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  명 : 두릅나무과
학  명 :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한약명 : 獨活, 羌靑, 土當歸;



성 상
   땅두릅은 나무가 아닌 여러해살이 풀로서 땃두릅 또는 풀두릅이라고도 하며 한약명으로 독활(獨活)이라고 널리 알려져 있는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산채이다.

  우리나라 어디에나 분포하고 있으며 주로 산의 음지쪽에서 많이 자생하고 있다. 키는 2m 정도까지 자라며 온 몸에 짤막한 털이 약간 나 있고 세 갈래로 두 번 갈라진 잎이 서로 마주보고 나있다. 잎의 길이는 50∼100cm로 2∼3회 깃꼴로 갈라진 큰 겹잎을 갖고 있다. 어린 잎은 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길이는 5∼30cm, 폭은 3∼20cm 정도로 양면에 털이 약간 나 있다. 잎 가장자리에는 작은 톱니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가지 끝에 작은 꽃이 많이 뭉쳐 원추형을 이루는데 색깔은 엷은 황록색이다. 7∼8월에 개화하고 다섯장의 꽃잎과 다섯 개의 수술을 갖고 있으며 암술 또한 다섯 갈래로 갈라져 있다. 꽃의 지름은 3 mm 정도된다. 9∼10월에 검은 자색장과인 열매를 맺으며 열매 속에 평평한 타원형의 종자가 있다.

주요성분 및 용도
  어린순을 나물로 이용하는데, 데쳐서 고추장에 찍어 먹거나 튀김을 하기도 하며 국거리로 이용하기도 한다. 맛은 쌉쌉하고 산뜻하며 씹히는 느낌이 매우 좋다. 뿌리에는 다량의 아스파라긴(Asparagine), 펜토산(Pentosan)과 구아닌(Guanin) 등이 들어 있으며 옛부터 발한, 거풍, 진통에 효능이 있어 풍으로 인한 마비와 통증, 반신불수, 수족경련, 두통 현기증, 관절염 치통, 부종 등의 치료제로 널리 쓰여온 약제이다.   약제로 이용할 경우에는 늦가을이나 이른 봄에 뿌리를 캐어 햇볕에 말린 후 잘게 썰어 사용하며 1회에 3∼4g씩 200cc의 물에 타서 서서히 달이거나 또는 가루로 빻아 이용하면 된다. 이외에도 땅두릅의 꽃은 꿀이 많아 밀원식물로도 이용되며 꽃과 열매는 꽃꽂이 소재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재배적지
  땅두릅은 초세가 강하고 비교적 토양을 크게 가리지 않아 물빠짐만 좋으면 어디서나 잘 자란다. 그러나 수량과 품질을 동시에 높이기 위해서는 부식질이 많고 배수가 잘 되면서 가뭄을 타지 않는 땅이 좋다. 또한 땅두릅은 다른 산채들과는 달리 광을 많이 요구하는 특성이 있어 햇볕을 많이 받을수록 생육이 양호하게 되므로 양지바른 포장을 선정해야 한다.

 
 번식방법 
  
땅두릅의 번식방법은 종자, 분주, 꺾꽂이 등이 있으나 주로 묘두를 활용한 분주법을 이용하고 있다.
 
이른 봄인 3∼4월경에 3∼5년 정도 묵은 어미포기를 캐내어 뿌리는 약근으로 판매하고 묘두를 1주에서 2∼4개로 분주하여 종묘로 활용하는 방법이다. 분주할 때 뿌리가 붙어 있도록 주의하여야 하며 10a당 종묘는 1,800∼2,400주가 소요된다.  종자번식은 10월 하순경에 채종한 종자를 건조하지 않도록 즉시 모래와 50:50의 비율로 혼합하여 노천매장을 하여 월동시킨 다음, 이듬해 봄에 파종하는 방법이다.  파종방법은 90cm 넓이로 두둑을 만든 후 뿌림골 사이를 10∼15cm로 하고 종자 사이를 10cm로 하여 점파를 한다. 파종 후에는 복토를 하고 충분히 물을 주며 짚으로 피복하여 건조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연화재배가 끝난 6월 중순경 새로 돋아나는 줄기를 채취하여 순을 자른 다음 15cm 정도 길이로 잘라서 루톤이나 IBA 1,000∼2,000배액에 30초간 처리하고 깨끗한 강모래나 버뮤큐라이트에 걲꽂이를 한다. 이 때 터널을 만들어 비닐을 씌우고 한여름에는 차광막을 씌워 시원하게 해 주어야 한다.

  
정식 및 시비방법
 
 포기나누기 된 묘나 종자 또는 꺾꽂이 번식으로 자란 묘는 해동하는 즉시, 3∼4월에 기비를 시용하고 경운을 한 후, 너비 180cm로 두둑을 만들고 포기 사이를 30∼45cm로 정식한다. 기비는 땅두릅이 다비성 산채이므로 시비량도 다른 산채에 비하여 많은 편이기 때문에 10a당 퇴비 3,000kg, 계분 300kg, 요소 48kg, 용성인비 60kg, 염화가리 36kg을 준다. 2년째부터는가을에 지상부가 말라 죽은 후 퇴비와 밑거름을 밭골 위에 흩어 뿌려주면 된다. 웃거름은 요소보다 유기질 비료를 시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가뭄이 심할 때 물을 주면 새싹과 뿌리의 발육이 왕성해지며 특히 연화재배시 물대기를 하면 새싹의 자람이 좋고 수확기도 3∼4일 앞당겨진다.

 
 꽃대자르기
모든 식물이 그렇듯이 꽃대가 올라와 종자를 맺게 되면 영양분이 종자로 이동되기 때문에 뿌리의 발육이 불량해진다. 따라서 채종을 목적으로 하지 않을 경우에는 7월경 꽃대가 올라올 때 즉시 제거하여 뿌리의 발육을 좋게 함으로써 다음해의 수량을 높일 수 있다.

 
 수 확
땅두릅은 나물용과 약용 등 재배목적에 따라 수확하는 부분이 각각 다르며, 또한 나물용도 연화재배에 따라 수확방법이 다르다.  연화(백체)재배시에는 피복물 표면에 새순이 1∼2㎝ 정도 보일 때 피복물을 제거하고 밑부분을 칼로 수확하며, 녹채재배시에는 새싹이 9∼12㎝정도 자랐을 때 수확한다. 수확된 것은 5∼10본 정도로 소포장하여 종이상자에 3∼4㎏으로 다시 대포장하여 출하한다.  뿌리를 약근으로 사용할 때는 3∼4년마다 포기 전체를 캐내어 굵은 약뿌리를 잘라내고 일부는 분주 후 포장에 정식하여 종근으로 다시 이용한다. 수량은 나물에서는 2년생의 경우 10a당 1,000∼1,500㎏, 3년생의 경우 1,500∼2,500㎏ 정도되며 약용으로 재배시에는 3년생의 경우 생뿌리로 1,500∼2,000㎏, 건조뿌리로 250∼300㎏ 정도가 생산된다.

 

관련사진

땅두릅순

열매

전체

 

'산채류재배 > 산채류재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비름  (0) 2007.04.19
참나물  (0) 2007.04.19
마타리  (0) 2007.04.19
개미취  (0) 2007.04.19
미역취  (0) 2007.04.19

과  명 : 마타리과
학  명 : Patrinia scabiosaefolia FISCH
한약명 : 敗醫, 苦菜


 
성 상
대부분의 취나물이 국화과인데 비해 마타리는 마타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양지바른 곳에서 발 자란다.. 잎은 엇갈려 나며 날새모양으로 갈라지고 아래부분의 잎은 잎줄기가 있으나 위로 올라 갈수록 없어진다. 뿌리는 작약 뿌리처럼 옆으로 뻗는다. 몸 전체에 잔털이 있고 지표면에 많은 싹이 있어 번식되고 있다. 6월 하순경에 꽃대가 나오며 여기에 7~8월경에 황색의 꽃이 핀다.
 
용 도
 어린 순을 나물로 이용하며 이용방법은 참취, 곰취에 준한다. 민간요법에서는 간염, 간기능보호, 진통, 해독, 배농, 정혈, 위통, 위궤양, 자궁염, 산후복통, 피부질환 치료에 이용하고 있다.

 

 재배적지
 배수가 잘 되고 해가 잘 드는 남향으로 약간 습한 곳에서 잘 자란다.참흙이나 모래참흙 등 다소 걸찬 곳을 좋아한다.

번식 방법
 종자번식이 잘 되며 종자량은 재식본수를 10a당 25,000~35,000주로 할 경우 2~3ℓ 정도 소요된다. 종자는 가을이나 봄에 파종하면 되는데 발아온도는 15~30℃ 범위이나 낮을수록 좋으므로 봄에는 일찍 파종하도록 한다. 포기 나누기도 잘 되며 여러개의 싹이 나있어 1주에서 많은 분묘주를 얻을 수 있다.

 (표) 마타리종자의 온도별 발아율 - ('82.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온도(℃)

10

15

25

30

발아율(%)

95.8

83.3

83.3

74.4

정식(파종)방법
 정식방법은 미역취나 개미취와 같은 방법으로 하고 재식밀도는 30×10cm로 하여 10a당 33,000주 정도다.

(표) 마타리의 재식거리에 따른 수량  -  ('82, 충북농업기술원)

재식거리(㎠) 및 밀도(주/10a)

30×10
(33,000)

30×20
(16,000)

30×30
(11,000)

45×5
(44,000)

수량(kg/10a)

2,210

1,786

1,908

1,942

시비량 및 방법
 마타리의 생육량은 미역취, 개미취와 비슷하나 흡비력이 강하여 시비량은 이들보다 다소 많이 주어야 하고 추비시기도 1차는 5월 하순, 2차는 7월 중순에 꽃이 피기전에 주어야 한다.
 

(표) 마타리의 시비량 및 시비방법                            (kg/10a)

비료종류

총  량

기  비

추   비

1차

2차

퇴      비
계      분
요      소
용성인비
염화가리

2,000
150
42
70
24

2,000
150
20
70
14

-
-
22
-
10

-
-
11
-
5

-
-
11
-
5

시비시기

 

경운전

 

5월 하

7월 중


기타 포장관리 및 병충해 방제
참취, 곰취에 준하면 되며, 차광은 30%정도로 하여 준다. 채종을 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꽃대는 보이는 즉시 제거한다.
 

수확 및 출하
 수확시기는 4~5월중이며 생체는 삶아서 1~2일 물에 담궜다가 이용한다. 수량성은 생체로 31,500~4,000kg/10a 정도이다. 뿌리는 약용으로 이용되는데 가을에 잎줄기가 마르면 캐서 깨끗이 씻은 다음 햇볕에 말려 이용한다. 뿌리 수량은 3년생 기준으로 6,000kg/10a 정도이다.

(표) 마타리의 재배방법별 수량  ('84, 충북농업기술원)

구   분

수 량9kg/10a)

총 수 량

식용가능 수량

30% 차광
50% 차광
30%+집멀칭
짚 멀 칭
무 처 리

3,550
3,060
3,867
4,660
4,147

3,550
3,067
3,867
  827
  781

 

관련사진

종자

어린잎

꽃대

 

 

어린순

 

'산채류재배 > 산채류재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나물  (0) 2007.04.19
땅두릎  (0) 2007.04.19
개미취  (0) 2007.04.19
미역취  (0) 2007.04.19
곰취  (0) 2007.04.19

개미취

과  명 : 국화과
학  명 : Aster tataricus L.
한약명 : 白菜, 菜英


 
성 상
키가 큰 다년생 초본으로 1~2m가지 자라며, 줄기는 곧고 여러개의 가지를 친다. 잎은 봄에 뿌리로부터 나오는데 길고 좁은 타원형으로 여러개의 잎이 땅을 둥글게 덮으며 잎가장자리에 약간의 톱니가 있다. 꽃은 6~7월에 나온 꽃대엣 9~10월에 피는데 국화 꽃 모양의 보라색이다. 종자는 9~10월에 익으며 원통형의 삭과에 있으며 끝부분에 털이 나 있어 바람에 의패 전파된다..

  용 도
 어린 새순을 식용으로 이용하며 묵나물로도 쓰인다. 한약재로는 진해, 거담, 항균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뇨제나 만성기관지염의 치료제로 이용된다.
 

 재배적지
 비교적 어느곳에서나 잘 자라는 특성이 있어 배수만 잘되는 곳이면 재배할 수 있고 기상환경도 까다롭지 않다

재배법-번 식
 종자번식 잘 되며 종자량은 재식본수를 10a당 30,000~45,000주로 할 경우 2~3ℓ 정도 소요된다. 종자는 가을철에 채종하여 11월중에 파종하는 것이 좋으나 봄에 파종해도 발아가 잘 되어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분주도 잘 되는데 뿌리가 길 게 뻗으면서 많은 줄기가 발생되어 분주를 위한 종묘확보도 용이하다.

재배법 -정 식
 정식방법은 미역취와 같은 방법으로 하면 된다.

시비량 및 방법
 취나물중 비교적 소비성인 특징이 있어 미역취와 비슷한 양을 주면 되며 시비하는 방법도 같게 하면 된다

기타 포장관리 및 병충해 방제 : 참취, 곰취에 준한다.

수확 및 출하
 개미취는 미역취와 같이 4~5월 어린순을 이용한다. 이용, 또는 가공방법도 미역취와 같으며 수량성은 생체로 3,000kg/10a 정도이다.

 

어린 잎

줄기와 꽃

 

 

 

 

종자와 꽃

 

 

 

 

'산채류재배 > 산채류재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땅두릎  (0) 2007.04.19
마타리  (0) 2007.04.19
미역취  (0) 2007.04.19
곰취  (0) 2007.04.19
참취  (0) 2007.04.19

 

미역취 

과  명 : 국화과
학  명 : Solidago virgo-aurea var. asiatica NAKAI
한약명 : 滿山黃


 
성 상
다년생 초본으로 줄기는 보라색을 띄메 곧게 자라고 곁가지를 별로 치지 않는다. 잎은 피침형이며 둥글 게 배열되어 땅표면을 덮고 잎줄기에 좁은 날개가 붙어있으며, 표면에는 털이 있으나 뒷면에는 없다. 잎은 줄기위로 갈수록 작아진다. 꽃은 7~10월에 줄기 끝에 3~5개의 황색 꽃이 피는데 국화꽃과 같은 형태를 보인다. 종자는 원통형의 삭과속에 맺히며 삭과에는 털이 약간 나있다.

 
용 도
 어린 새순을 무침하여 식용으로 이용하낟. 한약으로는 이뇨,해열, 진통, 건위, 신장염, 방광염, 감기, 두통, 황달 등의 치료제로 쓰인다.

 

 재배적지
 어느곳에서나 잘 자라며, 생육 중 약간 차광이 되는 곳이 좋다. 토양은 배수가 잘 되는 걸찬 모래 참흙이 가장 좋고 척박하거나 배수가 안되는 땅에서는 생육도 나쁘고 고사하는 포기가 많아진다.

번 식
 종자번식이 잘 되며 종자량은 재식본수를 10a당 35,000~45,000주로 할 경우 3~4ℓ 정도 준비하면 된다. 종자는 가을철에 채종하여 11월중에 파종하며 봄에 파종할 경우에는 노천매장, 또는 파종전 저온처리를 한다. 이밖에도 다른 취나물과 같이 분주도 되는데 방법은 참취, 곰취에 준한다.

정 식
 정식방법은 참취, 곰취와 같은 방법으로 하면 된다. 그러나 참취나 곰취에 비해 미역취는 생육량이 적기 때문에 재식밀도는 다소 좁게 하여 10a당 35,000~45,000주 정도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식(정식)재배시 많은 노력이소요되므로 종자를 직파하는 것이 유리하며 특히 이식시 활착율이 다른 취나물에 비해 떨어지는 것도 직파재배를 하는 것이 좋은 이유의 하나로 들 수 있다.


시비량 및 방법
 취나물중 비교적 소비성인 특징이 있어 시비량은 참취나 곰취에 비해 적으나 시비하는 방법은 같다.
 

<표> 미역취의 시비량 및 시비방법                            (kg/10a)

비료종류

총  량

기  비

추   비

1차

2차

퇴      비
계      분
요      소
용성인비
염화가리

1,500
150
30
50
20

1,500
150
15
50
10

-
-
15
-
10

-
-
7
-
5

-
-
8
-
5

기타 포장관리 및 병충해 방제 : 참취, 곰취에 준한다.


수확
 미역취는 4~5월 어린순을 이용하므로 수확기간이 비교적 짧다. 이용방법은 생체 그대로는 쓴맛이 강하므로 데친후 24시간 정도 물에서 우려낸 다음 무침을 해서 먹으며 건조품을 만드는 과정은 다른 취나물과 같다. 수량성은 생체로 1,500~2,000kg/10a 정도이다.

 

관련사진

어린 잎

 

'산채류재배 > 산채류재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땅두릎  (0) 2007.04.19
마타리  (0) 2007.04.19
개미취  (0) 2007.04.19
곰취  (0) 2007.04.19
참취  (0) 2007.04.19

과  명 : 국화과
학  명 :
Ligularia fischeri TURCZ.
한약명 : 葫蘆七, 山紫苑, 大救駕

  다년생 식물로 비교적 표고가 높고 반음지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잎은 심장형으로 입줄기의 길이가 50∼60cm, 잎폭은 40cm정도까지 자란다. 7∼9월에 황색의 꽃이 피며 총상화서(聰狀花序)로 작은 꽃줄기에 여러 개의 꽃이 달린다.  종자는 길이가 6∼11mm정도의 원통형으로 끝에 털이 나있으며 종자색은 갈색 또는 자갈색이다. 곰취와 유사한 종류로 곤달비, 긴잎 곰취, 어린 곰취, 화살곰취, 갯곰취 등이 있다.  식용으로 쌈, 무침, 묵나물 등으로 많이 이용되며 특히 최근에는 항암작용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건강식품으로도 가치가 높다.  한약재로는 진해, 거담, 진통, 혈액순환 촉진제로 이용된다.

 

  재배적지
  참취와 같이 반음지의 시원하며 토양은 다소 습하나 배수가 좋고 부식질이 많은 걸찬 땅이 좋다.
 
 번식
 
 종자번식과 포기나누기가 주로 이용되고 있는데 종자번식은 10a당 종자량은 3∼4ℓ정도소요되며 파종과 포기나누기의 방법은 참취에 준한다. 
 
정식 및 시비방법
  정식방법도 대부분 참취와 같은 방법으로 하면 되나 참취에 비해 생육량이 크기때문에 재식밀도는 다소 넓게 하여 10a당 25,000∼30,000주 정도가 되도록 한다.

 시비방법도 곰취는 생육량이 많은 작물이기 때문에 많은 양의 비료를 필요로 하며 시비방법은 참취에 준해서 한다.  

  해가림재배
  차광 비율은 50% 정도로 하는 것이 좋으며 참취에 준한다.

  양액재배
 취나물도 시설을 이용하여 양액재배를 하므로써 청정재배에 의한 고품질의 저공해 식품을 4계절동안 생산할 수 있다. 곰취의 양액재배시 배지는 펄라이트와 팽연화왕겨가 가장 좋으나 아직은 팽연화왕겨의 구입이 일부지역에서만 가능하지만 보편화되면 가장 경제적이며, 배지량은 배지종류에 관계없이 배지깊이를 11cm정도로 하여 ㎡당 110ℓ가 되도록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양액의 질소농도를 18 me/ℓ수준으로 조제하고 겨울철재배시 양액의 온도를 25℃ 정도로 조절하여 급액할 경우 수확시기를 앞당김은 물론 수확횟수도 증가시킬 수 있다.  양액재배시 재식밀도는 ㎡당 50주정도로 밀식을 하도록 한다.

 물관리
  비교적 다습한 조건을 좋아하는 식물이므로 충분한 토양 습도를 유지해 주어야 하며 특히 봄철 생육이 왕성하고 수확이 되는 시기에는 관수를 하여 주도록 한다. 그러나 배수가 불량하면 뿌리가 썩게 되므로 장마철에는 배수에 유의한다.
 수확
곰취의 수량성은 10a당 정식 후 1년차에는 2.000kg, 2년차에는 3,000kg, 3년차에는 3,500kg 정도이며 수확횟수는 매년 3회 정도가 알맞다. 

취나물의 양액재배
(오른편:곰취,왼편:참취)

 

관련사진

어린잎

잎1

잎2

재배포장

꽃대

곰취꽃1

곰취꽃2

곰취꽃3

 

'산채류재배 > 산채류재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땅두릎  (0) 2007.04.19
마타리  (0) 2007.04.19
개미취  (0) 2007.04.19
미역취  (0) 2007.04.19
참취  (0) 2007.04.19

 과  명 : 국화과
 학  명 :
Aster Scaber THUNB
 한약명 : 東風菜根, 山白菜, 白之草


   다년생 숙근초로서 키는 1∼1.5m정도 자라며, 잎은 긴 타원형이고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생육초기에는 뿌리 잎이나 6∼7월에 줄기가 신장하여 8∼9월에 꽃이 핀다.  꽃은 꽃잎이 6∼7매이며 흰 들국화와 비슷하다. 종자는 9∼10월에 익으며 종자에 털이 있고 매우 가볍다. 
 잎과 줄기는 생체, 묵나물 등 나물로 이용되며 한약재로는 진통, 현기증, 해독, 요통, 장염 등의 치료제로 쓰인다.
  조리법은 쌈감이나 묵나물 정도에 그치고 있지만 지금까지 알려진 요리방법으로는 생채쌈감, 생채무침, 건엽튀김, 생채 마요네즈무침, 묵나물 양념무침, 부침, 소금저림, 산채볶음, 냉동산채쌈감 등이 있다. 


 재배적지
 
 반음지의 시원한 곳이 좋으며 토양은 다소 습하나 배수가 좋고 부식질이 많은 걸찬 땅이 좋다. 

번식
 참취의 번식 방법은 종자, 포기나누기, 잎자루 꺾꽂이 등이 있으나 이중 종자번식과 포기나누기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종자번식은 10a당 종자량은 2∼3ℓ 정도 소요되며 파종방법은 저온 발아성이므로 가을이나 이른 봄에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실제로 관수 등으로 토양수분 유지만 잘하게 되면 발아에는 큰 문제는 없다. 

 2년이상 된 참취에서는 3∼4개의 묘두(苗頭)가 생기는데 이것을 포기나누기해서 심으면 활착이 쉽게 되어 당년에 수확이 가능하다.
그러나 꽃대가 나온 포기는 죽거나 묘두가 생기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포기나누기를 하고자 할 때는 모주의 꽃대가 나오는 즉시 제거해 준다.


 
정식 및 시비방법
 토양이 해빙된 후 동해가 없는 한 정식이 빠를수록 유리하다.
포기는 10cm, 골사이는 30Cm 정도로 10a당 33,000주 정도가 되도록 심는다. 취나물은 비교적 다비성 식물이므로 충분한 양의 시비를 하여야 하며 특히 여러 차례 수확을 하게 되므로 수확한 후에는 재생이 빠르게 하기 위해서도 몇차례 웃거름을 주도록 한다. 밭을 갈기 전에 요소 20, 염화가리 10, 용성인비 60, 퇴비 3,000, 계분 200 kg/10a를 기비로 주고 경운을 하며 장마전 6월하순과  장마가 끝나는 7월 하순에 요소 8, 염화가리 5 kg/10a를 각각 추비로 주는 것이 좋다.  특히 산채는 부식질이 많은 토양을 좋아하기 때문에 퇴비를 많이 주는 것이 좋다.

 물관리
  비교적 다습한 조건을 좋아하는 식물이므로 충분한 토양 습도를 유지해 주어야 하며 특히 봄철 생육이 왕성하고 수확이 되는 시기에는 관수를 해주도록 한다. 그러나 배수가 불량하면 뿌리가 썩게 되므로 장마철에는 배수에 유의한다.

 해가림재배
 
 취나물은 반음지성 식물인 관계로 고온기에는 생육장애 현상이 나타나 잎과 줄기가 경화되므로 총수량은 증가하나 식용가능 수량이 매우 떨어지므로 고온기인 5월 하순부터 30% 정도 차광을 하고 짚이나 낙엽등으로 피복하면 식용이 가능한 연한 잎을 8월 하순까지 수확할 수 있다.  그러나 모주의 양분 축적을 위하여 7월하순 이후부터는 수확을 하지 않고 양분공급과 햇빛을 충분하게 받도록 해야 다음 해에 생육이 왕성하고 품질도 좋아진다.

 수 확
  수확은 파종 후 2년 또는 정식 후 1년차부터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정식 1년차에는 1,000, 2년차에는 2,000, 3년차는 2,500kg 정도의 생체를 수확할 수 있는데 보통재배시 4월중순∼5월하순, 시설재배시에는 3월상순∼8월하순까지도 수확이 가능하나 수확횟수가 많을수록 모주의 세력이 약해지므로 1년에 3회 정도만 수확하는 것이 좋다.

 

관련사진

어린 순

종자

 

종자

 

 

'산채류재배 > 산채류재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땅두릎  (0) 2007.04.19
마타리  (0) 2007.04.19
개미취  (0) 2007.04.19
미역취  (0) 2007.04.19
곰취  (0) 2007.04.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