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해방제

가. 감꼭지나방

(1) 피 해
ㅇ 감나무의 초대 문제해충이며 1∼2령의 어린 유충은 가지선단에서
   3∼4번째까지의 눈을 식해하며 성장하고, 이어서 신초나 과실에
   식입하므로 신초는 일찍 고사하고 과실은 조기에 낙과한다.
ㅇ 1세대 유충에 의해 피해를 받은 어린과실은 진한 갈색이 되기 쉽고
   게 낙엽된다.
ㅇ 2세대에 의한 피해과실은 건전한과실보다 일찍 붉어져 물러
   지고 꼭지부분에 벌레똥을 배출하며 씨가 있는 중심부분을 식해
   한다.

(2)형 태
ㅇ 성충의 몸길이는 6∼7mm이고 머리는 금속광택이 나는 갈색이
   고 가슴은 흑갈색이며, 배는 암회색이다.
ㅇ 알은 타원형으로 백색이며 길이는 0.5mm아고, 넓이는 0.3mm로
   서 표면에는 세로선으로 가는줄이 많고, 알 위쪽에는 둥근 환상
   으로 가는 털이 나있다.
ㅇ 알에서 깨어난 유충위 몸길이는 0.9mm이고 머리부분은 적갈색이
   고 몸통은 암갈색이다.
ㅇ 번데기는 타원형이고 갈색으로 몸길이는 7∼8mm인데 암갈색의
   고치속에 들어있다. 고치는 나무껍질 속에 붙어 있으며 고치속은
   백색이다.

(3) 발생상태
ㅇ 년2회 발생하며 노숙 유충태로 조피 사이나 가지의 잘린 부위 등
   에 고치를 짓고 월동한다.
ㅇ 다음해 5월 상순경부터 번데기가 되고 제1회 성충은 5월 하순∼6
   월 상순에 나타난다.
ㅇ 성충은 야행성으로 낮에는 잎뒷면에 정지ㅏ여 있다가 밤에 잎,가
  지 또는 엽병과 잎사이에 1개의 유백색 알을 낳는다.
ㅇ 알은 1주일 정도 지나면 부화하여 먼저 눈을 식해하고 3령이 되
   면서 어린 과실이나 신초에 식입한다.
ㅇ 1마리가 여러 개의 괴실로 이동하면서 가해하며 30일정도 유충
   기를 거쳐 노숙되어 꼭지부분에 고치를 짓고 번데가가 된다.
ㅇ 제2회 성충은 7월 중순 ∼8우러중순에 나타나며 과실을 가해한
   우 피해를 받은 감이 떨어지기 전에 탈과하여 9월상순경부터
   월동장소를 찾아서 회백색의 월동고치를 짓고 그속에서 월동
   한다.
ㅇ 1화기 성충발생 최성기는 6월상·중순이고 5화기는 8월 상순경
   이다.

(4) 방제대책
ㅇ 월동유층의 잠복처를 찾아서 잡아죽이고 발생원을 제거한다.
ㅇ 1·2화기 성충발생 최성기에 2∼3회 적용약제를 살포한다.
   -적용약제 : 미믹, 데시스, 파마치온, 칼탑(파단)등

나. 주머니깍지벌레

(1) 피 해
ㅇ 성충과 약충이 가지와 잎 등에 기생을 하며 즙액을 빨아먹으므로
   수세가 약화되어 심하면 말라죽는다.
ㅇ 그을음병을 일으키며 줄기와 잎 그리고 과실에도 피해를 준다.

(2)형태
ㅇ 암컷 성충은 3mm 정도이고 백색이고 타원형으로서 양끝이 약간
   볼록하다. 갓 부화한 약충은 붉은색을 띤다.

(3) 발생생태
ㅇ 년 2회 밸생하며 알상태로 월동한다. 제1회 우화는 6월 중순, 제2
   회는 8월 중하순경이다. 우화약충은 신초나 잎에 이동하여 흡즙
   한다

(4) 방제재책
ㅇ 월동기인 3월 하순∼4월 상순에 석화유황합제 5도액을 살포하여
   월동란을 방제한다.
ㅇ 생육기 방제적기는 알에서 부화하는 6월 하순과 8월 하순이다.
   알에서 갓 부화한 약충은 흰색 납물질로 보호되어 있지 않기 때
   문에 방제가 잘되지만 성장할수록 방제효과가 떨어진다.
   -적용약제: 메치온(수프라사이드)유제, 인쎄가수화제, 나크수화제

다.뿔밀깍지벌레

(1)피 해
ㅇ 성충과 약충이 주로 가지에 기생하여 즙액을 빨아먹어 수세가
   쇠약해지고, 그을음병이 유발되므로 그부분 새까맣게 된다.

(2) 형 태
ㅇ 암컷 성충은 직경이 6mm정도로 두꺼운 백색 밀납으로 덮여있
   고, 때로는 밀납이 약간 붉은 빛을 띤다. 몸은 적갈색 또는 암갈
   색이고 광택이 난다. 배쪽은 우묵하고 등쪽은 매우 불록하다.수
   컷은 작고 별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

(3)발생상태
ㅇ 년 1회 발생하며 수정한 암컷으로 월동한다 6월부터 산란하고
   알 기간은 약 1주일이다. 1령 기간은 20∼25일, 령 기간은25일,
   3령 기간은 35일다.
ㅇ 부화한 1령 충은 어미의 깍지에서 기어나와 암컷이 될 것은
   가는 가지에 정착하고, 수컷이 될 것은 잎의 겉면과 뒷면에 정착
   한다.
ㅇ10월경에 성충이 나타나 교미하고 암컷은 그대로 월동한다.

(4) 방제대책
ㅇ 월동기에 기계유유제 또는 발아 직전에 석회유황합제 5도액을
   살포하고 1령의 약충기에 주머니깍지벌레에 준하여 약제를 살포
   한다.

라. 노린재류

(1) 피 해
ㅇ 어린 과실에서부터 성숙된  과일에 이르기까지 성충이 구기를
   찔러서 흡즙하므로 과면에 흑색∼갈색의 반점이 생기며 피해 받은
   과육 부분은 오목하게 들어가고 스폰지 모양이 되어 착색이 나쁘
   게 된다.

(2) 발생생태
ㅇ 년1회 발생하며 성충으로 월동한다. 성충은 5∼6월에 과수원에
   날아와 어린 과일을 가해한다. 성충은 수명이 길어서 몇번 산란
   을 거듭하며 숙기가 다른 여러 가지 과길을 찾아 다니는 습성이
   있다.
   ㅇ15개 내외의 알을 낳으며 갓 부화한 약충은 집단 생활을 하지만
   성장하면서 분산한다. 성충은 10∼11월 월동장소로 이동한다.

(3) 방제대책
  ㅇ 발생초기에 적용약제를 살포한다.
   -적용약제: 메프, 데시스, 파마치온 등
[ 감 병해충방제력 ]

월별

생 육

 단 계     

대 상 병

병 해

  해 충

충 해     

적 용

약 제

1

3하

~4상

휴면기

월 동 병 해

깍 기

벌 레

석유유황

합제(5도액)

월별

생 육

단 계

대 상 병

병 해

해 충

충 해

적 용

약 제

2

5상

~5중

개화전

탄 저 병

횐가루병

만코지, 지오판

베노밀, 부탄엠

3

6상

~6중

낙 화 후

원 성 낙 엽 병

탄      저     병

모무늬낙엽병

감꼭지

나  방

온마을,벨쿠트

델란, 지오판,보람

만코지, 타로닐등

스미치온

칼탑.미믹

데시스등

4

 

6하

세  포

분 열 기

원성낙엽병

탄   저    병

원성낙엽병

깍   지

벌   레

보람, 헥사코나졸

부탄엠, 베노밀등

수프라사

이드

인쎄가

5

 

7상

장마기

원 성 낙 엽 병

탄      저     병

모무늬낙엽병

훼나리, 베노밀

헥사코나졸 등

6

 

8중

탄 저 병

탄   저    병

감꼭지

나   방

지오판, 푸르겐

델란 등

파마치온

트레본등

7

9상

~9중

비 대 기

원성낙엽병

탄   저    병

헥사코나졸

비타놀 등


   *턴저병발생이 적은 지역은 2회 방제는 생략 가능하며 탄저병이 심한 과원은
   7월중순에 탄저병약 한번더 살포
   *깍지벌레가 문제되는 포장은 8월 하순에 깍지벌래약을 한번더 살포하되 고
   온기 (한낮) 방제는 반드시 피한다(약해 발생)
   *방제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적기에 방제하되 희석배수를 지켜 충분한 량 살
   포(10a당 600ℓ이상)-고온기 살포 금지-

 방 제 요 령 ]

병해

충명

품  목 명 

물 20ℓ 당

사   용  량

사용법 및 특기사항

그로포.주론수화제

(야    무      진)

20g

(1,000배)

o 혼합제(유기인제+벤조일레아계)

 o발생 초부터 10일 간격

o 수확 15일전까지 5회 이내 사용

 

델 타 린 유 제

(데시스, 장원)

20㎖
(1,000배)

 o 합성피레스오이드계

 o 발생 초기부터 10일 간격

 o 수확 14일전까지 3회 이내 사용 

메 프 수 화 제

(스 미 치 온)

(메 프 치 온)

20g

(1,000배)

ㅇ 유기인계

ㅇ 발생 초부터 10일간격

ㅇ 수확 14일 전까지 3회 이내사용

 

베 스 트 수 화 제

(파 마 치 온)

20g

(1,000배)

 o 혼합제(유기인계+합성피레스로이드계)

ㅇ 발생 초부터 10일 간격

ㅇ 수확 30일전까지 3회 이내 사용

비 티 수 화 제

(슈 리 사 이 드)

(그물망, 비결)

(바 이 오 비 트)

(영 일 비 티)

20g

(1,000배)

ㅇ 생물농약

ㅇ 발생 초부터 10일 간격

(어린유충 발생될 때)

ㅇ 선택성 살충제

싸이스린수화제

(스  타  터)

10g

(2,000배)

ㅇ 합성피레스로이드계

ㅇ 발생 초기 10일 간격

ㅇ 수확 14일전까지 3회 이내 사용

루 페 누 론 유 제

(메              치)

(파     밤      탄)

10㎖
(2,000배)

ㅇ 벤자미이드계

ㅇ 발생 초기 10일 간격

ㅇ 수확 7일전까지 3회 이내 사용

 

병해

충명

품 목 명

물 20ℓ 당

사   용  량

사용법 및 특기사항

델 타 린 유 제

( 데   시  스 )

(장         원 )

20㎖
(1,000배)

ㅇ합성피레스로이드게

ㅇ감꼭지나방도 방제 가능

ㅇ비래최성기 10일 간격

ㅇ수확3일전까지5회이내사용

에프토펜프록스유제

(세         배         로)

20㎖
(1,000배)

o 합성피레스로이드계

o 발생 초기에 방제

o 수확20일전까지 3회 이내 시용

 

훼녹시카브수화제

(인       쎄        가)

20g

(1,000배)

o 카바메이트계

o 성충 및 약충 부화기

 메 프 수 화 제

(스  미   치  온)

(메  프   치  온)

20g

(1,000배)

o 유기인계(감깍지나방도 방제)

o 발생 초부터 10일 간격

o 수확14일전까지 3회 이내 사용

부 프 로 페 진

아미트라즈유제

(히     어     로)

20㎖
(1,000배)

o 치아디아진계+아미트라즈계

o 발생 초기 수관살포

o수확21일전까지 2회 이내 사용

치 아 메 톡 삼

입 상 수 화 제

(아    타    라)

10g

(2,000배)

o 치아니코티닐계

o 발생초기 수관살포

o 수확 7일전까지 3회 이내 사용

클 로 치 아 니 딘

수 용 성 입 제

(똑    소     리)

10g

(2,000배)

ㅇ클로로니코티닐게

ㅇ발생 초기 살포

ㅇ수확10일전까지3회이내사용

 

테 부 노 자 이 드

부프로페진수화제

(온      누       리)

20g

(1,000배)

ㅇ벤조하이드로진계+치아디아진계

ㅇ발생 초기 수관살포

ㅇ수확21일전까지4회이내사용

 

병해

충명

품  목  명

물 20ℓ 당

사   용  량

사용법 및 특기사항

알 파 스 린 유 제

(화스탁)

20㎖
(1,000배)

ㅇ합성피레스로이드게

o 발생 초부터 10일 간격

o 수확7일전까지 3회 이내 사용

알 파 스 린

그 로 포 유 제

(강타자)(진굴탄)

20㎖
(1,000배)

ㅇ혼합제(합성피레스로이드계+유

기인계)

ㅇ발생 초부터 10일간격

ㅇ수확14일전까지3회이내사용

에 토 펜 프 록 스

수     화      제

(트    레     본)

20g

(1,000배)

ㅇ합성피레스로이드계

ㅇ발생 초부터1 0일간격

o 수확30일전까지 3회 이내 사용

에 토 펜 프 록 스

다 수 진 수 화 제

(뚝               심)

20g

(1,000배)

ㅇ혼합제(합성피레스로이드계+유

기인계)

ㅇ발생 초부터1 0일간격

o 수확14일전까지 4회 이내 사용

에 토 펜 프 록 스

피 리 다 수 화 제

(휘      나      래)

20g

(1,000배)

ㅇ혼합제(합성피레스로이드계+유

기인계)

ㅇ발생 초부터1 0일간격

o 수확45일전까지 2회 이내 사용

푸 라 치 오 카 브

주 론 수 화 제

(다    이     빈)

20g

(1,000배)

ㅇ혼합제(합성피레스로이드계+유

기인계)

ㅇ발생 초부터1 0일간격

o 수확7일전까지 7회 이내 사용

에 토 펜 프 록 스

피 리 다 유 제

(휘    나     래)

20g

(1,000배)

ㅇ혼합제(합성피레스로이드계+유

기인계)

ㅇ발생 초부터1 0일간격

o 수확45일전까지 2회 이내 사용

주 론 수 화 제

(다 밀 린 , 초심)

5g

(4,000배)

ㅇ벤조일페닐우레아계

ㅇ발생 초부터1 0일간격

o 수확30일전까지 2회 이내 사용

지 온 수 신 화 제

(에 비 섹 트)

20g

(1,000배)

ㅇ발생 초부터1 0일간격

o 수확30일전까지 4회 이내 사용

칼 탑 수 용 제

(파            탄)

(쎄다)  (세다세)

20g

(1,000배)

ㅇ칼탑제

ㅇ발생 초부터1 0일간격

o 수확45일전까지 4회 이내 사용

 

20g

(1,000배)

병해

충명

품  목  명

물 20ℓ 당

사   용  량

사용법 및 특기사항

크로르푸루아

주 론 유 체

( 아 타 브 론 )

10㎖
(2,000배)

ㅇ요소제

o 발생 초부터 10일 간격

o 수확7일전까지 7회 이내 사용

테부페노자이드

수 화 제

( 미      믹 )

20g

(1,000배)

ㅇ 벤조일하이드라진계

o 발생 초부터

o 수확14일전까지 6회 이내 사용

테프루벤주론

액 상 수 화 제

( 노  몰  트 )

10㎖
(2,000배)

ㅇ요소계

o 발생 초부터 10일 간격

o 수확3일전까지 6회 이내 사용

푸라치오카브

수 화 제

( 델 타 네 트 )

20g

(1,000배)

ㅇ카바메이트계

o 발생 초부터 10일 간격

o 수확7일전까지 7회 이내 사용

프로치오포스

수 화 제

( 토 쿠 치 온 )

10㎖
(2,000배)

ㅇ유기인계

o 발생 초부터 10일 간격

o 수확60일전까지 2회 이내 사용

플루페녹수론

분 산 성 액 제

( 카 스 케 이 드 )

20g

(1,000배)

ㅇ아씰우레아계

o 발생 초부터 10일 간격

o 수확4일전까지 4회 이내 사용

피 리 다 수 화 제

( 오 후 나 크 )

20g

(1,000배)

ㅇ유기인계

o 발생 초부터 10일 간격

o 수확40일전까지 3회 이내 사용

할로스린 수화제

( 바 로 싹, 주렁)

20g

(1,000배)

ㅇ합성피레스로이드게

o 발생 초부터 10일 간격

o 수확7일전까지 7회 이내 사용

할로스 린유제

(주렁, 바로싹)

20㎖
(1,000배)

ㅇ합성피레스로이드게

o 발생 초부터 10일 간격

o 수확7일전까지 7회 이내 사용


병해

충명

품  목  명

물 20ℓ 당

사  용 량

사용법 및 특기사항

벨 쿠 트 수 화 제

20g
(1,000배)

ㅇ 구아니딘계

o 수확21일전까지 6회 이내 사용

참 조 네 수 화 제

20g

(1,000배)

ㅇ 구아니딘계+카바메이트계

o 동시방제 가능 : 탄저병

o 수확14일전까지 6회 이내 사용

해비치입상수화제

6.7g
(3,000배)

ㅇ스트로루빌린계

o 수확7일전까지 5회 이내 사용

 

카스 텔 란 수 화 제

10g

(2,000배)

ㅇ퀴나졸린트리아졸계

o 수확14일전까지 4회 이내 사용

 

파라사드액상수화제

20㎖
(1,000배)

 

o 퀴나졸린트리아졸계생

o 수확20일전까지 4회 이내 사용

만 코 지 수 화 제

(다이센엠 - 45)

(더센엠, 들소리)

40g

(500배)

ㅇ유기유황제

o 동시방제가능:둥근무늬낙엽병

o 수확45일전까지 2회 이내 사용

부 탄 엠 수 화 제

(시  스  텐  엠)

40g

(500배)

ㅇ혼합제(트리아졸계+유기유황제)

o 수확45일전까지 4회 이내 사용

지 오 판 수 화 제

(톱네이트 -  엠)

(톱신엠) (규네왕)

20g

(1,000배)

ㅇ카바메이트계

o 동시방제가능:둥근무늬낙엽병

o 수확3일전까지 5회 이내 사용

 

타 로 닐 수 화 제

(다코닐,  골고루)

(금비라,  새나리)

40g

(500배)

ㅇ유기염소계

o 동시방제가능:둥근무늬낙엽병

o 수확2일전까지 3회 이내 사용

 

디치 액 상 수 화 제

(델               란)

20㎖
(1,000배)

ㅇ퀴논계

o 수확21일전까지 6회 이내 사용

 

디 페 노 코 나 졸

수       화       제

(푸      르      겐)

10g
(2,000배)

ㅇ트리아졸게(둥근무늬낙엽병방제

제)

o 6월 중순부터 10일 간격

o 수확7일전까지 7회 이내 사용

 

병해

충명

품 목 명

물 20ℓ 당

사  용 량

사용법 및 특기사항

프 로 피 수 화 제

(안    트   라   콜)

     40g

   (500배)

ㅇ 유기 유황제

ㅇ6월 중순부터 10일간격

ㅇ수확10일전까지6회이내사용

홀 펫 수 화 제

(금망, 장 사 진)

     40g

  (500배)

ㅇ6월 중순부터 10일간격

ㅇ수확10일전까지4회이내사용

이미녹타딘트리

스알베실레이트

치 람 수 화 제

(참  조  네)

     20g

(1,000배)

ㅇ구아니딘계+카바메이트계

ㅇ6월 중순부터 10일간격

ㅇ수확14일전까지6회이내사용

가벤다  . 누아리

몰 액 상 수 화 제

( 온  마  을 )

      10㎖
(1,000배)

ㅇ혼합제(카바메이트계+피리미딘계)

ㅇ발생 초 10일간격

ㅇ수확7일전까지7회이내사용

리 프 졸 수 화 제

(트  리  후  민)

     20g

(1,000배)

ㅇ 트리아졸계

ㅇ발생 초 10일간격

ㅇ수확2일전까지8회이내사용

펜코나졸수화제

(크 린 타 운)

     20g

(1,000배)

ㅇ 트리아졸계

ㅇ발생 초 10일간격

ㅇ수확14일전까지6회이내사용

포리옥신디수화제

(영 일 바 이 오)

     20g

(1,000배)

ㅇ 항생제

ㅇ 발생 초 10일 간격

ㅇ동시방제 가능:둥근무늬낙엽병

ㅇ수확14일전까지5회이내사용

헥 사 코 나 졸

액 상 수 화 제

(라     피     드)

    10㎖
(2,000배)

ㅇ발생 초 10일 간격

ㅇ동시방제 가능:둥근무늬낙엽병

ㅇ수확7일전까지6회이내사용

훼나리수화제

 ( 경 농 훼 나 리,

   동 부 훼 나 리 ) 

     6.7g

(3,000배)

ㅇ피라미단계

ㅇ발생 초 10일간격

ㅇ수확 7일전까지 6회이내사용

 

병해

충명

품 목 명

물 20ℓ 당

사  용 량

사용법 및 특기사항

가벤다.누아리몰

액 상 수 화 제

(온  마   을)

     20㎖

 (1,000배)

ㅇ혼합제(카바메이트계+피리미딘계)

ㅇ6월 상순부터 10일간격

ㅇ수확7일전까지7회이내사용

디 치 수 화 제

(델란,경동디치

  대     차     니)

     20g

(1,000배)

ㅇ퀴논계

ㅇ발병 직전부터 10일 간격

ㅇ수확90일전까지3회이내사용

디페 노 코 나 졸

수      화       제

(푸   르      제)

     10g

(1,000배)

ㅇ 트리아졸계(탄저병)

ㅇ6월 상순부터 10일간격

ㅇ수확7일전까지7회이내사용

 만코지수화제

(다이센엠-45)

(더센엠,들소리)

      40g
   (500배)

ㅇ유기유황제

ㅇ6월 상순부터 10일간격

ㅇ수확 45일전까지 2회이내사용

베노밀수화제

(벤 레 이 트)

(두   루   다)

     13g

(1,500배)

ㅇ 벤지미다졸계

ㅇ6월 상순부터 10일간격

ㅇ수확7일전까지6회이내사용

부탄엠수화제

(시 스 텐 엠)

     40g

  ( 500배)

ㅇ혼합제(카바메이트계+피리미딘계)

ㅇ6월 상부터 10일간격

ㅇ수확 45일전까지 2회이내사용

 비타놀수화제

(바이코,방파제)

(지    화    자)

     10g

(2,000배)

ㅇ 트리아졸게

ㅇ 6월 상순부터 10일 간격

ㅇ수확15일전까지5회이내사용

스팟트수화제

(경통스팟트)

    10g
(2,000배)

ㅇ플루오르이미드계

ㅇ6월 상순부터 10일 간격

ㅇ수확3일전까지5회이내사용

이프로수화제

(균사리,로브랄)

(새    시      로)

     20g

(1,000배)

ㅇ디카복시미드계

ㅇ6월 상순부터 10일간격

ㅇ수확 14일전까지 5회이내사용

 

병해

충명

품 목 명

물 20ℓ 당

사  용 량

사용법 및 특기사항

 지오판수화제

(톱네이트-엠)

(톱신엠)(바로너) 

     20g

 (1,000배)

ㅇ카바메이트계

ㅇ6월 상순부터 10일 간격

ㅇ수확 3일전까지 5회 이내 사용

 지오판.리프졸

 수     화     제

(굳     타    임)

     20g

(1,000배)

ㅇ혼합제

ㅇ6월 상순부터 10일 간격

ㅇ수확 3일전까지 7회이내사용

 카프로수화제

(로      브    동)

     40g

   (500배)

혼합제(카바메이트계+피리미딘계)

ㅇ6월 상부터 10일간격

ㅇ수확 45일전까지 2회이내사용

 타로닐수화제

(다코닐,골고루)

(금비라,새나라)

      40g
   (500배)

ㅇ유기염소제

ㅇ6월 상순부터 10일간격

ㅇ수확 15일전까지 3회이내사용

터부코나졸수화제

(실     바  코)

     10g

(2,000배)

ㅇ 트리아졸계

ㅇ발생 초 10일간격

ㅇ수확 21일전까지 6회이내사용

 아족시트로빈

 수    화    제

(아   미 스 타)

     20g

 (1,000배)

ㅇ스트로빌루린계

ㅇ6월 상부터 10일간격

ㅇ수확 7일전까지 5회이내사용

포리옥신디수화제

(영 일 바 이 오)

     20g

(1,000배)

ㅇ항생제

ㅇ 6월 상순부터 10일 간격

ㅇ수확15일전까지5회이내사용

 포 리 옥 신 디

 지오판수화제

 (보        람)

    20g

(1,000배)

ㅇ혼합제(항생제+카바메이트계)

ㅇ6월 상순부터10일간격

ㅇ수확 14일전까지 5회이내 사용

헥 사 코 나 졸

액 상 수 화 제

(라     피    드) 

    10㎖
(2,000배)

ㅇ사용하기전에약병을흔들어쓰기

ㅇ6월 상순부터 10일 간격

ㅇ수확30일전까지3회이내사용

후 루 실 라 졸

입 상 수 화 제

(올    림    프)

     2.5g

ㅇ트리아졸계

ㅇ6월 상순부터 10일간격

ㅇ수확 7일전까지 5회이내사용

'과일나무재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충해방제와 실태.  (0) 2007.10.31
감-충해 적용약제와 사용법.  (0) 2007.10.31
감나무 해거리 예방를 위한 방법.  (0) 2007.10.31
감 원성낙엽병 방제..  (0) 2007.10.31
" 감나무 서리피해 예방 "  (0) 2007.10.31


적뢰(봉오리따기)는 일찍 감의 결실량을 줄임으로써 저장양분의 소모가 적어져 꽃눈분화 이전까지 수체내에 양분축적을 좋게 하여 다음해에 결실될 꽃눈분화를 촉진시키므로 감의 해거리 방지에 매우 
효과적이다.
적뢰하기에 적당한 시기는 개화 20~10일전(5월1~10일) 사이에 새가지가  굳어지기 시작할 무렵부터 실시하는 것이 좋으며 시기가 빠르면 불필요한 양분의소모는 적으나 새가지가 연약하여 부러지기 쉽고 늦으면 꽃자루가 굳어져 작업이 어렵다. 
 적뢰 정도는 열매 1개당 20매 정도의 엽수가 적당하나 나무세력의 강약에 따라 엽수를 조절하는 것이 유리하다 . 한 개의 결과모지에서 새로나온 신초수가 4본 이상이면 4~6개, 3본 이하면 2~3개의 봉오리를 남기되 수세가 강하면 많이 남기고 약하면 적게 남기는 것이 안전하다. 개화전 적뢰(봉오리따기)가 가장 효과적 적뢰 할 때는 큰봉오리가 큰 과실이 되므로 대과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큰봉오리를 남기는 것이 중요하다. 
감의 경우 꽃봉오리가 크면 꼭지가 크게 되고 꼭지가 크면 꼭지떨림과 발생도 적다. 한 가지에서 기부쪽 첫 번째 봉오리, 하늘을 향한 봉오리, 기형 및 아래쪽 방향의 약한 가지에 달린 봉오리는 대과나 정상과로 되기 어렵기 때문에 제거하는 것이 유리하다
  



원성낙엽병은 발병이 되면 잎이 일시에 낙엽되고 과일도 물러져 상품성을 잃게되므로 감 농사에서 가장 무서운 병이라 할 수 있다.  
원성낙엽병의 발병경로는 지난해 병든 잎에서 월동한 병원균이 5월 하순부터 7월 상순사이에  비가 온 후에 잎 뒷면 기공을 통하여 감염되어 60~120일 정도의 긴 잠복기간을 거쳐 온도가 25℃이하로 낮고, 습도가 높으면 발병하게 되는데 대개 9월 이후에 발병되지만 발병조건만 충족되면 지난 ‘96년처럼 8월에도 발병하기도 한다. 
원성낙엽병은 일단 발병이 되면 어떤 약제로도 방제가 어려운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원성낙엽병 방제는 병원균이 잎뒷면 기공에 침입하는 5월 하순부터 7월 상순 사이에 3회 정도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원성낙엽병 예방을 위한 재배적 방법으로는 거름기가 부족한 감나무에서 발병이 잘되므로 휴면기에 양질의 퇴비를 충분히 시용하되 집중 강우시 습해나 한발시 가뭄피해를 받지 않도록 하는 등 비배관리를 잘 해주되 특히 경사지나 토심이 얕은 감밭은 기상과 결실량 을  약제 살포시 잎 뒷면에 약액이 골고루 묻도록 충분히 뿌려줘야 봐가며 웃거름 량을 조절하되 웃거름을 여러번 나누어주고 가뭄시 요소를 엽면 시비하여 거름기가 부족하지 않도록 해주어야 한다.
약제 살포시 방제효과를 높이려면 적용약제를 선택하고, 적기에 살포하되 무엇보다 잎 뒷면에 골고루 묻도록 충분한 량을 뿌려주는 것이 중요하다.
살포된 농약은 과일과 잎사귀 표면에 얇은 보호막을 형성하여 병원균의 침입을 차단하므로 예방효과를 나타내게 되는데 약액이 골고루 묻지 않으면 보호막이 형성되지 않아 방제효과를 나타낼 수 없게된다.
방제약제 선택시 탄저병과 동시에 방제되는 농약을 선택하되 1차에는 감꼭지나방약을 2차 방제는 깍지벌레약을 혼용하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방제할 때 주의할 점은 약해 예방을 위해 한낮 고온기에는 살포를 피하는 것이 안전하다.

 

 

 

서리 피해는 대개 3월 하순에서 4월 상순경에 공기의 흐름이 막히는 협곡이나 평지에서 피해가 많으며 같은 지역이라도  지대가 낮은 곳이 높은 곳보다 피해가 더 심하다.  또 양지쪽이 기온상승으로 발아 빨라 음지보다 더 심한피해를 입게 된다.  
최근의 기상상황을 볼 때 앞으로도 해마다 이러한 서리 피해 위험은 더욱 크질 것으로 예상된다.  서리 피해 예방법으로는 과수원에 왕겨나 폐타이어, 또는 폐유등을 이용한 연소법, SS기나 스프링클러 등을 이용한 살수법, 방상팬을 이용한 송풍법 등이 있다. 
이중에서 연소법은 3월중순경에 왕겨나 페유를 양철통에 담아 과수원 여러 곳에 두었다가 서리가 예상되는 날밤 자정전후 연소시키는 방법으로 실천하기가 비교적 쉬울 것으로 생각된다.  
  피해 감나무는 웃거름 주지말고 도장지 이용 내년도 결과지 확보해야 서리를 예측하는 방법은 저녁 일기예보를 참고하되 대구지역 아침 최저기온이 3℃이하로 예보되면 서리를 예상하고 자정전후까지 기다렸다가 날씨가 맑고 바람이 없으면 대책을세워야 한다.  서리 피해가 잦은 지역에서는 토양을 청경으로 관리하는 것이 좋다. 
즉 서리가 내릴 시기에 나무밑에 볏짚이나, 비닐, 또는 마른풀이 있을 경우 복사열이 차단되어 서리가 올 경우 나지(裸地)보다 훨씬더 많은 피해를 입게된다. 서리 피해를 근본적으로 줄이기 위해서는 신규과원을 조성할 때 대목을 돌감으로 하는 것도 중요하다. 
 금년도에 서리 피해가 심한 과원에서는 웃거름을 주지말고 도장지를 이용하여 수형구성과 결과지 확보에 이용토록 하여 피해를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

감나무 해거리와 수고낮추기

 겨울은 과수농가들이 다음 농사를 위해 전정을 실시하는 시기이다.
예전에 감나무는 전정을 하지 않고 감을 딸 때 가지를 꺾는 것으로 전정을 대신했으나 최근 재배기술 향상으로 전정을 실시하는 농가가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일부 감나무들은 전정을 하지 않아서 키(수고)가  높아 약제살포나 수확 작업시 많은 불편을 느끼고 있다.
다수의 농가들이 수고낮추기의 필요성을 느끼면서도 상부 가지 절단으로 입게될 수확량의 감소를 염려하여 수고낮추기를 망설이는 것 같다. 감나무는 수고낮추기를 하더라도 시기만 잘 선택하면 수량 감소를 크게염려할 필요가 없을 것 같다.
감은 영양생리 특성상 해거리가 일어나기 쉬운 과수이다. 해거리란 과실의 결실상태가 매년 안정되지 못하고 과다결실과 결실불량이 해를 걸러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해거리는 감나무에 따라 다르나 우리군 대부분의 감나무는 지난해에 해거리 현상이 많이 일어났다
 그러므로 지난해 병해충피해 등으로 조기 낙엽된 과원과 과다 결실된 일부 감나무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감나무에서 금년에는 결실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러한 감나무를 금년에 수고낮추기 한다면 상단부 절단에 의한 수량감소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감나무는 다른 과수와 달리 잠아(숨은눈)가 많아 상단부를 잘라내면 상단부 그늘 때문에 결과지가 없던 아랫부분의 주지(굵은원가지)서 많은 가지가 발생되어 결과지로 되므로 2-3년이면 원래의 수량을 회복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관리만 잘하면 이후에는 오히려 수량이 증가하게 된다. 감나무 키가 낮아진 만큼 농사를 지을 수 있는 나이는 높아 질 것이다.
 

여름철 감밭 관리요청

 

 

1. 웃거름 시용

[ 감나무 시비시기와 비율 ]                                     (kg/10a)

 

 

성   분   량

  (kg)

 

시비 시기

질소(요소)

인산(용인)

칼리(염가)

마그네슘

(황산고토)

밑 거 름

(11~3월)

여름거름

(6중~7상)

가을거름

(9하~10상)

12(26)

(50%)

6(13)

(25%)

6(13)

(25%)

24(52)

(100%)

15(75)

(100%)

-

 

-

 

15(75)

(100%)

13(22)

(60%)

9(15)

(40%)

-

 

22(37)

(100%)

6(43)

(50%)

6(43)

(50%)

-

 

12(86)

(100%)

 

가. 여름거름
 ㅇ 웃거름으로서 질소와 칼리를 생육 중간단계인 6월중순부터 7월초에 실시하며, 자갈모래 

     가많은 토양에서 2-3회 나누어 시용한다.
     이 시기는 새가지의 1차생장과 생리적 낙과가 거의 끝나고, 가는 뿌리가 활발하게 신장하 

     여 양분흡수가 왕성하며, 수세유지와 과실비대를 촉진하고, 꽃눈분화를 촉진하여 다음해

     의 꽃눈을 확보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나. 가을거름
 ㅇ 가을거름은 과실의 착색이 시작되고, 급격히 비대하는 시기인 9월 하순부터 10월상순에  

     시용한다. 가을거름은 꽃눈분화와 과실비대에 많은 영양분이 소모되어 쇠약해진 수세를 

     회복하고 충분한 양분을 저장시켜 다음해 개화기까지 영양공급을 원활히 하는데 필요하

     다.
 ㅇ 이시기는 기온이 낮고, 뿌리의 흡수기능도 쇠약하며, 잎의 동화기능 이 떨어지는 때 이므

     로 속효성비료를 사용하거나 물거름을 만들어 잎에 직접 살포토록 한다. 이시기가 빠르면

     과실성숙이 늦어지고, 늦어면 흡수가 곤란하다.
다. 엽면시비
 ㅇ 뿌리의 기능이 쇠퇴하여 양분흡수가 곤란하거나 빠른 기간에 양분을 흡수시켜야 할때 사

     용한다.
   - 질소 : 0.5∼1%액 (물20ℓ 당 요소 100∼200g)살포
   - 칼리 : 0.5%액 (물 20ℓ 당 제1인산칼리 100g) 살포


 

2. 생리적 낙과 방지
 가. 낙과 원인
   ㅇ 과다착과를 방지하고 수세유지를 위한 일종의 자연조절현상임
 나. 낙과 대책
   ㅇ 적뢰 및 적과로 과다결실을 방지한다.
   ㅇ 강전정, 과다시비를 지양하여 수세안정을 유지시킨다.
     - 강우시 웃거름을 3회이상 여러번 나누어 준다.
   ㅇ 밀식에 의한 일조부족이 되지 않도록 한다.


2. 꼭지떨림과 예방
 가. 원인
    ㅇ 과실의 비대발육이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거나 토양수분의급격한 변화에 의하여 양수

        분의 흡수가 불균일 할때
    ㅇ 수세가 왕성한 반면 결실량이 적을 경우에 많으며 꼭지가작은 과실이 큰 과실보다 발

        생이 많다.
 나. 대책
    ㅇ 전 생육기간을 통하여 균형된 양분의 흡수가 이루어지도록 합리적인 거름주기와 토양

        수분 관리
    ㅇ 적뢰 실시로 과일당 세포수를 많도록 하고 적뢰시 감꼭지가 큰 것을 남긴다.
    ㅇ 개화전(5월중순) 과 낙화직후(6상순)에 요소 1%(물1말당 요소200g)을 엽면시비하면

        꼭지를 크게하여 꼭지떨림과 발생을 줄일 수 있다.
    ㅇ 수관하부에 볏짚 또는 흑색비닐을 멀칭하여 전생육동안토양적습이 유지 되도록 한 

        다
    ※ 해마다 꼭지떨림과가 발생되는 나무는 6월10일경에 지상10cm 부위 둘레에 3∼5mm

        폭으로 박피실시

 

3. 2003년 감 병해충 방제력

 

 

 

대상병해충

 

적용약제

 

월별

생육단계

병 해

충 해

1

3하

휴면기

월동병해

깍지벌레

석회유황합제

2 5상중 개화전

원성낙엽병

탄저병

흰가루병

푸르겐

타로닐,베노밀등

3 6상 꽃이진후

원성낙엽병

탄저병

모무늬낙엽병

감꼭지나방

만코지

보람,온마을 델란, 스팟트등

야무진

스미치온

칼탑등

4 6중 세포분열기

원성낙엽병

탄저병

깍지벌레

헥사코나졸

지오판

보람, 비타놀등

수프라

사이드

5

6중~

7상

장마기

원성낙엽병

탄저병

흰가루병

베노밀

헥사코나졸

지오판 등

6 8중 고온기 탄저병 감꼭지나방

헥사코나졸

푸르겐등

칼 탑
7 9상중 비대기

탄저병

흰가루병

헥사코나졸

델란(20g)

비타놀등

 

■ 효과적인 병해충 방제요령
    ㅇ 과원정비와 아울러 통풍, 채광등 환경조건을 개선하여 나 무의 자람새를 튼튼하게 한다.
    ㅇ 약제살포가 쉬운 나무꼴로 만든다. (수고낮추기, 정지전정등)
    ㅇ 적용약제를 선택하여 희석배수를 지켜 충분한량을 살포한다.
     - 10a당 600ℓ 이상 살포
     ※ 약해방지를 위해 고온기 한낮 방제는 피한다.

 

겨울철 감나무밭 관리요령



 감나무밭 밑거름 시용 월동전에 적정량을 시비해야 품질향상에 유리

가난해서 영양섭취가 부실하던 예전에는 뚱뚱한 사람이 부자의 상징처럼

부러움의 대상이 되기도 했지만 지금은 누구나 살을 빼기 위해 비만과의

전쟁을 치르고 있다. 11월 중순부터 땅이 얼기 전까지는 감을 비롯한 낙엽

과수의 밑거름 주는 시기이다. 많은 농가들이 감나무는 아무리 거름을 많이

주어도 괜찮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지만 실은 수세가 과다하여 해마다 결실

이 불량한 과원을 많이 보게된다. 감나무도 사람처럼 영양 즉 거름기가

과다하면 결실과 품질에 많은 지장을 가져오게 된다. 유목의 경우 거름기가

과다하면 결실시기가 늦어지고, 성목에서 거름기가 과다하면 신초의 생장이

늦게까지 계속되므로 다음해 꽃눈형성이 불량해지고 도장지 발생이 많아

나무의 키가 높아져 관리에 노동력이 많이 들게된다. 또 이런 나무에 결실

된 감은 새가지와의 양분경합으로 생리적 낙과가 많아지고 숙기가 지연

되어 수확기에도 착색이 불량해 곶감이나 아이스홍시, 감말랭이 등과 같이

가공품으로 이용할 때는 이들 가공품의 품질이 매우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감나무도 이제 수세를 판단하여 알맞은 시비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

하다. 수세를 판단하는 기준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겠으나 지금은 잎이

없는 시기이므로  올해자란 새가지 중에서 20cm 전후의 가지 수가 50% 정도

이면 적절한 수세라 판단하고 이보다 긴가지의 비율이 높으면 수세가 강한

것으로, 짧은 가지가 많을 경우 수세가 약한 것으로 판단하여 시비량을

을 결정하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옛말의 과유불급(過猶不及) 즉

지나침은 부족함만 같지 못하다는 말처럼 시비량이 부족한 것은 웃거름이나

엽면시비로 보충이 가능하지만 과다할 경우에는 대책이 없으므로 지나치지

않도록 신중해야 한다. 사랑하는 자식에게 떡이 아니라 매를 주는 것처럼

지나친 시비보다 적절한 전정이 감나무에 훨씬더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

된다.

사업구분

기본연구

Code 구분

LS 0207

수행구분

연구분야(전반기)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

연구기간

연구책임자 및 참여연구원(☎)

연구과제명

  단감의 안정생산 및 생력재배기술 개발

'95~'05

경남도원 단감연구소 최성태(211-5690)

세부과제명

  밀식 과원의 수형갱신 효과

'04~'05

경남도원 단감연구소 최성태(211-5690)

공동연구자

  최성태, 박두상, 김학규, 김성철, 김정부

색 인 용 어

  단감, 안정생산, 생력재배, 밀식재배, 수형갱신

밀식과원의 수형갱신 효과
Tree Responses of Densely-Planted Persimmon Trees to Renovating Tree Form
Seong-Tae Choi
*, Doo-Sang Park, Hag-Kyu Kim, Sung-Chul Kim, and Jeong-Bu Kim
*Sweet Persimmon Research Institute, Gyeongnam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Gimhae 621-802, Korea

ABSTRACT : Understanding the tree response to heavy pruning, aimed to renovate the tree form, is of practical importance in densely-planted persimmon trees. Eight-year-old 'Fuyu' trees in this experiment were of a modified-leader (ML) form with five scaffolds. In spring of 2003, some of these trees were heavily pruned to be either an open-center (OC) or a Y form having three and two scaffolds, respectively. In all three forms of the tre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crement of TCSA, tree height, tree spread, terminal shoot growth, and pruning weight. Renovating to an OC or a Y form significantly decreased number of shoots per tree. The renovated Y-form trees tended to produce more water sprouts. Per-tree yield tended to be higher in ML, whereas yield efficiency tended to be higher in OC trees. Percent fruit set, fruit color and fruit soluble solid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three years depending on tree forms. Average fruit weight tended to be higher in OC trees. To stabilize tree vigor as well as to enhance fruiting by renovating tree forms, it is suggested that vigorous trees better be trained to an OC having fewer scaffolds, and that dense trees to a Y form.
Key words : Sweet persimmon, Tree form, Tree vigor, Yield efficiency

1. 연구목표
  
단감의 소비 확대와 국제경쟁력 향상을 위해 고품질과 생산과 생산비 절감이 강조되고 있으나 농촌의 노동력 부족, 노령화가 문제되고 있다. 따라서 광환경 개선 및 품질관리, 노동력 절감을 위해 주지수를 줄이거나 수고를 낮추는 수형갱신이 일반화되고 있다. 일본, 뉴질랜드, 호주 등 선진 농업국에서는 광환경 개선에 의한 품질 고급화 및 노동력 절감을 위하여 2본주지형 등 저수고 수형 재배가 실용화되어 있고, 수세안정을 위한 다각적인 연구가 되어 왔다(Fumuro와 Murata, 1988; George 등, 2003).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와 같이 강전정을 수반하는 저수고 수형갱신의 경우에는 나무세력이 강해져 과다한 도장지 발생, 착과량 감소와 같은 부작용이 생기기 쉽다. 수형갱신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갱신 방법이 수체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하나 단감의 경우 이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수형갱신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주지수를 줄여 변칙주간형 수형을 개심형과 Y자형으로 갱신했을 때 수체반응을 조사하여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도출코자 수행하였다.

2. 재료 및 방법
  
2003년 3월 25일에 경남 김해에 소재한 단감연구소 시험포장에서 열간 거리 6m, 주간거리 3m 정도로 재식되어 있는 8년생 '부유'(Diospyros kaki)를 대상으로 주지수를 줄여 수형갱신을 하였다. 이 때 처리를 하지 않고 그대로 두어 주지수가 5개인 나무들은 변칙주간형으로 유지하고, 3개를 남긴 것들은 개심형, 2개를 남긴 것들은 Y자형이 되도록 하였다(그림 1). 변칙주간형 나무에서는 지면에서 약 30∼120cm 높이 사이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5개의 주지가 나와 있었고, 주지들이 수직으로부터 분지된 각도는 30∼60°로 위쪽 가지일수록 각도가 좁은 형태였다. 개심형은 30∼60cm 높이에 3개의 주지가 서로 다른 방향에서 40∼60°의 분지 각도로 분포하였다. Y자형의 경우 30∼60cm 높이에 2개의 주지가 40∼60°의 각도로 분지되어 각각 남쪽과 북쪽을 향하도록 하였다. 전정 후 남은 1년생 가지 수가 착과량과 신초생장에 큰 영향을 주므로 동계전정이 끝난 후 남긴 1년생 가지의 수(2003, 2004년 3cm 이상, 2004년 5cm 이상 길이)를 조사한 결과 표 1과 같았다. 시험구는 반복당 1주를 공시하여 완전임의 6반복으로 배치하였다.

그림 1. 변칙주간형(A), 개심형(B), Y자형(C). 2006년 2월 6일 촬영

표 1. 전정 후 남은 1년생 가지수

수 형

2003년

2004년

2005년

변칙주간형

개 심 형

Y 자 형

152±12

110±31

93±20

246±24

175±44

197±51

155±11

113±14

108±20

  ♩표준편차

  처리 당시 시험수의 세력이 강하였으므로 기비로서 퇴비 또는 화학비료를 2003년과 2004년에는 시용하지 않았고 2005년에는 3월에 퇴비만 주당 20kg씩 시용하였다. 2003년부터 3년 동안 추비로는 황산칼리만 시용하였는데 매년 7월부터 8월 사이에 주당 약 100∼200g 씩 시용하였다. 결실조절을 위하여 5월에 결과지당 1∼2개 꽃봉오리를 남기고 적뢰를 하고 7월에는 2∼3년생 가지 단위로 엽과비 20 정도가 되도록 적과를 하였다.
  2003년 처리일과 매년 생육이 끝난 월동기에 접목부로부터 10cm 상단에서 간주를 재어 주간단면적을 산출하고 그 증가량을 구하였다. 생리적 낙과가 종료된 후 7월에 나무별로 50∼150개의 꽃이 맺혔던 2∼4개의 가지를 선택하여 착과수와 낙과수를 세어 착과율을 산출하였다. 신초 신장이 끝난 7월 하순 또는 월동기에 25±5cm 길이의 1년생 가지(결과모지)를 2003년 12개, 2004년과 2005년에는 20개씩 나무별로 선정하여 선단 신초장과 신초수를 조사하였다. 2004년과 2005년 3월에 동계전정을 하고 매년 7월 하순∼8월 중순에 도장지나 밀생한 가지를 솎는 하계전정을 하여 전정한 가지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하계전정 직전에는 수고와 수폭을 조사하고, 길이가 80cm인 도장지의 수를 세었다.
  과실수확은 2003년 10월 28일, 2004년 11월 3일, 2005년 11월 2일에 하여 총무게를 측정하고 각각 주당 30, 40, 35개씩 과실을 무작위로 골라 평균과중을 구하였다. 색도와 당도는 주당 20개씩의 과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는데, 색도는 휴대용 색도계(CM-508i, Minolta Co., Japan)를 사용하여 Hunter a 값을 구하였고, 당도는 굴절당도계(N1, Atago Co., Japan)로 측정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가. 수체 생장
  수형갱신 후 3년간의 주간단면적 증가량은 변칙주간형에서 가장 크고, Y자형에서 가장 작았지만 유의적인 수준은 아니었다(표 2). 주간단면적은 나무의 크기를 잘 대변한다고 알려져 있는데(Kim 등, 2003), Choi 등(2005)은 상서조생 감나무의 변칙주간형과 Y자형 수형을 비교한 시험에서 해가 지날수록 Y자형의 주간단면적 증가량이 작은 것을 보고한 바 있다. 이러한 결과는 주지수 감소가 신초수와 잎수에 영향을 주어 건물생산을 감소시켰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본 시험에서도 시간이 지날수록 그 차이가 크질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수고는 개심형과 Y자형구가 2.7m로 변칙주간형보다 20cm가 낮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수폭의 경우 주간 방향에서 Y자형구가 2.6m로 대조구보다 50cm이 작아 옆 나무와 가지가 닿는 가능성이 적어, 밀식 정도가 높을수록 Y자형이 유리할 수도 있음을 시사하였다.

표 2. 나무 크기

수 형

주간단면적 증가
(cm
2)

수고
(m)

수폭(m)

열간

주간

변칙주간형

개 심 형

Y 자 형

38.6 a

33.2 a

32.6 a

2.9 a

2.7 a

2.7 a

3.7 a

3.7 a

3.8 a

3.1 a

3.3 a

2.6 b

  ♩2003년 3월∼2005년 11월
  ♪DMRT(5%)

  수형에 따른 도장지 발생수는 2003년에 개심형구에서 적은 것을 제외하면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찾을 수 없었다(표 3). 그러나 3년간 Y자형구가 변칙주간형구보다 도장지가 더 많은 것을 감안하면 주지수에 따른 영향을 어느 정도 받은 것이 분명해 보였다. 일반적으로 강전정으로 인해 T/R률이 감소되면 도장지 발생이 많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orshey 등, 1992). 나무당 도장지 발생수에서 변칙주간형과 Y자형 나무 간의 차이가 크지 않았더라도, 주지 단위로 환산하면 Y자형 나무에서 훨씬 더 많아지기 때문에(Choi 등, 2005), 밀식과원에서 Y자형으로 수형을 갱신할 때에는 이러한 도장지의 발생을 줄이거나 도장지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선단신초장은 3년간 수형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결과모지당 신초수는 2003년에 개심형구에서만 유의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3. 신초생장

수 형

80cm 이상 도장지(개/주)

선단 신초장(cm)

결과모지당 신초수(개/지)

2003년

2004년

2005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3년

2004년

2005년

변칙주간형

개 심 형

Y 자 형

4.3 ab

2.2 b

7.3 a

5.0 a

6.6 a

6.8 a

11.2 a

14.2 a

12.7 a

36 a

35 a

38 a

30 a

31 a

31 a

32 a

33 a

32 a

5.5 ab

4.8 b

5.6 a

4.4 a

4.3 a

4.3 a

3.8 a

3.4 a

3.4 a

  ♩DMRT(5%)

  수형갱신 후 주당 신초수는 개심형과 Y자형 모두 변칙주간형구보다 유의적은 적은 것으로 나타나 주지수 감소로 나무 전체의 신초생장이 적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표 4). 이러한 결과는 표 2의 주간단면적 증가량에서 알 수 있듯이 장기적으로는 수체생장 감소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수관 확대가 충분히 이루어진 밀식 과원의 경우 수체생장량이 적은 것이 광환경이나 재배관리 측면에서 유리하다 할 수 있다. 즉, 나무크기가 작을 때 햇빛투과가 좋아져 꽃눈분화가 잘되며(Mowat과 George, 1994), 착과와 과실품질이 양호해진다(Yakushiji 등, 1997). 또한 적과, 수확, 전정, 병해충 방제 등의 작업도 수월해지기 때문이다.

표 4. 주당 신초수

수 형

2003년

2004년

2005년

변칙주간형

개 심 형

Y 자 형

554 a

373 b

377 b

469 a

367 b

381 b

382 a

312 b

277 b

  ♩DMRT(5%)

  나무 생장량의 일부인 전정량은 동계의 경우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었지만 주지수가 적은 수형일수록 감소하고, 하계전정량은 이와 반대 경향을 보였다(표 5). 특히 수형갱신 첫해인 2003년의 하계전정량이 Y자 수형구에서 많았다. 개심형이나 Y자형구에서 동계전정량이 적은 것은 전년의 신초 발생수가 상대적으로 적었기 때문(표 4)으로 해석된다. 주지가 적은 수형에서 하계전정량이 많은 것은 표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도장지 발생수가 비교적 많았던 것과 관련지을 수 있을 것이다.

표 5. 전정량

수 형

동계 전정량(kg/주)

하계 전정량(kg/주)

2004년

2005년

2003년

2004년

2005년

변칙주간형

개 심 형

Y 자 형

3.1 a

2.4 a

2.3 a

3.7 a

3.6 a

3.2 a

6.8 a

6.0 a

5.5 a

0.7 ab

0.5 b

1.2 a

1.1 a

1.2 a

1.4 a

2.4 a

2.9 a

2.7 a

4.2 a

4.6 a

5.3 a

  ♩DMRT(5%)

나. 착과 및 수량
  착과율은 Y자형구가 변칙주간형구보다 약간 높았으나 차이는 크지 않았다(표 6). 주당 수량은 3년간 변칙주간형구에서 가장 많았지만 유의적이 차이는 2003년에만 나타났다. 그 해에 변칙주간형구는 18.5kg으로 Y자형구보다 7.1kg이 많았다. 한편 생산효율은 개심형구에서 3년 모두 높아 밀식재배시 Y자형구보다 수량 측면에서 더 유리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그러나 도장지의 유인 활용(Choi 등, 1997), 전정이나 결실조절(Park 등, 1999) 등의 적용 방법에 따라 그 결과가 달라질 수도 있을 것이다.

표 6. 낙과율 및 수량

수 형

착과율(%)

주당 수량(kg)

생산효율(kg/TCSA cm2)

2003년

2004년

2005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3년

2004년

2005년

변칙주간형

개 심 형

Y 자 형

59 a

66 a

65 a

73 a

78 a

75 a

67 a

67 a

71 a

18.5 a

15.3 ab

11.4 b

25.7 a

22.2 a

25.5 a

32.2 a

31.9 a

22.7 a

0.29 a

0.33 a

0.16 b

0.35 a

0.36 a

0.36 a

0.37 ab

0.43 a

0.27 b

  ♩TCSA : 주간단면적
  ♪DMRT(5%)

다. 과실품질
  과실품질은 해에 따라 기복이 심하여 재배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음을 알 수 있다(표 7). 특히, 2003년의 경우 태풍으로 인한 낙엽피해로 과중, 색도, 당도가 모두 좋지 못하였다. 처리에 따른 영향을 살펴보면, 개심형구에서 3년 동안 과실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03년과 2004년의 경우 개심형구는 각각 201, 223g으로 변칙주간형구보다 16, 28g이 더 커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Y자형구는 2004년과 2005년에 변칙주간형구보다 큰 경향이었으나 2004년에만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색도는 2003년과 2004년에는 처리구간의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나 2005년에는 개심형과 Y자형 갱신구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높아 수형갱신에 따른 광환경 개선 효과 때문으로 생각되었다. 당도는 3년 동안 처리에 따른 일관된 경향을 찾을 수 없었다.

표 7. 과실 특성

수 형

평균과중(g)

색도(Hunter a)

당도(°Bx)

2003년

2004년

2005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3년

2004년

2005년

변칙주간형

개 심 형

Y 자 형

185 b

201 a

185 b

195 b

223 a

217 a

243 a

256 a

249 a

22.4 a

22.2 a

22.7 a

30.0 a

30.3 a

30.8 a

22.6 b

25.5 a

24.9 a

12.4 a

12.5 a

12.9 a

16.6 a

16.2 a

16.2 a

14.8 a

14.9 a

15.0 a

  ♩DMRT(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주지수를 줄여 개심형 또는 Y자형으로 수형을 갱신하면 수체생장 감소와 함께 수량도 약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효율과 과실특성 면에서 보면 3본 주지의 개심형구가 Y자형구보다 더 좋아 단기적으로 과원경영에 유리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Y자형구의 경우 주간 방향의 수폭이 작기 때문에(표 2), 본 시험의 주간 거리 3m보다 좁은 재식거리에서는 더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고, 해가 거듭될수록 밀식에 따른 영향을 다른 수형보다 적게 받을 수 있다. 또한 나무의 수형뿐만 아니라 전정기술, 시비, 토양관리, 결실관리와 같은 재배적 요인도 수세와 수량에 큰 영향을 주므로, 수형을 갱신할 때는 이러한 기술을 나무의 상태에 맞도록 적용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 적요
  
수형갱신이 밀식재배 단감나무의 수체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하여 변칙주간형(주지 5개)의 '부유' 나무를 개심형(주지 3개), Y자형(주지 2개)으로 갱신하여 3동안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가. 주간단면적 증가량, 주당 신초수 등을 감안하면 변칙주간형 나무의 수체생장이 가장
많았고 Y자형 나무가 가장 적었다.
  나. Y자형 나무에서 도장지 발생이 많은 경향이었으나 큰 차이는 아니었다.
  다. 주당 수량은 변칙주간형구에서 가장 많고 Y자형구에서 적었으나, 수량을 주간단면적으로 평준화시킨 생산효율은 개심형에서 가장 높았다.
  라. 과실 크기는 개심형구에서 약간 컸으나, 색도와 당도는 수형갱신에 따른 뚜렷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마. 밀식과원의 효율적인 과원 경영을 위해서는 주지수를 줄이는 수형갱신이 필요하나 수세안정과 수량 확보를 위해 전정, 비배관리, 결실조절 등의 재배기술을 다각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었다.

5. 인용문헌
  
Choi, Y.W., D. Cho, Y.M. Lee, J.H. Shu, C.H. Yun, S.S. Choi, and J.O. Shin. 1997. Active use of water sprouts to set fruits in a Fuyu persimmon (Diospyros kaki L.). Acta Hort. 436 : 267∼274.
  Choi, S.T., W.D. Song, G.M. Shon, C.W. Rho, and S.M. Kang. 2005. Early performance of 'Uenishiwase' persimmon trees on a Y-trellis training system. J. Kor. Soc. Hort. Sci. 46 : 255∼259.
  Forshey, C.G., D.C. Elfiving, and R.L. Stebbins. 1992. Training and pruning apple and pear trees. Amer. Soc. Hort. Sci. Press, Alexandria.
  Fumuro, M. and R. Murata. 1988. Feasible training systems for high density kaki (Japanese persimmon) orchard. 4. Effects of training systems on wood weight increment. Bull. Shiga. Agr. Expt. Sta. 29 : 16∼19.
  George, A.P., R.J. Nissen, A. Mowat, and R.J. Collins. 2003. Innovative production systems for non-astringent persimmon. Acta Hort. 601 : 151∼157.
  Kim, Y.G., S.J. Park, J.C. Kim, J.L. Cho, S.M. Kang, and Y.C. Lee. 2003. Estimation of growth by simple measurements in young trees of persimmon cv. Fuyu. Acta Hort. 601 : 79∼83.
  Mowat, A.D. and A.P. George. 1994. Handbook of environmental physiology of fruit crops. Volume Ⅰ. Temperate crops. CRC Press, FL, USA. p.216.
  Park, D.S., S.M. Kang, G.M. Shon, C.W. Ro, W.K. Shin. 1999. Growth and carbohydrate accumulation of shoots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Fuyu persimmon as affected by the size of bearing mother branches. J Kor. Soc. Hort. Sci. 40:455∼458.
  Yakushiji, H., K. Morinaga, and S. ono. 1997. Effect of different shading times on the fruit quality of 'Fuyu' Japanese persimmon (
Diospyros kaki L.). Acta Hort. 436 : 165∼168.

6. 연구결과 활용제목
  
변칙주간형을 개심형과 Y자형으로 갱신한 '부유' 감나무의 수체반응(논문투고)

'과일나무재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철 감밭 관리요령..  (0) 2007.10.31
겨울철 감나무밭 관리요령 ..  (0) 2007.10.31
감나무의 수형..  (0) 2007.10.31
감나무의 암꽃과 수꽃의 구분방법..  (0) 2007.10.26
대봉감 낙과발생 ..  (0) 2007.10.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