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근 ≪ 바이러스
발생원인
병원균인 CeMV는 40-45℃에서 10분 정도 살수 있다. CeMV. CMV는 즙액전염을 하고
복숭아혹진딧물에 의해서 높은 비율로 비영속형의 보독충이 된다. 보독충이 건전한 식물
을 30분간 가해하면 바이러스가 전파되고 가해시간이 길수록 전파율이 높다. 그밖에 당
근진딧물에 의해서도 적은 비율이나마 전파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병징
셀러리모자이크바이러스(CeMV)와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CMV)는 모자이크 증상을 나타
낸다. 보통 감염 후 10-14일경에 위쪽 잎의 끝부분이 퇴색하고 모양이 약간 가늘어진다.
그후 총상의 잎에는 녹색의 얼룩 무늬 모자이크가 생겨서 퇴색이 심할때는 잎전체가 담
록색이 되고 총상잎의 곳곳에 녹색 부분이 남게 된다. 기형은 그리 심하지 않으나 포 기
에 따라서 총상잎의 전체가 가늘게 되어 잎이 가느다란 모양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방제대책
진딧물이 당근에 붙지 않게 하여야 하는데 특히 어린모일 때 진딧물이 기생하지 못하도
록 주의해야 한다. 약제로는 메타유제 800-1,000배액이나 포스팜액제 1,000배, 메타유
제 1,000배, 진디톡스유제 1,000배, 아시 트수화제 1,000배액을 300평(10a)당 100-120
리터 살포하는데, 발생최성기에는 10일 간격으로 살포해야 한다.
당근 ≪ 황화병(黃化病)
발생원인
이 병은 병원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진딧물에 의해 영속형으로 전파된다. 즙액접종,
종자전염, 토양전염 등에 대해서는 현재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일부 실험에 의하면 진딧물
이 피해식물의 즙액을 10분간 빨아 먹으면 바이러스의 보유가 가능하고, 1-24시간의 흡
즙으로 보독충이 되는데 15일 후에는 전염력을 가지며 건전식물을 6시간 가해하면 전파
된다고 한다.
기주식물은 산형과 식물에만 있다. 따라서 전염원 식물은 산형과 식물이고 둥근진딧물에
의해 영속형으로 전파되는데 진딧물이 많이 발생하는 해에 발병도 많아진다. 진딧물은 여
름에 건조한 기상이 계속되면 많이 발생한다.
병징
생육초기에 황화병에 감염되면 제법 심한 왜화증이 나타나 총상이 된다. 왜화가 심한 포
기는 잎이 변형되거나 소형으로 되고, 때로는 황화되어 잎의 끝이 약간 안쪽으로 말려지
는 경우도 있다. 늙은 잎은 약간 붉은색을 띤 황색이 되고 빨리 말라죽는데 그중에는 황
화 또는 불선명한 괴저증상을 나타내며 잎줄기가 투명하게 되는 것도 있다. 그러나 잎.
줄 기. 뿌리 등에는 괴저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방제대책
전국적으로 발생하나 발생량은 적어서 그다지 크게 문제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진딧물에
의한 영속형 전파를 하는 병해이므로 충분히 주의 할 필요가 있다. 진딧물류의 방제를 위
해서는 헵테노유제 1,500배액이나 프로펜유제 1,500배액을 뿌리면 효과적이다..
당근 ≪ 무름병(연부병軟府病)
발생원인
이 병원균의 발병온도는 28-34℃이고, 최고37-39℃, 최저0-2℃이며, 사멸온도는 51℃
에서 10분간이다. 토양수분은 60%이상, 토양산도는 pH5.6-9.3이 적당하다. 이 병원균은
주로 지표면에서 0-25cm 되는 곳에 많이 존재하고 깊게 들어갈수록 병원균의 밀도가 낮
아진다. 그러나 깊이 70cm 되는 깊은 곳에서도 검출된 사례가 있다. 또 토양 속의 병원
균의 밀도는 초여름 내지 가을에 높고 기주식물이 재배되고 있는 시기, 토양수분이 적당
한 시기에도 밀도가 높아진다. 이 병원균은 직사광선에 아주 약하다.
감염은 관리작업과 곤충, 선충 등에 의한 상처를 통하거나 또는 침수 등에 의한 상처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수확 후 뿌리를 씻을때 병든 뿌리가 섞이면 건전한 뿌리에 감염되고
그것이 저장 중 혹은 수송중에 발병하여 크게 피해를 입히게 된다.
병징
무름병은 십자화과. 가지과등 기타 각종의 채소류에 침입하는 세균성 병해로서 온도 25-
30℃, 습도 85%이상일때 잘 발생한다. 이 때문에 초 여름과 가을의 장마기에 많이 발생
하며 때로는 저장중이나 수송중에 발병하는 수도 있다. 피해포기는 주로 수분을 함유한
연약한 조직이 먼저 침해를 받아 연화 부패한다.
세균은 잎. 줄기. 뿌리 등의 상처를 통해 침입하여 수침상의 병반을 형성하고, 차차 확대
된다. 피해부는 처음에는 담갈색이나 점차 백색을 띠며 뿌리의 내부에 만연한다. 병세가
진전하면 뿌리의 조직은 연화부 패하고 잎은 시들어 늘어진다. 피해부에서 심한 악취를
풍기는 것이 특징이다.
방제대책
무병지를 택하여 재배하는 것이 방제의 가장 좋은 대책이다. 그리고 병원균은 건조와 직
사광선에 약하므로 여름밭갈이를 하는 것이 좋다. 재배포장은 배수가 잘 되게 하고 밀식
을 피한다. 당근과 기타 십자화과 기주식물과의 이어짓기를 피하고 벼과 작물로 돌려짓기
를 하며 세균의 침입을 조장하는 해충, 특히 선충과 야도충 . 토양해충을 철저히 방제한
다.
관리작업시 뿌리와 잎에 상처가 생기지 않게 하고, 뿌리를 씻을때 병든 뿌리는 철저히 제
거함과 동시에 건전한 뿌리에 상처를 내지 않도 록 한다. 저장시 뿌리를 일광에 건조시키
고 저장고의 온도는 10℃이하로 낮추도록 한다.
당근 ≪ 흰비단병
발생원인
병원균은 균사와 균핵의 상태로 토양 속에 존재하는데, 토양의 습도 ·온도가 발육에 적당
하면 발아하고 난포자를 형성하여 전염한다. 균핵은 토양 속에서 5-6년간 생존하고, 여
름의 고온시 배수불량의 밭이나 통풍이 좋지 못한 포장에서 많이 발생한다. 이 균은 당근
뿐만 아니라 가지·오이·수박 등 216종 이상의 식물에 기생한다는 보고가 있다. 생육온도
는 13-38℃이나, 최적온도는 32-33℃이다. 생육에 적합한 토양산도는 pH 1.9∼8.4이며,
pH 5.9에서 가장 잘 생육한다.
병징
이 병은 뿌리의 머리부분이나 줄기(채종재배시)에 주로 발생하는데, 균이 침입하면 뿌리
가 썩고 약간 물러지며 표면이 백색 실모양으로 덮히고 그 주위의지면에도 균사가 넓게
퍼진다. 피해부가 확대되고 당근 이 말라죽게 되면 그 표면과 땅표면에 좁쌀 크기의 갈색
균핵이 밀생한다. 균핵의 빛깔은 처음에는 백색이나 차차 회색으로 변한다. 이 병은 여름
의 고온시에 발생하는데, 기온이 내려가면 발생이 줄어든다.
방제대책
우선 무병지를 선택해서 재배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나 일단 발 병이 시작되면 균
핵이 형성되기 전에 뽑아서 소각시킨다. 재배포장은 파종하기 1-2주일 전에 소석회를
300평(10a)당 150-200Kg씩 전면 시용 한다. 심하게 발병하는 포장은 크리나를 300평
(10a)당 30리터 관주해 주는데, 파종 2∼3주일 전에 실시해야 하므로 권장하기가 곤란하
다. 캡탄분제를 300평(10a)당 10∼15kg 살포하고 다시 갈아서 파종하는 것이 좋다. 병
원균의 밀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3∼4년간 벼과 작물을 심는 것 이 좋다.
당근 ≪ 뿌리썩음병
발생원인
병원균은 균핵형으로 피해식물에 부착하여 흙 속에서 생존하고, 균사로 퍼져나간다. 이
병원균은 불완전균에 속하는데, 균사는 처음에는 무색이었다가 후에 갈색을 띠며 서로 뭉
쳐서 균핵을 형성한다. 생육온도는 6-22℃이나 최적온도는 15-18℃이다.
병징
당근의 뿌리썩음병은 최근에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특히 장마기에 뿌리부분이 수침상으로
되고 부패하는 병해이다. 주된 증상은 뿌리의 상부에 많이 나타나나 차차 아래쪽으로 진
전된다. 이 증상은 당근이 어릴 때 주로 나타나는데, 초기는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그 부
분이 횐색의 구름 모양으로 뭉쳐 균사가 덮이면서 부패한다.
방제대책
포장이 쉴 때 토양소독제로 소독을 하면 이상적이나, 약제값이 비싸고 사용하기에 번거롭
기 때문에 권장하기가 곤란하다. 생육중에 캡타폴 수화제 800배나 농용신수화제 1,000배
를 2-3회 살포하는 것이 좋다.
당근 ≪ 점무늬병
발생원인
병원균은 불완전균에 속하고 분생포자일때만 확인된다. 분생포자는 무색이며, 발아온도는
비교적 범위가 넓으나 최적온도는 28℃ 내외이다. 이 병원균은 종자와 피해식물의 잎, 줄
기에 부착해서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전염된다. 주로 기온이 높은 시기에 비료분이 떨어지
고 심하게 건조한 상태에서 많이 발병한다.
병징
7-9월경의 기온이 높은 시기에 주로 발생하는데 특히 당근의 재배지에 많이 발생한다.
피해상황이 검은잎마름병과 약간 비슷하나 비료가 부족한 포장에서 많이 발생하고 피해
도 크다. 늙은 잎과 새잎에 많이 발생하고 처음에 잎자루와 잎면의 주변에 황색을 띤 적
갈색 내지 자갈 색의 소형병반을 만든다. 그후 차차 병반이 확대되어 방추형·원추형· 다
각형이 되고 흑갈색으로 변해서 주변이 약간 융기한다. 잎자루의 병 반은 약간 움푹하고
피해가 진행되면 병든 잎은 차차 갈색이 되어 시들 며 심하면 아랫잎에서부터 말라죽는
다. 고온다습조건이 되면 병반의 표면에 곰팡이가 생기고 회갈색 내지 담갈색을 띤다..
방제대책
검은잎마름병과 동시 방제가 되나 약제살포시는 특히 잎의 뒷면과 아랫잎에 충분히 부착
되도록 살포한다. 약제로는 캡타폴액상수화제 800배, 아이코수화제 1,000배, 타로닐수화
제 600배를 골고루 뿌려 준다.
당근 ≪ 검은무늬병
발생원인
검은잎마름병과 동시 방제가 되나 약제살포시는 특히 잎의 뒷면과 아 랫잎에 충분히 부
착되도록 살포한다. 약제로는 캡타폴액상수화제 800배, 아이코수화제 1,000배, 타로닐수
화제 600배를 골고루 뿌려 준다.
병징
이 병은 어린묘일 때부터 생육말기까지 어느 시기에나 발생하고 특히 저장중의 당근에서
피해가 크게 나타난다. 잎, 잎자루, 줄기 및 뿌리에도 발생하는데 검은 잎마름병과는 증
상이 다르나 구분하기가 매우 어렵다. 잎, 잎자루의 병반은 처음에 광택이 없는 적갈색
또는 갈색 부정형의 조반을 형성하며 시들고, 병반이 진행되면 피해부에 검은 곰팡이가
생기며 외관상으로 보면 마치 빌로드와 같다.
뿌리의 경우는 주로 뿌리의 머리부분이 소실해서 공동이 되는 경우가 많고, 어린묘에 침
입하면 피해부 부근이 넓게 수침상으로 물러져 시들며 피해부는 점차 넓어져 묘 전체가
수침상의 담갈색으로 된어 완전히 말라죽는다. 말라죽은 포기에는 검은 곰팡이가 생기는
데, 이것이 다음의 전염원이 된다. 꽃대에 침입하면 쉽게 구부러진다.
방제대책
종자소독을 해서 파종하고 약제살포는 검은잎마름병에 준해서 실시한다. 관리와 수확작업
을 할 때는 뿌리에 상처를 입히지 말고 상처를 받은 포기는 저장 시 제거하고 건전한 것
만 저장한다. 수확 후 하루 동안 말려서 저장하며, 될 수 있는 대로 저온상태에서 저장한
다.
당근 ≪ 검은잎마름병
발생원인
이 병원균은 분생포자에 속하는데, 발육 및 발병의 적온은 28℃내외 이며 15℃이하와
35℃이상에서는 거의 발병하지 않는다. 포장에서 발생 하는 경우에는 당근의 생육기간과
관계가 깊고, 뿌리의 활동이 왕성하면 발아 후 60-90일경이 발생 최성기가 된다. 기온이
28℃내외이고 맑은 날씨와 흐린 날씨가 서로 교차할때는 더욱 발생이 많아진다. 또 지
력이 낮거나 시비량이 적을 때도 많이 발생한다.
병징
생육초기부터 말기까지 전기간을 통해서 발생하고 해에 따라 병해의 차이가 있다. 잎, 잎
자루 또는 줄기에 발생하나 검은 무늬병과는 다르고 뿌리에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발병
초기에는 갈색 내지 흑갈색을 띤 부정형의 작은 반점이 생기고 잎이 약간 황화한다. 그후
병반은 차차 커 지면서 서로 합쳐져 대형병반이 되며, 발병한 잎은 위쪽으로 말리고 병
반이 더욱 확대되면 말라죽는다. 따라서 뿌리의 비대도 나빠지게 된다. 잎자루에 발생한
경우에는 약간 위축되는 병반을 형성한다. 습도가 높을 때는 병반상에 흑색의 둥근 곰팡
이가 밀생한다.
방제대책
무병지에서 채종해야 하며 종자는 캡탄수화제로 분의해서 파종한다. 8월 중순경 초기발생
기에 가뭄이 계속되거나 맑은 날씨와 흐린 날씨가 서로 교차되는 경우에는 발병이 많아
지므로 캡탄수화제 400-500배 또는 동수화제 등을 살포한다. 비료분이 떨어지지 않도록
비배관리에 주의해야 한다.
 

토양수분이 많으면 뿌리의 양분과 수분 흡수력이 저하되므로 습해 발생 포장에서는 엽면시비를 하여 부족한 양분을 신속히 공급하는 등 땅콩의 후기 관리를 잘해주고 땅콩 꼬투리가 그물무늬가 60∼80%정도 뚜렷해졌을 때 수확하여 품질과 수량을 향상시켜야 한다.

땅콩밭 후기 관리

땅콩은 고온 건조하고 배수가 양호한 지역에서 잘 자라는 작물로 강우가 많고 일조가 부족한 환경에서는 식물체가 도장하고 습해와 병해 발생이 많아 수량감소가 심하다.
습해를 받게되면 낙엽 병류의 발생이 많아지고, 수확시 꼬투리가 많이 떨어지게 된다. 이때에 휴면이 짧은 품종일수록 토양이 과습하면 수확 전에 땅속에서 꼬투리를 뚫고 발아하게 되어 품질이 낮아지고 발아력도 떨어진다.
토양수분이 과다하면 뿌리의 양분과 수분 흡수력이 떨어지므로 습해 발생토양에서는 엽면시비를 해 주어야 부족한 양분을 신속히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질소질비료의 엽면시비는 엽록소 함량을 증대시켜 광합성능력을 빠르게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다.
요소 2%액을 엽면시비한 결과 낙엽이 심했던 땅콩에서는 새로운 잎이 생겨났고 무처리보다 수량이 39%가 증가하는 결과가 있었다.

꼬투리에 60∼80%의 그물무늬가 뚜렷해졌을 때 수확

땅콩은 꽃이 일시에 피지 않기 때문에 꼬투리의 성숙이 균일하지 못하며 서리를 맞기 전까지 줄기가 마르거나 잎이 떨어지지 않으므로 그냥 보아서는 수확적기를 판단하기가 어렵다. 너무 일찍 수확하면미숙한 꼬투리가 많아 수량과 품질이 떨어지고, 너무 늦게 수확하면 땅속에 꼬투리가 많이 떨어지게 된다.
일반 건조용 땅콩의 수확적기 판단은 몇 포기를 캐어 꼬투리가 성숙도를 보고 결정한다. 꼬투리에 60∼80%의 그물무늬가 뚜렷해졌을 때가 수확 적기이므로 대광땅콩, 새들땅콩 등 조숙종은 9월중하순에, 신남광땅콩, 대원땅콩 등 중만생종은 9하순∼10상순경에 수확을 하는 것이 좋다.
수확된 땅콩은 줄기에 꼬투리가 달린채로 7일정도 말린 후 꼬투리를 털어서 다시 말린후 수분이 10%이하가 되도록 해야 저장이 잘된다.
종자용으로 저장할 경우는 껍질이 들어 있는 채로 저장하는 것이 알콩으로 하는 것보다 발아율과 수량성이 높다.
냉동가공용 풋땅콩은 일반 건조용 땅콩보다 30일 정도 빠르게 수확해야 한다. 이렇게 일찍 수확하는 것은 땅콩에 함유되어 있는 유리당류가 소실되지 않고 조직을 유연한 상태로 유지하게 하여 맛과 물성이 우수한 냉동 풋땅콩으로 가공하기 위해서이다.

'밭작물재배 > 땅콩.당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근의 재배기술  (0) 2007.08.09
당근의 병충해 방제  (0) 2007.08.09
땅콩안전재배기술 -논산  (0) 2007.05.13
고랭지당근 ‘씨비닐 재배’  (0) 2007.05.03
땅콩의 재배양식  (0) 2007.03.29


필수실천과제

시기

사업명

작업내용

1~3월

종자고르기

○ 새들, 대광, 영호, 남풍, 남대, 진풍

적지  선택

○ 물빠짐이 좋은 모래참흙, 또는 참흙땅

○ 적정토양 산도 : pH 5~7.0 (최적 6.8)

4월

종자  소독

○ 종자 kg당 캪탄수화제 3~5g 비율로 분의소독

밑거름시용

○ 시비기준량 - 기경지   : 질소3-인산14-칼리10kg

(300평당)     - 신개간지 :  〃 4- 〃 30- 〃 20kg

{전용복비 (4-9-14) - 기경지 : 3.8포, 신개간지 : 5포 }

○ 소석회 100~150kg, 붕사 2kg

파      종

○ 종자량 - 소립종 : 6~8kg, 중대립종 : 10~12kg

○ 심는거리 : 70㎝이랑에 40×25㎝ 2줄파종 (2조 유공비닐 사용)

제초제사용

○ 노력절감을 위한 알라입제 3kg이나 펜디입제 6kg을 300평에 균일 살포

6~8월

병충해방제

 

시기

갈색무늬병

검은무늬병

녹병

그물무늬병

1

7월하

 

2

8  상

 

3

8  중

4

8  하

 

 

 

 

9월하~

10상

수      확

○ 적기 : 70~80%의 꼬투리에 그물무늬가 뚜렷해졌을때

○ 조생종 : 9. 15~25일

○ 만생종 : 9. 25~10. 5일


땅콩안전재배기술

우리고장 장려품종

품종명

가지수(개)

익음때

씨앗크기

100알무게(g)

함유율(%)

수량(kg/10a)

새들땅콩

15

조생종

중립

71

51.0

264

대광땅콩

14

대립

73

52.0

267

영호땅콩

27

만생종

  76.9

49.6

235

남풍땅콩

24

중만생종

중립

  65.7

53.0

250

남대땅콩

21

대립

  84.0

53.3

276

진품땅콩

16

조생종

소립

  44.0

53.2

288


가꾸기에 알맞은 땅

○ 배수가 양호한 모래참흙 또는 참흙

○ 토양산도 pH6.0~7.0 (최적pH6.8)

○ 이어짓기한 밭은 돌려짓기


<이어짓기에 의한 수량감소>

(300kg/10a)

이어짓기 년수

1

2

3

4

5

6

수량감소율 (%)

100

95

93

89

80

77


씨앗소독

○ 종자 1kg당 캡탄분제 2~3g 넣어 종자표면에 잘묻도록 소독해 두었다가 파종

※ 씨앗소독을 하면 발아율 11~40% 높아짐



제 때 씨를 심자

○ 알맞은 때 : 4월 20일경

○ 씨 뿌리는 량

- 중대립종 : 10~12kg/300평

- 소립종 : 6~8kg/300평


비닐덮어가꾸기

○ 비닐을 두덕에 덮을때는 움직이지 않도록 양갓과 끝을 고정 흙으로 완전히 묻는다.



거름주는 량

(kg/300평)

성분량

시용량

질소

인산

칼리

전용복비(4-19-14)

소석회

퇴비

3

14

10

75kg(3.8포)

100~150

1,000~1,500


○ 신개간지는 전용복비 100kg+용인 55kg+염가 10kg


잡초약은 알맞는 양만 사용하자

○ 정지작업후 10a당 알라유제 250~300cc를 물 100~120ℓ 또는 알라입제 3kg 펜디입제 6kg을 균일하게 살포


수확건조

○ 적기 : 70~80%의 꼬투리에 그물무늬가 뚜렷해졌을때

ㆍ조숙종 : 9. 15 ~ 9. 25일 (개화시후 80일)

만숙종 : 9. 25 ~ 10. 5일 (개화시후 100일)


“고랭지당근 ‘씨비닐 재배’ 하세요”
 
  씨비닐을 이용해 고랭지당근을 파종하면 일손을 덜 수 있고 품질과 수량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지농업연구소, 인력 · 씨앗 소요량 대폭줄고 생산량 늘어

고랭지당근을 재배할 때 씨비닐을 이용하면 일손을 크게 덜면서도 수확량과 품질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랭지당근은 5월에 씨를 뿌려 8~10월 당근 단경기에 햇당근을 출하하는 작형으로 일반적으로 높이 30㎝, 폭 90~120㎝의 이랑을 만들고 굴림통 형태의 2조식 간이파종기를 왕복해 이랑마다 4줄 줄뿌림을 한다. 이렇게 파종하면 생육 초기에 잡초를 제거하는 작업과 함께 포기 사이 간격이 5~13㎝ 되도록 솎아주어야 한다. 따라서 씨앗뿐 아니라 노동력도 매우 많이 소요된다. 또 줄간격과 포기간격이 균일하지 못해 뿌리가 제대로 크지 못하고 생육이 나빠지는 단점도 있다.

이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소가 검은색 유공비닐에 씨앗을 부착한 씨비닐을 활용해 시험한 결과 10a(300평)당 소요되는 노동시간이 2.3시간에 불과해 17.1시간에 달하는 관행방법에 비해 87%나 줄일 수 있었다. 씨앗 소용량도 75% 절감이 가능했다. 반면 상품 수량은 3,504㎏에서 4,745㎏으로 35%가 증가했고, 소득도 58%가 늘었다.

처리방법은 우선 폭 120㎝, 두께 0.03㎜인 검은비닐에 줄간격 20㎝×포기간격 7.5㎝로 씨앗을 부착한 씨비닐을 주문 제작한다. 높이 30㎝, 폭 40㎝로 2조식 이랑을 만든 다음 관리기를 이용해 비닐 덮기와 씨앗 뿌리기 작업을 한꺼번에 한다. 다만 비료를 지나치게 많이 주거나 수분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을 때는 당근의 껍질에 난 눈(피목)이 이상 비대하는 현상이 늘어나므로 유의해야 한다. ☎033-330-1827.

 □ 재배양식

 

 가. 작부체계

 

 땅콩은 주로 단작으로 재배되지만 남부지방에서는 맥간작으로 재배되기도 한다.  땅콩은 연작을 꺼리며 연작하면 기지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1~2년 정도의 윤작이 필요하다.  즉 연작을 하면 2년째에는 첫해 수량의 20~50%, 3년째에는 30~70%의 감수를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연작장해의 주된 원인은 선충에 의한 피해의 증가와 검은무늬병, 갈색무늬병 등의 발생조장 및 토양 중의 석회감소 등으로 생각되며 파종 전에 살선충제를 토양에 처리하면 효과가 크다.

 땅콩은 분지가 많은 작물이므로 보상작용이 커서 간작의 영향이 콩 보다는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협실수의 대부분을 형성하는 1차 분지의 확보가 이루어지면 종실수량은 그다지 떨어지지 않는다.  예를 들어 땅콩+참깨 10~40% 혼작에서는 3~17%의 감수로 감수율이 그리 크지 않았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나. 육묘이식재배

 

 땅콩은 모판에서 본엽이 2~3매가 될 때까지 육묘를 하여 본밭에 이식하는 이식재배가 실시되기도 하는데 이식재배를 하면 첫째 생육기간의 연장에 의하여 증수를 꾀할 수 있고, 둘째 맥후작으로도 안전하게 재배할 수 있으며, 셋째 종자를 절약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러나 노력을 많이 요하며 육묘를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모판은 지력이 좋은 곳에 너비 1.2m 정도의 모판을 만들고 사방 9㎝ 정도로 1립씩 파종하였다가 파종 후 15~20일경에 뿌리가 끊기지 않도록 흙을 많이 붙여 모종을 떠서 본 밭에 이식한다.

 

 다. 비닐피복 재배

 

 (1) 비닐피복시기

 

 땅콩은 생육기간이 길고 고온에 적응하는 열대성 작물로서 우리 나라의 중부지방 땅콩재배는 6월부터 발아 및 생육에 알맞는 온도인 20℃에 달하게 된다.  이 온도가 유지될 수 있는 기간을 9월말까지로 본다면 4개월로서 120일 밖에 되지 않는다.  따라서 대립종을 재배하는 경우에 비닐피복을 하지 않고는 땅콩생육에 필요한 유효생육기간을 확보할 수 없다.  그러므로 대립종의 경우 비닐피복을 전제로 한다면 4월중하순에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소립종의 비닐피복 파종적기는 5월 상순이 좋다.  이와 같이 비닐멀칭으로 파종시기를 앞당긴다면 대립종의 유효생육기간은 160~170일이 되고 소립종은 140~150일이 되어 정상적인 땅콩생육과 등숙율을 높일 수 있다.

 

 (2) 땅콩재배 전용 비닐의 규격

 

 땅콩재배용 전용비닐이 보급된 것은 ''85년부터이며 그 전에는 비닐폭 180㎝에 두둑넓이가 150㎝인 광폭이었고 여기에 50㎝ 휴폭 3열을 심는 무공비닐이었으며, 파종을 한후 비닐밑에서 발아가 되면 20㎝ 주간거리로 구멍을 뚫어 주는 방식이었다.  이 방법은 구멍을 뚫는 노력이 많이 들고 비닐폭이 너무 넓어서 작업관리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재식주수가 5,000~6,000주의 정식이고, 피복기계를 활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해서 비닐 폭은 90~100㎝로 하고 두둑넓이를 경운기부착 비닐피복기 혹은 관리기 부착 비닐피복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70㎝소폭으로 줄여서 여기에 열간은 40㎝ 띄우고 2열로 파종하도록 되어있으며 주간은 25㎝마다 파공이 뚫어져 있는 새로운 유공비닐이 개발되어 ''85년부터 노력절감과 기계화 땅콩재배를 위해 비닐 제작업체에서 주문생산하고 있다.

 이 새로운 유공규격비닐은 노력절감 효과와 함께 수량성에서도 50㎝ 광폭 비닐피복보다 10%나 증수된다.  비닐은 0.02㎜ 백색 투명 저밀도 비닐이나 0.01㎜ 백색 투명선형 저밀도 비닐이 좋고 파공의 직경은 4㎝가 가장 적당하다.

 

 (3) 비닐피복의 효과

 

 땅콩은 일반적으로 개화가 빠른 꽃일수록 완숙협이 되는 비율이 높으며 대체로 처음 10일 동안에 개화한 꽃은 약 85%가 완숙협이 되지만 그 뒤에 개화한 것은 중숙협 내지 미숙협으로 되는 것이 많다.  따라서 폴리에틸렌으로 멀칭재배를 하면 보온에 의하여 발아와 생육이 조장되고 개화가 촉진되어 크게 증수하는 효과가 있다.  즉 조파가 가능하고 발아가 촉진되어 생육기간을 연장시키며 발아중의 피해를 덜 수 있고 토양수분을 유지하여 한해를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가) 지온상승효과

 

 비닐피복재배를 하면 땅표면 5㎝ 깊이에서 지중온도는 무피복재배를 하는 경우보다 4월하순부터 5월하순까지는 약 4~7℃가 높다.  또한 비닐피복내의 온도는 6월 하순경까지 대기기온 보다 5℃ 내외가 높은데, 이와 같이 생육초기의 기온 및 온도 상승은 개화기를 앞당기는 효과가 있어서 4월20일경 파종했을 때 무피복에서는 개화기가 7월3일인데 비해 비닐피복을 했을 때 개화기는 6월12일로서 3주일이상 개화기를 앞당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꽃의 수도 초기에 많이 확보할 수 있다.

 

 (나) 생육기간 연장 효과

 

 일반적으로 5월중순에 파종하던 것을 4월하순으로 앞당겨서 비닐피복을 하면 지온이 상승되어 무피복 재배보다 3주일이상 조기재배가 가능하며 120~130일의 생육기간 밖에 되지 않던 중북부 지역까지도 하루 평균 기온이 20℃이상인 생육일수 150~160일을 확보할 수 있다. 

 

 (다) 개화촉진 및 등숙 향상

 

 땅콩에서 빨리 개화된 꽃이 결실비율이 높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보통재배(5월상순파종)에서는 6월하순~7월상순에 꽃이 피기 시작하여 7월중순경에 개화 최성기가 된다.  그러나 비닐피복에서는 6월상순에 꽃이 피기 시작하므로 개화기를 15~20일정도 앞당길 수 있다.  비닐피복에서는 개화가 빠를 뿐 만 아니라 또 개화수도 많아진다.  한가지 예로 8월5일 발생된 자방병수를 비교해 보았을 때 피복구는 67개, 무피복구는 44개로 23개 정도가 차이나며 꼬투리수에서도 같은 경향으로, 9월 5일까지 조사된 꼬투리는 비닐 피복구가 74개, 무피복구는 44개로서 피복과 무피복의 꼬투리수 차이가 30개나 된다.   100립중의 증가경향도 비닐피복구에서는 무피복구보다 항상 높게 나타났다.  8월5일 조사에서 무피복구는 100립중이 불과 18g인데 비해서 피복구는 42g으로 그 차이가 크다.  따라서 비닐피복재배는 무피복재배보다 생육이 왕성하고 등숙율도 증대되어 수량이 높아진다.

 

 (4) 비닐피복 방법 및 파종작업

 

 한번도 콩과 작물이나 땅콩을 재배한 적이 없는 신 개간지일 경우에는 질소고정균을 접종하기 위해서 땅콩을 재배하였던 포장의 흙을 10a당 1,000~1,500㎏을 가져다 뿌려주고 밭갈이를 하는데, 밭갈이 전에 전체 소요량의 퇴비 및 비료를 전량 기비로 준다.  1차밭갈이가 끝난 다음에는 소요석회량을 전면 시용하고 경운기 및 트랙터로 정지작업을 하는데 이때 굼벵이류나 선충을 방제하기 위해 토양 살충제도 동시에 살포한다.

 정지작업이 끝나면 제초제를 살포하는데 기상조건이 좋을 때 약액이 지면에 고르게 묻도록 주의하여 살포한다.  제초제 살포가 끝나면 이랑의 방향을 결정하고 이랑의 방향이 결정된 다음에는 1m 간격으로 규격비닐을 피복하여 나가는데 70㎝를 피복하면 헛고랑은 30㎝가 남아 배수로가 된다.  이때 땅속에 묻히는 비닐의 깊이는 10~15㎝가 되며 피복작업시 살포된 제초제의 처리층이 파괴되지 않도록 헛골을 밟고 다니면서 피복작업을 한다.

 이때 또한 중요한 것은 잡초방제와 자방병이 땅속으로 쉽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비닐을 지면에 수평으로 밀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비닐피복이 끝나면 한 구멍에 2립씩 파종을 한다.  땅콩을 파종할 때 파종깊이는 보통 4~5㎝ 깊이로 심는 것이 가장 적당하다.  만일 이보다 더 깊이 심으면 심을수록 발아가 늦어지고 지상부에 출현하는 기간이 늦어짐에 주의해야 한다.

 

 라. 무피복 기계화 재배기술

 

 최근 들어 국제경쟁력 제고의 일환으로 땅콩재배의 생력화 및 생산비 절감을 위한 기계화 작업체계 확립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금까지 개발된 무피복 재배법을 보면 땅콩 파종기는 4월 20일경, 재시거리는 50×15㎝가 가장 수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있다.

 파종기계는 현재 개발중인 트랙터부착 땅콩파종기(시작기)로 파종했을 때 입모율이 64%~85%로 일반 비닐피복재배보다 입모율이 다소 떨어진다.  그러나 파종노력의 절감효과가 현저하여 10a당 4.3시간으로 일반재배의 28.1시간보다 85%정도 파종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수확 소요기간은 10a당 인력 46.8시간에 비하여 소형관리기를 이용하면 18%, 중· 대형 트랙터 부착용 다목적 굴취기(농기계연구소개발)를 이용하면 50%정도 절감될 수 있고, 땅콩전용 콤바인을 도입하면 85%정도 절감된다.  다만 관리기나 땅콩전용 콤바인 수확시 탈립이나 미굴취주 등에 의한 수확손실이 다소 높아 이를 줄이기 위한 보완조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 출처 : 농진청 ''표준영농교본 - 18''

'밭작물재배 > 땅콩.당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땅콩안전재배기술 -논산  (0) 2007.05.13
고랭지당근 ‘씨비닐 재배’  (0) 2007.05.03
땅콩의 병해충방제  (0) 2007.03.25
땅콩의 생육환경  (0) 2007.03.25
땅콩의 석회시비기술  (0) 2007.03.25
땅콩 병충해 방제

기관 : 작물시험장 작물환경과
주소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둔동 209번지
성명 : 박장환 (문의)
전화(Fax) : 031-290-6725 (031-292-4560)

1. 갈색무늬병

 가.병징

땅콩의 갈색무늬병의 병징은 6월 상.중순경부터 발생하여 생육초기에 심하게 발생하는 병으로 땅콩잎, 잎자루, 줄기 등에 발생한다. 처음에는 황갈색의 둥근 병반이 나타나 진전됨에 따라 다갈색이나 흑갈색의 병반으로 변하면서 침해부 위와 잎 뒷면에는 회색곰팡이가 생겨 썩으면서 일찍 잎이 떨어진다.(사진 1)

<사진 1> 땅콩 갈색무뉘병(갈반병) 의 병징

 나.방제

이 병을 방제하는 데는 이어짓기를 피해야 하며, 병이 없었던 포장에서 채종한 것을 종자로 해야한다. 종자는 반드시 캡탄 분의소독을 하고 병이 발생했을 때는 즉시 다이센 엠-45,500배액, 다코닐 600배액, 베노밀수화제 1,500배액 또는 톱신엠 1,000배액을 1주일 간격으로 2∼3회 뿌려준다.

2. 검은 무늬병

 가.병징

  땅콩 검은 무늬병의 병징은 7∼8월 고온 다습할때 잎, 줄기, 잎자루, 떡잎 등 에 발생하는데 먼저 하위엽부터 발병하여 상위엽으로 전염하면서 낙엽을 일으 켜 20∼30%의 수량감소를 가져온다. 잎은 처음 흑갈색으로 직경 1∼5mm의 원형 병반을 만들고 병반은 앞 뒷면 모두 흑갈색이다. 갈색무늬병이 조기에 발병되는 반면 검은무늬병은 후기에 발병된다.(사진 2)

<사진 2> 땅콩 검은 무뉘병(흑반병) 의 병징

 나.방제

방제법으로는 병원균이 균사상태로 월동하기 때문에 경엽을 재료로 한 미완숙 퇴비의 사용은 안하는 것이 좋다. 또한 토양중에서 월동하기 때문에 연작은 피하고 균계가 종자에 부착하여 발생할 때도 있으므로 종자소독(종자1kg에 캡탄 수화제 3∼5g 비율)을 하는것이 좋다. 약제방제로는 타로닐수화제(600배), 지오 판수화제(1,000배), 베노밀수화제(1,500배), 만코지수화제(500), 비타놀수화제 (2,000배)등을 10일간격으로 3∼4회 아침일찍이나 오후늦게 또는 날씨가 흐린날 약액이 엽이면에 충분히 묻도록 살포하여 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3.그물무늬병

가.병징

땅콩 그물무늬병의 병징은 검은무늬병과 같이 7∼8월의 상순경부터 발생되기 시작하여 기온이 서늘해지면서 크게 번지는 병으로서 병징은 황갈색 내지 청동 빛깔의 거미집 또는 그물모양의 병반이 잎 표면에 나타나기 시작, 병반이 진전 되면서 점점 커지면서 여러개의 병반이 어울어져 잎 표면전체를 덮게 된다. 오래된 병반은 말라 찢어지며 조기낙엽의 원인이 된다. 흔히 검은무늬병이나 갈색무늬병과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병이 심할때는 9월하순 이전에 모두 낙엽되어 수량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사진 3)

<사진 3> 땅콩 그물 무뉘병 의 병징

 나.방제

방제법으로서는 저항성 품종의 재배가 가장 바람직하나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저항성 유전자원을 찾을 수 없으므로 일단 병반이 보이기 시작하면 만코지수화 제(500배), 베노밀수화제 1,500배액 혼합액을 검은 무늬방제법 동일 시기에 10일 간격으로 3∼4회 살포하여 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4. 흰비단병(백삽병)

 가. 병징

땅콩 흰비단병은 다범성의 병원균으로 따뜻한 지역에 발생이 많고 균사 및 균핵으로 토양중에서 월동한다. 적당한 습도와 온도를 만나면 균사를 내어 신장한다. 식물체의 지제부를 침해하면 발육 저하나 고사를 초래한다. 병원균은 뿌리나 협실부위에도 침입하여 경엽의 고사뿐만 아니라 협실부에 부패현상을 일으킨다. 경엽부위에는 외관상의 이상은 없지만 협실이 부패하는 일이 많다. 병균에 감염된 식물체는 지표면에 다수의 백색견사상의 균사층이 형성되면서 직경 0.5∼0.8mm 크기의 균핵을 다수 형성하기도 하는데 균핵은 처음에 백색이지만 나중에는 다갈색으로 변한다.(사진 4)

사진 4> 땅콩 흰 비단병(백삽병) 의 병징

5. 녹병

 가.병징

땅콩 녹병의 병징은 땅콩잎 뒷면에 녹같은 작은 반점이 무수히 생기며 심할때는 잎표면에도 번지는 병으로서 점무늬병보다 약간 늦게 발생한다. 기상에 따라 다르나 대체로 8월중하순 부터 발병하는 병해이다. 병반은 보통 원형이며 크기는 직경이 0.3∼1.0mm 정도된다. 이 병에 걸린 잎은 갈색무늬병이나 검은무늬병과는 달리 낙엽되지 않고 식물체에 그대로 붙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나.방제

방제법으로서 종자소독을 철저히 하고 이어짓기를 피하며 돌려짓기 재배를 해야 한다. 약제방제로는 다이센 엠-45 400-500배액을 뿌리거나 지네브 500배액을 발병초기인 8월초순경부터 15∼20일 간격으로 2∼3회 뿌려준다. 갈색무늬병이 동시에 발생했을 때는 베노밀 1에 지네브 3의 비율로 혼합하여 15일 간격으로 2∼3회 뿌려주면 갈색무늬병과 녹병을 동시에 방제할 수 있다.

 

6. 굼벵이(풍뎅이류)

 가.성상 및 피해

풍뎅이중 주로 큰 검정풍뎅이의 피해가 심한데 큰 검정 풍뎅이는 년 1회 발생하며 대부분이 3령 유충으로 땅속 30cm 정도에서 월동한다. 성충은 6월 상순에서 9월상순까지 발생하는데 7∼8월에 발생최성기를 보인다. 산란은 땅속에 1개씩 하는데 1마리가 보통 20∼40개의 알을 낳으며 산란기는 10∼15일이다. 유충은 3령이 지나면 흙집을 짓고 그 안에서 번데기가 되는데 번데기 기간은 10∼20일이다. 참 검정 풍뎅이는 2년에 1회 발생하는데 성충은 4월하순부터 6월하순까지 발생하며 5월중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인다. 3령으로 겨울을 지낸 성충은 8월하순부터 번데기가 되며 번데기 기간은 18∼20일 정도이다. 부화는 8월하순부터 시작하며 부화된 성충은 지상부로 나오지 않고 그대로 겨울을 지낸다음 4월하순부터 지상으로 나와 교미하고 산란한다. 애풍뎅이는 연 1회 발생하는데 정확한 생태는 아직 조사되지 않았으나 2∼3령 유충으로 겨울나기를 하며 성충은 5월하순∼8월하순까지 발생하는데 7월중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인다. 이 굼벵이들은 파종기때는 별로 해가 없으나 7∼8월의 결협, 등숙 초기에 애벌레가 크게 피해를 주고 있으며 이 굼벵이의 기주가 야산의 수목에서 월동하며 땅콩밭에 2차적으로 침해한다.

 나.방제

방제법으로서는 땅콩밭에 미숙퇴구비를 지나치게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성충은 미숙퇴구비의 부패시 발생하는 특유의 냄새에 유인되어 산란하고 미숙퇴구비의 수분은 알의 발육 및 알수의 증가를 조장시키며 유충의 먹이도 되어 유충의 생존 및 성장을 촉진시킨다. 약제방제로는 에토프입제, 타보입제, 파라치온입제, 카보입제 등을 파종전 토양정지작업시 토양과 잘 혼화시켜주고 7월하순경 풍뎅이 발생성기로 부터 15일 이전에 땅콩의 포기를 중심으로 다시 한번 밭에 전면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살포량은 10a 당 5∼6kg가 적당하며 비닐피복재배법 조건하에서 약해가 발생할 가능성은 있으나 수량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않다.

7. 점박이 응애

 가.병징

점박이 응애는 고온 건조할때 많이 발생하는데 땅콩 뿐만 아니라 다른 많은 작물들에게도 큰 피해를 입힌다. 점박이 응애는 잎의 뒷면에서 즙액을 빨아 먹는데 잎이 엽록소를 잃으므로 잎의 표면에 백색점이 생기고 심할때는 변색하여 일찍 떨어진다. 그리고 완숙잎보다 어린 잎의 뒷면에 붙어 해를 가하는 것이 특징이다.

 나.방제

땅콩포장 조건하에서는 크게 문제되고 있지 않으나 온실이나 하우스에 재배할때는 피해가 심하므로 일단 응애가 발생할 증상이 보이면 지체 없이 테디움, 켈센 800배액을 뿌려주거나 메타시톡스 1,000배액 등을 3-4일 간격으로 2-3회 뿌려주는 것이 좋다.

 

8.콩줄기 명나방

 가.생활사 병징

땅콩포장에서 최근 피해가 증가하여 문제시 되고 있는 콩줄기 명나방은 연2회 발생하는 해충으로 5월하순과 8월상순에 발생하여 땅콩에 유충의 피해는 7월 하순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8월상순경에 최고에 달한다. 가해양상은 1협에 1-2마리가 주로 줄기의 선단에서 3cm내외에 침입하여 가해하며, 유충상태로 콩 또는 땅콩의 피해줄기속에서 월동한다.

 나.방제

방제법으로는 에카톡스유제,메포수화제를 피해초기를 기점으로 하여 10일간격으로 2회 살포하여 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9. 땅콩 뿌리혹 성충

가.생활사 및 병징

 땅콩뿌리혹 선충은 땅콩뿌리의 Gall(선충이 들어가 있어 둥그렇게 부풀은 모양) 내에 1∼여러마리가 들어있는데 암컷이 자라면 꼬리부분이 조직외로 나와 육안으로도 제리모양의 알이 Gall 표면에 바늘모양으로 나와 있는것이 눈에 뜨인다.

 이들 유충은 땅콩의 뿌리로부터의 분비물이나 자극에 의하여 토양수를 통하여 뿌리에 접근하며 가장 유연한 분지근의 선단부근으로부터 침입한다. 선충의 피해는 7월하순∼중순에 나타나는데 이때 피해입은 줄기는 뿌리에 Gall이 심하게 착생하기 때문에 주경장은 짧고 분지수도 현저하게 감소하며 경엽은 황변하고 발육의 저해가 현저하다.

 그러나 7월하순이후 기온이 올라감에 따라 엽색은 회복하여 다시 녹색을 띠고 피해가 경미할때에는 경엽의 발육도 회복하여 외관적인 생육의 저해는 거의 인정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피해의 발현은 연차간 차가 비교적 크고 연작을 계속하여도 기상조건(기온, 일장)에 영향을 받으면 외부적인 증상을 거의 띄우지 않고 경과하는 때가 있다.

나.방제

방제법으로서 땅콩뿌리혹 선충은 수박, 딸기, 옥수수, 감자, 밭벼 등에는기생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 작물과 윤작을 하는 것이 좋고 약제방제로는 에토포입제, 타보입제를 10a당 6∼9kg를 파종전 토양정지 작업시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사진 5)

<사진 5> 병해를 입지않고 잘 관리된 땅콩포장(경기도 여주군 대신면)

 

<참고문헌>

  1. 농촌진흥청,1990,최신 참깨 땅콩재배기술
  2. 박래경등,1988.작물재배의 신기술,pp35-53

'밭작물재배 > 땅콩.당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랭지당근 ‘씨비닐 재배’  (0) 2007.05.03
땅콩의 재배양식  (0) 2007.03.29
땅콩의 생육환경  (0) 2007.03.25
땅콩의 석회시비기술  (0) 2007.03.25
[스크랩] 땅콩재배  (0) 2007.03.24
땅콩 생육환경
기관 : 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 특용작물과
주소 : (441-100)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둔동 209
성명 : 박 장 환 (문의)
전화(Fax) : 031-290-6717 (031-292-4560)

1. 영양 생장기 생육환경

(가) 온도

땅콩은 열대 및 아열대지역 적응작물로 생육기간이 비교적 긴 고온 작물에 속한다. 또한 고온을 요구하는 작물로 생육기간 중의 평균온도가 20℃이상이어야 하며, 유효적산온도도 2,800℃(소립종)∼3,600℃(대립종)정도를 필요로 한다. 생육기간이 길기 때문에 우리 나라와 같은 기상조건에서는 전 생육기간에 걸쳐 고온을 지속시켜 준다는 것은 어려운 문제이다.

땅콩의 발아온도는 최저 12℃, 최적23℃∼30℃이다. 꼬투리째 파종하면 발아하는데 20일 이상이 걸리지만 종실만을 파종하면 고온에서는 3∼5일, 저온에서는 2주일 정도가 걸린다.

땅콩의 생육적온은 25∼27℃이며 소립종은 일반적으로 대립종보다 발아 및 생육적온이 낮은 편이고 생육기간도 짧다. 종실의 기름함량과 온도와는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고온조건에서 생육한 것은 기름함량이 높고, 저온조건에서 재배된 것은 낮다. 생육초기에 온도가 높으면 생육이 촉진되고 개화가 빨라진다. 대립종(백립중 60g이상)인 경우 생육기간이 150∼180일 정도 필요로 하며 소립종(백립중 40g이하)인 경우에는 120∼130일 정도가 필요하다. 발아후 1개월간은 고온에서 잘 자라고 최고온도는 33℃ 이상이며 15℃ 이하에서는 생장이 전혀 되지 않았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며, 발아 후 4주부터는 온도의 영향은 적고 초기생육의 적온은 약 28℃∼30℃라고도 하며 생육이 진전되면 적온은 26℃라고 하는 연구보고도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땅콩의 고온적응성을 참작하여 우리 나라 땅콩재배지역의 생육기간과 적산온도를 검토해 보면, 표 1과 같이 생육기간이 155일 이상이 되고 적산온도를 만족시켜주는 지역은 남부지방의 대구, 전주, 광주, 진주, 목포 이남의 지역에서만이 대립종 땅콩재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적산온도에서 대립종 재배의 요건이 되는 3,600℃보다 다소 부족하여 좋은 조건은 되지 못하며, 또한 9월 하순 이후의 평균기온 20℃이하의 땅콩생육 부적합일수를 포함한 것이므로 이 기온이 낮을 일수를 뺀다고 하면 대립종 재배 적응지역은 더욱 축소될 것이다. 따라서 현재 장려 품종 중 대립종이면서 Virginia형 만숙 품종인 대원땅콩, 왕땅콩 등은 대체로 대구 이남 지역에서만 생태적으로 재배 가능한 품종들이라 할 수 있으며, 그 이북의 짧은 무상일수를 가지는 충북, 강원, 경기 지방에서 이 품종들을 재배하는 경우 충분히 생육하고 결실할 수 있는 생육기간이 모자랄 뿐만 아니라 적산온도가 부족 됨으로써 생태적으로 땅콩재배에 무리가 되어 미숙립이나 공협이 많이 발생하고 협실비율이 떨어지는 등 수량감소를 면할 수 없게 되어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중부지역에서는 소립종을 재배하거나 조숙종이며 국내 기상적응성이 높은 대광땅콩, 신광땅콩, 새들땅콩 등과 같은 신풍초형 품종을 재배하는 것이 무리 없는 땅콩재배가 될 것이다.

<표1> 지역별 땅콩 무피복 생육일수와 생육기간 적산온도 비교

지역별

구 분

제주 목포 진주 광주 전주 대구 대전 청주 수원 양평

생 육 일 수(일)

적 산 온 도(℃)

등숙만한일(월일)

생육기간평균온도

173

3,784

10.12

21.7

163

3,583

10.9

21.8

164

3,580

10.2

21.7

163

3,490

10.2

21.3

163

3,602

10.2

22.0

159

3,544

9.29

22.2

150

3,255

9.26

21.6

145

3,180

9.20

21.8

140

3,057

9.20

21.7

136

2,992

9.20

20.9

그러나 이 같은 기상조건을 극복하고 땅콩수량을 10a당 250∼300kg이상으로 끌어 올리는 데는 비닐멀칭으로 파종기를 앞당겨서 생육기간을 연장하고 여기에 최아방법을 도입하여 발아기간만큼을 더욱 연장시키면서 적합한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한다면 우리 나라에서도 유효생육기간을 맞추어 줄 수 있으며 수량도 현재의 농가평균수량(140kg/10a)보다 훨씬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실제로 비닐멀칭을 하여 지온을 높이고 4월로 파종기를 앞당길 경우 대립종을 재배할 수 있는 155일에 가까운 지역은 표 2와 같이 청주, 수원까지 포함되어 충청, 경기지역에도 확대재배 될 수 있다.

<표2> 지역별 땅콩비닐피복 생육일수와 생육기간 적산온도 비교

지역별

구 분

제주 목포 진주 광주 전주 대구 대전 청주 수원 양평

생 육 일 수(일)

적 산 온 도(℃)

등숙만한일(월일)

파종 가능 시기

189

3,990

10.30

4.6

177

3,764

10.24

4.12

176

3,733

10.21

4.10

175

3,620

10.15

4.12

173

3,732

10.13

4.12

170

3,685

10.14

4.15

160

3,392

10.9

4.19

154

3,320

10.4

4.19

154

3,242

10.5

4.20

147

3,070

10.4

4.23

(나) 광

땅콩은 생육초기에 광이 부족하면 생육이 크게 저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고온, 다조조건에서 개화가 촉진되며, 광이 부족하면 생장발육과 협실형성이 부진하게 된다. 출현 후 짧은 기간 차광처리를 했을 때 초기 생육감소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생육장해를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또한 광이 부족하면 건물중이 감소하고 성숙협수와 종실수가 감소하며 영양생장과 생식생장이 더디게 된다. 협비대기에 특히 광 부족에 의한 수량감소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조시간이 길수록 종실의 발육이 잘 되고, 유분함량도 높아지며, 일조의 영향은 종실발육의 전기보다 후기에 크게 작용한다.

땅콩의 간작, 혼작에서는 조합된 작물에 따라 초기생육에 대한 차광의 영향이 문제가 된다. 땅콩을 보리와 간작할 때에 땅콩의 초기생육기 빛의 감소는 약 50%정도로 된다. 간작에 의한 생육지연의 회복은 콩보다 늦지만 땅콩은 분지가 많은 작물이므로 보상작용이 커서 간작의 영향이 콩보다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협실수의 대부분을 형성하는 1차분지의 확보에 의하여 종실수량은 그다지 떨어지지 않는다. 땅콩+참깨의 혼작시험에서 땅콩 단작에서 종실수량이 189kg에 비하여 참깨 10∼40% 혼작에서 3∼17%의 감수로 감수율이 그리 크지 않았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다) 수분

땅콩은 내건성 작물로 내한발성이 강하여 열대 또는 아열대 반 건조지대에서도 많이 재배되고 있다. 지나친 수분부족은 땅콩수량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데, 한발 피해를 받으면 엽면적이 감소하는 등 영양생장이 억제되어 광합성작용이 약화되며 양분이동이 저해되므로 생식생장 즉, 개화수 및 자방병수의 감소를 초래한다. 또한 뿌리의 기능저하로 양분 및 수분 흡수에 문제를 야기하며 근류형성에도 지장을 초래한다. 한발의 해에 수확된 종자는 품질이 나쁘고 다음해 발아율이 낮게 되어 수량감소의 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수분 요구량이 가장 많은 시기는 생육최성기로 하루 5∼7mm가 필요하며, 종실발육기에는 수분부족의 해가 크다. 결실기에 수분은 협에 미치는 영향보다 종실의 발육에 미친는 영향이 더 크므로 온도조건과 같이 자방병 지하 침투 후 20∼30일간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반대로 수분이 과다할 때는 장해를 받는데, 개화기 때에 피해가 가장 크다.

(라) 토양

땅콩재배에 알맞은 토양은 석회질이 많고 배수가 잘되는 양토 내지 사양토이지만, 척박한 사질토나 신개간지에도 석회를 시용하고 뿌리혹박테리아(근류균)를 접종하면 수량감소를 어느 정도 막을수 있다. 대립종은 습한 토양에 적응성이 높고, 소립종은 점질토양에 적응성이 있다. 그러나 유기질이 너무 많거나 습한 토양에서 생산된 땅콩은 품질이 떨어진다. 개화 후 수정이 이루어지고 자방병이 자라서 정상적으로 꼬투리가 생기려면 물리적인 자극이 필요하고 적당한 수분과 암조건이 반드시 필요하다. 토양조건은 배수가 잘 되는 양토 또는 사양토가 가장 적당하며 점질이 많은 토양은 착협수는 많으나 수확시 손실이 많고 토양수분이 적을 때는 지표가 지나치게 단단해져 자방병침투가 어려우며 협의 색택도 나쁘게 된다. 사토의 경우 파종기에 지온이 높고 수확이 간편한 이점은 있으나 지력이 낮고 한발시 한해를 받기 쉽다. 땅콩은 pH 5.5 이하에서도 생육은 가능하나 최적 토양산도는 pH 6.8정도이다.

땅콩은 연작을 꺼리므로 1∼2년간 윤작을 하는 것이 좋다. 연작 재배했을 때는 수량감소가 큰 편으로, 2년 연작시 18%, 3년 연작시 38%정도의 수량감소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윤작 작물로는 옥수수, 조, 수수, 참깨, 고추, 수박 등 흡비력이 강한 작물이 적당하며 목화, 담배, 콩과 작물과의 윤작은 피하는 것이 좋다.

(마) 필요영양분(시비수준)

땅콩은 비료분의 흡수량이 많은데, 특히 질소질비료의 흡수량이 가장 많고, 다음이 칼리질 비료이다. 땅콩은 콩보다 4배 가량의 칼리질비료를 요구하며 실재 흡수량은 콩보다 2.5배 가량의 많은 양을 흡수하는 작물이다(표3 참조).

<표3> 땅콩포장 10a당 비료성분 흡수량 (Collins, Morris, 1941)

부분 수량(kg) 질소(kg) 인산(kg) 칼리(kg) 석회(kg)

경엽

종실

깍지

444.8

142.5

79.90

8.78

6.26

0.53

1.16

1.43

0.08

9.15

1.20

1.09

6.11

0.11

0.30

합계 667.2 15.57 2.67 11.44 6.52

땅콩은 두과작물이기 때문에 질소질비료만은 다른작물과 같이 많은 양을 주지 않아도 뿌리혹박테리아의 작용에 의하여 대부분의 질소는 자체에서 공급되고 있으나, 인산과 칼리질비료는 충분히 시용해야 한다.

표4에서 보는 바와같이 칼리질비료의 효과가 땅콩의 생육에 크게 영양을 끼친다는 것을 알수 있으며 칼리질비료의 비효는 석회의 시용량과 비례한다고 알려져 있다. 석회는 산성토양을 중화시키는데 필요할 뿐만 아니라, 경엽 및 종실의 발육에도 많은 양이 소요된다.

<표4> 땅콩 3요소비료 시비시험(찌바농시, 1954)

시 비 구 10a당 종실 수량(kg) 종실 수량 지수

3 요소구

무질소구

무인산구

무칼리구

무비료구

133.9

124.5

80.3

22.8

33.5

100

93

60

17

25

석회는 뿌리뿐만 아니라 꼬투리에서도 직접 흡수하여 공협발생을 방지한다. 그러나, 너무 많이 시용하면 붕소결핍증이 나타나고, 다른 비료분의 흡수를 방해하므로 10a당 50∼100kg 한도 내에서 시용해야 한다.

<사진1> 영양분 부족에의한 생육지연 포장

2. 개화와 결실의 환경조건

땅콩의 결실에 있어서 지상부와 지하부 모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지하부는 뿌리 부위와 꼬투리 맺히는 부위에서의 여러 가지 조건이 크게 영향을 미친다.

(가) 온도

온도는 개화수의 증가속도, 꽃자루 신장, 화분임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데 지나친 고온 조건에서는 꽃수는 증가하지만 화분의 형성과 임성이 저하되고 결실이 저해되어 꽃자루가 길게되어 화분관의 신장거리가 길어지고 수정이 저해된다. 주간의 온도차이가 너무 크면 생식생장이 느려지는데 주간온도가 22∼26℃, 야간온도가 20∼25℃ 정도로 주야간 온도차이가 적은 조건이 생식생장에 유리하다. 기온이 협형성 및 결실에 가장 튼 영향을 미치는 시기는 자방병의 지중침입후 3∼6주째로 알려져 있다. 이때부터 협실이 비대하기 시작하여 협실중이 최대치를 보여주는 시기는 개화시로부터 약90일 이후이다. 개화후 30∼60일 사이에 지상부로부터 지하부로 물질배분이 가장 왕성하게 이루어지는데, 이때가 기온에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시기이다. 완숙협 비율을 높이는 데에는 이 시기의 기온의 영향이 가장 큰데, 이는 조기개화한 협실의 발육이 이때 가장 왕성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다수를 위한 유효적산온도(15℃ 이상의 유효온도)는 550℃정도로 알려져 있다.

(나) 토양수분

땅콩 꼬투리 맺히는 부위의 최적수분은 뿌리부위토양의 용적비로 약 40%가 적당하다. 꼬투리 맺히는 부위의 수분조건은 협보다는 종실의 발육에 더 영향을 미치며 온도 조건과 같이 토양수분조건이 결협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시기는 자방병의 지하침투후 20∼30일간이다. 또한 협실 발육후기 2∼3주에도 수분부족을 받으면 수량감소가 많다. 토양수분의 하한선은 약 30% 정도이고 포장 용수량43.5%에서 영양생장 및 생식생장이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수분부족이 땅콩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생식생장의 저하 즉, 개화수, 자방병수의 감소로 협실수의 감소가 가장 크고, 엽면적감소 등 영양생장 억제의 의한 광합성 산물의 저하 및 양분전류의 저하가 수량감소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근의 기능저하로 양분, 수분흡수 저하, 근립형성이나 질소 고정 기능도 떨어지게 된다. 한발의 해에 수확된 종자는 품질이 떨어지고 다음해에 발아율이 나쁘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 Ca(칼슘; 석회) 요구성

땅콩결실에는 Ca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데 부족하면 공협이 많이 발생한다. 특히 대립종인 Virginia초형의 품종에서 Ca부족시 공협발생율이 높다. 품종 및 초형에 따라 Ca 요구도가 다른데, Virginia형 품종에서 Ca요구도가 가장 높다. 뿌리주위 토양에 주어진 Ca는 영양체부위에 분포하고, 꼬투리 맺히는 부위에 주어진 Ca는 자방병에 의해 흡수되고 대부분이 협실부위에 집적된다. Ca요구도가 낮은 Spanish형의 품종에서는 뿌리주위의 Ca가 흡수되어 체내에 잘 전류하며 협실부로 이행이 잘 된다. Ca는 K(칼리)와 길항작용을 가지는데, 뿌리나 자방병에 의한 과잉의 K흡수는 Ca흡수의 저해를 일으켜 꼬투리 형성에 불리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현상은 Virginia초형의 품종에서 더 많다.

'밭작물재배 > 땅콩.당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땅콩의 재배양식  (0) 2007.03.29
땅콩의 병해충방제  (0) 2007.03.25
땅콩의 석회시비기술  (0) 2007.03.25
[스크랩] 땅콩재배  (0) 2007.03.24
당근의 재배관리  (0) 2007.03.23
1. 칼슘의 토양 및 식물체에서의 역할
  칼슘(Ca)은 식물에 다량 원소이며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크다. 우리 나라 농경지 토양은 대체로 산성화되어 있으므로 석회의 시용이 요구되는데 다행히 우리 나라는 천연적으로 석회 광물이 풍부하여 석회질 비료를 값싸게 생산할 수 있다. 석회질 비료의 시용효과는 토양산도 교정 이외에 토양 미생물의 활성을 높여 유기물 분해를 촉진하며, 토양 무기성분의 유효도를 높이고, 산성토양에서 발생하기 쉬운 알루미늄 독성을 억제하고, 입단구조의 발달, 유지 등 여러 가지이다.
  Ca는 식물체의 잎에 집중되어 있으며, 쌍자엽식물이 화본과보다 많고 특히 두과작물에 월등히 많이 함유되어 있다. 식물체내에서 무기산 또는 유기산염으로 세포간에 결합 작용을 하고 수산석회 결정으로 액포에도 존재한다. 또한 세포벽의 구성성분으로 세포분열에도 필요하며 원형질막의 투과성이나 원형질 콜로이드의 투과성에 영향을 미친다. 효소의 활력 및 이온흡수 조절기능이 있고, 붕소와 함께 꽃가루 발아와 화분관 신장에 관여한다.
  Ca이 결핍되면 전반적으로 식물생장이 저해되는데 식물체내에서 이행이 어려우므로 어린조직보다 성숙조직 세포에 많고 결핍증상은 어린조직에 먼저 나타나며, 어린잎이 기형화하거나 경화, 황화하고 갈색반점이 생기며 줄기도 경화, 위축되고 생장점이 퇴화 된다.
2. 땅콩과 칼슘의 관계
가. 땅콩의 칼슘결핍 장해
  칼슘결핍의 초기 증상은 검은무늬병과 유사하며 결핍정도가 심하지 않을 때는 성장한 잎의 뒷면에 부분적으로 가라앉은 듯한 병반이 생기고 병반 중심부가 갈변 고사하며 병반 주위는 황색 윤문이 생긴다. 병반이 확대되어 서로 달라 붙고 노화가 진전된다. 협실 발달기에 뚜렷한 칼슘결핍 증상은 경엽이 무성해지고 후기 생육기까지 잎이 녹색을 띄며 꽃수가 증가한다. 심하게 결핍되면(포장에서는 드물지만) 뿌리 근단부와 생장점이 고사하고, 불임이 심하여 빈꼬투리(공협)가 많아지며, 종실이 쭈그러지게 되는 한편, 종자내의 어린 싹이 검게 되는데, 이러한 종자는 발아율이 낮아지고 발아 후에도 어린식물이 살아남지 못한다. 종자의 칼슘함량이 낮을 때도 발아율은 낮아진다.




그림 1. 종자의 Ca함량과 발아율 관계
(Cox 등, 1976)
나. 땅콩의 칼슘흡수화 석회시비 방법
  Ca는 식물체에서 수동적으로 흡수되므로 토양의 Ca농도와 식물체에 의해 흡수되는 수분의 양에 따라 달라진다. 식물에서는 Ca++ 형태로 물관부를 통해 이동하며 증산류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므로 뿌리에서 잎으로 이동된 Ca가 체관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기 어렵다.
  땅콩은 수정 후 줄기에서 자방병이 신장하여 지표 아래 4~5cm에서 꼬투리가 달리는데 자방병이 땅으로 내려가게 되면 뿌리로부터 자방병으로 증산류가 역류해서 일어날 수 없고 따라서 뿌리를 통해 흡수된 Ca가 자방병을 통해 협실로 이동이 불가능하다. 결과적으로 협과 종실은 필요한 Ca를 토양으로부터 직접 흡수해야 한다. 땅콩의 이러한 결실습성 때문에 Ca 시비는 뿌리와 꼬투리 부분에 고루 섞일 수 있게해야 한다.
  토양의 이화학성을 개량할 목적으로 석회를 시비할 때는 토양과 반응하는 기간을 고려하여 파종전 일정기간 이전에 시비해야 하지만, 땅콩에서는 다량원소 공급이 보다 중요한 목적이므로 협권에서도 Ca가 공급될 수 있는 시비방법이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경운후에 석회를 시비하고 로터리 작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피복 재배에서는 기비와 함께 개화기에 웃거름하고 복토하기도 한다.
다. 석회 시비량
  알맞은 석회 시비량은 1차적으로 재배 토양의 석회 농도와 토양 물리화학성에 따라 달라지며, 초형에 따라서도 Virginia형이 Spanish형보다 칼슘 요구량이 많고 대립종이 소립종보다 많다.
  Ca은 칼륨(K) 및 마그네슘(Mg)의 비율이 식물 생육에 크게 영향을 주는데 영양생장이 최대가 되는 Ca/(K+Mg)는 1 : 9이며, 수량이 가장 많을 때의 비율은 1 : 3이 된다. Ca/총 양이온 활성비율은 0.25에서 수량이 높았으며 최대 영양생장을 위한 한계치는 0.1, 최대 협실 등숙한계는 0.25였다. 적정 Ca 요구량은 소립종은 120ppm(0.6meq/100g, 270kg/ha), 대립종은 250ppm (1.25meq/100g, 500kg/ha)였다.
  일반적으로 약산성의 식양토에서는 비닐피복재배시 전량기비로 시용할 때는 150kg/10a를 경운후에 처리하며, 무피복재배시는 기비 50kg, 개화기 추비 50kg 정도로 한다.개간지에서는 석회 중화량 정도를 시비한다.


그림 2. 치환성 Ca량과 땅콩(Florunner)
수량의 관계

 

'밭작물재배 > 땅콩.당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땅콩의 병해충방제  (0) 2007.03.25
땅콩의 생육환경  (0) 2007.03.25
[스크랩] 땅콩재배  (0) 2007.03.24
당근의 재배관리  (0) 2007.03.23
땅콩재배법  (0) 2007.03.21





출처 : 곧은터 사람들
글쓴이 : 비익조 원글보기
메모 :

'밭작물재배 > 땅콩.당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땅콩의 생육환경  (0) 2007.03.25
땅콩의 석회시비기술  (0) 2007.03.25
당근의 재배관리  (0) 2007.03.23
땅콩재배법  (0) 2007.03.21
땅콩 재배  (0) 2007.03.15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생육
과정
(주요
농작
업)

봄재배 → 가을재배 →

유묘기

뿌 리
신장기

뿌 리
비대기

수확

유묘기

뿌 리
신장기

뿌 리
비대기

수확기


솎음



솎음

수확

솎음

솎음

솎음

솎음









기상
재해

예상
되는
문제

건 조 저온,장일 장 마
장 마 고온, 건조 저 온
발아불량
초기생육
불 량
추대발생
잎, 뿌리
생육불량
근비대불량
병해충
다 발
습 해
품질불량
습해발생

병해다발
잎, 뿌리
생육불량
비대불량
착색불량
적기수확

저장출하

병해충
방제

모잘
록병
흑엽고병, 진딧물,
호랑나비유충, 선충







[파 종]

* 포장준비
: 토양물리성이
좋게 준비
* 파종시기
: 봄파종 3월하순
가을파종 7중~8상순
* 종자소요량: 무모종자
30~50㎗/10a
유모종자 50~60㎗ /10a
* 파종방법
: 줄뿌림, 얕게복토
[관리]
*솎 음
회수 1회 2회 3회


시기

본 엽
2- 3매

본 엽
5-6매

본 엽
7- 8매

간격

3㎝

7㎝

15㎝

* 한발시 관수
* 북주기 : 수확 1개월 전 실시

[수 확]
6월하순~7월중순
11월상순~11월하순

[시 비] (㎏/10a)
비료명 총 량 밑거름 웃거름
퇴 비
질 소
인 산
칼 리
석 회
붕 사

1,800
20
9.6
12.2
100
1.5

1,800
8
9.6
8.0
100
1.5

-
12
-
4.2
-
-

[웃거름 일정]
* 1회 : 파종후 35~40일경
* 2회 : 파종후 50~55일경
* 3회 : 파종후 70일 전후

 

■ 연도별 재배 및 생산동향
  '94 '95 '96 '97 '98
재배면적( ha)
단수(㎏)
생산량(천톤)
6,052
2,353
142
5,994
2,682
161
5,050
3,138
158
5,997
3,633
218
5,687
2,591
147

■ 작형별 출하시기
작 형 파 종 기 수 확 기 성 출 하 기

봄재배(터널)
고랭지 재배
가 을 재 배
겨 울 재 배

3상~3하
4하~5상
7중~8상
8상~8중

6상~7상
8상~9중
11상~12하
2상~4중

6중~6하
8중~8하
11중~11하
3하~4상


■ 연도별 월별 평균가격

(상품, 원/20㎏)

  1 3 5 7 9 11 12 평균가
'95
'96
'97
9,522
7,760
11,870
7,625
9,860
13,510
10,360
14,543
13,875
9,860
25,808
17,654
17,125
17,841
14,170
12,880
9,180
14,021
8,380
11,360
14,280
11,072
14,833
13,556

■ 연도별 소득현황

(10a기준)

  수량 조수입 경영비 소득 총 생 산 량
  천원     %

'93
'94
'95
'96

2,724
2,780
2,691
2,948

831
1,301
1,108
1,029

247
301
309
290

584
1,000
799
739

70.3
76.9
72.1
71.8

재배적 특성


생리적
특 성
* 생육기에 고온을 맞게되면 뿌리가 굵어
지고, 짧아지며, 병해발생이 증가, 저온
에 처하게 되면 뿌리가 가늘고 길어짐
* 뿌리의 착색 적온은 16~20℃이고 12℃
이하의 저온에서는 착색이 저하
* 4년 정도 연작하여도 연작장해가 적은
작물임

다수확
기 술

* 비닐멀칭 재배
* 제초제 사용에 의한 제초 노력 절감
* 당근 수량증수 및 품질향상을 위한
적정양분 함량:유효인산315~425ppm,
치환성 칼리 0.32~0.72㎖/100g 범위

기상재해 및 생리장해 대책

항목

내 용

호 우

* 배수구 정비, 살균제 살포, 엽면시비

가을
가뭄

* 이동식 스프링 클러, 점적관수
시설을 이용한 관수
* 짚 덮기 및 비닐덮기

발아
장해

* 종자가 무배 종자이거나 불완전
한 종자일 때
* 발아적온 및 토양 수분이 부적당 할때
* 종자소독 후 파종
* 토양물리성을 좋게하고 복토를
얕게 관리

기 근
(갈림
뿌리)

* 토양이 건조할때
* 토양해충 등의 피해를 입었을때
* 토양의 물리성을 좋게하고 토양
병해충의 방제

열 근

* 급격한 토양수분의 변화가 있을때
* 토양수분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
* 토양이 산성일때

'밭작물재배 > 땅콩.당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땅콩의 생육환경  (0) 2007.03.25
땅콩의 석회시비기술  (0) 2007.03.25
[스크랩] 땅콩재배  (0) 2007.03.24
땅콩재배법  (0) 2007.03.21
땅콩 재배  (0) 2007.03.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