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공수정의 장점
    인공수정을 실시함으로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우수한 종빈돈, 종모돈, F1 모돈 및 비육돈의 구분 생산이 가능하며 많은 수의 모돈이 거의 같은 기간에 이유시도 웅돈 부족으로 인한 번식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신체적으로 조건이 좋지 않은 종빈돈 및 F1 모돈도 인공수정을 통해 번식이 가능하며 자연종부시 웅돈과 암퇘지간의 체격조건의 불일치를 해소하고 종모돈 사육두수 감소에 따른 종모돈 구입비용 절감 및 수용시설 감소를 통해 경영상 이익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웅돈 사육두수의 감소에 따른 사료비용 절감과 하절기 자연종부시 야기되는 하계 번식능력 저하 등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자연종부시 발생될 수 있는 질병 전파를 예방하는 장점이 있다.
           
  2. 인공수정을 시작하기 전에
    인공수정 센타에 사전 회원등록을 하고 각 농장의 모돈의 규모, 품종 및 축사 형태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고 인공수정에 이용할 정액채취용 웅돈들에 대한 정보자료를 사전에 확보해야 하며 주입기의 구입 및 영구용 주입기 사용시 주입기 멸균기를 확보하고 정액 보관고의 확보를 통해 보다 높은 수태율 및 산자수를 얻을 수 있다.
           
  3. 정액공급 방식
    소포 이용 및 정액을 직접 인공수정사가 배달하거나 인공수정사가 직접 주입하는 방식이 있다.
           
  4. 정액 주문 요령
    정액 주문은 전화나 펙스를 통해 할 수 있으며 필요한 웅돈 개체의 정액을 정확히 공급받기 위해서는 최소한 정액사용 전날 저녁까지 주문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문시는 다음 항목에 준해 신청하면 된다. 신청자 성명 및 농장명, 농장위치 및 주소(전화번호), 회원인 경우 회원번호, 주문 정액 병수(용도 및 품종), 순종생산 목적시 종모돈 개체 선택 가능, 공급방식 지정 및 정액 도착시간 지정.
           
  5. 정액 도착후 취급요령
    액이 소포로 도착된 경우는 절연박스 내에 주문한 정액이 들어 있나 확인하고 나서 정액 보관고에 즉시 보관하고 만약 특별한 정액 보관기구가 없을 때는 원래 대로 박스 내에 집어넣어 사용 전까지 밀봉하여 서늘하고 햇빛이 직접 비추지 않는 곳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특히 여름철에는 수도물의 수온이 대략 17℃ 근처이므로 일정한 크기의 용기에 액상정액을 집어넣고 수돗물을 일정한 상태로 흐르게 하여 지속적으로 17℃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주의할 점은 물이 주입 병에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즉 주입병의 2/3 정도가 잠기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이렇게 하기 위해 용기가 한쪽으로 약간 경사지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1일 2회 정도 보관중인 정액을 가볍게 섞어 주도록 한다.
     
    가. 액상정액 보관온도
      이상적 온도는 17℃이며, 15~20℃의 온도범위에서 정액을 보관하면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절대 냉장고에 집어넣지 말 것이며, 햇빛에 정액이 노출되지 않는 장소에 보관해야 한다.
     
    나. 보존후 사용기간
      정액이 제조된 이후 3일간은 정상적인 수태율 및 산자수 생산을 할 수 있으나 가급적 정액이 제조된 이후 48시간 이내에 사용함으로써 가장 좋은 성적을 얻을 수 있다.
           
  6. 발정 감지 및 주입적기
    가. 발정감지
      암퇘지의 발정 확인은 수퇘지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이때 암퇘지와 수퇘지는 마주 본 상태로 자세를 유지한 후 수퇘지를 암퇘지의 돈사 내로 집어넣어 승가 허용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와 동시에 관리자가 암퇘지 후구의 양측 면을 양손으로 압박을 가하여도 부동 자세를 취하게 되면 명확히 발정이 왔다고 확신을 하여도 좋겠다.
  일반적으로 암퇘지는 발정이 개시되기 24~48시간 전부터 외음부가 팽창되고 충혈되며 점액이 분비된다. 수정적기 파악을 잘하지 못하는 경우 대부분 이상태가 수정적기인 것으로 잘못 판단하는 경우가 많다.
           
    나. 주입적기
      수정적기는 암퇘지의 승가허용 상태와 더불어 난자가 배란되는 시각 및 정자의 암컷 생식도관내 생존시간,배란되는 난자의 간격과 난자의 수정능력 보유시간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여야 한다.
           
      (1) 암퇘지의 부동자세 및 외음부 상태의 변화에 따른 주입적기 추정
        외음부의 충혈 상태가 다소 약화되고 수퇘지 뿐만 아니라 관리자에게도 부동자세를 취하게 되면 바로 수정적기 상태로 빠른 시간 내에 1차적으로 인공수정을 실시하고 약 12시간이 경과된 후 2차 수정을 실시하면 된다.
           
      (2) 난자의 배란시각
        암퇘지의 개체에 따라 혹은 암퇘지가 경산돈인가 아니면 미경산돈인가에 따라 발정지속시간이 다소 차이가 나며 일반적으로 경산돈의 발정지속시간이 미경산돈에 비해 다소 길다. 평균하여 볼 때 발정 지속시간은 60~70시간이며 배란은 발정 개시후 38~43시간에 이루어진다.
  이때 발정개시 시점은 수퇘지에 최초 승가허용을 한 시각을 기점으로 하여야 한다. 만약에 전날 오후 늦게 발정확인을 하였던 암퇘지가 전일에는 반응을 보이지 않고 다음날 아침에 반응을 보인 경우는 그 중간 시간을 발정개시 시각으로 보아야 한다.
           
      (3) 주입적기
        위에 언급된 최초 웅돈 허용 시간을 기준으로 설정하여야 한다. 발정개시 시각으로부터 16~24시간이 경과된 후 1차 수정을 실시하고 2차 수정은 1차 수정 후 12시간 경과한 후 실시하여야 한다. 이 원리는 난자가 배란되는 시각과 정자 및 난자의 수정능력 보존시간을 근거로 한 것인데 정자는 약 20시간 정도 암컷 생식도관 내에서 정상적인 상태가 유지되며 난자는 배란된 후 약 8시간 수정능력을 보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다배란성 가축은 한번 배란에 18~24개의 난자를 방출하게 되고 배란 간격이 6~8시간 정도 되기 때문에 최대의 수태율 및 산자수를 얻기 위해서는 2회 인공수정을 실시하는 것이 좋다.
           
      (4) 미경산돈
        경산돈에 비해 발정지속시간 등이 짧기 때문에 최초 웅돈 허용후 12~16시간에 1차 수정을 실시하고 2차 수정은 1차 수정후 약 8시간후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표 1).
           
      표 1. 양식 정액 주입시간 결정
     
최초 웅돈 허용 시기
1차 수정 시기
2차 수정 시기
당일 오전
당일 오후
당일 오후
다음날 오전
다음날 아침
다음날 오후 늦게
           
  7. 정액 주입방법
    주입은 전문적인 인공수정사가 실시하는 것이 좋으며 양돈농장 자체의 기술자가 실시할 경우 주입방법 및 정액취급 요령을 완벽히 습득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가. 보관된 주입병을 꺼내어 햇빛에 직접 노출시키지 않고 주입병을 2~3회 서서히 뒤집어 잘 혼합되도록 한다.
  나. 발정온 암퇘지의 외음부를 깨끗한 휴지 등으로 잘 닦은후 멸균된 주입기 상단 부위에 정액 주입병 마개를 연
       후, 가위 또는 면도칼을 사용하여 주입병 꼭지를 절단한 후 정액을 주입기 상단에 약 3ml정도 묻힌다.
  다. 외음부를 잘 펼친 다음 주입기를 위로 15도 정도 상향조정한 후 시계 반대방향으로 주입기를 서서히 회전하며
       삽입한다.
  라. 자궁경관에 주입기 선단이 접촉하면 주입기 선단부를 약간 하향 조정한 다음 약간의 힘을 가해 시계 반대방향
       으로 3~4회 회전하며 전진시킨다
  마. 주입기 삽입이 끝나면 약간 뒤로 잡아당겨 주입기가 자궁경관에 물려 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이때 제대로
       결합이 되어있지 못하면 처음부터 다시 하여야 한다.
  바. 주입기가 잘 결합된 경우 주입기의 후면을 뒤로 들어올린다.
  사. 주입기 끝에 주입병을 잘 결합시켜, 정액이 새지 않도록 주의한다.
  아. 주입병에 무리한 압력을 가하지 않도록 하고 자연스럽게 결합시켜 정액이 들어가도록 한다. 소요시간은 대략
       5~8분 정도이다.
  자. 주입이 완료되면 주입병을 제거한 후 다시 주입기와 결합시켜 주입병에 압력을 가하여 주입기내에 잔류된
       정액을 모두 집어넣도록 한다.
  차. 주입기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거한다.

           
  8. 주입기 소독 및 보관
    주입시각 등을 기록하고 주입기의 외부에 묻은 물질을 부러쉬를 사용하여 제거한 후 주입기 관내에 수돗물을 이용하여 2~3분간 수세한 후 멸균소독하여 완전히 건조시켜 물기를 제거한 다음 깨끗한 비닐에 넣어 사용 전까지 보관한다.
           
  9. 정액채취
    돼지 정액을 자가채취할 경우 다음과 같은 요령으로 채취한다.
     
    가. 승가훈련
      후보 웅돈의 연령이 약 8~10개월부터 정액채취 훈련을 실시하고, 10개월에서 12개월령까지는 주당 1회 채취하는 것이 좋으며, 그 이후는 주 2회 정액채취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부분의 웅돈들은 훈련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발적으로 의빈대(dummy)에 승가(Mounting)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기 때문에 후보 종모돈때부터 승가훈련을 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의빈대를 설치한 바로 정면에 발정이 온 암퇘지를 보정틀속에 집어넣어 자연스럽게 후보 웅돈이 의빈대에 승가 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승가 훈련을 시킬 수 있고 승가전 채취자가 웅돈의 표피 부분을 일회용 비닐장갑을 끼고 자극(마시지)을 주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만약 계속적으로 의빈대에 승가하지 않는 경우 발정이 온 암퇘지에 승가토록 하여 수압법으로 채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 정액 채취실과 의빈대의 조건
      ○ 타웅돈들과 채취실내 웅돈이 서로 보이지 않도록 채취실 내부가 격리 되도 록 시설을 할 것
  ○ 햇빛이 직접적으로 들지 않을 것
  ○ 겨울철에 채취실의 온도가 25℃이하로 내려가는 것을 막아 줄 수 있는 보 온시설을 갖출 것
  ○ 의빈대 정면에 웅돈이 의빈대 승가시 미끄럼을 막아줄 수 있는 고무판을 깔아줄 것
  ○ 의빈대의 폭과 높이는 웅돈의 체형에 따라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의빈 대 폭은 30~35cm가 적당하고
      길이는 100cm, 높이는 돼지의 체형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빈대
      표면은 암퇘지의 껍질을 씌우거나 보온덮개를 사용하여도 큰 문제가 없다.
           
    다. 채취과정
       (1) 정액채취는 아침 일찍 사료주기 전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2) 웅돈을 채취실로 이동시킨 후 비닐장갑을 끼고 표피를 부분에 압박을 가해 요로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미지근한 물로 표피부분을 닦아주고 표피 부분의 털등도 수시로 깍아준다.
   (3) 자연스럽게 의빈대로 유도하면 웅돈이 자연종부시 암퇘지에게 행하는 방식 으로 교미행동에 들어가게
        된다. 이때 가급적 채취자는 웅돈과 접촉하지 않토록 한다.
   (4) 비닐장갑을 갈아 끼고 의빈대에 웅돈이 승가하고 나서 약 30초후 웅돈의 좌측면에 채취자가 쪼그려 앉아
        음경이 나오는 순간 음경 끝 2cm정도 이 후부터 손으로 음경을 꽉 잡아 압력을 가하며 돼지의 음경을
        아래로 잡아 당겨 음경을 완전히 체내 밖으로 노출시킨다.
   (5) 처음 사출되는 정액은 거의 물과 같은 상태의 정액으로 정자가 희박하기 때문에 그냥 바닥에 버린다.
   (6) 우유빛에 가까운 농후 정액이 나올 때부터 정액채취를 실시하며 채취 컵에 정액을 받는다. 정액채취컵은
        보온 도시락 통이나 일회용 대형 종이컵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정액채취 직전 채취 컵의 온도가 약 30~
        40℃로 유지 되도록 건조기 안에 넣어두고 채취컵 상단에는 멸균 거즈를 3~4회 씌워 고무줄로 고정시킨
        다.
   (7) 음경의 끝이 직접 채취 컵에 닿지 않도록 하여 정액을 채취한다. 이때 처음에는 음경선단을 강한 압력을
        주어 잡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다소 느슨하게 잡다가 주기적으로 음경에 압력을 가해주어 리듬을 타듯
        이 정액을 채취함으로서 많은 정액을 채취할 수 있다.
   (8) 포도송이와 같은 교양물질들이 농후정액이 나온 다음 나오게 되는데 이것은 자연 종부시 일종에 암퇘지의
        자궁경과 수퇘지의 음경을 고정시켜 주는 역할 등을 수행하게 된다.
   (9) 웅돈이 스스로 의빈대에서 내려올 때까지 완전 사출을 시키는 것이 바람직 하다.
  (10) 정액채취시 혈액이 들어가면 정액이 약간 붉은 색을 띠게 되는데 이와 같 은 정액으로 정액제조를 실시하
         면 정액의 보존성이 매우 떨어지게 되고, 오줌이 정액에 섞이게 되면 이것 역시 정액의 보존성에 나쁘며
         정액의 색깔이 약간 누런빛을 나타낸다.
  (11) 채취된 정액은 햇빛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정액제조실로 신속히 옮겨야 한다. 채취실과 정액제조실간의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을 때는 보온Box에 채취정액을 넣어 운반하도록 한다.
  (12) 정액제조실로 옮겨진 정액은 상단의 거즈를 제거하고 다른 채취컵에 멸균 거즈를 덮고 상단에 정액을
         천천히 쏟아 부어 재차 교양물질을 걸러준 다음 정액량을 측정한다.
           
  10. 희석액의 제조
    가. 희석액의 목적
      돼지 원정액 상태에서는 정자의 생존기간이 길어야 48시간 이내이며 정자의 활력 또한 매우 낮은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정액을 희석함으로서 정액의 양적인 증대를 통해 번식율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희석액에서 정자에 필요한 영양물질 등을 공급함으로서 정자의 보존성을 연장시킬 수 있다(표 2).
           
    표 2. BL₁희석액(시약양/1ℓ주사용 증류수)
   
Glucose                                     
29.7g
                      Na-citrate
                      Na-bicarbonate
                      Potassium-chloride
                      Streptomycine Sulfate
                      Potassium Penicillin G
10.0g
  2.0g
  0.3g
  1.0g
100만 I.U
           
    나. 희석액의 제조순서
      (1) 위에 언급된 BL₁희석액의 경우 우선 메스실린더에 주사용 증류수를 500 ㎖넣고, 이 증류수를 1ℓ용 삼각
       플라스크에 따른다.
  (2) 전자저울의 영점을 잡고 시약 무게 측정용 유산지를 전자저울 정중앙에 올 려 놓고 눈금이 0.000g이 되도록
       재조정한다.
  (3) 시약용 스푼에 70% 알코올용액을 소량 뿌린다음 크리넥스로 깨끗이 물기를 제거한후 구연산나트륨
       (sodium citrate)분말을 넣어 전자저울의 무게가 10.0g이 되도록 한다. 이것을 삼각플라스크에 넣는다.
       이때 정확히 투입하여 삼각플라스크 유리벽면에 시약이 가급적 묻지 않도록 주의하고 매번 다른 시약을
       잴 때마다 반복하여 시약스푼을 70% 알코올용액으로 세척해야 한다.
  (4) 같은 방법으로 중탄산나트륨(sodium bicarbonate)분말 2.0g을 전자저울에서 재어 재차 삼각플라스크에
       넣는다.
  (5) 염화칼슘(KCl)분말 0.3g의 무게를 재어 삼각플라스크에 넣는다. 이때 스푼 상단 부위로 시약의 무게를
       재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다.
  (6) (5)번까지 작업이 완료된 다음 삼각플라스크내에 자석바(spin bar)를 넣고 삼각플라스크를 교반기위에
       올려놓아 자석바를 회전시키면서 시약을 녹인다.
  (7) 시약이 거의 다 녹은 상태(약 20분 소요)에서 포도당을 29.7g재어 삼각플라 스크에 넣고 녹인다. 이와
       동시에 나머지 50㎖의 증류수를 메스실린더에 정확히 잰 다음 삼각플라스크에 넣는다.

  이 과정중 삼각플라스크 벽면에 묻어있는 시약은 증류수로 완전히 씻어내려 시 약이 용액내에서 완전히 녹도록 한다. 가급적 이때 교반기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위의 작업이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포도당과 물이 결합되면 포도당이 결정화되기 때문에 용액이 교반되는 상태에서 포도당을 넣어 희석액 제조가 이루러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8) (7)번 작업이 거의 완성된 상태에서 streptomycine 1g과 potassium penicillin 100만 단위(I.U)를 각각
       넣는다. 이때 사용되는 항생제는 인체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 희석액의 pH조절
      (1) 희석액을 제조하기 전에 pH meter는 최소 30분전에 미리켜서 warming up을 시킨다.
  (2) 표준용액 pH 4.7을 입력시켜 영점을 조정한다.
  (3) pH meter 전극을 증류수로 세척한 후 크리넥스를 이용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고 전극을 측정할 용액에
       담근다.
  (4) 제조직후 BL₁희석액의 pH는 8.14가 나오기 때문에 pH를 낮출 필요가 있다. pH 를 낮추기 위해서는
       1N NCl용액을 소량 첨가하여 희석액의 pH가 7.3~7.4사이가 되도록 조정한다. 만약 희석액의 pH가 낮을
       경우는 1N NaOH용액을 소량 첨 가하여 pH를 원하는 수치까지 높여준다.
           
    라. 돼지 정액의 산도
      일반적으로 돼지 원정액의 pH는 7.3~7.4 사이 값을 나타내지만 웅돈의 개체와 채취계절에 따라 다소 차이가 날 수 있다. 어린 웅돈의 경우, 원정액의 pH는 비교적 낮아 7.0~7.2의 값을 나타난다. 따라서 희석액의 pH와 원정액의 pH의 차이가 적게 날수록 정액제조시 정자의 생존율은 높아지고 기형 정자율이 낮아진다.
  일반적으로 희석후 날짜가 경과함에 따라 희석정액의 pH는 떨어지게 되는데 너무 급격히 pH가 떨어지는 양상을 나타내는 정액은 보존성이 매우 떨어지게 되고 특수하게 희석후 정액의 pH가 올라가는 경우도 발생된다.
           
    마. 상품화된 희석제조로 희석액을 제조할 경우
      (1) 공급되는 희석제가 몇 litter제조 용액인가를 정확히 확인한다.
  (2) 1 litter 제조용인 경우 메스실린더에 정확히 1 litter의 양이 되도록 주사용 증류수를 따른다. 이때 반드시
       주사용 증류수를 사용하여야 하며 일반적으로 물이나 포도당 용액 및 생리식염수 등을 사용하여서는
       절대로 안된다.
  (3) 삼각플라스크에 증류수를 약 800㎖를 따르고 희석제를 삼각플라스크에 쏟아넣은 다음 삼각플라스크
       벽면에 묻은 분말을 나머지 200㎖의 주사용 증류수를 세척한다.
  (4) 이곳에 자석바를 집어넣고 교반기 위에서 시약이 완전히 녹도록 약 30분간 교반시킨다.
  (5) 만약 희석액에 항생제가 포함되어 있지 않았을 경우는 BL₁ 희석액 제조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streptomycine과 potassium penicillin을 넣어준 다음 희석액을 제조토록 한다.
           
  참 고 문 헌

연암축산원예전문대학. 1994. 돼지인공수정 워크샵.

 
  1. 계통조성 필요성
    우리는 일반적으로 다른 나라의 것과 비료하여 우리의 것을 특정지어 표현할 때 '한국형'이라는 말을 자주한다. 마찬가지로 한국형 종돈이란 우리나라 기후풍토에 잘 적응하면서 우리 국민의 기호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종돈이 바로 한국형 종돈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근거하에서 한국형 종돈을 굳이 정의한다면,

  첫째, 우리 농가실정에 맞는 종돈, 즉 우리의 기후풍토에 잘 적응하여 사육이용이해야 한다.
  둘째, 우리 국민이 좋아하는 돈육 즉, 삼겹살, 등심, 안심 등 우리 식생활과 부 합될 수 있는 살코기를 많이 생산할
          수 있는 종돈이어야 한다.
  셋째, 양돈농가에 경제적으로 이익을 줄 수 있는 생산성이 있는 종돈이어야 한다.

  돼지를 개량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 계통조성사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바, 계통조성이란 순종돼지보다 더 순수한(Homo化) 돼지를 만드는 작업으로 계통돈의 구비조건은, ① 결과를 예측할 수 있어야 하고, ② 결과를 반복해서 얻을 수 있으며, ③ 균일한 자돈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돼지 계통조성사업은 오랜기간과 많은 투자가 수반되어야만 성공할 수 있는 바, 이러한 제약요소 때문에 민간측에서는 수행이 어려운 실정이다.

           
  2. 우수돈군에 의한 계통조성 실제
    가. 축군의 크기 : 70두(♀ 60, ♂ 10두)
           
   

그림 1. 계통조사 과정
           
    나. 세대관리
      (1) 세대간격 : 1년
  (2) 번식 : 분만복수 - 50복(분만율 약 90%)
                생산두수 - 400두(복당 8두)
           
    다. 선발방법
   
구    분
1차 선발
2차 선발
비 고
선발시기
30kg 도달시
(약 2개월령)
90kg 도달시
(약 6개월령)
선발에서 제외된 숫퇘지 150두중 모가계별로 2두씩 100두를 검정
선발두수
♀ 150두
♂ 50두
♀ 60두
♂ 10두
 
선발방법
집단의 우수한 유전자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복당 ♀3, ♂1두씩 선발 부모가계에서 무관하며 개체의 성적에 의해 선발 90kg 도달시 도살하여 체품질을 조사하고 성적은 2차 선발자료로 활용함
선발비율
♀ 75%
♂ 25%
♀ 40%
♂ 20%
 
선발대상
형     질
외모의 결격사유
일당증체량, 등지방두께 사료효율, 햄비율, 로스단면적  
           
      (1) 지수식에 의거 선발
            I = 0.0127X₁ - 4.0084X₂ + 0.1866X₃ + 0.3581X₄ (제 1 - 제 2세대)
      I = 0.0127X₁ - 5.1837X₂ + 0.2760X₃ + 0.3996X₄ (제 3세대 이후)

  여기서 X1은 일당증체량(g), X₂는 등지방두께(㎝), X₃는 제 5, 6 흉추간 로스단면적(㎠), X₄는 햄퍼센트(%)이며, X₁과 X₂는 육성돈의 기록이고, X₃와 X₄는 동복 조사돈 2두의 평균치이다.

           
      (2) 생후 2개월령에 PSE 양성돈 검색(Halothane 검정)
           
    라. 교배방법(다이알식 교배)
      (1) 극단의 근친교배를 피한 계획교배
           
     

그림 2. 극단의 근친교배를 피한 계획교배
           
      (2) 발정 동기화
           
      (3) 교배기간 : 2개월
           
    마. 세대별 혈연 및 근교계수
      (1) 계통조성돈의 혈연 및 근교계수
     
구    분
계통조성율
세대당 평균 계수 상승율
혈연계수
근교계수
20% 이상
10% 이상
2~3% 정도로 교배
1~2% 정도로 교배
           
      (2) 세대별 혈연 및 근교계수 변화
           
     

그림 3. 세대별 혈연 및 근교계수 변화
           
    바. 계통조성 및 보급체계
           
   

그림 4. 계통조성 및 보급체계
           
    사. 계통돈의 이용
      (1) 우수교배 착출을 위한 결합능력 검정
        (가) 잡종 강세효과
  (나) 상반 교잡의 효과
  (다) 상호 보완의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다이알식 교배
  (라) 계통조성의 궁극적인 목적은 우수 명성돈을 생산하는 것임.
           
      (2) 잡종강세의 발현강도 순위
     
구                 분
잡 종 강 세 의 강 도 (%)
        <계통간 교배>
             동일 품종내의 계통간 교배
             다른 품종간의 계통간 교배

10.6
19.9
        <품종간 교배>
             1 대 잡 종
             퇴 교 배
             3품종 교배
             4품종 교배

  6.3
  7.5
11.7
10.4
           
      (3) 계통돈을 이용한 3원 교잡종 생산순서
           
     

그림 5. 계통돈을 이용한 3원 교잡종 생산순서
           
      (4) 계통돈의 유지
        (가) 유전적 구조변화의 억제
          (1) 가계별 수퇘지에 대한 후계도를 확보한다.
  (2) 수퇘지군과 암퇘지군의 공용년한을 같게 한다.
           
        (나) 근교도의 과도상승 억제
          (1) 수퇘지를 많이 확보한다.
  (2) 수퇘지를 평등하게 고루 이용한다.
  (3) 도태원칙을 세워 1복내에서 1두를 반드시 확보 유지시킨다.
           
  3. 소재돈의 능력평가 및 개량지표 활용
    육종계획의 성패 여부는 소재돈에 대한 성적의 정확한 기록유지 및 자료분석에 대한 이용에 있다고 하여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따라서 각 농장에서 조사된 성적은 철저히 기록 유지하여 이들을 개량 총괄기관에 보내어 분석. 평가를 마친후 그 결과에 따라서 개량지표를 만들어 해당 농장으로 다시 보내어 주는 사업이 대단히 중요하다. 다행히 가축개량 총괄기관이 지정되었기에 이와 같은 작업이 수행될 수 있을 것으로 믿어진다.
           
  4. 인공수정 사업 확대보급
    돼지에 있어 인공수정의 기법은 돼지 집단의 효율적인 개량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즉, 자연교배에 비하여 20배 이상의 개량효과와 농장내 또는 농장간의 우수한 종모돈의 이용폭이 넓어져 우수 유전인자의 자요로운 교류 등으로 개량을 촉진시킨다.
  그 밖에 종모돈의 사육비가 절감되고 농장간의 질병전파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러나, 돼지 인공수정에는 아직도 선결되어야 할 문제가 몇 가지 있다.

  첫째, 능력이 우수한 수퇘지가 확보되어 그 능력을 양축가가 믿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정액의 수송, 보관등 공급체계를 확립하여 공급가격을 낮추어야 한다.
  셋째, 돼지 정액시술에 대한 교육 홍보 등으로 인식을 바꾸어야 한다.

  현재 국내에서는 매년 3,500두 이상의 수퇘지를 검정 완료하고 그 능력을 평가하여 경매로 농가에 공급하고 있다. 이들 중에는 능력이 우수한 개체도 많이 있으나 개인 농장에서 자연교배용 또는 자체 갱신용으로 우수돼지의 일생을 마치게 되는 것은 매우 안타까운 실정이다.
  우리나라도 하루속히 선진국처럼 국가차원의 돼지 A.I센타를 설립하여 중앙검정소에서 최우수돈으로 판정된 종돈은 이곳으로 보내어 정액의 방법으로 중핵돈군의 씨돼지 개량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5. 양돈산업의 구조개선
    국내에는 현재 118개소의 종돈장이 있으나 돼지개량 및 조직이 제대로 되어있지 않아 합리적인 육돈생산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선진 양돈국인 덴마크, 영국과 같이 피라밋형의 돼지 집단구조 형태를 갖추도록 정비해야 한다.
           
 

그림 6. 2000년대의 양돈구조
           
    피라밋의 최상부에는 중핵돈군으로 능력이 매우 우수하고 위생수준이 높은 원종돈으로 구성되며, 다음의 증식군에서는 중핵돈군에서 개량된 종돈을 받아서 증식시키는 일을 수행한다.
  또한 핵돈군 돼지중 검정소 검정을 통하여 능력이 탁월한 종모돈은 중앙인수정센타로 보내어 이 정액을 보다 많은 종돈장에 활용하므로서 돼지개량을 촉진시킬 수 있게 된다.
           
  참 고 문 헌

설동섭. 1997. 종축개량. 한국종축개량협회.
최진성 외. 2001. 양돈경영신기술지침서. 축산기술연구소.
우영제. 2000. 양돈기술150(상, 하) 양돈연구.

1. 비육돈 생산시 교잡종을 사용하는 이유
    돼지에 있어서 비육돈을 생산할 때에 순종을 사용하지 않고 서로 다른 품종간의 교잡종을 사용하는 이유는 교잡종의 자체와 교잡종 모돈에서 발현되는 잡종강세 효과를 양돈산업에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잡종강세란 돼지에 있어서 교잡종의 능력이 그 양친의 평균능력보다 우수한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이유시체중'이 랜드레이스가 11kg이고 햄프샤가 15㎏인 두 품종을 교잡하여 생산된 1대 교잡종이 14㎏였다고 하면 잡종강세 효과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양친의 평균 이유시 체중 : (11㎏+15㎏)÷2 =13㎏
  ○ 1대 교잡종 이유시 체중 : 14㎏
  ○ 잡종강세 (교잡종과 양친 평균과의 차이) : 14㎏-13㎏=1㎏

  따라서 이 경우의 이유시 체중에 대한 잡종강세는 1㎏이며 잡종강세의 발현정도는 돼지의 각 형질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유전력이 낮은 형질들과 교잡하는 부모간의 혈연 관계가 멀수록 잡종강세 효과가 많이 나타난다.
  돼지에 있어서 각 형질별로 잡종강세 효과가 나타나는 정도는 강건성은 잡종강세가 많이 있고, 번식능력에 속하는 산자수와 포유능력 및 발육 속도에서도 어느 정도의 잡종강세가 나타나며, 사료요구율은 약한 정도로 나타나고 도체형질은 낮은 정도로 나타난다.
  또한 교잡하고자 하는 부모의 혈통이 유전적으로 고정이 되어 계통이 확립된 순종과 다른 품종의 계통이 확립된 순종간의 교배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다.

           
  2. 비육돈 생산을 위한 우량 교배체계
    가. 1대 교잡종 비육돈의 생산 교배체계
      비육돈 생산을 위한 교잡종 생산을 목적으로 할 경우에는 1대 잡종 자체를 육성비육 출하할 경우가 있는데 이때의 부계와 모계품종을 결정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1대 교잡종은 언제나 순종 암컷에서 생산되어 순종어미의 젖을 먹게 되므로 암퇘지인 모계의 품종이나 계통은 반드시 번식성이 우수한 것이라야 한다. 즉, 새끼를 많이 낳고 잘 기르면서 비유량이 많은 품종이나 계통을 1대 교잡종 생산을 위한 모돈으로 이용해야 한다. 그러나 1대교잡종 생산을 위한 수퇘지 즉, 부계는 특수한 목적이 없는 한 발육이 좋고 육질이 우수한 품종이나 계통을 택하여야 한다.
  1대 교잡종 자체는 전부 비육출하하는 것이므로 1대 교잡종 자체에서의 성장속도와 육질이 좋아지도록 부계를 택해야 한다. 만일에 번식성이 좋은 모계에다 번식성이 좋은 부계를 교잡하여 1대 교잡종을 생산한다면 여기에서 생산된 1대 교잡종은 번식능력이 좋아질 가능성은 있으나, 이 1대 교잡종은 직접 비육출하 되므로 번식능력이 우수할 필요가 없다.
           
   

그림 1. 돼지의 1대교잡종 계육돈 생산교배체계
           
      따라서 비육출하할 1대 교잡종은 성장이 빠르고 육질이 좋아질 수 있도록 그 부계는 성장속도가 빠르고 육질이 좋은 품종 또는 계통을 택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육되고 있는 품종으로 1대 교잡종을 비육출하할 목적일 경우에 합리적인 교배 방법의 예를 들면 그림 1과 같다.
1대 교잡종을 비육돈으로 이용할 때는 순종교배에 비하여 ① 사산 자돈수가 감소하고, ② 이유시 육성율이 향상되며, ③ 이유시 자돈의 개체 및 복당체중이 증가하고, ④ 육성비육시 증체율이 향상되고, ⑤ 출하 체중 도달일령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1대 교잡종의 이용은 비교적 실시하기가 쉽다는 장점이 있으나 1대 교잡종의 생산에 이용되는 어미돼지는 순종이므로 잡종강세 효과는 자돈에서만 나타나게 된다.
           
    나. 3원교잡종 비육돈의 생산 교배체계
      3원 교잡종은 언제나 1대 교잡종 암돼지에서 생산되고 젖을 먹게되므로 1대 교잡종인 모돈은 번식성, 즉 산자수와 비유량이 많아야 하며 동시에 그 번식성에서 강한 잡종강세를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1대교잡종의 모계와 부계가 다같이 번식성이 좋고 될 수 있는 한 양자간의 혈연관계가 멀수록 그 다음 세대인 교잡종에서는 번식성이 좋아지고 그 번식성에서 강한 잡종강세가 나타날 수 있게 된다. 가능하면 3원 교잡종을 생산하는데 사용하는 품종이 모두 근교계라면 잡종강세는 더욱 강하게 나타나게 된다.
  우리 나라에서 주로 사육하고있는 품종의 특성을 고려하여 3원교잡종 생산을 위한 합리적인 교배방법의 예를 들면 그림 2와 같다.
           
   

그림 2. 3원교잡종 교배체계
           
      3원 교잡종 생산의 모체인 1대교잡종 모돈을 생산 확보하기 위해서는 산자수와 유량이 좋은 랜드레이스종을 암컷(모체)으로 하고 여기에다 비교적 번식성이 좋으면서 발육이 빠르며 강건한 요크샤종 수컷을 교배하게 되면 여기에서 생산되는 1대 교잡종도 대체적으로 번식성이 좋아지게 된다. 또한 요크샤 암퇘지에 랜드레이스 수퇘지를 교배하여 생산된 1대 교잡종의 암퇘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그리고 3원 교잡종 생산은 어미돼지가 교잡종이므로 모체에서 나타나는 잡종강세인 모체효과가 나타나게 되어 배란수가 많아지고 난자의 자궁내 착상이 유리하며 산자수가 많아지게 되며 비유량도 증가하여지므로 3원 교잡종 생산을 위하여 대단히 좋은 조건을 갖추게 된다.
  이와 같이 랜드레이스 암컷과 요크샤 수컷을 교잡하여 얻은 1대 교잡종 암컷중에서 우량한 것만을 선발하여 번식용 모돈으로 이용하여 여기에다 다시 3원 교잡종 생산을 위하여 잘 크고 육질이 좋은 듀록종 수퇘지를 교배하게 되면 3원 교잡종에서는 산자수가 많아지고 풍부한 비유량으로 인하여 자돈이 잘 자라며 또한 비교적 육질이 개선되므로 비육돈의 가격을 비싸게 받을 수 있게 된다.
  3원 교잡종을 비육돈 생산에 이용하게 되면 1대교잡종 모돈에서 나타나는 잡종 강세효과(모체효과)에 의하여 산자수가 증가하게 되고 자돈이 강건하고 복당 이유시 체중이 무거워지며 모돈의 자돈 육성능력이 좋아 자돈의 육성율이 향상되고 비육돈의 발육이 우수하여 출하체중 도달일령이 단축되고 비육돈 전체의 살고기 생산량이 많아지고 우수한 육질의 고기를 생산한다.
  비육돈 생산시에 교배체계의 차이에 따라서는 특히 산자수와 육성수에서는 복당 1두를 더 육성할 수 있느냐 없느냐와 관련되기 때문에 양돈장의 경제성에는 대단히 중요한 문제이다.
           
  3. 순종과 1대교잡종 및 3원교잡종의 능력비교
    동일한 교배방법이라 할지라도 잡종강세효과의 발현정도는 혈통의 수수한 정도와 환경의 상태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1대 교잡종과 3원 교잡종에서 출현하는 잡종강세 내용의 해석은 다음과 같다.
  1대교잡종은 순종모돈에서 포유하게 되므로 교잡했다 하더라도 모체에서 얻은 이득은 순종의 능력 이외는 없으며 단지 두 품종간 교잡에 의한 1대 교잡종 자체에서 발현하는 잡종강세로 인한 잇점이 있을 뿐이다.
           
  표 1. 순종과 1대교잡종 및 3원교잡종의 능력비교 구분
 
구분
품종별
양친능력
직접효과
모체효과
합계
복당산자수(두)
순종
1대교잡종
3원교잡종
8(100)
8(100)
8(100)
0
0.48(6)
0.48(6)
0
0
0.88(11)
      8(100)
8.48(106)
9.36(117)
복당이유시체중(㎏)
순종
1대교잡종
3원교잡종
96(100)
96(100)
96(100)
0
11.5(12)
11.5(12)
0
0
9.6(10)
            96
107.5(112)
117.1(122)
이유시평균체중(㎏)
순종
1교대잡종
3원교잡종
12(100)
12(100)
12(100)
0
0.6(5)
0.6(5)
0
0
0
    12(100)
12.6(105)
12.6(105)
           
    그러나 3원 교잡종은 1대교잡종 모돈에서 포유하게 되므로 모체에서 얻어지는 효과 즉, 산자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육성수가 많아지고 비유량이 풍부하여져서 자돈의 발육이 좋아지는 잇점이 있으며, 여기에다 3원 교잡종 자체에서 나타나는 잡종강세가 추가되므로 더욱 유리하다. 이와 같은 교잡종간의 능력차이에 대한 것은 표 1과 같다.
  표 1에서 순종과 1대 및 3원 교잡종의 능력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면, 복당 산자수 및 복당 이유시 체중에서는 1대 교잡종 보다 3원 교잡종이 월등히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이유시 평균 체중에서는 1대 교잡종이나 3원 교잡종이 비슷함을 알 수 있다. 특히 3원 교잡종은 비육돈을 생산하는 모돈이 잡종이기 때문에 여기에서 발현하는 잡종강세로 인하여 복당 산자수와 복당 육성수가 많아지고 또한 풍부한 비유량 때문에 발육이 빨라져서 많은 이득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참 고 문 헌

강면희 외. 돈(豚). 향문사.
이용빈. 최신 양돈정론. 선진문화사.
Ensminger & Parker. Swine science.

1. 우리 나라 양돈산업 현황
    돼지고기는 1997년 1월 이후 수입쿼터가 철폐되고 수입이 전면 개방되었다. 돼지고기는 우리 국민이 소비하는 육류의 50%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으로 1985년 8.4㎏이었던 국민 1인당 돼지고기 소비량은 2000년에는 16.6㎏으로 무려 2배나 증가하였다.
  2001년 12월 현재 우리 나라 돼지사육농가는 2만여호이다. 이 중 500두 이상 돼지를 사육하고 있는 농가는 5,782호로 전체 돼지사육농가의 28%인데, 이들 농가가 사육하고 있는 돼지는 우리나라 전체사육 돼지의 86%나 된다(표 1).
           
  표 1. 돼지사육 두수와 호수 변화
 
구 분
1987(A)
1993
2001.12(B)
증감율(B/A)
  사 육 두 수(천두)
4,281
5,927
8,720
  204%
     -500두이상규모(천두)
     -500두이상점유율(%)
1,150
    27
2,563
    43
7,532
    86
  655%
  사 육 호 수(천호)
     -500두이상호수(호)
  303
  696
    70
2,545
    20
5,782
  -93%
  831%
  호당 사육두수(두)
    34
    85
  447
1,315%
           
    이와 같은 대규모 전·기업 양돈으로의 변모는 공장을 지어 공업제품을 생산하는 기술집약형의 2차 산업과 마찬가지로 규모의 경제효과라는 장점을 살릴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부업양돈에서 단기간내에 전·기업형태의 양돈으로의 규모화가 이루어지다 보니 돼지사육에 필수적인 원자재인 사료, 종돈, 돈사시설 및 기자재, 약품 등에 대한 해외 의존도가 심화되어 이들 원자재들을 수출하고 있는 국가의 수급사정에 따라 국내 양돈농가의 돼지 생산비도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는 어려움도 안게 되었다.
  아울러 이러한 규모화 및 집단화는 돼지분뇨도 대량으로 생산하게 하였으나 생산된 분뇨를 유기질비료로 만들어 농경지로 환원하기 위한 준비 미비로 돼지분뇨는 유기질비료라기보다는 환경오염원으로 평가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함께 양돈경영체계가 단기간 내에 규모화 및 집단화로 바뀌었음에도 질병 방역체계는 선진 양돈국에서와 같이 국가단위 방역체계로 바뀌지 않고 여전히 개개 농가나 단지 등이 질병을 제어해야 하는 농가단위 방역체계가 이루어지고 있어 오제스키 등의 바이러스성질병이 계속 나타나는 등의 문제점도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2. 발전방향
    2004년에는 우리 나라 국민 1인당 돼지고기 소비량이 17.5㎏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아울러 2002년 하반기에는 돼지콜레라 청정국이 되어 구제역으로 중단되었던 대일 수출도 재개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공통된 돼지고기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는 항생제 등의 유해물질이 잔류되지 않는 냉장상태의 고품질 안전·브랜드 돼지고기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수출은 세계화, 개방화에 대응하고 수입육에 대한 품질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적극적인 수입대응책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과 일본은 돼지고기 선호 부위가 다르고(한국 : 삼겹살, 일본 : 등심, 안심) 지리적으로도 가까운 이점이 있다. 실제로 냉장 등심이나 안심은 우리 나라에서보다 2배 이상 높은 단가로 수출할 수 있기 때문에 미국이나 덴마크 등의 경쟁국보다 유리한 입장이다. 그러나 일본정부는 돼지콜레라 청정화는 물론 HACCP(위해 요소 중점관리) 기준을 통과한 안전한 돼지고기만을 수입하겠다는 입장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수출을 통해 우리가 생산한 돼지고기의 국제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부는 물론 양돈산업에 종사하는 모든 종사자들, 즉 생산, 도축가공 및 유통분야 종사자 모두가 참여하여 브랜드 돼지고기를 생산하는 선진국형의 소위 '일관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하겠으나, 여기서는 우리 양돈농가가 실천해야 할 기술을 중심으로 한정하여 발전방향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가. 국내 적정 지육단가와 농가 대책
      돼지고기의 전면적인 수입개방과 관련하여 살펴볼 때, 지육 1㎏당 국제 거래가격 측면에서 우리 나라가 수입할 여지가 높은 돼지고기 수입부위는 앞다리고기와 잡육이다. 특히 가공원료육으로 사용이 가능한 앞다리고기는 국내생산 돼지고기의 지육 1㎏당 단가가 2,300원~2,600원 이상이 될 경우, 뒷다리고기와 대체하여 사용할 여지가 많아 국내 돈가 하락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부위이다. 따라서 돼지고기수입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국내생산 돼지고기의 지육 1㎏당 단가는 2,300원~2,600원 이내로 유지되어야만 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표 2). 그리고 국내생산 돼지고기 1㎏ 지육 단가가 2,300원~2,600원 이내로 유지되어야만 양돈 농가돼지사육기술면에서 PSY(모돈 1두당 년간이유자돈수)가 20두 이상인 농가와 가공업체 모두 이익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표 2. 국내 돼지고기 지육 1kg당 단가변화에 따른 농가와 도축가공장의(소득)수익 조사내역 (단위 : 원)
   
구      분
지육가격(원/kg)
    2,200
    2,300
    2,400
   2,500
    2,600
    2,800

생돈가격
146,300
152,950
159,600
166,250
172,900
186,200
경영비
141,630(PSY 20농가기준 산출)
소    득
    4,670
  11,320
  17,970
  24,620
  31,270
  44,570


원료품대
165,769
172,519
179,269
186,019
192,769
204,945
판매액
197,470(냉장4:냉동6유통기준 산출)
수    익
  31,701
  24,951
  18,201
  11,451
    4,701
△7,475
    자료 : 한국 육류유통 수출입협회. 2001.
           
      그러나 표 3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현재 우리 나라 양돈농가의 평균 PSY는 19.7두로 덴마크의 23.1두에 비해 2.4두나 적은 형편이다. 특히 하위 25% 기술 수준농가의 PSY는 17.7두를 나타내고 있는 데, PSY 18두 이하의 돼지사육기술을 나타내고 있는 농가는 지육 1㎏당 단가가 2,300원 이하가 될 경우 전혀 이익을 내지 못하여 결국 양돈업을 지속할 수 없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표 3. 한국과 덴마크의 기술 상위 25%와 하위 25% 농가의 돼지생산성
   
주요 돼지 사육기술
한국1)
덴마크2)
하위기술
25%농가
상위기술
25%농가
평균기술
수준농가
하위기술
25%농가
상위기술
25%농가
평균기술
수준농가
모돈 회전율(회/년)
산자수(두/년)
이유자돈 두수(두/년)
육성율(%)
포유일 수(일)
이유 시 체중(kg)
출하 체중(kg)
출하 일령(일)
일당 증체량(g)
사료 요구율
생체1kg생산비(원)
2.08
22.0
17.7
80.0
26
5.53)
108
176
610
3.3
1775  
2.27
24.3
21.8
89.7
21
5.03)
108
177
616
3.2
1610  
2.17
23.0
19.7
85.7
23.5
5.253)
108
177
613
3.25
1572  
2.17
24.3
20.8
85.6
31
7.0
105.04)
190
545
3.12
1,3665)  
2.34
28.0
25.3
90.4
28
7.5
101.94)
162
620
2.71
1,1865)  
2.26
26.2
23.1
88.2
29.5
7.25
103.54)  
176
583
2.91
12745)  
    주 : 1) 농촌진흥청 농업경영관실(1999)
      2) 1999년 사업연보(덴마크 양돈협회, The National Committee for Pig Production)
      3) 추정치
      4) 도체율 75%, 적용산출
      5) 1996년 생산비를 기준사료 요구율에 근거 산출함
           
      따라서 우리 나라 양돈농가가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하위 기술수준 농가부터 돼지 사육기술개선에 의한 생산비절감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나 상위기술수준농가의 기술수준도 덴마크 하위 기술농가의 돼지생산 기술수준에 머물러 있음을 고려할 때, 생산기술개선에 의한 경쟁력을 강화하는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나. 도체 A등급의 고품질돼지 생산으로 소득증대 방안강구 필요
      우리나라에서도 돼지고기 판매가는 출하돼지의 품질, 즉 도체등급으로 평가를 받고있다. 현재 출하돼지의 도체 등급별 출현비율은 A급 35.9%, B급 33.1%, C급 17.3%, D급 13.6%, E급 0.1%인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그러나 다음 표 4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평균 지육 1㎏단가가 2,300원이나 2,600원이라 하더라도 도체A등급의 돼지를 생산하여 판매하는 농가는 도체 C등급의 돼지를 생산하여 판매하는 농가보다 두당 15,000원 정도의 소득을 더 올리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4. 지육 1㎏단가가 2,300원과 2,600원일 때, 도체등급별 소득 비교.................................(단위 : 원)
   
구    분
지육가격 2,600(원)
지육가격 2,300(원)
A
B
C
D
평균
A
B
C
D
평균
지육가격
생돈가격
182,800
189,490
182,756
182,626
182,626
174,046
182,444
162,034
182,600
172,900
182,536
168,106
182,445
162,100
182,325
154,180
182,157
143,092
182,300
152,950
경영비
141,630
141,630
두당소득
47,860
40,996
32,416
20,404
31,270
26,476
20,470
12,550
1,462
11,320
    주) 생돈가격환산 : (지육단가×지육중량 69.3kg) + (생체부산물 13,816 - 도축제비 13,086)
           
      A등급의 규격돈 생산을 위해서는 사육모돈의 품종 단순화, 인공수정 기술활용, 계획적인 모돈교체, 보유한 모돈의 이상적인 산차구성, 거세, 110㎏ 전후에 출하 (거세돼지는 105㎏전후에 출하하되 50㎏부터 제한급여), 수송 등에 의한 스트레스 최소화로 PSE(물퇘지)발생 최소화, 항생제 무잔류를 위한 비육후기사료 사용, 그리고 조기이유기술을 활용한 질병최소화 방안 마련 및 최적 돈사 환경유지 등 사육기술을 높이는 노력을 하여야 하겠다. 아울러 생산한 돈 분뇨는 자가농경지 또는 경지를 갖고 있는 농가와의 계약을 통해 계획적으로 처분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도록 하여야 하겠다.
           
    참 고 문 헌

축산기술연구소. 2001. 돈육수출재개를 위한 고품질 돈육 생산기술 심포지엄.
______________. 1999. 새로운 돼지사육기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