.
- 상의 크기는 폭 1m, 높이15㎝ 크기 파종상 잘 다진 후 종자를 산파
- 종자 뿌린 후 모래와 흙을 체로 쳐서 약 4㎜ 두께로 덮고 그 위에 다시 볏짚을 깔고 고정
- 파종상 위에 50~70% 차광막 설치
- 파종 후 적절한 관수와 수시 제초, 1㎡당 100본 정도 재식밀도 유지
(3) 삽목번식
○ 별도 삽목시설을 하거나 그렇지 못하면 서늘하고 그늘진 나무 밑에 삽목상 설치
○ 상토는 피트모스(Peatmoss), 버미큐라이트(Vremiculite)및 퍼라이트(Perlite) 1:1:1로 혼합한 것 또는 모래, 마사토를 동량 혼합한 살균토(베노밀 1,000배액 살포)를 이용한다.
○ 삽수는 숙지 또는 녹지로 하고 충실한 당년지를 채취하여 눈 1~2개 붙여 조제 삽수 절단부위를 우스프론 1,000배액에 5분간 침적, 살균
○ 발근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삽수를 채위하기 전에 모수에 아토닉 1,000배액+요소 1.4% 혼합액을 살포한 후 2~3일이 지나 삽수의 영양상태가 양호할 때 삽수를 채취하여 삽수 기부를 발근촉진제(진흙물(20g/l)+ IBM300ppm+목탄액(차콜1g/l))dpm+목탄액(차콜/l)에 침적한 후 삽목.
○ 삽수는 약 5~6㎝ 간격으로 심고 그 위에 비닐과 2중 차광망을 설치
라. 재배적지
○ 적지는 그늘지고 서늘한 곳의 배수양호하고 유기질이 풍부한 토양이 좋다.
- 산도는 약 산성 토양을 좋아한다.
○ 묘목은 이식 묘(1-1) 또는 삽목묘, 분근 묘로 한다.
○ 배수가 잘 되도록 폭 2m, 높이 20㎝의 둑을 만든다.
○ 식재간격은 2m로 하고, 구덩이 크기는 지름 70㎝, 깊이 80㎝로 한다.
○ 밑거름으로 퇴비 10㎏을 구덩이 밑에 깔고 흙을 한 켜 넣은 다음 그 위에 흙 30㎝정도 덮은 후 묘목을 심는다.
○ 식재지에는 50~75% 차광막을 설치하여 해가림을 한다.
○ 차광시설이 어려운 장소에서는 활엽수 임지를 대상으로 약 50% 차광되게 간벌하고 지존작업 후 식재하면 포지에서의 차광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마. 아주 심기
○ 묘포 상에서 1년 동안 자란 묘목 중 튼튼한 묘목을 골라 이듬해 봄에 정식
○ 오갈피나무는 저온성 식물로 일찍 싹이 나오기 때문에 정식 시기는 다른 나무에 비해서 빨리 심을 수 있다
○ 지역에 따라 2월 말∼4월까지 심는 기간이 적기이다.
바. 심는 방법
○ 심을 장소에는 사전에 잡관목을 제거하고 퇴비 또는 썩힌 깻묵 등과 같은 유기질 비료를 10a당 2,500㎏ 정도 시비
○ 식재 할 곳에 상면의 폭을 1m, 주간 거리를 80㎝로 하여 심는다.
○ 식재 본수는 10a(300평)당 1,250∼1500그루, 평당 4주∼5주가 적당하다.
○ 뿌리는 단근하여 천근성이므로 식재 시 지표면 가까이 심어야 한다.
※ 특히 주의해야 할 점은 뿌리가 마르지 않게 해서 심어야 한다.
사. 거름주기
○ 거름은 역시 근주 둘레를 파고 식재 할 때와 같은 양의 비료를 시용 한 다음 흙으로 덮어 주면 된다.
○ 오갈피나무는 비료에 대한 요구도가 낮은 수종이나 만일 밑거름만으로 잎의 색깔이 좋지 못한 경우에는 퇴비나 썩힌 깻묵을 추비로 주는데, 요령은 근주 둘레에 구덩이를 파서 적당량을 시용하고 흙으로 덮은 다음 여름철 건조방지를 위해 짚을 3등분하여 자른 것을 깔아주면 된다.
아. 아주심은 후 관리
○ 심은 후 가끔 제초를 해주는 정도이며 특별한 관리 및 병충해 방제작업은 거의 필요로 하지 않아서 쉽게 관리를 할 수 있다.
○ 어린 묘목 일 때 2년∼3년 정도는 충분히 잘 관리해 주어야 한다.
자. 수 확
○ 2001년 봄에 평당 4∼5주정도 식재 → 2002년 가을에 수확
○ 절단․건조과정 후 평당 6㎏(생재) 줄기만 생산 → 건재 3㎏
차. 가시오가피 재배시 유의할 점
(1) 특성상 여름이 시원한 곳에서 재배하여야 한다.
(2) 여름철 무더위를 견디기 어려우므로 차광을 한다.
(3) 좋은 조건이라 할지라도 생장량이 적고 한번에 수확하면 되지 않고 3~4년 후부터 매년 1가지씩만 수확
가. 분포 및 이용방법
(1) 식물명
○ 과 명:미나리(산형)과
○ 학 명:Bupleurum falcatum L.
○ 생약명:柴胡
(2) 생김새 및 분포
○ 생김새:다년생 초본으로 잎과 줄기는 농녹색이고 잎은 披針形으로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며 포기당 1차 분지수 20개, 분지당 2차 분지수 8개 정도이고 꽃은 7~8월에 노란색으로 主莖과 분지에 착생하는 양성화로 피며 종자는 흑갈색을 띠고 雙縣果로서 9~10월에 여물며 뿌리는 담황갈색임.
○ 분포:전국 어디서나 잘 자라지만 흔히 중북부, 남부 지역에서 재배하고 강원 정선, 경기 연천, 경북 의성, 경남 함양, 전남 여수, 고흥, 벌교 등의 지역에서 많이 재배됨.
(3) 성분 및 이용
○ 성분:Saikosaponin a, c, d, β-Acetylsaikosaponin, α-spinasterol, pamitic acid 등.
○ 효능:解熱, 鎭痛, 鎭靜, 抗菌, 抗바이러스 작용이 있어 한방약제와 제약사의 柴胡蕩類의 드링크제 원료로 사용됨.
나. 재배환경 및 적지선택
(1) 기 후
전국 어디서나 재배가 가능하며 생육기간이 긴 중남부 지역에서 재배가 유리하고 통풍이 잘 되고 양지 바른 곳에서 재배하는 것이 좋으며 해풍과 안개가 많은 지역에서는 잘 쓰러지고 탄저병과 갈색 점무늬병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재배하기 곤란함.
(2) 토 양
토심이 깊고 물빠짐이 좋으며 유기물 함량이 많은 식양토나 양토로 수분유지가 잘 되는 비옥한 땅이 적합하고 배수가 불량하거나 연작하면 뿌리 썩음병이 많이 발생하므로 돌려짓기하여야 함.
다. 품 종
○ 시 호
전 식물체에 털이 있으며 엽폭이 좁고 끝이 뾰족하고 줄기 부위로 내려 가면서 좁아진 형태이며 일본에서 도입한 삼도시호는 시호의 품종과 동일하고 삼도시호를 순계 분리한 수원시호는 다수성, 내병성이 강한 육성품종임.
○ 참시호
시호보다 가지가 많고 잎이 더 좁고 길며 끝이 뾰족하고 잎의 기부나 중간부의 넓이가 비슷하며 참시호를 순계분리 육성한 조숙, 다수성인 품종임.
라. 종묘 번식 및 채종
번식은 종자로 직파재배하고 생육이 양호한 2~3년생에서 채종하며 채종시기는 잎이 누렇게 변하고 종자가 검게 익었을 때인 10월에 여무는 순서대로 아랫부분부터 손으로 훑어 채종하거나 줄기를 베어 말린 후 털어서 정선함.
마. 재배기술
(1) 재배양식
약효 성분인 Saikosaponin 함량은 2년생보다 1년생근이 더 많아 제약용이나 수출용에 쓰이고 육묘이식 또는 직파재배보다 비옥지에서 직파하여 1년생근으로 수확함.
(2) 파 종
○ 파종시기:늦가을(11월 상순~11월 하순)이나 이른 봄(3월 중하순)에 하며 지역별로 중남부지역 3월10일~3월20일이 파종 적기임.
○ 파종 전 처리
- 가을파종은 염수선한 종자를 그대로 파종하면 되지만 봄에 그대로 파종할 때 종자표면에 발아억제 물질 때문에 발아율이 떨어지므로 반드시 종자를 흐르는 물에 2일 침종 후 15일간 저온처리(5℃)하면 발아억제 물질을 제거되어 발아율이 무처리의 66%에 비해 88%로 향상됨.
- 파종 전에 종자를 80일간 노지에 층적 매장한 후 파종하고 볏짚피복하면 무피복에 비해 입모율이 27%가 향상되어 출아일수가 31일 단축으로 건근수량이 49% 증수됨.
○ 파종량(10a당):직파재배는 점파 1㎏, 조파, 산파 2㎏ 정도 됨.
○ 파종방법:90~120㎝ 두둑을 만들고 조간을 20~30㎝로 하여 깊이 1㎝ 정도로 얕게 골을 파고 조파하거나 인력 줄뿌림기를 이용하여 5㎝ 간격 1㎝ 깊이로 파종하면 파종노력을 절감시킴.
○ 피복재배:비닐피복 후 90㎝ 이랑에 조간30㎝,주간10㎝ 간격으로 종자를 4~5개 정도 점파한 흑색 비닐피복재배시 잡초발생이 억제되고 노동력 절감, 지하부 생장량이 양호하여 상근 중 비율이 높아 수량도 증대됨.
○ 파종 후 관리:파종이 끝나면 수분보존을 위해 볏짚으로 덮어주고 바람에 날아가지 않도록 새끼나 비닐 끈으로 고정함.
(3) 물주기
4월상, 중순 파종이 10일 간격으로 20㎜를 관수한 것이 입모율과 수량이 높았고 생육초기인 5~6월에서도 10일 간격으로 30㎜를 관수한 것이 수량이 증수되었음.
(4) 거름주기(10a)
○ 화학비료로 시용할 때 밑거름으로 퇴비 2,000㎏, 요소 13㎏, 용과린 60㎏, 염화가리 8㎏를 밭갈기 전에 전층시비하고 웃거름으로는 6월 중순, 7월 중순, 8월 중순에 요소 6㎏과 염화가리 4㎏씩 분시 함.
○ 화학비료로 재배하면 수량과 품질이 저하되므로 유기질비료인 계분 300㎏와 버섯부산물 볏짚퇴비 3,000㎏정도 복합시용으로 지력이 증진되고 뿌리가 비대되어 수량증대와 품질이 향상됨.
(5) 김매기
시험한 결과는 펜티유제, 파미드, 리누론 수화제는 약해가 적고 입모율도 높아 효과적인 제초제로 보고되었으나 품목고시가 되지 않았으니 사용시 주의를 요함.
(6) 관 리
○ 피복볏짚 제거:발아하여 2/3정도가 출현하면 볏짚을 걷어주는데 너무 빨리 걷어주면 발아 출현이 불량하고 늦게 하면 웃자라서 볏짚을 걷어줄 때 부러지는 것이 많음.
○ 솎음:여러 개가 모여난 곳은 본엽 2~3매시 솎아주는데 주간거리가 먼 것은 2~3본을 남겨줌.
○ 순지르기:종자생산에 영양손실을 방지하고 도복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실시하며 방법은 7월상․중순경에 원줄기가 40㎝정도 자라면 30㎝ 정도만 남기고 잘라 주고 다시 50㎝ 크면 40㎝ 기준으로 윗부분을 잘라주는데 맑은 날을 택하여야 상처 부위로 병균의 침입이 적음.
바. 병해충 및 재해방지
(1) 병해충 방제:품목고시가 되지 않으니 사용시 주의가 필요함.
○ 입고병:발아시에 발생하는 병으로 발병되면 본엽이 올라오기 전에 잘록해지면서 죽어 가고 발병할 때 리도밀 등의 입고병 약제를 살포함.
○ 탄저병:잎과 꽃, 줄기에 발생하는데 앞에서 원형내지 부정형의 갈색 병반을 형성하고 줄기와 꽃은 변색되어 말라죽으며 발병시 흘펫 수화제 등을 주면 정지됨.
○ 갈색 점무늬병:잎과 줄기에 갈색 반점으로 시작하여 원형 불규칙한 모양으로 심한 경우 잎의 고사, 낙엽하여 발병되면 흘펫, 다이젠엠-45 수화제 등을 사용함.
○ 뿌리 혹선충:뿌리에 혹을 만들어 뿌리 비대를 억제시키고 품질이 저하되어 연작을 하지 않고 화본과 작물과 윤작을 함.
사. 수확 및 건조
(1) 수 확
11월 중․하순경에 얼음이 얼기 전에 수확적기이며 수확 전에 줄기를 20㎝ 정도만 남기고 자른 후 괭이 등을 이용하여 뿌리를 캐내거나 다목적수확기를 이용 굴취를 하면 69% 수확작업의 생력화되고 수확한 잔뿌리는 제거하고 맑은 물로 씻어 건조시킴.
(2) 건 조
건조기나 비닐하우스에 약간 건조시킨 후 햇볕에 말리면 잘 마르고 날씨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7~10일에 완전히 건조가 끝나면 포장하여 통풍이 잘되는 곳에 저장했다가 출하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