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명나방의 생태 및 방제

1. 이화명나방의 발생 추이

  이화명나방은 권업모범장 설치 이후 1970년대 초반까지 우리나라의 벼 해충 가운데 제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197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발생량이 점차 감소하였으며 1980년대 이후는 국지적으로 다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발생량 감소의 원인으로는 첫째, 조기 이앙으로 벼가 출수된 후 2화기 유충이 식입함으로써 유충의 침입율이 낮아지고 유충발육도 부진하게 된 점 둘째, 수확시기가 빨라져 충분히 발육하지 못한 상태에서 월동하게 되므로 월동율이 낮아져 이듬 해의 발생이 낮아진 점 셋째, 1960년대에는 농약의 사용량이 적었으나 1970년대 중반 이후 다수계의 보급과 다비․밀식을 함으로써 농약의 사용량이 증가하여 발생량이 적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수확의 기계화로 인하여 수확시 유충사망율이 높아졌고, 과거에는 수확 후에 볏짚을 쌓아 놓았으나 새마을 사업 이후에 초가지붕이 없어지고 볏짚을 가공하거나 잘게 썰어 퇴비를 만듦으로써 월동처가 적어졌기 때문에 발생이 줄었다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발생량의 전체적인 감소추세에도 불구하고 1980년대 중반 이후부터 국지적이기는 하지만 서서히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의 2화기 발생량은 유살수만 볼 때 과거 60년대보다 크게 감소하지 않았다는 것으로 보여주고 있다. 우리나라 벼 재배품종은 일반계에서 다수계로, 다수계에서 다시 일반계로 바뀌었으므로 이에 따라 이화명충의 발생도 변화할 것으로 추전된다.

  이화명나방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극동, 동남아세아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일본 북부지방에서는 연 1회, 남부지방에서는 연 3회 발생을 하기도 하나 대부분의 다른 분포지역과 우리나라에서는 연 2회 발생을 하고 있다. 명나방과에 속하며, 영명은 rice stem borer, 학명은 Chilo suppressalis Walker이다.


2. 이화명나방의 생태

 가. 발생 생태

  (1) 형태

  성충은 길이가 12㎜정도이고, 날개를 편 길이가 22㎜정도인 황회백색의 나방으로서 앞날개는 황회백색이고 외연에 7개의 흑색 점이 있으며, 뒷날개는 백색이다. 머리와 가슴은 담회색 내지 담갈색이고, 배는 회백색이다. 알은 1㎜정도의 납작한 타원형이며, 수십 개의 알을 기와지붕 모양의 무더기로 낳아 놓는다. 알의 표면은 교질로 덮여 있으며, 처음에는 유백색이지만 나중에는 황갈색으로 변하고, 부화직전에는 검은색으로 된다. 유충은 길이가 20㎜정도이고, 머리는 갈색이며, 큰턱은 암갈색이고, 배선, 측선, 지문선, 기문하선 등은 갈색이며, 배면과 다리는 모두 엷은 빛깔을 띠고 있다. 번데기는 길이가 13㎜정도로서 볏짚 속의 얇은 고치 안에 들어 있다.

 

 

 

 

 

이화명나방 성충

 

이화명나방 알 덩어리

 

이화명나방 월동 유충

 

이화명나방 1화기 피해

그림 1. 이화명나방의 각 태별 형태 및 피해


  (2) 생활사

  추운 지방인 함경도에서는 1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 졌으나 그 이외의 지방에서는 년 2회 발생한다. 다 자란 유충태로 볏짚이나 그루터기에서 월동하고, 휴면이 타파되는 4월 중순경부터 볏짚의 절단면 근처로 이동하여 탈출구를 마련하고 고치를 만드는데, 실을 토하여 전단구를 봉한 다음 번데기가 된다. 번데기기간은 10~14일이고, 제 1세대 성충은 5월 중순부터 발생하여 늦은 것은 7월 중순까지 나오며, 발생최성기는 6월 상순이다. 중부지방에서는 대개 본답 초기에 해당한다.

  제 1세대 성충은 오후 2시경부터 저녁에 걸쳐 우화하고, 수명은 8일 정도이며, 5~6일 동안 산란활동을 하는데, 활동 최성기는 오후 8~11시이다. 낮에는 잎 사이에 숨어 있다. 벼 잎에 물고기 비늘 모양으로 수십 개씩 알을 낳는데 5~6개의 무더기로 나누어 한 마리가 총 약 300개를 낳는다. 알기간은 7일이고, 부화유충은 즉시 실을 토하면서 바람에 날려 분산하고, 초기에는 외부의 잎집 속으로 먹어 들어가지만 결국에는 줄기 속으로 먹어 들어간다. 그 결과 잎집이 갈색으로 변하고, 이어 잎이 시들어 변색되며, 줄기 속으로 먹어 들어갔을 때에는 심엽이 시들고 변색된다. 난에서 부화된 유충은 다른 건전한 줄기로 이동하여 같은 행동을 반복한다. 다 자란 유충은 7월 중․하순경 줄기의 하부로 내려와 미리 반달 모양의 탈출공을 만들고, 줄기 속에서 번데기가 된다. 번데기기간은 10일 정도이고 8월 상순부터 제 2화기 성충이 나타나는데, 늦은 것은 9월 상순에 이르지만 발생 최성기는 8월 상순이다.

  제 2세대 성충은 잎집 또는 하엽의 뒷면에 280개의 알을 4~5무더기로 나누어 낳는다. 성충의 수명은 6일 정도이고 3~4일 동안 산란활동을 한다. 알기간은 6일이며, 부화유충은 제 1세대 유충과는 달리 분산하기 않고 잎집 내부에서 군식하여 그 부분이 적갈색으로 변한다. 7~10일이 지나 줄기가 말라죽으면 분산하여 다른 줄기로 먹어 들어가고, 결국 줄기 하나에 유충 1마리가 들어 있는 경우가 많고, 경우에 따라서는 줄기 하나에 여려 마리가 기생하는 수도 있다.


 나. 피해

  제 1세대 성충의 알에서 부화한 유충은 집단적으로 엽초에 침입한다. 유충이 침입한 엽초는 황갈색으로 변하며 이를 엽초변색경(葉鞘變色莖)이라고 부른다. 2~3령 까지는 엽초에서 집단으로 생활을 하며 3령부터는 분산하여 벼의 줄기 속으로 침입한다. 줄기 속으로 침입한 유충이 벼의 심부를 가해하면 전개 전의 신초가 고사하게 되며 이를 심고경(心枯莖)이라 한다. 2화기의 유충도 어릴 때에는 집단으로 벼의 유연한 조직에서 생활하나, 자라면서 분산하여 줄기를 가해하므로 이삭이 고사되며, 출수 직후의 고사는 백수(白穟)라고 한다. 출수 후 이삭이 여물면 백수는 되지 않으나 일부 이삭이 쭉정이가 된다. 1화기 유충에 의해서 벼의 줄기수가 감소하며, 2화기 유충에 의해서는 이삭수가 감소하여 수량감소를 초래한다.


3. 이화명나방의 방제

가. 요방제 수준 및 방제적기 결정

  이화명나방의 요방제 수준은 제 1세대는 엽초변색경율을 기준으로 8% 내외일 때, 제 2세대는 백수율로 2~3%로 보고 있지만, 이것은 피해가 나타난 이후 조사되므로 방제시기의 결정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피해가 나타나기 전에 난의 밀도조사를 함으로써 후에 발생하는 피해정도를 추정하는 것도 가능하나 아직 방법이 개발되지 않고 있다.

  방제적기의 예측은 발생형을 기본으로 한다. 야외에서 예찰등(豫察燈)에 의한 성충 발생소장 조사와 사육에 의한 실내조사로 발생시기, 발생량을 파악하고 재배조건, 발생정도, 사용약제, 다른 병해충 방제와의 연관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이화명나방은 유충시기에 분산되며, 이 시기가 방제적기로 1세대는 발아최성일 후 14±2일, 2세대 유충은 발아최성일 후 5~7일이 방제적기가 된다. 실제 방제여부를 결정하는데는 발생량과 피해와의 관계를 정확히 조사하여 결정하여야 하며, 발생이 많지 않은 곳에서는 주로 제 1세대 유충를 방제 대상으로 하고, 제 2세대 유충 방제는 생략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나. 화학적 방제

  위에서 언급한 대로 예찰 정보에 따라 방제하면 되며, 희석제는 방제적기에 처리하고 입제는 희석제보다 2~3일 앞당겨 처리하여야 한다. 10a 당 처리 약량은 1화기에는 벼가 작으므로 130ℓ(희석제), 3~4㎏(분, 입제), 2화기에는 150ℓ, 4~5㎏정도이나, 약제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농약포장지의 표기내용에 따라하면 된다. 등록된 농약은 카보입제 등 20여 종에 달한다.


참고 문헌

농촌진흥청, 1997, 벼 병해충 방제 총람

이승찬 등, 1991, 이화명나방의 발생양상 변동에 관한 연구, 한국응용곤충학회지

엄기백 등, 1991, 수도 해충의 종합적 방제, 응용곤충학 논총, pp. 16~65

(자료제공 : 농업과학기술원 농업해충과 이상계)

 

'수도작-벼농사 > 수도작-벼농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뽑기’ 너무 서두르지 마세요  (0) 2008.10.07
애멸구의 생태 및 방제   (0) 2008.09.21
흑미의 효능   (0) 2008.09.18
왕우렁이 관리요령   (0) 2008.09.18
도열병..  (0) 2008.09.05

 

 

 

◎ 검정약쌀의 효능 : 검정쌀이 암세포 제거와 위궤양 치료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고 발표.(전남대학교 농학과 황태익 교수) 또한 검정쌀에는 비타민 B.E가 일반쌀에 비해 4배이상 함유하고 있어서 당뇨병과 성인병 및 여성미용에도 효능이 있습니다.

◎ 압력밥솥을 사용할때는 일반쌀로 밥 짓는 요령과 비슷하고 전기밥솥을 사용할 때는 검정약찹쌀을
물에 한시 간 정도 불린 후 사용하면 된다. 검정약찹쌀은 일반쌀에 비해 비타민 B, E가 4배 이상 함유되어 있고 당뇨병등의 성인병 예방과 위장병 및 여성 미용에도 효능이 있다. 또 약찹쌀로 인절미를 만들어 먹으면 쫄깃한 맛과 향이 일품이다.

◎ 영양성분
검정약쌀(흑진주찰흑미)은 단백질은 100g당 9.88% 아미노산 0.54% 비타민b1 2.76mg 비타민b2 0.47mg 비타민b3 14mg 철 59.7mg 칼슘 162mg 아연18.3mg 망간 39.3mg셀레늄 0.13mg 이며
흑향미는 단백질11.58% 아미노산 0.40% 비타민b1 0.46mg 비타민b2 0.19mg 철 43.8mg
칼슘 166mg 등입니다.

◎ 비타민 B, E 등의 영양분이 많이 함유 되여 있어 건강식품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당뇨병 등 성인병과 위장병을 예방할 수 있고 여성 미용에도 효능이 있다고 합니다.

한방에서 검정색의 곡식은 간, 콩팥, 변비해소, 혈압조절에 좋다고 하지요.
흑미는 백미보다 칼슘과 비타민 B1 B2 나이아신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일부 흑미의 겨 층에는 황산화
및 발암억제효과가 있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습니다.


◎검정쌀에는 흑향미와 찰흑미 두 종류가 있습니다.

검정찹쌀(흑향미): 알이 약간 검붉으며 구수한향이 나며 찰기가있습니다.많이 넣어도 까만물이 안울어나죠.
검정약쌀(흑진주): 알이 아주검으며 때깔이 번쩍번쩍 윤이나며 구수한향과 찰기가 있으며 아주조금만 넣어도 까만물이 울어나는데 그물이 건강에 아주좋은 약물인데 이를 약쌀이라고 합니다.

'수도작-벼농사 > 수도작-벼농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멸구의 생태 및 방제   (0) 2008.09.21
이화명나방의 생태 및 방제   (0) 2008.09.21
왕우렁이 관리요령   (0) 2008.09.18
도열병..  (0) 2008.09.05
논(벼) 물떼기는 시기   (0) 2008.09.05

왕우렁이 관리요령

서    언

   일반적으로 “Golden kuhol(Pomacea canaliculata Lamarck)" 알려진 왕우렁이는 남아메리카원산(브라질과 아르헨티나)으로 타이완을 통하여 1982년과 1984년 사이에 필리핀에 도입되었다. 인간과 가축에 대한 왕우렁이의 높은 영양가치는 이 생물의 양식기반 확대에 국민과 개인 모두에게 흥미를 갖게 하였다. 그러나 도입된지 몇년 후 왕우렁이는 벼의 주요 해충이 되었다.

필리핀의 논 면적 300백만 ha중 1.2-1.6백만 ha에 왕우렁이가 퍼져 1990년 212백만 페소의 방제비용이 소모되었다. 왕우렁이가 벼의 주요 해충으로 등장하게 된 첫 기록은 2개 지역(Cagayan유역) 관개 수도작 농가에서 약 300ha가 심한 피해를 입은 1986년 이었다. 그후 왕우렁이 전파 논면적이 증가되어 국가의 골칫거리가 되었다.


성체 왕우렁이의 특징

■ 영양상태가 양호한 왕우렁이는 2-6년 동안 산다.

■ 껍질은 연한 갈색이며, 살집은 흰 크림색에서 황금빛 연분홍색 또는 주황색이다.

■ 크기는 먹이원에 따라 다르다.

■ 작물(벼)에 가장 치명적인 크기는 각고 10mm(대략 옥수수 종자 크기)에서 40mm(약 탁구공 크기) 정도이다.

■ 왕우렁이 암컷(a1)의 덮개딱지 모양은 오목한 반면, 수컷(a2)은 볼록하다.

■ 암컷(b1)의 성체 왕우렁이의 껍질은 안쪽으로 굽어져있고, 수컷(b2)은 바깥쪽으로 굽어있다.*

 

 *MS Dela Cruz, RC Joshi 및 AR Martin이 수행한 연구에 근거함.


피해 형태와 양상

■ 왕우렁이에 의한 벼 피해는 이앙후 15일 이내, 담수직파 후 4-30일 이내의 유묘에서 심하다.

왕우렁이는 유묘기 벼의 지제부를 가해하며, 밤새도록 논 전체의 유묘를 먹어 치울 수도 있다.

■ 농작물 전체를 먹어 치운다.

■ 수면위에 떠있는 잎을 잘라놓는다.



 ■ 알들은 밤에 수면위 식물체나 제방 뚝 및 물체(예를 들어 나뭇가지, 말뚝, 돌 등)에 낳는다.

 ■ 난괴들은 투명한 붉은 연분홍색에서 부화기 때에는 연한 연분홍색이 된다.

 ■ 알은 7-14일 이내에 부화된다.


부화된 유체와 성체

 ■ 부화된 유체는 빠르게 성장하며, 왕성한 식욕을 가지고 있다.

 ■ 성체의 교미 시간은 일년 내내 지속적으로 물이 공급된 식물들이 무성하게 밀생한 곳에서 하루 중 시각에 관계없이 3-4시간 이루어진다.

 ■ 왕우렁이는 번식이 빠르며, 한달에 1,000-1,200개의 알을 낳는다. 따라서 난괴를 파괴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제수단이다.


어디에서 서식하는가?

 ■ 연못, 늪지, 관개 논, 수로 및 침수 지역

 ■ 건조기에는 습윤한 땅속으로 들어간다. 6개월 동안 하면할 수 있으며, 토양에 물이 공급되면 다시 활동을 시작한다.

 ■ 오염된 물이나 수중 산소가 낮은 불리한 환경조건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


먹이 습성 및 기주범위

 ■ 왕우렁이는 조류, 아졸라, 좀개구리밥, 수중 히아신스, 유묘기 벼 및 기타 다육식물 등 광범위한 식물체들을 먹는다.

 ■ 왕우렁이는 치설을 가지고 식물체 잔재 표면의 연한 유식물체 부분을 선호한다.

 ■ 또한 분해된 유기물을 먹는다.


자연상태에서 발생되는 생물학적 방제자

 ■ 붉은 개미가 알을 먹는다.

 ■ 오리들은 어린껍질과 우렁이를 먹는다.

 ■ 인간들은 적절히 요리하여 우렁이를 먹는다.

 ■ 들쥐들이 껍질과 우렁이 살을 먹는다.


관리요령

포장 준비기간

 ■ 마지막 경운하기 전에 가장 왕성하게 활동하고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아침과 점심때에 왕우렁이를 인력으로 잡아낸다.

 ■ 왕우렁이에 유독한 물질이 함유된 식물체들을 이용한다.

  예를들어 gugo(나무껍질, Entada phaseikaudes K Meer), tubangkamisa(잎), sambong(잎, Blumea balsamifera), tuba-tuba(잎), 물달개비(잎, Monochoria vaginalis), 담배(잎, Nicotiana tabacum L), calamansi(잎, Citrus microcarpa Bunge), tubli(뿌리), makabuhay(잎, Tinospora rumphii Boerl) 및 고추(열매)

 

 

 ■ 취란화속 식물(잎, Calatropis giganta), 님나무(잎, Azadirachta indica) 및 asyang(Mikania cordata)을 포함한 그밖에 보고된 식물체들은 왕우렁이를 죽일 수 있는 물질들이 들어있다. 이들은 벼 이앙전에 사용할 것을 추천한다. 간단히 왕우렁이들을 가둬 넣기 위한 작은 수로들을 만들어 그곳에 상술한 식물들의 잎을 놓는다.

 ■ 왕우렁이들을 쉽게 수집하기 위해 토란(Colocasia esculenta), 바나나(Musa paradisica L.), 파파야(Carica papaya L.)와 나팔꽃의 잎 및 오래된 신문지들과 같은 물건들을 사용한다.

 ■ 마지막 경운하는 동안 무거운 물건이 들어있는 자루를 당겨 논에 최소한 깊이 5cm, 폭 25cm되는 통로를 만든다. 통로사이의 거리는 10-15m한다. 다시 논의 경계를 따라 깊이 5cm, 폭 25cm되는 작은 통로를 만든다.

 

  ■ 부화된 새끼와 성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 관개용수 유입구와 배출구에 철망이나 대나무로 엮은 망을 설치한다. 또한 이것은 왕우렁이들이 트랩에 걸려 수집하기가 쉽다.

 

이앙기간

 ■ 표준 파종율과 이앙거리를 유지함으로서 작물들은 튼튼한 줄기를 가질 것이다.

 ■ 만일 왕우렁이가 큰 문제가 되면 조생종은 25-30일 묘를 이앙한다.

 ■ 산악고지의 논농사 지역에서는 만생종의 30-35일 묘를 이앙한다.

 ■ 산란하려는 성체를 유인하기 위하여 수로 주변이나 침수된 지역의 논에 대나무 말뚝을 박는다. 이것은 난괴 수집이 용이하고, 눌러서 깨버리기 쉽다.

 ■ 이앙후 3일간 논물을 2-3cm로 낮게 유지한다.

 ■ 왕우렁이의 이동성과 섭식활동이 제한되도록 때때로 포장을 말린다.

 

 

 ■ 왕우렁이를 수집하여 요리하여 식용하거나, 분쇄하여 오리와 돼지의 사료로 급여한다.

 ■ PSB Rc36, Rc38, Rc40 및 Rc68 같은 왕우렁이의 선호도가 낮고, 분얼력이 높은 벼 품종을 사용한다.

 

수확후

 ■ 후작물을 위하여 마지막 경운할 때까지 수확직후 벼논에 즉시 오리를 투입시킨다. 이앙후 다시 오리를 조생종은 30-35일간, 만생종은 40-45일간 방사한다.

 

 

벼 생육단계를 근거한 종합관리 도표

  

재배전

작물 재배기

재배후

경지준비

생장기

번식기

성숙기

수확후

A

B와 C

D

E

   A = 오리방사, 인력제거, 배수로 정비, 유인식물체 이용, 난괴 파괴

   B = 오리방사, 인력제거, 망 트랩 설치, 말뚝, 난괴 파괴

   C = 물 관리, 인력제거, 유인식물체 이용, 난괴 파괴

   D = 지속적인 인력제거 및 성체와 알의 파괴

   E = 오리방사, 경지를 건조상태로 관리


상기 자료는 필리핀미작연구소 ISSN 0117-97991, 블리틴 No.33(2001)의 주요 내용을 번역(번역자: 친환경농업과 이상범)한 자료입니다

'수도작-벼농사 > 수도작-벼농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화명나방의 생태 및 방제   (0) 2008.09.21
흑미의 효능   (0) 2008.09.18
도열병..  (0) 2008.09.05
논(벼) 물떼기는 시기   (0) 2008.09.05
벼 직파재배 시비방법   (0) 2008.09.02


▶도열병에 걸려 죽은 벼이삭과 가지..
이 즈음, 논둑 길을 걷거나 때늦은 가을 피사리 하느라 논안에 들어가 보면..
드문드문, 도열병에 걸려 죽은 이삭이 보입니다.
벼에 있어, 도열병은 사람으로 말하자면 암癌에 비견될 만큼 '치명적'입니다.
잎 도열병은 '치유'가 가능하지만, 목도열병이나 가지도열, 알 도열은..
일단 그것이 걸린 다음엔 회복-수확이 불가능합니다.

잎 도열은, 볏 닢에 생기는 도열병이고..
목 도열은, 벼이삭에 생기며..
가지도열은 이삭에서 갈라져 나가는 곳에 생기고,
알 도열은, 다시 가지에서 벼 알로 갈라지는 곳에 생기는 병입니다.

그 중, 가장 무서운 것은 목도열입니다.
이삭은 이삭이되, 아무 것도 건질 수 없는 '헛 이삭',
결국은 쓸모 없는 쭉정이들의 모임, 그것이 목도열에 걸린 이삭입니다.

<관행 농법>에서 도열병은, 비료 양과 관련이 많은 것 같습니다.
비료(질소)를 많이 줘서, 벼가 정상정인 생장을 하기 어려울 때 도열병이 오는 것 같습니다.
이삭거름을 줄 즈음엔, 비료(밑거름, 가지거름)기운이 빠져서
벼 줄기의 색깔이 녹색을 중간으로 볼 때,
짙은 녹색 쪽이 아닌 옅은 녹색에 가까워야 도열병에 걸릴 위험이 줄어듭니다.

밑거름이 좀 부족한 듯 하기에, 이삭거름을 좀 더 줘서 그런지..
여기 저기, 벼 키나 색깔이 울물줄묵 크고 짙은 자라엔, 도열병 걸린 벼이삭이 보이곤 합니다.
게다가, 관행농법에서는 잎도열이나 목도열 예방을 위해, 농약을 최소한 한번쯤은 쳐야 할텐데,
그 마저도 하지 않고 보니 죽은 이삭, 가지가 눈에 뜨곤 합니다.
아직까지는 드러나지 않은 도열병 기운이, 더 이상은 나타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수도작-벼농사 > 수도작-벼농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흑미의 효능   (0) 2008.09.18
왕우렁이 관리요령   (0) 2008.09.18
논(벼) 물떼기는 시기   (0) 2008.09.05
벼 직파재배 시비방법   (0) 2008.09.02
벼농사 당면 병해충 방제 대책  (0) 2008.08.23

1. 이앙 후 ~ 활착시기(뿌리가 내리는 때) : 물을 가능한 깊이(3~5cm)로 대어주어 몸살을 막아 줌
2. 활착 후 ~ 참새끼 칠 때(이앙 후 약 45~50일경) : 물걸러대기(한번 댄 물이 완전히 잦아진 다음 다시 물을 대어주는 방법)로 가능하면 물을 얕게 대어주어 빨리 참새끼가 칠 수 있도록 함
3. 헛새끼 칠 때(이앙 후 약 45~50일경 ~ 어린이삭이 생기기 전) : 중간물떼기를 하여 헛새끼가 치는 것을 막아주고 땅속 벼 뿌리에 산소를 공급하며, 땅속의 유화수소와 같은 벼 뿌리를 해치는 유해가스를 발산시키고, 또한 벼 뿌리 근처의 따을 굳게하여 쓰러짐을 예방하도록 해야 함 
4. 어린이삭이 생길 때 ~ 이삭이 팬 후 45~50일경 : 물걸러대기를 하여 충분한 수분과 함께 산소를 공급시키도록 함
5. 이삭이 팬 후 50일 이후 :    완전물떼기를 하여 벼 수확이 용이토록 함

'수도작-벼농사 > 수도작-벼농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우렁이 관리요령   (0) 2008.09.18
도열병..  (0) 2008.09.05
벼 직파재배 시비방법   (0) 2008.09.02
벼농사 당면 병해충 방제 대책  (0) 2008.08.23
벼농사준비(직파재배,상토준비)   (0) 2008.08.22

벼 직파재배 시비방법

 

 

 

 

1. 시비량의 결정

 

시비량을 결정하는데 고려할 사항은 토양의 비옥도, 관개수의 종류 (천연공급량에 영향),기상환경(비료흡수량에 영향), 재배양식(건답직파, 담수직파)품종의 조만성과 내비성 등을 고려하여야 되며 비료의 종류에 따라 흡수 이용율 등이 달라진다. 특히, 건답직파시는 토성에 따라서도 비료의 용탈과유실이 다르므로 시비량이 달라 진다.

시비량의 이론적 계산은 목표수량을 생산하는데 소요되는 성분량에서 천연공급량을 제외하고 모자라는 것을 비료량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88년 농진청 보고에 의하면 현미 100kg생산하는데 필요한 질소량은 2.5kg, 인산 1.0kg, 칼리 2.3kg이므로 현미 500kg 생산을 목표로 할 때는 질소 12.5kg, 인산 5kg,칼리 11.5kg가 필요하게 된다.

비료의 천연공급량은 토양자체가 지니고 있는 량과 빗물, 관개수 등에 의하여 공급되는 량을 합하여 대체로 10a당 질소4.5kg(4.2~7.0kg), 인산3.7kg(1.1~4.9kg), 칼리4.8kg(3.4~6.0kg) 정도이고 비료의 흡수율은 질소 40~65%, 인산20%, 칼리50% 정도이며, 이론적 시비량 계산방법은 다음과 같다.

 

○ 이론적 시비량

 

(목표수량 생산을 위한 비료 성분량) - (10a당 비료천연 공급량) ÷ 비료흡수율

 

실제시비량은 토양의 조건이나 관개수의 수질에 따라 다르고 기상환경과 재배양식에 따라 비료의 용탈과 흡수이용율이 다르므로 이론적인 계산과 실제시비량간에 다소 차이가 있다. 따라서 실제 포장에서의 토양조건 및 재배양식별로 시비방법 시험을 실시 그 결과를 활용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표 1. 비료시비량 결정 계산방법의 실례(kg/10a)

비료

현미 500㎏/10a생산에 필요량

천연공급량(㎏)

흡수율(%)

시비시용량(㎏/10a)

질 소

인 산

가 리

12.5

5.0

11.5

5.9

3.6

7.5

0.6

0.2

0.5

11

7

8

 

2. 건답직파 시비방법

 

가. 시비량

건답직파는 마른 논 상태로 경운정지한 후 볍씨를 직접뿌려 잎이 3매 나왔을때 담수 (파종후 30~35일)하므로 물을 넣고 써레질 한 후 모를 심는것 보다 본논재배 기간이 길고 누수가 잘 되므로 질소 비료의 유실이 많아 40~50% 더 두어야 정상적인 생육이 가능하다. '87년도 농촌 진흥청의 중묘기계이앙 표준시비량은 평야지, 중간지의 경우 10a당 질소-인산-칼리=11-7-8kg, 사질답 습답은 13-8-10kg이었으나, 건답직파재배의 시비량 시험을 '90년도에 작시, 호시에서 실시한 결과에 의하면 15-7-8kg에서 수량성이 높았으므로 토성과 관계없이 이를 표준시비량으로 사용하였다.

한편 사양토에서는 건답직파시 비절현상이 심하여 이를 구명코자 '94년에 작시에서 토성(투수정도)별 시비량 시험을 실시한 결과 사양토, 양토 모두 10a당 질소를 18~21kg에서 이삭수 및 쌀수량이 높았는데 포장도복을 고려할 경우 적정질소 시비량은 누수가 심한 사양토는 18~21kg, 양토는 15~18kg 이었음(표 2참조)

한편 시비량의 결정은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토양의 비옥도, 품종 관개수질,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으며 과비시 과번무 현상으로 도체가 연약하게 자라고 도복의 위험과병충해가 많이 발생되므로 사양토 18~21kg, 양토는 15~18kg 범위가 안전하다고 본다. 인산과 칼리 비료는 이앙재배와 같이 7kg, 8kg임. 남부 2모작 논에서는 파종기가 늦어 생육기간이 짧고 전작물의 비료 잔효가 있어 질소는 9kg 전후('92 영시)가 알맞고, 인산, 칼리는 1, 2모작 관계없이 7kg, 8kg/10a가 적정 시비량이었다.

 

표 2. 질소시비량과 수량 ('94작시)

 

토성

시비량(㎏/10a)

입모수(개/㎡)

출수기(월.일)

이삭수(개/㎡)

쌀수량(㎏/10a)

도복정도(0-9)

사양토

(강서통)

12

15

18

21

167

163

172

157

8.18

8.18

8.18

8.19

301

317

380

404

429(100)

467(109)

499(116)

554(139)

0

1

3

양토

(신흥통)

12

15

18

21

159

165

172

163

8.18

8.18

8.18

8.19

355

392

428

440

447(100)

480(107)

553(124)

586(131)

0

3

5

* 화성벼, 4월 27일, 5kg/10a파종, 인산-칼리 : 7-8kg시용.

분시방법 : 밑거름(40%), 3~4엽기(30%), 이삭거름(30%)시용.

 

시비량

(㎏/10a)

보 통 논

미숙논(강원)

(청원통)

평균(%)

영시(덕평통)

경기(지산통)

경북(호남통)

경남(평택통)

0

 

10

15

20

100

(486㎏/10a)

122

133

134

100

(566)

121

129

124

100

(511)

117

132

137

100

(378)

124

142

153

100

(488)

125

132

130

100

(488)

125

132

130

표 3. 질소시비량에 따른 벼(정조) 수량성 ('94 농기연 종합)

* 완효성비료를 밑거름으로 시용하여 시비량과 시비회수 절감

 

나. 시비방법

 

시비방법에서 건답직파는 써레질을 하지 않고 밭상태로 파종하기 때문에 토양 공극이 많고 파종후 30일경 담수할 때 지하 침투량이 많아져서 비료분의 용탈이 많고 논에 볍씨를 직접 뿌리므로 모를 길러 이앙재배와는 생육 패턴이 현저히 다르기 때문에 비료 주는 시기도달라지므로 주의하여야 된다.

질소 주는 시기와 분시율은 1990년의 작물시험장과 호남작물시험장의 건답직파재배 시험성적에 의하면 시비시기는 기비-5엽기-출수전 25일에 나누어 주는데 분시율은 40-30-30% 또는 50-30-20%로 3회 분시구에서 쌀수량이 높아 이를 건답직파재배의 표준분시 방법으로적용하고 있다. 한편 토양조건(토성, 누수정도) 이 다르고, 입모기간이 길어(15~25일) 밑거름은 벼가 빨리 이용하기가 어렵고 그동안 비료가 용탈되므로 1994년 작물시험장에서 토성(투수조건)별 추비중점시비를 실시한 결과 양토, 사양토 모두 기비를 시용않고 3엽기-7엽기-수비로 40-30-30% 또는 기비-3엽기-7엽기-수비로 10-30-30-30%로 분시한 처리에서 높은수량을 보였다. 시험성적에서도 사질논은 같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누수가 심한논 또는 분얼기 비절이 심하여 수수확보가 어려운 논은 기비대신 3엽기 담수한 후 질소를 시용하는 것이 수수확보가 기비로 준 것 보다 용이하고 수량을 높일수 있었다 (표 4).

 

표 4. 질소 분시방법과 수량 ('94 작시)

질소 분시율

이삭수(개/㎡)

수량(㎏/10a)

가비

3잎 때

5잎 때

7잎 때

수비(%)

사양토

(강서통)

양 토

(신흥통)

사양토

(강서통)

양 토

(신흥통)

40

0

10

(70)

0

40

30

0

30

0

0

0

0

30

30

0

30

30

30

30

383

437

412

325

396

453

415

332

100(508)

106

109

94

100(522)

106

109

93

* 화성벼, 4월 27일, 5kg/10a 파종, 시비량 : 15-7-8kg/10a, ( )는 완효성비료임

 

3. 담수직패재배 시비방법

 

담수직파는 건답직파재배와는 달리 이앙재배와 같이 담수상태에서 써레질을 한 다음 이앙 대신 볍씨를 파종하므로 비료의 용탈이나 유실이 비교적 적으며 본논재배 기간이 다소긴편이다. 특히 담수직파재배는 이앙재배와 달리 벼뿌리가 표면에 분포하고 도복이 건답직파 보다도 약한 특성을 지니고 있고 무논골뿌림보다 담수표면직파에서 더욱 심한 경향이다. 따라서 담수직파재배의 시비관리는 보다 정밀을 요한다.

 

가. 시비량

담수직파재배의 시비량은 '91,'94년도의 작시, 호시, 전북도원 및 농기연 종합성적에 의하면 10a당 질소-인산-칼리를 11-7-8kg 시용에서 도복이 않되고 수량성도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는 어린모, 중묘, 기계이앙과 같은량으로 이앙재배와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단지 본답 생육기간이 길고, 토양조건에 따라 비절현상과 생육반응이 다르므로 이런 토양은 질소만 2~3kg 증비하는 것이 좋다. 즉, 보통논과 미숙토양은 질소 11~13kg, 사양질 토양은 13~15kg 범위내에서 생육상황을 참작하여 주는 것이 이상적이다.

 

표 5. 질소시비량에 따른 수량성(정조) ('94 농기연 종합)

질소시비량(㎏/10a)

호시(전북통)

충북(신흥통)

충남(신흥통)

호시(산파)

평균

0

6

11

16

100%(508)

115

135

138

100(407)

123

142

136

100(539)

119

135

145

100(626)

110

117

112

100(536)

116

131

132

 

나. 시비방법

 

질소분시방법은 보통논, 미숙논의 경우 건답직파재배와 같이 기비-5엽기-수비로 40-30-30% 3회 분시하는 것이 수량이 높았다. 누수가 심한 논은 기비를 주지않고 기비대신3엽기에 질소 40%를 주어도 수량차이는 없었다(표 6).

한편 완효성 복비를 70% 기비로 시용한 후 이삭거름으로 단비로 30% 또는 완효성 복비를 70% 주고 수비 30% 생략한 처리에서도 호남작시 성적에 의하면 수량성이 같거나 다소높은 경향인데 작시, 농시연 등은 오히려 다소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표 6). 완효성복비는비료용출 지속기간이 문제되고 있으며 현재 생산되는 완효성 비료는 비효 지속기간이50-60일 정도로 기비 한번만 주면 노력절감면에서 매우 유리하나 비효 지속기간이 짧으므로 새로운 비종의 개발과 재배시험이 더 보완되어야 하겠다.

따라서 직파재배 시비량과 분시방법은 품종 토양의 비옥토 관개수질, 재배환경에 따라차이가 있으므로, 모의 생육상황을 보아가면서 질소시비량을 10a당 건답직파재배는 15-18kg범위, 담수직파재배는 11-13kg 범위내에서 조절 시용하고 질소분시방법은 기비-4~5엽기-수비로=40-30-30%로 3회 분시 하는것이 좋은데 건답직파에서 누수가 심한 사양질토양은 3엽기-7엽기-수비로=40-30-30%로 시용하는 것이 비료의 유실이 적고 수량성도 높았다.

 

질소 분시방법(%)

출수기

(월.일)

벼키

(㎝)

도복정도

(0-9)

등숙비율

(%)

수량

(㎏/10a)

기비

3잎

5잎

수비

0

40

0

70

0

0

40

0

0

30

30

0

0

30

30

30

8.18

8.18

8.18

8.18

59

84

86

86

0

0

0

0

96.8

96.3

94.2

94.5

430(100%)

545(127)

532(124)

543(126)

완효성복비

(70-0-0-0)

8.19

90

0

96.3

560(130)

 

표 6. 질소 분시방법에 따른 생육상황 ('94 호시)

* 동진벼, 5월 1일 5kg/10a파종, 시비량 : 11-7-8kg/10a

벼농사 당면 병해충 방제 대책

      [당면 병해충 종합 방제대책 요약]

  ○  중점 방제시기

   ☞.1차 방제적기 : 2008년 8월 2일 ~ 8월 9일

   ☞.2차 방제적기 : 2008년 8월 12일 ~ 8월 19일

 ○  대상 병해충 : 흑명나방,멸구류,문고병,이삭도열병(예방위주)

 ○  방제대책

  [ 준조생. 중생종 : 풍미벼,화영벼,삼덕벼,고품벼 등

  [중만생종 : 일품벼,새추청벼,주남벼,남평벼,동진1호 등

 ※ 벼 출수기를 기준으로 8월 2일부터 흑명나방, 멸구류, 이삭도열병

     동시방제약 선택하여 중점방제

 ※ 문고병 미방제 논은 도열병,문고병,흑명나방위주 중점 방제

 

▣ 발생현황 요약

  ☞.흑명나방 : 현재 흑명나방은 건 장마로 인해 날아온 수가 높지 않아

                    잎 피해도 많지 않으나,지난 7월 19일을 중심으로 저기

                    압이 지나간 이 후 논에서 나방이 날고 있고 7월 25일

                    기준으로도 저기압이 지나가면서 성충이 날아올 가능성이

                    많아 8월 2일을 기준으로 잎을 똘똘말 가능성이 있어

                    방제소홀시 유충으로 인한 피해가 예상됨

  ☞.도열병 : 우리관내 일품벼 재배 면적이 늘어나 가을로 접어들면서

                 강우가 많을 경우 질소질 비료기가 많은 논에서 [이삭도열병]

                 발생 가능성이 많아 중생종 및 중만생종벼의 출수기 기준으로

                 예방위주의 방제가 필요함

 ※ 벼 예상출수기 : 중생종 8월12일 ~ 17일, 중만생종 8월20 ~ 8월 27일

  ☞. 문고병[잎집무늬마름병] : 아직까지는 발생밀도가 낮으나 계속되는

                고온과 더불어 방제를 한번도 하지 않은 과번무된 논에서는

                병무늬가 급속히 수직상승하면서 피해를 줄 가능성이 커지고

                있고 방제소홀시 등숙률 저하와 도복 등의 피해로 연결우려

  ☞. 멸구류 

     º 벼멸구 :우리군은 아직까지 발생이 미약하나 고온기라서 세대기간이

                  단축 될것으로 예상됨

     º 흰등멸구 : 장시형 성충 위주로 일부 발견됨

 

▣ 금후 발생전망 및 방제대책

  ☞.흑명나방 :1) 7월 19일에서 7월 25일에 지나간 저기압을 기준으로 기준하여

                    산란한 알에서 부화를 시작하는 7일후 부터 방제적기로 판단됨

                   2) 방제적기를 1차 8월2일~8월9일로 2차 8월12일~8월19일로

                       보고 흑면나방이 발견되는 포장에서는 알에서 깨어 나오는

                       유충을 대상으로 적용약제를 살포하여 방제

    ※ 피해잎이 2~3개 보이기 시작하는 1~3령 어린벌레 발생기에 적기방제

        해야 함(노숙약충 및 알은 방제 안됨)

                   2) 적용약제로 10일 간격으로 2회~3회 살포

  ☞.적용약제 : 런너, 흑명탄, 파탄, 팔콘, 미믹 등

  ☞.멸구류 : 멸구류는 아직까지는 밀도가 높지 않으나 현재 계속 유입되는

                 저기압의 영향으로 비래될 가능성이 높아 주의가 요망되며 금후

                 고온과 더불어 부화율이 높고 세대단축시 8월중 방제가 필요

  ☞.적용약제 : 밧사, 멸사리, 후라딘, 씨디알, 비피, 렐단, 메리트 등

  ☞.기타 나방류: 현제 줄점팔랑나방, 이화명나방, 부처나방등의 피해도

                      일부 발견되고 있어 주의가 요망됨

 ※ 흑명나방+멸구류 동시방제 약제

  ☞.명타자, 청실홍실, 명처방, 선호탄, 프로탄, 렐단, 메리트 등

 

  ☞.문고병(잎집무늬마름병)

    1) 무더운 날씨로 지난해보다 다소 빠르게 발생되었으며 생식생장기로

        접어 들면서 병무늬수직진전이 빨라질것으로 예상됨

    2) 방제 소홀할 경우 이삭이 팬 후에 등숙이 나빠지고 약한 비바람에도

        쓰러져 미질 저하 우려되므로 잎이 무성한 논을 중심으로 이삭 패기

        전 까지 이삭도열병과 동시방제

  ☞.적용약제 : 바리문, 몬카트, 알무리, 울타리, 영일바리문, 펜시쿠론 등

 

  ☞.(이삭)도열병 : 중생종 이삭패는 시기 8월 12일 이전, 중만생종 이삭패는

                        시기 8월 20일이전(강우 정도에 따라 발생 정도가 다르므로

                        기상상황에 유의)하면서 이삭패기 직전까지 침투이행성

                        입제나 수화제를 선택하여 정밀하게 방제하여야 예방이 됨

    - 입제 : 출수전 10~30일

    - 유 . 제 . 수화제 -1차 : 필지당 이삭이 2~3개 보일때

                           -2차 : 1차 방제후 5~7일경

                      [약제 형태별 이삭도열병 방제 적기]

  ☞. 입  제  : 후치왕, 오리자, 더존, 키타진 등 이삭패기 20~7일전 1회

  ☞.수화제 :솔라자, 프로왕, 올타, 다수왕 등 이삭패기 7일전~직전 1회

'수도작-벼농사 > 수도작-벼농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벼) 물떼기는 시기   (0) 2008.09.05
벼 직파재배 시비방법   (0) 2008.09.02
벼농사준비(직파재배,상토준비)   (0) 2008.08.22
수도작 재배기술(1)-기계이앙  (0) 2008.08.20
벼,쌀  (0) 2008.08.20

□ 상토준비
◇ 육묘상토 소요량
o 어린모 - 산파 : 상자당 3ℓ(10a당 15상자 기준 45ℓ)
o 중 모┌ 산파 : 상자당 5ℓ(10a당 30상자 기준 150ℓ)
o 조파 : 상자당 2.5ℓ(10a당 35상자 기준 87.5ℓ)
* 실 소요량이므로 10%정도 더 준비해야함
◇ 시판상토사용시 주의사항
o 시판상토는 비료성분함량이 다양하므로 반드시 비료 함유량 확인
o 새로운 시판상토를 사용할 경우에는 미리 시험재배하여 본 후 사용
o 상토구입시에는 피해발생에 대비하여 보상규정을 포함하여 계약

□ 종자 소독 및 파종
◇ 종자소독
o 종자를 소독하기전에 소금물가리기를 실시하여 우량종자만 선택
- 소금물가리기 : 비중 1.13 (물18ℓ + 소금 4.5kg)
o 종자로 전염되는 병해충
- 도열병, 키다리병, 깨씨무늬병, 벼잎선충 등
- 볍씨담그기 전에 약제별로 소독방법을 잘지켜서 소독하되 약액 온도를 10∼30℃ 정도로 유지
o 벼잎선충(斑點米) 발생이 많은 지역에서는 살충제로 종자 소독 실시
- 메프유제(스미치온, 호리치온), 다수진유제(다이아금,
다이아톤, 시니나), 펜치온유제(리바이짓드) 등
o 종자소독약 프로라츠유제(삼공스포탁, 스포탁)로 소독할 때는 볍씨를 한번만 소독하고, 베노람수화제(벤레이트티, 큰나락)도 가급적 한번만 사용하되 부득이 2회 사용시는 약량 보충

◇ 볍씨담그기
o 싹틔우기전에 충분히 담가주어 싹이 균일하게 트도록 함
o 적산온도 100℃기준으로 침종할 수온의 온도를 감안 하여 침종일수 결정 (10℃의 물에 담글 경우 10일)

◇ 싹틔우기
o 싹틔우기는 30∼32℃에서 2일정도(싹길이 1∼2mm) 실시

◇ 파 종
o 볍씨를 뿌릴 때에는 육묘방법에 따라 적정파종량을 지켜서 모내기 때 적정 모수가 심어지도록 함
o 중모를 배게 뿌리면 모가 연약해지고 특히 이앙시기가 늦어 질 때 모소질이 나빠지므로 알맞는 양 파종
- 모에 축적된 양분이 적음 : 새뿌리가 늦게 나오게 됨
- 활착지연 및 축적양분소모 : 새잎이 늦게 나오고 잘 자라지
않음
- 엽초내 전분 축적이 적어짐 : 줄기가 가늘어 지고 쓰러짐 및 병해충 저항성이 약해짐
o 기계모 일관파종기를 활용하여 파종 노력 절감
- 시간당 파종량 : 일관파종기 386 → 인력 67상자 (83% 절감)
o 볍씨 파종후에는 30∼32℃의 어두운 곳에서 2∼3일간 싹키우기 실시
- 싹길이 5∼10mm
o 파종한 모판을 1일정도 쌓아두어 간이 싹기르기를 한후
치상하여 싹이 고르게 나오도록 함
- 2모작용으로 5월 중순이후에 육묘할 때에는 싹 기르기 생략 가능

□ 중모모기르기
◇ 비닐피복 못자리 설치시기
o 못자리는 모내는 날을 미리 정하고 역산 (중모 25∼30일기준)하여 지역실정을 감안 적기내 못자리 설치
o 단위면적당 포기수 확보를 위하여 모내기 때 상자모가 부족

◇ 모판 치상 및 관리
o 모판의 땅고르기를 잘하여 모판 면과 상자가 잘 밀착되도록 하고 특히 조파상자는 눌러서 상토표면까지 수분이 올라 오도록 밀착하여 치상해야 함
o 치상할 때 상자와 터널 양측의 비닐과는 10cm 이상 거리유지
o 모판 물도랑에 물대기는 모판 바닥밑 2∼3cm 정도 유지
- 야간온도가 갑자기 내려가 냉해우려시 일시적으로 모키의 2/3정도 물대주기 실시
o 모내기 때 매트가 흐트러지거나 탑재판에서 밑으로 눌리지 않도록 모내기 5∼7일전에 못자리 물떼기 실시
- 육묘상자가 과습할 경우 매트가 흐트러지고 탑재판에서
밑부분으로 눌려 포기당 모수 증가 원인이 됨
o 생육이 부진할 경우 3번째 잎이 나왔을 때 (모내기 5∼7일전)상자당 질소 1∼2g(유안 5∼10g)을 100배의 물에 타서 추비 시용

□ 직파재배 적지
◇ 직파재배 가능지역
o 중북부 100m, 남부 200m이하의 논물 관리가 쉬운 수리안전지역
o 한계표고를 지키되 기상상황 등을 감안하여 재배 추진
o 한계표고 내에서도 찬물이 나는 논, 그늘이 많이 지는 곡간지,2모작 및 염농도 0.25% 이상의 염해논은 직파재배를 지양

◇ 건답건답줄뿌림 파종적기
o 건답줄뿌림재배는 일평균 평년기온이 13∼15℃ 되는 날짜를 기준하여 15일전에 파종이 가능함 (단, 조기파종시 싹나는 기간이 길어짐)
o 너무 일찍 파종하면 싹나오는 기간이 길어지고 잡초가 많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으며 파종시기가 늦을 경우 이삭이 늦게 패서 가을냉해 위험성이 있으므로 반드시 적기내 파종완료
o 파종적기 내에서 지역특성을 감안 파종기를 조절하여 노동력 분산 및 파종기계 효율 증대

* 평균온도 : 파종후 10일간 평년의 평균온도

◇ 파 종 량
o 파종량이 많으면 벼가 연약하고 웃자라게 되어 병해충 및 도복이 많아지므로 파종 기준량을 준수하되, 논의 비옥도,종자크기, 파종시기 등을 감안하여 알맞는 양 파종
o 건답직파 파종량(기준) : 4∼6kg/10a (적정 입모수 90∼150개/㎡)
- 파종기준량 : 평면줄뿌림 5∼6, 휴립줄뿌림 4∼5kg/10a

◇ 파종방법
o 논토양, 관배수 조건 등을 감안, 휴립 또는 평면줄뿌림하되 가급적 휴립줄뿌림하여 가뭄시 용수로, 강우시 배수로로 이용하여 입모율 향상
o 평면줄뿌림은 논바닥 고저차가 심할 경우 배수가 잘 안되어 벼알이 썩는 등 입모가 불균일해지고 제초효과가 떨어지는등 생육에 지장이 있으므로 정밀한 논고르기 작업 실시
o 평면줄뿌림한 논은 파종즉시 논두렁 주위 및 중앙에 토성, 배수여건 등을 감안하여 2∼5m 간격으로 배수구 설치
- 강우 또는 인접 이앙논의 물이 스며들어 침관수에 의한 입모불량방지
- 가물때는 고랑에 관수하여 입모율과 모생육 균일도 향상
- 파종후 침수된 논은 입모균일도, ㎡당 입모수, 발아 안된 벼종자의 부패여부 등을 종합판단하여 재파종 또는 기계이앙 여부 결정
o 휴립줄뿌림을 할 때 배토기에서 좌우 1번 파종장치를 2번 파종장치쪽으로 3cm를 앞당겨 1번줄과 2번줄간격을 20→17cm로 조정하여 파종하면 고랑부분의 양쪽 첫째 파종골에서 종자가 흘러 내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입모율이 향상됨
o 건답점뿌림은 1포기에 7∼8개의 종자가 동시에 파종되어 싹이 나오므로 포기경합에 의해 헛새끼치기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유효이삭수 확보에 유리하며 웃자람을 방지할 수 있음
- 점뿌림은 줄뿌림보다 쓰러짐에 관련되는 형질이 양호하며 파종 당시 소요 노동시간이 트랙타 부착시 건답줄뿌림과 거의 동일함

o 이앙재배에 비하여 본논기간이 길고 비료의 유실이 많으므로 질소 비료량을 40∼50% 더 주되, 질소비료를 많이 주면 쓰러질 우려가 크므로 반드시 기준량 이내에서 벼 생육 상태에 따라 조절
o 완효성비료를 밑거름으로 주어 비료주는 양과 횟수 절감
- 후기 비절현상이 나타나는 논은 관행시비량의 20%를 이삭거름(단비) 시용 : 수량 6% 증가.
- 완효성복비를 밑거름으로 70%를 전층시비(58.3kg/10a)하고 새끼칠거름으로 10a당 요소 9.8kg을 4∼5엽기에 줄 때는 이삭거름은 주지 않아도 수량차이가 거의 없었음.
o질소비료는 토성에 따라 밑거름-3잎때-5∼7잎때-이삭거름으로10-30-30-30% 또는 40-0-30-30% 나누어주거나,3잎때-5∼7잎때-이삭거름으로 40-30-30% 나누어주는 등 벼 생육상태에 따라 조절함
- 볏짚을 준 후 질소를 3회 나누어 주면 (기비-5엽기- 수비:40-30-30%)질소이용율 및 수량 증가와 환경오염을 방지 할 수 있음
o 인산과 가리는 10a당 각각 4.5kg과 5.7kg을 기준량으로 하고, 인산은 전량 밑거름, 가리는 밑거름 70% 이삭거름 30% 기준으로 나누어 줌
- 인산은 토양검정을 한 결과에 따라 적정량을 주어 인산 과다 집적방지

◇ 직파재배 물관리
o 휴립줄뿌림에서 가뭄이 계속될 때 파종후 고랑에만 물을 대어 싹나오는 시기를 앞당 겨 입모율 향상 및 잡초방제 효과 제고
- 파종상면에 물이 올라가 침수상태가 되지 않도록 주의
o 평면줄뿌림에서는 물이 고일 경우 발아가 불량하므로 2∼5m 간격으로 배수구를 반드시 설치하여 싹이 나올 때 까지는 강우시에도 절대 침수가 되지 않도록 특별 대책 강구
o 평면줄뿌림후 가물거나 식질토양은 물대기 전에 2∼3회 일시적으로 물을 댄 다음 배수하여 싹이 잘 나오도록 함
o 벼가 1잎정도 되면 조기에 전면에 물을 대 줌
- 조기담수시 물댄직후 제초제를 살포하면 약해가 우려되므로 물댄후 10일경에 적용 입제 제초제 살포
- 비선택성 제초제 등 경엽처리제초제를 살포한 경우에는 물대기를 늦추어 약해 방지
o 건답줄뿌림시 논두렁에서 누수가 심할 경우에는 가장자리에 기계이앙이나 담수표면뿌림을 하여 누수방지
o 논물을 댄후 20일부터 10일간격으로 중간물떼기를 2∼3회 실천하여 쓰러짐 방지

'수도작-벼농사 > 수도작-벼농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벼 직파재배 시비방법   (0) 2008.09.02
벼농사 당면 병해충 방제 대책  (0) 2008.08.23
수도작 재배기술(1)-기계이앙  (0) 2008.08.20
벼,쌀  (0) 2008.08.20
고품질 쌀 재배기술   (0) 2008.08.14

육묘

 

육묘일반


육묘방법 : 육묘장소에 따라
  못자리를 만들어 육묘하는 못자리 육묘(중묘)와 못자리 없이 실내에서 다단식으로 육묘하는 실내육묘(어린모)로 구분함






보온절충자리(중묘) : 파종한 육묘상자를 못자리에 치상하고 비닐을 덮어 육묘함.


  - 상토준비 → 종자준비 → 파 종 → 최 아 → 출 아 → 녹화 → 경화및 육묘관리


상토준비
  - 상토량 : 산파 - 5ℓ, 조파 - 2.5ℓ/상자
  - 적정 pH : 4.5∼5.5

종자준비 : 침종 - 적산온도 100℃ 기준 (15℃에서 7일간)

파종
 
파 종 량
(g/상자)
육묘기간
(일)
소요 상자수
(개/ha)
육묘 노력
(시간/ha)
110~130
30~35
300
71
최 아 : 30∼32℃에서 2일간

출 아 : 32℃에서 2일간 (암흑상태)

녹 화 : 25/20℃(주/야)에서 2일간 (약광상태 - 35klux)

경화 및 육묘관리 : 25∼31일


※ 보온절충못자리의 작업과정


파 종
출 아
(2일)40
녹 화
(2일)
경화 및 못자리 관리
(25~31일)
이 앙



육묘일수에 의한 모 종류 구분

모 종 류
육묘일수
(일)
파 종 량
(g/상자)
상자 소요량
(개/10a)
어 린 모
8~10
200~220
15~18
치   묘
20~25
150~180
20~25
중   묘
30~35
110~130
30~35


모 종류별 모소질 비교

구 분
어린모
치  묘
중  묘
  초  장(cm)
5~8
10~15
15~20
  본 잎 수(매)
1.5~2.0
2.0~2.5
3.5~4.5
  지상부건물중(mg/개)
7.0~9.5
10~15
20~30
  배유잔존량(%)
30~50
10%내외
0
  출수지연일수(일)
3~5
1~2
0





부직포못자리(중묘) : 파종한 상자를 못자리에 치상하고 부직포를 덮어 육묘함.


 
못자리 육묘광경
(부직포 못자리) (보온절충못자리)
 
이앙당시 모 생육
(부직포 못자리) (보온절충못자리)


부직포 못자리의 장점

구 분
보온절충못자리
부직포못자리
- 설치 방법

- 통풍 순화작업

- 온도 피해

- 육묘자재 사용

- 육묘노력 절감효과

- 자재 비용
활죽과 비닐 사용

필요함

고온장해 우려, 저온장해예방

재활용 불가

7.5시간/10a(100%)

6,200원/10a(100%)
부직포만 씌움

필요 없음

공온장해 예방, 저온장해 우려

2~3년간 재활용 가능

5.4시간(72%)

3,200원(52%)


보온절충식과 부직포 못자리 설치비교


- 보온절충못자리

 


- 부직포 못자리

 


육묘방법

 

육묘관리 요령

  - 적정 부직포 규격 : 무게 40g/㎡, 차광율 30% 정도

  -모판 설치 및 관리
   : 배수가 잘 되도록 고랑을 깊게 설치
   : 모가 자람에 따라 부직포가 들리도록 하여 모의 식상 방지

  -부직포 제거시기 : 이앙 전 7∼10일(1모작 3엽기, 2모작 2엽기)
※ 지역별 기상을 감안하여 조정 가능


부직포 못자리 적응지역 및 파종 조한기

부직포 못자리의 문제점

  -조기 파종시 낮은 보온 효과 → 저온피해 우려
  -평면설치 → 침관수시 발아 불량 등 우려





마른 못자리(중묘) : 흙이 담긴 육묘상자를 마른 못자리에 배치한 후 파종하고비닐을 덮어 육묘함


본답 로타리 정지작업
 
육묘상자 치상, 파종 및 복토
   
관 수
 
활축설치 및 비닐피복


마른 못자리 노력 절감 효과

구 분
관 행
마른모판
상자 배치

관 수

파 종

복 토

상자쌓기(최아작업)

못자리 치상

비닐 덮기
0.9(작업사)

0.38

4.52

1.13

4.80

5.82

4.79
2.56(못자리)

-

4.55

1.57

-

-

2.68
22.34시간/300상자
(100%)
11.36시간/300상자
(51%)


보온절충식과 마른못자리 설치방법 비교


- 보온절충못자리


- 마른못자리


마른못자리의 문제점 및 대책

문 제 점
개 선 방 안
- 출아 불균일

- 성묘육이 떨어짐

- 파종후 관수방법 미 확립

- 출아시 복토가 들뜸
- 못자리 균평 철저

- 파종량 10% 정도 증가 (130g → 150g/상자)

- 비닐 피복후 고랑사이로 물을 충분히 관수

- 출아후 전면 관수후 배수





실내육묘(어린모) : 실내에서 자동화된 시스템에 의하여 파종하여 못자리를 만들 필요 없이 실내에서 선               반식으로 다단 육묘함


파종 일년장치에 의한 종자파종
(상자 흙담기+물주기+파종+복토)
 
출아과정
   
경화과정(다단식)
 
녹화과정


어린모의 특징 및 육묘자동화 효과

구 분
관 행
마른모판
파종량(g/상자)

육묘기간(일)

소요상자수(개/ha)

육묘노력(시간/ha)
110~130

30~35

300

71
2.56(못자리)

-

4.55

1.57


중묘와 어린모 육묘 과정 비교


- 중묘(30~35일)

 


- 어린모

 

 

 

이앙

 

기계이앙은 최근 보급되고 있는 6조식 승용이앙기 등 기계 이앙기를 이용하며, 지대별로 품종을 안배하여 적정한 이앙시기에 적정 포기수를 준수하여 모내기한다.

지대별 이앙적기
구 분
지 역 별
조생종
중생종
중만생종
중 묘
북부(한강이북)

중부(수원)

중남부(대전)

남부(익산, 대구)

극남부(광주, 진주)
5.15~5.30

5.10~6. 5

5.10~6.10

5. 5~6.15

5. 1~6.20
-

5.10~5.30

5.10~6. 5

5. 5~6.10

5. 1~6.15
-

5.10~5.25

5.10~5.30

5. 5~ 6. 5

5. 1~6.10
어린모
북부(한강이북)

중부(수원)

중남부(대전)

남부(익산, 대구)

극남부(광주, 진주)
5.15~5.25

5.10~5.30

5.10~6. 5

5. 5~6.10

5. 1~6.15
-

5.10~5.25

5.10~5.30

5. 5~6. 5

5. 1~6.10
-

5.10~5.20

5.10~5.25

5. 5~5.30

5.1~6. 5

지대별 적정 포기수
지대구분
평당 포기수
포기당 모수
산간고랭지, 늦가꾸기

중산간지, 염해지, 영동지방

중간지, 보리뒷그루

평야지 1모작

채소뒷그루

검을줄무늬오갈병 상습지
110~130

90~110

80~90

75~85

85~95

80~90
6~7

5~6

4~5

3~4

5~6

7

레이저 균평기에 의한 논 표면 고르기

레이저 균평기를 이용하면 논바닥을 보다 편평하게 고를 수 있으므로 이앙 후 결주나 뜬모 발생이 적고, 정밀한 관리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잡초방제

 

벼 기계이앙재배의 잡초방제는 방제적기에 잡초의 발생정도나 발생 종류에 따라 1회 기본방제 하거나 2회 체계처리한다.

제초제 뿌리는 시기 및 제초제 종류
뿌리는 시기
제초제 종류
① 써레질 직후 론스타, 솔네트, 솔네트엠
② 모낸 후 5~7일 푸로미, 크리논, 사단, 마세트, 마끼새, 매끄란, 명장, 깔끄미,

한들, 솔네트, 솔네트엠, 푸마시, 풀하얀, 만드리, 골드논,

황금들, 말끄미, 스쿠프, 품하나
③ 모낸 후 10일경 5~10일 두배논, 직파매, 옥토, 만수레, 논두렁
7~12일 만석군, 올방피, 풀사리, 살초왕, 한손
10~12일 김안매, 풀그만, 논풍, 슈퍼유나니
④ 모낸 후 15일경 10~15일 포도대장, 노난매, 손노리, 단도리, 만냥, 풀박사, 마무리, 부자논
12~15일 마그마, 한수위, 크닐손, 마다들, 그만매
⑤ 모낸 후 25일경 큰일군
⑥유수형성기

 전까지
㉮ 1차 후 15일 정일품, 단골, 하이킬, 풀뚝, 피안커
㉯ 1차 후 20일 암행어사, 수문장, 논지기, 논다매, 장손, 큰소리, 포도대장
㉰ 1차 후 25일 큰일군
㉱ 모낸 후 20~30일 밧사그란액제
* 갈색은 어린모 적용 제초제이며, 써레질 기준으로 뿌릴 때는 2일 정도 앞당겨 뿌림

제초제 뿌리는 방법

- 잡초발생이 보통인 논 : 한 번 뿌린다.
☞ 위 표의 ①, ②, ③, ④, ⑤ 중에서 선택하여 한 번 뿌림
☞ 단, 1년생 제초제를 뿌린 논은 잡초발생 정도에 따라 ⑥의 ㉯를 한 번 더 뿌림

- 지난 해에 피 등 잡초가 많이 발생했던 논 : 두 번 뿌린다.
☞ 위 표의 ①, ②, ③, ④ 중에서 선택하여 한 번 뿌린 후,
☞ ⑥의 ㉮, ㉯, ㉰ 중에서 선택하여 한 번 더 뿌림

-후기에 광엽잡초가 많이 발생하는 논 : 두 번 뿌린다.
☞ 위 표의 ①, ②, ③, ④ 중에서 선택하여 한 번 뿌린 후,
☞ ⑥의 ㉱를 한 번 더 뿌림

 

시비


벼 기계이앙 재배의 시비방법은 벼 재배의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기술로서 지역적인 기상, 토질, 물관리 방법, 벼의 생육단계 및 상태, 벼 재배양식 등에 따라 각기 다른 시비가 이루어져야 한다

비료 3요소의 역할

o 질 소 : 잎, 줄기, 뿌리 등 식물의 몸체를 만드는 주성분

o 인 산 : 세포핵의 주성분인 핵산에 존재하며, 세포분열이 왕성한 벼 분얼기의 분얼증가에 필요함

o 칼 리 : 아미노산으로부터 단백질을 합성할 때, 또는 당에서 전분을 합성하는 데 필요한 성분임

비료의 사용법

o 질소질 비료

- 기비(밑거름) : 논을 정지하기 전 논 표면에 고루 뿌리고, 로타리하여 전층시 비가 되도록 함

- 분얼비(새끼칠 거름) : 이삭수 확보를 한 분얼수의 증가를 위하여 뿌리는 비 료로서, 일반적으로 이앙 후 12∼14일에 시용함

- 수비(이삭거름) : 한 이삭당 벼알 수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주는 비료로서, 보 통 어린 이삭이 형성되는 이삭패기 전 25일 경에 뿌림

- 실비(알거름) : 벼알의 여뭄을 촉진하기 위하여 시용하는 비료로서, 이삭이 80% 정도 출수했을 때 시용함

o 인산질 비료 : 기비로 전량 시용함

o 칼리질 비료
: 기비 70%, 수비 30%로 나누어 줌

비료 시용시 주의사항

o 토양검정 결과에 의한 적정량의 비료 시용

o 관정수 등 찬 물이 유입되는 논은 인산 및 칼리 증비

o 객토, 개간, 경지정리, 깊이 간 논은 질소, 인산, 칼리를 20∼30% 증비

o 일조시간이 적은 논, 냉해나 침관수 및 도복발생 상습지는 질소 20∼30% 감비, 인산 및 칼리 20∼30% 증비

지대 및 논 유형별 시비기준(kg/10a)
지 대
논유형
시비량(성분량)
질소
인산
칼리
평야지 및 중간지(표고 250m 이하)
보통논, 미숙논
11
4.5
5.7
모래논, 고 논
13
5.1
7.1
중산간지 및 냉조풍지(250~400m)
-
11
6.4
7.8
산간고랭지(400m 이상)
-
11
7.7
9.3
간 척 지
염 해 논
20
5.1
5.7

비료 나누어주는 비율(%)
구 분
기 비
분얼비
수 비
실 비


평야지

중간지
보통논

미숙논
제때모내기

늦모내기
50

70
20

-
20

20
10

10
모래논, 고논
50
20
20
10
중산간지 및 냉조풍지

산간고랭지

만기재배

염 해 지
60

80

80

20
20

20

-

20, 20
20

-

20

20, 10
-

-

-

10
인 산
100
-
-
-


일 반 논

염 해 논
70

40
-

30
30

30
-

-
※ 염해논의 질소 분얼비는 모낸 후 12일과 24일에 시용하며, 질소 수비 시용시기는 이삭이 패기 전 24일 전임

물관리

 

 

벼에 공급되는 물은 벼 생장의 조절, 양분흡수의 조절, 논 토양의 산화와 환원 조절, 토양 중의 유해물질 발생 또는 배제, 지온과 수온의 조절, 농약의 약효증대, 잡초발생의 억제 등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물의 적정한 공급 뿐 아니라 배수 또한 근권으로의 산소 공급, 벼 뿌리활력의 증진, 토양 중 유해물질의 배제 등에서 중요함

용수량이란 ?

o 벼의 생육기간 중 인위적으로 공급해 주어야 하는 물의 양을 의미함

o 용수량의 산출 : 벼 식물체가 필요로 하는 물과, 기상 및 토양 특성에 따른 손실량에서 강우에 의하여 공급되는 물 양을 제외한 관개수량임

※ 용수량 = 엽면증산량 + 수면(지면)증발량 + 지하침투량 + 정지작업시
       필요한 관개수량 - 유효강우량(강우량의 70% 내외)
벼 생육기간 중 용수량 비육

벼 생육시기별 물관리 요령
생육시기
물관리 요령
물깊이(cm)
효 과
이 앙 기
앝게 댈 것
2~3
모를 얕게 심게 됨
활 착 기
깊게 댈 것
5~7
식상경감, 증산억제, 활착촉진
분얼성기
앝게 댈 것
2~3
분얼촉진
무효분얼기
중간물떼기(5~10일간)
0
무효분얼억제, 유해물질제거, 도복방지
생식생장기
물 걸러대기(3일 관수, 2일 배수)
2~4
뿌리활력 증진, 유해물질 제거
출 수 기
보통 깊이
3~4
꽃가루받이 촉진
등 숙 기
물 걸러대기(3일 관수, 2일 배수)
2~3
등숙양호, 뿌리기능 유지, 유해물질 제거
낙 수 기
완적낙수(출수 후 35일 전후)
0
쌀 품질 증진, 농작업 편리


 

 


 

'수도작-벼농사 > 수도작-벼농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벼농사 당면 병해충 방제 대책  (0) 2008.08.23
벼농사준비(직파재배,상토준비)   (0) 2008.08.22
벼,쌀  (0) 2008.08.20
고품질 쌀 재배기술   (0) 2008.08.14
벼품종별 주요특성   (0) 2008.08.14

국어

  벼, 나락, 쌀

학명

  O. sativa L.(아시아 벼), O. glaberrima S.(아프리카 벼)

영명

  rice, paddy-field rice, lowland rice, swamp rice, upland rice

한명

  稻, 水稻, (keng),(hsien),(tu), 租, 米

일명

  イネ(ine)


쌀과 벼는 그 뜻이 어떻게 다를까요?
벼는 두 가지 뜻으로 사용되어 집니다.
   1. 벼 식물체를 가리킵니다.
      (예 ; 논에 벼가 자라고 있다)
   2. 벼 식물체의 성숙된 열매, 즉, 벼알을 가리키기도 합니다.
    - 그 벼알을 나락, 벼톨이라고도 합니다.
    - 벼알은 겉껍질인 왕겨와 속알맹이인 현미로 되어 있습니다.

쌀은 벼알의 겉껍질인 왕겨와 현미의 겨층 (종피 및 호분층)을 제거    한 흰 쌀을 말하는데 백미라고도 부릅니다. 겨층을 제거한 정도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나누어집니다.
     정 백 미: 현미에서 겨층과 씨눈이 거의 제거되어 무게비
     92% 이내로 곱게 찧은 쌀을 말함.
     7분도미:; 씨눈이 70% 정도 남게 찧어 무게비 95%
     찧은 쌀을 말함
     5분도미 씨눈이 거의 대부분 남게 되어 무게비 97% 정도
     찧은 쌀을 말함.

다양한 벼 유전자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