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품종의 정의와 종류
      소의 품종이란 소의 외모적인 특성, 즉 모색(毛色), 체형(體型), 체격(體格)등과 소의 생산능력 등이 유전적으로 비교적 같은 무리의 집단을 말한다.
           
    표 1. 세계의 소 품종
   
구 분
유럽계통
인도계통
잡 종
(유럽계×인도계)
  유 용 종
  육 용 종
  겸용종(유,육)
  역 용 종
  역용 및 육겸용종
  역용 및 유겸용종
  역용, 유, 육겸용종
  공인된 품종
  재 래 종
80
26
61
10
27
 8
87
194
105
3
10
2
24
8
15
59
54
67
 3
10
 2
 1
 2
-
11
 3
26
86
46
65
35
37
23
157 
251 
198  
총 계
499
121  
29
449 
    자료 : Krauslich(1981)
           
      세계적으로 소 품종의 종류를 보면 소를 사육하는 목적에 따라 고기를 생산하는 순수한 육용종만도 46개 품종에 이르고 그 외에 유용종, 역용종, 겸용종 및 재래종을 합하면 무려 449개 품종에 이른다고 한다.
  소 품종은 원산지나 그 외 입지조건, 형태적 특징으로 분류하기도 하나 소를 사육하는 목적 즉 용도에 따른 분류가 흔히 사용되고 있다. 우유생산을 주로 하는 소는 유용종(乳用種), 고기생산이 주인 육용종(肉用種), 일을 하는데 이용되는 역용종(役用種), 용도를 겸하고 있는 겸용종(兼用種)이 있는데 이에는 우유와 고기 생산을 겸한 유육(乳肉) 겸용종, 우유와 일을 겸한 유역(乳役)겸용종, 일과 고기를 겸한 역육(役肉)겸용종 등으로 분류하는 것이 대단히 많다.
  아시아나 아프리카의 개발 도상국가에서는 주로 일소가 매우 중요하나 축산선진국에서는 2차대전 후 농업기계의  보급으로 일소가 없고 유럽 각국에서도 유용, 유육 겸용종에서 착유를 한다.
  그러나 북미에서는 고기와 젖을 생산하는 용도의 구분이 분명하다. 그러므로 유럽에서의 유용종은 우유:고기의 비율이 6:4 이상은 우유이고, 육용종은 4:6 이상이 고기이며 겸용종(유육)은 5.5:4.5, 5:5, 4.5:5.5의 비율을 보인다.
용도에 따른 소의 체형을 보면 육용종은 쇠고기 생산형으로 섭취한 사료를 이용 최대한의 양질의 쇠고기를 생산하는 체형으로 풍만한 전, 중, 후구가 균형있게 발달한 장방형이고 다리가 짧은 듯하다.
  유용종은 야위고 각진형이고 전구가 경쾌하나 중구는 길고 후구가 크며 유기(乳器)의 발달이 좋고 옆, 앞등에서 보면 쐐기형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이들의 체형은 섭취한 사료로 최대한의 우유를 생산하기에 특별히 적합하도록 되어 있다.
  유육(乳肉)겸용종은 육용종과 유용종의 중간형이다. 역용종은 전구(前軀)가 묵중하고 네다리가 크고 근육의 발달이 양호하다. 또한 소 체구의 크기에 따라서 체구가 큰 대형종, 중간정도인 중형종, 작은 체구인 소형종으로 나누기도 하지만 그 한계가 뚜렷하지는 않다고 한다.
           
  2. 외국의 주요 육우품종의 특성
    가. 앵거스(애버딘 앵거스 : Aberdeen Angus)
      원산지는 영국의 스코트랜드 지방으로 1875년에 육성되어 북부유럽, 미국, 카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 기타 각국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미국에서도 가장 많이 사육하고 있는 품종중의 하나이다. 특히 뉴질랜드에서는 75%, 아르헨티나에서는 전육우 품종의 52%가 앵거스에 해당된다고 한다. 세계 육우의 3대품종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에 도입된 것은 1955년 축산시험장에서 시험용으로 1두 도입된바 있으며 1965년도에 당시 농협에서 52두를 도입한 것이 처음이다.
           
   
       
그림 1. 앵거스
     
      털색은 검정색으로 우성이나 미국에는 간혹 갈색의 것도 있어 레드앵거스(Red-Angus)라고도 부르며 뿔은 없다. 다리가 짧아 땅땅한 인상을 주고 체형은 장방형이며 방목에 적합하고 발육도 빠르지만 다소 신경질적이기도 한다. 특히 조숙성(早熟性)이 강하고 도체의 지방 발달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유달리 많아 지방교잡이 잘되는 특성을 갖고 있기도 하다.
  체중은 생시가 27~29㎏이지만 큰소는 암소가 550~600㎏, 수소는 770~800㎏이다. 육질과 고기맛이 매우 우수한 것이 특징이며 도체율은 65~67% 정도이다.
 
   
표 2. 앵거스 발육능력
(단위 : kg)
   
구별
생시*
100일
200일
300일
400일
500일
600일*
성우*
수 소
암 소
29
27
133
120
241
210
355
282
471
346
586
405
615
403
770
600
    주) * : 1985년 성적임.
자료 : 영국 M.L.C(1990)
     
    나. 헤어포드(헤리포드 : Hereford)
           
         
         
그림 2. 헤어포드
           
      원산지는 영국의 헤어포드(Hereford) 지방으로 이곳은 기후풍토가 양호하여 방목초지가 무성하다. 이 소는 체중과 체구가 크고 넓은 그 지방의 일소에서 연유하였다고 한다. 1790연도에 개량되어 영국, 미국, 카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 세계 각국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세계 3대 육우품종중 하나이다. 우리나라에는 1955년 축산시험장에 9두, 1958년 제주 송당목장에 12두를 도입한 것이 처음이지만 1972년에 이시돌 목장에 985두가 도입되었고 최근에는 샤로레종과 같이 많이 도입된 품종이다.
  털색은 적갈색이지만 목, 머리 가슴, 배, 다리 등에 흰무늬가 있는 얼룩소인데 특히 얼굴에 있는 흰색은 다른 품종과의 교배시에 자손에 나타나는 우성이다. 주로 무각종(無角種)이지만 유각종(有角種)도 있다. 체구는 짧으나 체폭이 넓고 성장이 빠르며 기후풍토에 적응력이 강하고 방목에도 알맞다.
  체중은 생시가 33~36㎏이며 큰소는 암소가 650~670㎏이고 수소는 850㎏내외로서 앵거스종보다는 다소 크고 산육능력도 높아 도체율이 65~70%이다.
           
   
표 3. 헤어포드의 발육능력
(단위 : kg)
   
구별
생시*
100일
200일
300일
400일
500일
600일*
성우*
수 소
암 소
36
33
132
122
238
209
348
282
469
346
570
396
827
545
850
670
    주) * : 1985년 성적임.
자료 : 영국 M.L.C(1990)
     
    다. 샤로레(Charolais)
      원산지는 프랑스 동부의 샤로레(Charolais) 지방의 프랑스 재래종에 심멘탈과 쇼트혼종을 교배시켜 1887년에 육성되었다. 그리고 샤로레는 불란서 중부, 영국, 독일 등 북구 북미, 호주, 뉴질랜드 등에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교잡종 생산에 많이 쓰여지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1969년에 냉동 정액으로 도입되어 한우와의 교잡시험에 이용되었고 1971년 서울 샤로레목장에 일본에서 3두, 1972년에는 경기 청평목장이 미국으로부터 95두를 도입한 것이 처음이었으나 1980년대 도입육우 도입시에 많이 도입된 품종이기도 하다.
           
   
       
그림 3. 샤로레
           
      털색은 흰색에서부터 유백색(Cream) 혹은 볏짚색깔의 연갈색으로서 뿔이있으나 없는 것도 있다. 체구가 가장 크고 뒷몸이 잘 발달되어 성장이 대단히 빠르고 살고기(적육, 적육) 생산형으로 대형종이다. 그러나 송아지의 생시체중이 커서 난산율이 다소 높고 번식율이 낮은 편이지만 수소는 교잡종 생산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체중은 생시가 43~45㎏이며 큰소는 암소가 700~800㎏, 수소가 1,000~1,200㎏정도이다. 육질과 고기맛이 다소 떨어지는 편이지만 도체율은 65%전후이다.
           
   
표 4. 샤로레의 발육능력
(단위 : kg)
   
구별
생시*
100일
200일
300일
400일
500일
600일*
성우*
수 소
암 소
45
43
176
158
320
275
467
371
617
450
748
518
827
545
1,100
800
    주) * : 1989년 성적임.
자료 : 영국 M.L.C(1990)
           
    라. 심멘탈(Simmental)
      원산지는 스위스 서부의 심멘탈 지방으로 1862년에 공인 받았다. 주로 알프스 산악지대에 많으나 스위스, 오스트리아, 남부독일을 비롯하여 북·남미에까지 널리 분포되어 있다. 우리나라에는 1908년에 종모우 3두가 일본에서 도입되어 한우와의 교잡종 생산 이용 시험에 처음으로 쓰여지고, 그 후 1978년 강원도 삼양목장에 카나다로부터 2,000여두가 도입된 바 있고 이 품종 역시 1980년대 육우 도입시에 도입된 품종이다.
           
   
         
그림 4. 심멘탈
           
      털색은 황갈색 또는 적갈색이지만 머리와 다리 등이 흰색이며 뿔이 있다. 체격과 나라와 지역에 따라서 변이가 크며 유육겸용종이라고도 하지만 유육 비율도 크게 다르다. 스위스, 프랑스는 5:5이지만 영국, 미국은 4:6으로 육용종으로 본다.
  체중은 생시가 39~42㎏이고 큰소는 암소가750~800㎏, 수소가 1,000~1,200㎏이고 도체율은 60%내외로서 낮은 편이다. 산유능력으로서 유용종쪽은 유량이 4,000㎏ 내외이고 유지율은 4%정도이다.
           
   
표 5. 심멘탈의 발육능력
(단위 : kg)
   
구별
생시*
100일
200일
300일
400일
500일
600일*
성우*
수 소
암 소
42
39
176
158
314
270
456
355
600
425
721
485
756
510
1,100
750
    주) * : 1985년 성적임.
자료 : 영국 M.L.C(1990)
     
    마. 브라만(Brahman)
      원산지는 미국 남서부 멕시코 연안에서 1854~1926년에 인도소를 도입개량 육성했으며 남미에서는 제뷰(Zebu)라고도 한다. 미국 남중부, 호주 북동부, 브라질등 중남미 제국과 열대, 아열대에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주로 육용우의 교잡종 착출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1957년도에 제주도 송당목장에 275두가 도입된 것이 처음이고 제주한우와 본종의 교잡에 의한 제주한우개량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털색은 회백색, 남적색, 흑색 등이고 어깨에 혹이 있는 유각종이다. 귀가 늘어지고 흉수가 많이 늘어져 있다. 성질이 거친 편이지만 더위나 외부기생충(진드기등)에 강하다. 체중은 생시가 30㎏ 내외이고 큰소는 암소가 500~550㎏, 수소가 800~830㎏ 정도이다. 육질이나 고기맛이 떨어지는 편이고 도체율은 60% 내외이다
           
    바. 싼타(싼타 거투르디스 : Santa Gertrudis)
           
   
   
그림 5. 싼타
           
      원산지는 미국의 텍사스주로서 1918년부터 브라만과 쇼트혼종을 교배시켜 혈액비가 3/8:5/8로 고정된 소로서 1940년에 공인 받았다. 우리나라에서는 1950년도 후반에 제주도에 브라만종과 같이 도입되었다. 현재 미국 남서부필리핀, 호주 북동부, 중남미 제국에 분포되어 있다.
  털색은 엷은 적색 또는 적갈색이며 유각종이지만 무각종도 있다. 앞가슴의 흉수와 귀는 늘어졌으며 수소에는 견봉(肩峰)이 있다. 더위에 강하며 외부기생충에도 강하다. 체중은 큰소에서 암소가 600㎏, 수소는 1,000㎏ 정도로서 브라만종보다 큰 편이고 도체율도 60~65% 정도이다.
  또한 외국에 있어서 육우 품종들에 대한 생산능력의 평점을 비교하여 보면 표.6에서와 같이 번식능력은 대체적으로 소·중형종들이 양호한 반면 성장율이나 도체율면에서는 대형종들이 우수한 결과를 얻고 있다.
           
    표 6. 육우의 품종별 생산능력의 평점비교
   
구분
앵거스
헤어포드
샤로레
심멘탈
브라만
싼타
리무진
홀스타인
  번식 능 력
  육성우 폐사율
  생시체중
  이유시체중
  1 세 체중
  성성숙 월령
  성성숙시체중(♀)
  성성숙시체중(♂)
  F1잡종강세(♀)
  F1잡종강세(♂)
  사료 효율
  지 육 량
  지 육 율
  육질평가순위
4.86
4.14
4.43
2.86
5.57
4.71
2.86
3.00
3.14
4.71
3.14
2.71
5.00
1    
4.50
3.83
3.00
2.50
3.17
3.50
3.33
3.37
3.33
3.67
3.67
3.50
3.33
9    
2.86
2.00
2.57
4.57
4.86
2.14
4.57
4.00
4.71
1.86
3.57
4.86
1.86
16   
3.29
2.43
2.57
4.71
4.71
3.43
4.00
3.71
4.57
4.00
3.86
4.00
2.43
2    
2.14
3.43
3.86
3.00
3.00
2.43
3.43
3.43
3.29
3.29
3.00
3.43
2.71
30    
2.14
3.17
3.17
3.57
3.57
2.86
3.86
3.86
3.43
3.14
3.14
3.43
2.71
30    
3.00
3.00
3.29
3.57
3.71
2.86
3.57
3.43
3.86
2.86
3.86
4.71
2.29
18    
3.4   
3.14
2.86
4.43
4.29
3.29
4.14
3.86
2.86
3.57
3.29
3.71
2.29
13    
    주 : 1) ① 평가기준 : 5(수), 4(우), 3(미), 2(양), 1(가)
      2) ② 순위 : 47 품종 중의 평가순위
자료 : F. Lessiter(1975)
           
      이상 국내에 도입되었던 육우품종들의 특성과 외국에서의 산육능력(産肉能力) 등을 알아 보았다. 국내 사육환경에서 외국육우들의 발육능력을 한우와 비교한 결과를 보면, 표 7에서와 같이 방목지에서 육성시 1일 증체량이 한우가 0.56㎏인데 비하여 육우들은 0.62~0.65㎏으로서 한우보다 11~16%가 더 빨랐음을 나타냈고 방목육성 후 큰소비육시는 1일증체량이 한우가 0.97㎏인데 비하여 육우들은 1.03~1.28㎏으로서 6~32%가 발육이 빨랐고, 도체율도 한우 60.6%에 비하여 62.0~62.7%로써 한우보다 더 많음을 보여 주었으나 대체적으로 외국에서의 산육능력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표 7. 도입육우의 방목육성시 수소의 발육능력
   
구분
체 중(kg)
일 당 증 체
개시시
종료시
증체중
무게(kg)
지수
한 우
사 로 레
앵 거 스
헤어포드
홀스타인
144.8
194.0
219.3
205.5
193.8
248.8
310.0
363.3
318.8
305.0
100.0
116.0
117.0
113.0
111.2
0.56
0.64
0.65
0.62
0.62
100
114
116
111
111
    자료 : 축시(1981)
           
    표 8. 육우의 방목후 큰소비육 산육능력
   
구분
체 중(kg)
일 당 증 체(kg)
개시시
종료시
무게
지수
사료요구율
(TDN)
도체율(%)
한 우
사 로 레
앵 거 스
헤어포드
홀스타인
238.8
297.5
316.8
319.2
293.4
442.4
566.0
532.8
516.4
560.0
0.97
1.28
1.03
1.07
1.27
100
132
106
110
131
6.39
5.94
7.54
6.83
6.36
60.6
62.0
62.7
62.2
58.6
    자료 : 축시(1980~1981)
           
    참 고 문 헌

축산시험장. 1980-1981. 육우품종별 능력검정. 축산시험연구보고서.
M.L.C. 1990.
內勝元男. 1978. 세계의 손. 양현당.

  한우 산육능력 향상을 위하여 발육이 빠르고 체폭(體幅)이 풍부한 육우를 한우에 교배(交配)시킴으로써 한우가 육우로써 부족한 점을 보완시키고 한우와 육우간의 교배에 의한 잡종강세효과(雜種强勢效果)를 이용하고자 한우와 육우교잡에 관한 연구가 시도되었다.
   한우와 육우와의 교잡이 제일 처음 시도된 것은 1907년대 권업모범장에서 한우 암소에 심멘탈(Simmental) 수소를 교배하여 잡종의 능력을 검토한 것이 시초라고 할 수 있다. 그 후 1938년도에는 한우의 비유량 증진을 위하여 한우와 Holstein종과의 교잡이용 연구가 있었으며, 또한 1955년에 축산기술원(현 축산기술연구소)에서 헤어포드(Hereford), 쇼트혼(Shorthorn)종이 이용된 바 있고 1957년에는 제주도에 있는 송당목장에서 부라만(Brahman)종을 도입하여 제주한우와의 교잡을 시도하였고 이를 전후하여 싼타(Santa), 헤어포드(Hereford), 브라운 스위스(Brown Swiss), 쇼트혼(Shorthorn)종들이 들어와서 제주한우와의 교잡에 이용되었다. 또한 축산시험장에서는 1963년부터 1970년까지 앵거스(Angus), 헤어포드(Hereford)와의 교잡시험을 수행하였고(그림 1) 그 후 1971년까지는 한우와 앵거스(Angus)와의 교잡종에 홀스타인(Holstein)을 종부하여 비유량을 증진시켜 보고자 하는 3원잡종(3元雜種) 연구도 이루어졌다.
           
 
   
그림 1. 한우교잡종 방목현장
   
     또한 1969년부터는 대형육용종(大型肉用種)인 샤로레종(Charolais)을 한우에 교배하여 생산된 잡종에 대한 능력검정을 착수하여 우수한 결과를 얻은 바 있어 이를 전국 농가에 보급하기 위하여 1973년도에 한우 샤로레(Charolais) 교잡종 생산보급을 시책 사업으로 건의하여 1974년부터 교잡종을 생산보급하다가 1985년도에 한우 사육두수의 과잉 및 소값의 하락과 한우순종의 보존곤란으로 전국 생산보급이 중단었으나 강화도만큼은 한우와 샤로레(Charolais) 교잡개량지구로 설정하여 계속 잡종을 생산하여 한·육우교잡에 의한 대형 합성종 육성 연구를 수행완료하였다.
   
 
   
그림 2. 심멘탈1대 잡종
   
     한우암소에 심멘탈(Simmental)종 수소를 1907년도에 교배하여 생산된 심멘탈(Simmental)1대 잡종의 발육능력은 농가의 사양조건에서 18개월령에 체중이 한우보다 29%나 컸으며 육성 비육시에도 한우에 비하여 38%가 컸다(그림 2).    1일비유량도 한우 2.7㎏에 비하여 심멘탈(Simmental) 잡종은 4.5~6.8㎏으로서 비유량이 현저하게 향상된 결과를 얻었고 고기를 생산하는 도체율에서도 한우는 61.4%, 심멘탈(Simmental) 1대잡종은 62.0%로서 한우보다 높았다.
     
  표 1. 한우와 심멘탈 교잡종의 산육능력
 
사육형태
구 분
체 중(kg)
18개월체중지수
도체율(%)
비고
생시
6개월
12개월
18개월
관 행
사 육
한 우
1대잡종
23.4
25.2
  91.5
114.4
140.7
180.0
189.8
245.6
100
129
-
-
권업모범장
(1919)
육 성
비 육
한 우
1대잡종
24.0
32.4
124.0
165.5
257.4
351.9
420.0
580.3
100
138
61.4
62.0
축시
(1988)
           
     농가 사육 상태에서의 관행적인 사양관리 조건하에서 한우와 앵거스, 헤어포드 잡종은 각각 한우보다 20%, 10%가 더 컸다. 이들의 결과를 농가에 보급하였던 결과 교잡우의 증체는 양호하였으나 털색이 검고 뿔이 없어서 일하는데 이용할 수 없었고 성질이 사나워서 사육을 기피하게 되어 보급은 실패하게 된 바 있다.
           
  표 2. 한우와 앵거스, 헤어포드 교잡종의 발육
 
구분
체 중 (kg)
18개월 체중
지 수
생시
6개월
12개월
18개월
한 우
앵거스교잡종
헤어포드교잡종
24
27
25
115
130
117
164
191
174
210
252
230
100
120
110
  자료 : 축시(1968~1970)
           
   
   
그림 3. 1대잡종 앵거스
           
     한우에 유육겸용종(乳肉兼用種)이고 스위스의 산악지방이 원산지인 브라운스위스(Brown Swiss)종, 그리고 대형육용종이고 프랑스가 원산인 메낭주(Maine Anjou)종을 교잡하였을 때 이들의 잡종은 한우보다 37~54%가 더 컸고 도체율에 있어서도 교잡종들은 61.1~61.6%로 한우보다 다소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한우 암소에 샤로레종 수소를 교배하여 생산된 샤로레1대 잡종과 2회잡종에 대한 발육은 농가 관행사양조건에서 18개월령체중이 319.0㎏으로써 한우 210.0㎏ 보다 52%나 컸으며, 육성비육시에도 636.0㎏과 645.0㎏으로써 51~56%가 더 컸고, 1㎏증체에 소요되는 가소화 영양소총량(可消化營養素總量 : TDN)도 5.09과 4.51㎏으로서 한우보다 개선되었고 도체율도 높았다.
           
  표 3. 한우와 샤로레교잡종의 발육능력 비교
 
영양상태
구분
체중
18개월
체중지수
사 료
요구량
(TDN, kg)
비 고
생시
6개월
12개월
18개월
관 행
사 육
육 성
비 육
한     우
1대잡종
한     우
1대잡종
2회잡종
24.0
31.0
24.0
32.0
41.0
115.0
151.0
124.0
182.0
184.0
160.0
257.0
257.0
406.0
434.0
210.0
319.0
420.0
636.0
654.0
100
152
100
151
156
-
-
6.02
5.09
4.51
-
-
61.4
62.6
61.6
  자료 : 축시(1969~1981)
           
     한편 한우와 샤로레 교잡 집단개량지구(集團改良地區)인 강화군 농가에서 교잡종 사육시 발육을 보면 12개월령 한우가 296.0㎏인데 비하여 샤로레가 37~48%로 한우보다 더 컸다.
           
  표 4. 농가 사육시 샤로레 교잡종 수소의 발육능력
 
구 분
체 중(kg)
12개월
체중지수
혈액비율(%)
3개월
6개월
12개월
샤로레
한우
한우
1대잡종
2회잡종
교배종간 잡종
   86.5
119.7
126.7
123.1
151.8
208.6
216.8
222.0
296.0
405.7
406.4
438.9
100
137
137
148
-          
50          
75          
    62.5          
100          
50          
25          
   37.5          
  자료 : 축시(1989~1992)
           
   
   
그림 4. 샤로레 교잡종(한우 : 3/8, 샤로레 : 1/8)
           
     샤로레 교잡종에 대한 체위도 한우와 비교하여 보면 한우보다 9%가 키가 더 크고, 몸의 길이(體長)는 12%, 가슴둘레(胸圍)는 7%, 가슴폭(胸幅)은 29%, 엉덩이폭은 36%가 더 커서 교잡종의 체형은 고기소 형태로 변하고 있었다
           
  표 5. 한우와 샤로레 교잡종 수소 12개월령 체위(축시 : 1989~1992)                                        (단위:㎝)
 
구분
체고
체장
흉위
흉폭
곤폭
한     우
1대잡종
2회잡종
강화육우
109.1
117.0
117.9
118.8
119.7
131.0
132.1
133.6
159.0
166.8
167.1
170.7
34.2
38.3
39.1
44.0
337.7
38.5
38.3
46.0
  자료 : 축시(1989~1992)
     
     축협중앙회가 1979년도에 기증받은 갈모화우 종모우와 한우 암소를 교배하여 생산된 1대잡종은 모색(毛色)이 한우와 같이 황갈색이었고, 발육능력은 18개월령 체중이 488.2㎏으로 한우보다 12%가 더 컸고 도체율에 있어서도 61.2%로서 한우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표 6. 한우와 갈모화우1대 잡종의 월령별 체중 비교
 
구분
체 중(kg)
18개월체중지수
도체율(%)
6개월
12개월
18개월
한우
갈모화우1대잡종
114.9
123.4
269.8
342.4
436.7
488.2
100
112
59.9
61.2
  자료 : 축시(1983)
     
   
       
그림 5. 리무진1대 잡종
           
   
     
그림 6. 홀스타인과의 잡종
     
     한우 암소에 불란서 원산이고 대형육용종이며 모색도 한우와 동일한 리무진종을 교배하여 생산된 1대잡종에 대한 능력은 18개월령 체중이 549.3㎏으로서 한우보다 26%가 더 컸으나 샤로레 교잡종보다는 떨어졌다.
           
  표 7. 한우와 리무진1대 잡종의 월령별 체중 변화
 
구분
체중
18개월 체중
지 수
도체율
(%)
검정년도
6개월
12개월
18개월
한우
리무진 1대잡종
114.9
166.9
269.8
391.2
436.7
549.3
100
126
59.9
63.4
1982
1987
  자료 : 축시(1987)
           
     한우의 산유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한우에 홀스타인종을 교배하여 생산된 잡종의 능력은 수소에서 18개월령 체중이 한우보다 28% 향상되었고 사료요구량(TDN) 도 한우보다 절약되었다.
           
  표 8. 한우와 홀스타인종과의 교잡종의 능력
 
구 분
체 중 (kg)
18개월
체중지수
도체율
(%)
사료요구량
(TDN, kg)
생시
6개월
12개월
18개월
한     우
23.8
123.8
257.4
420.1
100
61.4
6.02
홀스타인
1대 잡종
29.5
313.3
536.5
536.5
128
61.6
5.66
홀스타인
2회 잡종
319.2
353.0
538.0
538.0
128
59.8
5.76
  자료 : 축시(1982)
           
     한우의 1일 비유량은 2.8㎏이였으나 홀스타인 1대잡종은 산차(産次)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평균 9.4㎏으로 한우보다는 현저하게 높았다.
           
  표 9. 한우와 홀스타인 1대잡종의 비유능력
 
구 분
조사두수(두)
총착유기간(일)
총착유량(kg)
1일 비유량(kg)
한 우
1 산
2 산
3 산
4 산
5 산
8
8
6
1
1
2
120
215
190
195
227
130
   456
1,594
1,867
2,286
2,280
1,641
  2.8
  7.4
  9.8
11.7
10.0
12.6
평 균
18
197
1,767
  9.6
  자료 : 축시(1982)
           
   
     
그림 7. 브라만교잡종
     
     제주시험장에서는 1957년부터 제주지방의 기후에 적합한 육우품종인 브라만, 싼타종을 이용한 교잡종 생산이 이루어졌으며 1964년부터는 이들 교잡종간에 교배를 통한 제주지역에 적합한 육용한우육성 연구를 추진하여 얻어진 교잡종들의 발육은 농가상태의 조사료 위주 저영양 사양시는 18개월령에 제주한우에 비하여 브라만교잡종과 싼타교잡종은 각각 한우보다 14~15%가 더 컸다. 저영양 사양시는 18개월령에 제주한우에 비하여 브라만교잡종과 싼타교잡종은 각각 한우보다 14%, 15%가 더 컸다.
           
  표 10. 저 영양사육시 제주한우와 육우교잡종수소의 발육능력
 
구 분
체 중(kg)
18개월 체중
지수
생시
6개월
12개월
18개월
제주한우
브라만 교잡종
싼타 교잡종
25.2
25.9
29.9
126.0
136.6
143.9
190.4
227.3
237.8
275.5
315.4
317.4
100
114
115
  자료 : 제시(1982)
           
   
   
그림 8. 산타교잡종
           
     육성비육시에 제주한우와 브라만잡종은 18개월령에 제주한우보다 15~16%가 더 컸고 사료요구량은 크게 개선되었던 반면 도체율도 향상되었다. 또한 제주 한우와 브라만 교잡종에 샤로레종을 교배한 3원교잡종은 발육능력이 우수하여 18개월령에서 체중이 무려 640.0㎏으로 제주한우보다 61%나 더 컸고 사료요구량(TDN)과 도체율도 제주한우보다 크게 향상되었다.
           
  표 11. 육성비육시 제주한우와 육우교잡종수소의 산육능력
 
구 분
체 중(kg)
18개월체중지 수
사료요구량
(kg)
도체율
(%)
생시
6개월
8개월
12개월
제주 한우
브라만교잡종
싼타 교잡종
3원 교잡종
24.2
27.6
28.7
35.0
120.4
139.0
139.0
214.0
226.0
276.0
290.0
432.0
396.2
455.8
461.0
640.0
100
115
116
161
5.8
5.4
5.1
5.2
55.0
61.0
60.5
61.0
  자료 : 제시(1990)
           
  참 고 문 헌

제주시험장. 1990. 시험연구보고서.
축산시험장. 1968-1994. 시험연구보고서.

'가축키우기 > 양계,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완전식품 계란에 대한 올바른 이해  (0) 2008.02.22
닭고기의 모든 것  (0) 2008.02.22
양계사도면 ....  (0) 2008.01.30
한우의 유전적 특성  (0) 2008.01.29
한우산업의 현황과 전망  (0) 2008.01.29
         
  1. 한우의 경제형질
    도체중이라든가 생시 체중과 같이 가축의 능력을 나타내는 척도를 형질이라고 한다. 한우를 비롯한 많은 가축들은 수많은 형질을 갖고 있는데 이 중 경제적으로 가치가 있는 형질을 경제형질이라고 한다. 한우의 경우 경제 형질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성장형질, 도체형질 그리고 번식형질이다.
  한우에서 3가지로 분류한 경제형질을 다시 세분화하면 성장형질에는 생시체중, 이유시체중, 6개월령체중, 12개월령체중, 18개월령체중, 출하시 체중 및 체형이 있고, 체형은 다시 구체적으로 체장, 체고, 십자부고, 고장, 흉위, 흉폭, 흉심, 요각폭, 전관위, 좌골폭 및 곤폭으로 나눌 수 있다. 도체형질에는 도체중, 등지방두께, 배장근단면적, 근내지방도 및 도체율이 있으며, 번식형질은 수정율, 배란율, 사산율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도 한우는 다양한 형질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한우의 형질은 개체가 가지고 있는 유전자에 의해서 표현되는 것이다. 따라서 어떤 형질에 대한 유전자를 밝혀내어 능력이 우수한 유전자를 갖고 있는 한우를 선발하여 이용하면 한우의 능력을 개량하는데 큰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나, 이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밝혀내는 것도 어렵지만 한 형질에 여러 유전자가 동시에 관여하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유전자를 이용한 한우 개량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방법이 아니다.
  한우의 경제형질을 크게 3가지로 구분하였으나 형질을 구분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는 양적 형질과 질적 형질이다. 한우에서의 경제형질이 대부분 양적 형질에 속하는데, 근내지방도 같은 경우는 질적 형질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럼 양적 형질과 질적형질은 어떻게 구분이 되는가? 양적 형질은 체중이나 체위와 같이 형질에 대한 표현형이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형질을 말한다. 하지만 질적 형질은 표현형이 연속적인 숫자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몇 가지로 구분되는 것을 말한다. 한우의 근내지방도를 예를 들면 1~7로 근내지방의 정도를 구분하고 있다. 질적 형질의 다른 예를 들면 분만 난이도 같은 형질의 경우 순산, 난산 등 몇 가지 정도로 구분하여 표현할 수 있다.
           
  2. 평가 방법
    가. 모형
      모형이란 가축의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개체의 표현형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효과와 다른 외부효과로 분리해 놓은 수학식을 말한다. 따라서 모형에 어떠한 요인을 첨가하느냐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의 모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개체의 표현형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효과는 개체 자신의 유전자 효과와 어미나 아비의 유전자 효과 또는 조부모의 유전자 효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다른 외부효과로는 어미의 산차, 어미의 연령, 사육 장소, 성별 및 출생년도와 계절과 같은 환경적인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유전자 효과와 환경적인 요인을 이용하여 개체의 표현형을 수학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학식 즉 모형을 이용해 개체의 표현형에서 유전적 요인이 차지하는 비율을 추정하여 유전적 요인이 우수한 개체를 선발하는 것이다.
           
    나. 모형의 종류
      이렇게 개체의 표현형에 영향하는 요인으로 표현되는 모형은 어떤 유전자 효과를 평가하느냐에 따라서 몇 가지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개체 자신의 유전자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모형에 유전적 요인으로 개체의 유전자 효과를 추가하는 것을 개체모형이라고 한다.
  한우에서 개체의 생시체중과 이유시체중은 개체의 유전적 요인에 의해서도 표현되지만 어미의 건강상태, 비유능력 및 어미의 유전적 요인에 의해서도 크게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어미의 비유능력이 좋을 경우 자식이 많은 우유를 섭취해 이유시체중이 어미의 비유능력이 떨어지는 경우보다 좋은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어미의 효과를 모체효과라 하고 이런 경우 모형에 모체효과를 환경적 요인으로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모형을 모체효과가 있는 개체모형이라고 한다.
  이외에 아비모형은 아비의 유전적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모형에 아비의 유전적 효과를 넣은 모형을 말한다.
           
    다. 개체 모형
      개체모형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개체 자신의 표현형에 개체의 유전적인 요인이 얼마나 되는가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는 모형이다. 개체의 유전적 요인은 아비와 어미로부터 전달받은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개체 자신의 유전적 능력은 자식에게 얼마나 우수한 유전자를 전달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유전적 능력이 우수한 암소와 수소를 교배하면 자식의 유전적 능력이 다른 개체보다 우수하게 나타날 것이다.
  다음과 같은 두 마리의 개체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다음 두 마리 개체의 도체중이 330㎏으로 같다고 하자. 개체의 표현형에 영향하는 요인을 환경적 요인과 개체 자신의 유전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나타내면 아래 그림 1과 같다.
           
 
 
그림 1. 개체의 표현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 경우 만약 두 개체 중에 한 마리를 선택하여 교배를 하려한다면 표현형으로 선택할 경우 두 마리 모두 330㎏이므로 아무 개체나 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후대에 전달할 수 있는 요인인 개체 자신의 유전적 요인이 B 개체의 경우 5㎏이고 A 개체는 10㎏이므로 A 개체를 선택하여 교배하는 것이 다음 세대의 능력을 더 우수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라. 육종가(Breeding Value)와 추정 전달 능력(PTA)
      어떤 가축의 육종가는 그 가축의 종축으로서의 가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KPN000'이란 종모우의 18개월령 체중에 대한 육종가는 우리나라에 있는 여러 암소를 임의로 뽑아 'KPN000'과 교배하여 송아지를 얻은 다음, 이 송아지들의 18개월령 평균체중에서 우리나라 소 전체의 18개월령 체중의 평균을 뺀 값을 2배한 값이 된다. 여기서 2배를 하는 것은 ‘KPN000' 능력의 절반만이 송아지로 전달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암소를 많이 뽑을수록 다시 말해 교배하여 얻은 송아지의 숫자가 많을수록 추정된 육종가의 정확도는 높아진다(무한히 많은 암소와 교배를 하여 송아지를 얻으면 정확한 육종가를 구할 수 있다). 하지만 사실상 이렇게 하기란 비용, 시간, 노력이 많이 들고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므로 일정한 두수의 암소를 뽑아 교배를 하여 송아지를 얻어 이를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육종가를 추정하게 된다. 또한 이렇게 추정한 육종가(Estimated Breeding Value)의 정확도를 표시하기 위해 '신뢰도'를 표시한다.
  어떤 개체의 육종가가 음(-)의 값이 나왔다면 아래 식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그 개체의 능력이 전체 평균보다도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여기서 주의할 것은 육종가가 음의 값이 나왔다고 해서 무조건 나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만약 체중에 대한 사료요구율(체중 1㎏을 증가하는데 필요한 사료의 양)의 육종가를 추정하여 보니 A란 소는 2가 나오고 B란 소는 -2가 나왔다고 하자. 이는 A 소가 평균보다 2㎏을 더 먹고 체중 1㎏을 낸다는 것이고 B 소는 평균보다 2㎏이나 적게 먹고도 같은 양의 체중이 증가한다는 것이 된다. 즉, 이런 경우에 음의 값이 나온 것이 더 우수한 것이 된다
           
   
개체 A의 육종가 추정치 = 2 × (개체 A 자손들의 평균 - 전체 평균)
    ※ 주의 : 수식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육종가는 전체평균에 대한 값이므로 미국에서 구한 육종가와 한국에서
             구한 육종가를 그대로 비교할 수는 없다. 즉, 미국의 평균이 한국의 평균과 같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다른 형질의 육종가간의 비교도 아무런 의미가 없다.
           
    'KPN000'의 참육종가가 100이었다면 이 개체가 자손에게 유전적으로 물려 줄 수 있는 능력은 정자 또는 난자는 전체 유전자의 절반만 가지므로 100의 절반인 50이 된다. 즉 어떤 개체가 그 다음 세대로 전달하는 값은 그 개체의 육종가의 절반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어떤 개체가 새끼에게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유전전달능력(Transmitting Ability)'이라고 하고 이는 그 개체 육종가의 절반이 된다. 즉,
           
   
A 개체의 유전전달능력(TA) = ½ × A 개체의 육종가(BV)
           
    가 된다.
  그러나 여기서 주의할 것은 어떤 가축의 참육종가를 정확히 아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통계적으로 추정한 '추정 육종가(Estimated Breeding Value;EBV)'를 사용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참육종가 대신에 추정한 육종가 즉 추정 육종가를 사용하고 이에 따라 우리가 구한 유전 전달 능력도 역시 참유전 전달 능력이 아닌 추정전달능력(Predicted Transmitting Ability;PTA)이 되는 것이다. 즉,
           
   
A 개체의 추정유전전달능력(PTA) = ½ × A 개체의 추정육종가(EBV)
           
    이 된다. 여기에서 주의해야 할 사항은 추정 유전 전달 능력도 육종가와 같이 항상 양의 값이 좋고 음의 값이 나쁜 것은 아니다. 육종가를 추정한 대상형질이 무엇이냐에 따라 다르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수식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추정 전달 능력은 육종가에 기초를 두고 있기 때문에 육종가와 마찬가지로 미국에서 구한 추정 전달 능력과 한국에서 구한 추정 전달 능력을 그대로 비교할 수는 없다
           
    마. 혈연관계
      개체의 혈연관계는 개체의 유전적 능력을 평가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쓰이는 자료이다. 개체의 표현형은 부모로부터 받은 유전자에 많은 영향을 받는데, 그 부모 역시 또 다른 부모의 유전자를 전달받아 후손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따라서 개체의 성적에 혈연관계를 반영하여 보다 정확한 유전적 능력을 추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자료가 없는 개체, 즉 능력 성적이 없는 개체에 대해서는 개체간의 혈연관계를 이용해 유전적 능력을 추정하게 된다.    예로 자손의 유전적 능력을 이용해 자료가 없는 아비나 어미의 유전적 능력을 추정하는 것을 들 수 있고, 현재 후대검정 보증 종모우를 선발하기 위해서 후보 종모우의 정액을 이용해 많은 자손을 생산하고 생산된 자손의 자료를 이용해 후보 종모우의 유전적 능력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보증 종모우를 선발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개체의 성적을 측정하고 수집하는 것만큼 개체의 혈연관계 즉 부모에 대한 자료 역시 유전 능력 평가에 매우 중요한 것이다. 하지만, 개체의 정확한 혈연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인공수정이 체계화되어야 하는데 비용이 많이 드는 관계로 아직도 자연교배를 실시하는 농장이 있다. 물론, 자연교배를 하면서도 혈연관계를 파악할 수 있으나 능력이 평가된 수컷이나 암컷을 이용하여 교배하지 않기 때문에 유전 능력의 개량에는 오히려 역행하는 측면이 있다.
           
  3. 평가방법
    가. 평가대상형질
    (1) 성장형질 : 생시(W0), 3개월령(W3), 6개월령(W6), 12개월령(W12), 18개월령(W18) 및 출하시체중(FW)
(2) 도체형질 : 도체중(CW), 도체율(DP), 등지방두께(BF), 배장근단면적(EMA), 근내지방도(MS)
           
    나. 분석전 보정
    W3, W6, W12, W18, FW 형질들은 사육일령에 따라 선형보정하였다.
           
    다. 분석모형
      개체의 혈통정보를 이용하여 개체들 간의 혈연관계를 구하였고 환경효과를 고정효과로 처리하였으며 개체들에 대하여는 개체들 간의 혈연관계를 고려한 상가적 유전효과(direct additive genetic effects) 및 이유전 형질에 대하여 모체 유전효과(maternal genetic effects)를 임의변량으로 간주한 개체모형으로 설정하였으며 도체형질에 대하여는 도축일령을 공변이(co-variate)로 설정하였다. 또한 모든 형질의 분산성분추정은 MTDFREML Program(Boldman 등, 1995)을 이용하였으며 수렴의 판단기준은 10-8로 간주하였고 이때의 해를 육종가 추정치로 하였다.
  분석 모형은 다음과 같다.
           
    (1) 이유전 형질(W0, W3)
   
Yijkl = μ + YSi + Sj + Lk + AGEl + Aijkl + Mijkl + eijkl
      여기서, Yijkl: 관측치
             μ : 전체 평균
             YSi : i번째 연도-계절효과(1978~1998, 사사기와 방목기)
             Sj : j번째 성의 효과(암,수)
             Lk : k번째 출생지역의 효과〔한개부(내,외부), 축산연(대관령지소, 남원지소)〕
             AGEl : l번째 어미 연령의 효과
             Ajikl : Random Direct Additive Genetic Effects
             Mijkl : Random Maternal Genetic Effects
             ejikl : Random Error
           
    (2) 이유후 형질(W6, W12, W18, FW)
   
Yijkl = μ + YSi + Sj + Lk + Aijkl +eijkl
      여기서, Yijkl : 관측치
             μ : 전체 평균
             YSi: i번째 연도-계절효과(1978~1998, 사사기와 방목기)
             Sj : j번째 성의 효과(암컷, 수컷 비거세, 수컷 거세)
             Lk : k번째 출생지역의 효과〔한개부(내,외부), 축산연(대관령 지소, 남원지소)〕
             Aijkl : Random Direct Additive Effects
             eijkl : Random Error
           
    (3) 도체 형질(CW, DP, BF, EMA, MS)
   
Yijkl = μ + YSi + Lj + Sk + Dijkl + Aijkl + eijkl
      여기서,Yijkl : 관측치
             μ : 전체 평균
             YSi : i번째 연도-계절효과(1978~1998, 사사기와 방목기)
             Lj : j번째 출생지역의 효과〔한개부(내,외부), 축산연(대관령지소, 남원지소)〕
             Sk : 거세 효과
             Dijkl : 도축일령에 대한 Co-variate
             Ajikl : Random Direct Additive Effects
             ejikl : Random Error
           
    (4) 18개월령의 체위
   
Yijkl = μ + YSi + Lk + Aijkl + eijkl
      여기서, Yijkll : 관측치
             μ : 전체 평균
             YSi : i번째 연도-계절효과(1978~1998, 사사기와 방목기)
             Lk : k번째 출생지역의 효과〔한개부(내,외부), 축산연(대관령지소, 남원지소)〕
             Ajikl : Random Direct Additive Effects
             ejikl : Random Error
           
  4. 분석결과
    표 1은 1981년도부터 2001년도까지 각 형질별 분석에 포함된 개체수를 말한다. 발육형질(생시체중, 이유시체중 등)은 개량기관별 당·후대검정에 참여한 개체로 6,635두부터 13,808두의 범위로 분포하고 있으나 도체형질(도체중, 도체율 등)의 개체수가 작은 것은 후대검정에 참여한 두수이기 때문이다.
  표 2는 이유전 형질에 대한 연도별 암수별 표현형 평균체중과 표준오차를 표시하였다. 생시체중에는 암수별 년차별로 차이가 없으나 최근에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유시체중도 약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표 1. 각 형질에 대한 표현형 평균 및 표준오차
   
형질
분석개체수
평균체중±표준오차
  생시체중(W0), kg
  3개월령체중(W3), kg
  6개월령체중(W6), kg
  12개월령체중(W12), kg
  18개월령체중(W18), kg
  출하시체중(FW), kg
  도체중(CW), kg
  도체율(DP), %
  배장근단면적(EMA), ㎠
  등지방두께(BF), ㎝
  근내지방도(MS), 점
13,808  
10,649  
12,383  
7,977
6,635
3,783
3,916
3,891
3,674
3,868
3,153
  23.3 ± 3.168
  70.8 ± 13.155
131.3 ± 27.97 
282.1 ± 65.45 
423.3 ± 95.24 
527.8 ± 80.58 
300.0 ± 40.51 
  58.2 ± 1.97
  78.4 ± 9.43
  0.62 ± 0.32
  2.20 ± 1.30
           
    표 2. 출생년도별 이유전 형질의 표현형 평균 및 표준오차                                             (단위 : kg)
   
연도/형질
생 시 체 중 (W0)
이 유 시 체 중 (WW)
암컷
수컷
암컷
수컷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3.4 ± 2.67
25.2 ± 2.96
25.1 ± 1.77
24.3 ± 3.18
20.6 ± 2.71
22.6 ± 2.81
22.9 ± 2.65
22.7 ± 2.47
22.7 ± 2.93
21.4 ± 2.54
22.0 ± 2.59
22.6 ± 2.34
22.6 ± 2.80
22.1 ± 2.86
22.0 ± 2.76
22.1 ± 2.47
21.9 ± 2.80
22.8 ± 3.95
23.9 ± 3.83
23.8 ± 4.53
25.7 ± 3.28
26.9 ± 2.60
27.3 ± 2.77
26.7 ± 2.46
25.6 ± 2.22
21.9 ± 2.84
24.9 ± 3.07
25.2 ± 2.85
24.4 ± 2.93
24.1 ± 3.10
22.7 ± 2.90
23.4 ± 2.72
24.4 ± 3.11
24.7 ± 3.12
23.6 ± 3.14
23.8 ± 3.11
23.7 ± 2.79
24.1 ± 2.87
24.2 ± 3.24
25.9 ± 4.34
25.7 ± 3.91
29.0 ± 3.50
  66.7 ± 6.88
  72.1 ± 13.33
  69.3 ± 8.25
  66.5 ± 11.65
  66.5 ± 9.04
  70.6 ± 10.15
  71.5 ± 10.59
  70.5 ± 9.54
  62.6 ± 10.40
  72.4 ± 12.15
  67.9 ± 11.44
  70.2 ± 9.54
  63.2 ± 9.36
  66.9 ± 10.44
  66.0 ± 11.98
  64.1 ± 10.05
  61.0 ± 10.46
  66.4 ± 17.58
  77.8 ± 13.50
  72.4 ± 16.06
  89.6 ± 5.29
  72.4 ± 6.48
  78.5 ± 9.48
  76.0 ± 10.46
  71.9 ± 9.60
  71.9 ± 9.11
  77.6 ± 9.68
  78.6 ± 11.46
  71.6 ± 10.01
  68.46 ± 10.95
  79.2 ± 14.89
  78.1 ± 9.67
  73.1 ± 10.62
  70.0 ± 11.57
  73.5 ± 11.05
  72.4 ± 13.39
  72.9 ± 13.99
  77.2 ± 17.07
  75.9 ± 14.33
  76.5 ± 14.57
  73.4 ± 14.42
~
           
   
  표 3과 표 4는 년차별로 이유후 형질에 대한 암컷과 수컷의 표현형 평균을 나타난 표로 연차별로 연도가 증가 할수록 체중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암컷의 경우 6개월령 체중이 1981년도에 123Kg에서 2001년도에 152Kg으로 증가되였고 12개월령과 18개월령 체중도 1981년도에 182, 258Kg에서 2000년도에 각각 230, 297Kg으로 증대되였다. 수컷도 마찬가지로 6,12 및 18개월령 체중에 연도가 증가 할수록 증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표 3. 출생년도별 이유후 형질의 표현형 평균 및 표준오차                                                (단위 : kg)
   
연도/형질
6개월령체중
12개월령체중
18개월령체중
출하시체중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123.8±15.56
135.3±23.35
131.4±18.50
125.6±21.46
114.7±15.80
120.7±19.40
122.3±19.43
120.7±18.65
106.3±21.01
128.0±22.23
124.6±18.15
122.7±18.77
108.3±22.01
114.5±19.14
126.3±19.19
124.5±19.40
119.5±23.29
114.7±25.56
133.7±31.01
126.4±20.83
152.2±11.10
182.2±21.49
192.0±24.91
197.0±31.58
203.0±33.70
189.7±28.42
160.3±19.62
185.1±29.64
192.1±19.67
169.2±25.43
168.7±30.88
173.7±23.17
204.9±30.69
210.6±28.42
210.3±26.66
197.9±33.24
211.7±31.44
189.2±31.71
200.9±30.83
205.9±45.32
230.5±43.95
~
257.5±22.80
264.8±27.92
261.3±24.81
255.2±38.12
243.4±33.80
220.1±26.50
238.7±32.44
242.0±23.63
227.9±26.95
~
216.7±28.51
278.5±40.00
279.2±38.85
266.6±33.91
274.0±41.97
254.5±22.17
298.5±44.85
290.1±41.06
204.6±27.23
297.4±38.88
~
~
~
~
~
~
~
~
~
~
~
~
~
331.9±20.85
~
317.8±44.72
335.0±31.91
361.2±50.43
314.0±36.13
~
~
~
           
    표 4. 출생년도별 이유후 형질의 표현형 평균 및 표준오차                                                 (단위 : kg)
   
연도/형질
6개월령체중
12개월령체중
18개월령체중
출하시체중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132.6±13.27
146.0±17.17
142.1±20.51
135.4±19.03
132.4±23.80
140.7±22.81
141.5±25.46
132.8±29.23
124.7±28.31
143.2±24.33
139.9±22.97
133.8±28.08
133.4±35.46
139.4±27.46
146.7±26.97
141.8±26.97
141.8±29.98
140.9±30.34
158.9±26.65
145.1±21.27
327.2±24.52
336.4±28.74
322.6±27.00
341.1±36.04
335.3±31.23
331.1±30.73
335.1±37.33
320.5±36.17
311.6±45.08
331.9±42.31
318.4±46.58
300.1±52.53
267.8±52.79
277.3±51.48
315.9±44.22
316.9±46.59
284.7±44.36
249.3±40.68
278.9±43.18
336.1±39.86
475.7±42.11
480.4±44.19
446.0±28.78
489.4±28.90
471.8±41.33
458.9±40.49
465.9±45.65
458.9±46.53
469.4±56.17
477.9±49.82
460.3±63.54
459.8±58.44
439.3±62.08
451.7±61.60
494.7±58.03
480.6±62.54
417.1±57.37
394.9±57.02
439.3±39.84
514.6±40.71
~
~
~
~
~
468.7±15.34
485.5±50.20
562.7±69.07
551.5±71.64
517.2±61.08
540.5±60.97
535.5±61.68
521.2±64.69
547.2±63.75
592.1±67.60
567.0±65.34
504.8±55.78
500.5±55.59
542.4±46.10
~
           
   
  출생년도별 도체 형질에 대한 표현형 변화 추세는 표 5와 같다. 도축후 1일 간 냉장후 냉도체중은 1985년도에 276kg에서 1999년도에 314kg으로 변화되였고 등지방두께는 연도가 증가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 외에 도체율, 배장근 단면적 및 근내지방도는 연차별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6과 표 7은 연차별 주요 체위의 변화추세로 체고, 체중, 흉심, 요각폭 및 흉위에서 암·수별로 연차가 증가될수록 증대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표 5. 출생년도별 도체형질의 표현형 평균 및 표준오차
   
연도/형질
냉 도 체 중
(kg)
도 체 율
(%)
등지방두께
(cm)
배장근단면적
(cm2)
근내지방도
(점수)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76.3 ± 26.99
262.1 ± 27.45
268.8 ± 27.05
266.6 ± 28.15
275.3 ± 31.72
283.5 ± 29.22
309.6 ± 37.49
308.6 ± 31.23
303.4 ± 36.20
328.4 ± 32.16
345.6 ± 36.43
326.7 ± 40.92
295.1 ± 30.78
293.0 ± 35.12
314.8 ± 31.18
59.9 ± 1.62
58.3 ± 1.62
58.0 ± 1.86
57.7 ± 1.69
58.8 ± 1.82
58.7 ± 1.56
58.8 ± 1.97
57.8 ± 1.77
58.0 ± 1.85
57.7 ± 1.56
58.8 ± 2.06
58.7 ± 1.75
57.8 ± 2.25
57.7 ± 2.49
57.3 ± 1.60
0.8 ± 0.32
0.8 ± 0.35
0.8 ± 0.36
0.8 ± 0.33
0.6 ± 0.32
0.5 ± 0.26
0.4 ± 0.22
0.4 ± 0.20
0.3 ± 0.20
0.4 ± 0.21
0.6 ± 0.34
0.6 ± 0.32
0.6 ± 0.32
0.6 ± 0.26
0.8 ± 0.31
~
81.9 ± 9.97
80.4 ± 9.22
76.6 ± 8.83
78.9 ± 9.34
77.5 ± 8.25
76.7 ± 8.73
77.9 ± 7.58
76.5 ± 7.88
81.7 ± 9.00
86.5 ± 9.65
80.1 ±10.37
74.2 ± 8.06
72.6 ± 7.83
81.6 ± 8.41
~
~
~
~
2.8 ± 1.00
2.9 ± 1.07
2.3 ± 1.12
1.9 ± 0.91
1.4 ± 0.80
1.2 ± 0.63
1.3 ± 0.68
2.1 ± 1.57
3.0 ± 1.43
2.7 ± 1.34
2.7 ± 1.37
           
    표 6. 연도별 18개월령의 주요 체위의 표현형평균                                                         (단위 : cm)
   
연도/형질
조사두수
체고
체장
흉심
요각폭
흉위
1974
1977
1980
1983
1986
1989
1992
1995
1998
2,855
2,834
2,604
2,247
1,819
1,755
1,295
2,134
3,093
117.5
117.7
119.7
121.0
122.0
122.6
124.8)
125.3
126.5
128.0
129.4
131.9
133.4
135.1
137.6
142.6
145.2
144.1
60.0
61.5
63.0
64.5
64.5
65.3
67.8
68.3
70.1
36.1
37.1
38.7
39.2
39.5
42.0
44.4
45.5
46.4
157.8
161.7
165.7
169.6
171.3
177.0
188.4
189.0
191.2
           
    표 7. 연도별 18개월령의 주요 체위의 표현형 평균                                                         (단위 : cm)
   
연도/형질
조사두수
체고
체장
흉심
요각폭
흉위
1974
1977
1980
1983
1986
1989
1992
1995
1998
2,989
2,990
2,954
2,830
2,384
2,770
2,734
4,321
5,011
112.4
113.1
114.6
115.3
115.3
115.8
115.3
115.5
116.6
122.2
122.6
124.3
124.8
125.1
127.6
129.5
129.7
130.1
56.4
57.7
58.7
58.9
59.3
59.6
59.9
59.7
60.2
35.4
36.0
37.2
37.3
37.7
38.1
38.0
38.1
38.7
149.9
150.9
153.3
155.8
156.7
158.0
159.9
160.0
159.5
           
      앞에서 서술된 분석모델에 의한 생시체중과 이유시체중에 대한 유전분산과 환경분산은 표 8과 같다. 표 8은 개체에 대한 생시 및 이유시 체중에 대한 유전력()은 각각 0.17과 0.26으로 나타났고 모체에 의한 유전력()은 각각 0.09, 0.22로 추정되였으며, 표 9는 이유후 발육 형질의 유전력으로 6, 12, 18 및 종료시 체중에는 각각 0.41, 0.32, 0.33 및 0.43로 추정되였다.
  도체 형질에 대한 유전력은 표 10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도체중, 도체율, 등지방두께, 배장근단면적 및 근내지방도는 각각 0.36, 0.40, 0.35, 0.33 및 0.34로 추정되였고, 체위 형질로 체고 십자부고 체장 흉심 흉폭 고장 요각폭 좌골폭, 곤폭 및 흉위의 유전력은 표 1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 0.47, 0.39, 0.39, 0.30, 0.18, 0.28, 0.38, 0.35, 0.51 및 0.52로 추정되였다.
           
   
표 8. 이유전 형질에 대한 분산과 유전모수 추정치

표 9. 이유후 형질에 대한 분산과 유전모수 추정치

표 10. 도체형질에 대한 분산 및 유전모수 추정치

표 11. 18개월령의 체위에 대한 분산 및 유전모수 추정치(비거세우)

    표 12. 보증종모우의 육종가와 신뢰도
   
보증종모우
명호
육종가
도체중
배장근단면적
근내지방도
육종가
신뢰도
육종가
신뢰도
육종가
신뢰도
kpn-279
kpn-334
kpn-261
kpn-232
kpn-336
kpn-338
kpn-243
kpn-244
kpn-289
kpn-263
kpn-200
kpn-291
kpn-256
kpn-267
kpn-179
kpn-281
kpn-305
kpn-333
kpn-227
12.758    
1.583
6.806
1.332
8.285
7.437
5.738
11.796  
7.165
6.205
8.41  
-1.503   
11.757   
3.772 
9.137 
15.786   
5.962 
10.116   
3.11    
78
71
70
69
57
61
76
68
76
71
75
79
67
63
75
65
75
71
72
2.174
0.526
1.567
0.632
2.298
0.615
-0.315  
3.378
0.464
2.913
3.172
0.401
-0.189  
2.000
1.004
2.885
0.734
4.004
-1.223   
2.174
0.526
1.567
0.632
2.298
0.615
-0.315  
3.378
0.464
2.913
3.172
0.401
-0.189  
2.000
1.004
2.885
0.734
4.004
-1.223   
0.665
0.751
0.579
0.719
0.469
0.538
0.592
0.259
0.52
0.375
0.276
0.604
0.398
0.356
0.306
0.072
0.337
0.058
0.505
76
69
67
65
55
58
74
74
74
67
72
77
65
61
71
63
73
69
70
           
      표 12는 위의 모델로 분석된 결과로 현재 이용하고 있는 보증종모우에서 주요도체 형질에 대한 유전능력을 표시하고 있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우 보증종모우의 유전능력 부분에 KPN-279번 보증종모우의 도체중에 대한 육종가가 12.76kg이라고 하는 것은 90년도 출생한 보증종모우 자손의 도체중이 실제 평균 300kg이면 이때의 육종가를 0.00kg이라고 가정한다. KPN-279으로 인공수정하였을 경우 송아지를 생산한 번식.비육농가가 비육 후 판매하였을 경우 이 종모우 육종가의 반절값인 6.88kg이 자식(송아지)에 전달되므로 어미소의 유전능력을 무시하더라도 태어나는 송아지 평균 도체중에 6.88kg을 더 생산하여 평균 306.88kg된다는 것을 말하여 주고 있다.
           
    참 고 문 헌

농림부, 축산기술연구소. 2000. 가축개량관련자료.
박영일 외 . 1995. 가축육종학. 향문사.
박철진. 1999. 한우의 성장 및 도체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 및 유전적 변화 추세에 관한 연구.
축산기술연구소. 2000. 한우유전능력평가보고서 8. 9호.

'가축키우기 > 양계,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완전식품 계란에 대한 올바른 이해  (0) 2008.02.22
닭고기의 모든 것  (0) 2008.02.22
양계사도면 ....  (0) 2008.01.30
한우와 육우 교잡종  (0) 2008.01.29
한우산업의 현황과 전망  (0) 2008.01.29
1. 한우사육현황
    가. 한우사육현황
      한우는 우리나라 농가에서 농사일을 하기 위하여 사육하여온 우리 민족의 소로서 우리 나라만이 사육하고 있는 유일한 가축 유전자원이며 또한 우리 국민에게 쇠고기를 공급함으로서 국민 건강증진에 기여하여 온 가축이며 농가의 중요한 자산이기도 하다.
  한우 총 사육두수를 연도별로 보면 1965년도에 1,351천두, 1970년도에 1,268천두, 1980년도에 1,427천두, 1990년도에 1,622천두, 2000년도에 1,590천두로 10년 단위로 보면 대략 1,300천두에서 1,600천두 내외였으며 1985년과 1995년에는 2,500천두 이상이 사육되기도 하였다.
  한우사육두수는 사육 당시의 소값이 높고 낮음이나 기타의 여러 여건들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아 왔다. 특히 2001년에는 세계무역 협정에 의하여 외국의 축산물뿐만 아니라 생축까지도 수입이 완전 개방됨에 따라서 한우를 사육하는 농가들이 금후 한우 산업 전망에 대한 불안감이 반영되어 1999년에 1,952천두에서 2000년에 1,590천두, 2001년도 9월 현재 1,485천두로 급격히 감소되면서 한우 사육기반 붕괴를 염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표 1. 연도별 한우 사육현황
   
년도
총사육두수(천두)
사육농가수
(천호)
호당사육규모
(두/호)
1965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1.9
1,351
1,268
1,556
1,427
2,553
1,622
2,594
1,590
1,485
1,157
1,120
1,277
   948
1,048
   620
   519
   290
   247
1.2
1.1
1.2
1.4
2.4
2.6
5.0
5.5
6.0
           
      한우는 국내에서 사육하는 초식가축중 사육두수 뿐만 아니라 농가호수도 제일 많아 축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높지만 사육규모는 표 1에서와 같이 농가호당 사육두수가 1965년에 1.2두에서 2001년에는 6.0두로 증가되긴 하였지만 사육규모는 아직도 매우 영세한 실정이다.
  한우를 사육하는 농가수를 보면 1965년도에는 1,157천호였으나 1985년도에 1,048천호로 10만호가 감소하였고 그후에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01년에는 247천호이다.
  사육 규모별 분포를 보면 표2에서와 같이 1~9두를 사육하고있는 분포가 1989년에 75.7%였으나 2001년에는 38.4%로 감소된 반면 10~29두 24.1%, 30~49두 11.3%, 100두이상 13.6%로 한우사육규모가 점차 다두화·규모화되어 가고 있으나 아직도 규모의 영세함을 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그 동안 정부는 한우 산업의 안정적 발전을 위한 종합대책을 사회여건에 알맞도록 지속적으로 보완 수립 추진함으로서 한우산업발전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표 2. 사육규모별 사육두수 변화
   
년도
구분
사 육 규 모
1~9두
10~29두
30~49두
50~99두
100두이상
1989
두수(천두)
비율(%)
1,163
75.7
232
15.1
59
3.9
47
3.1
35
2.2
1,536
100
1997
두수(천두)
비율(%)
1,194
43.6
851
31.1
333
12.2
201
7.4
157
5.7
2,735
100
2001.3
두수(천두)
비율(%)
566
38.4
356
24.1
167
11.3
186
12.6
201
13.6
1,476
100
           
    나. 쇠고기 수급동향
      쇠고기 소비량은 2000년도에 402천톤으로서 1990년도의 181천톤에 비하면 무려 2.2배나 증가하였고 1인당 쇠고기 소비량도 4.1㎏에서 8.5㎏으로 2배나 증가하여 1999년도 일본의 국민 1인당 쇠고기 소비량 7.3㎏보다도 더 많이 소비하고 있다.
  국내산 쇠고기 자급율은 1990년도에 52.5%에서 계속 증가하여 1998년도에 75.4%까지 증가하였다가 2000년도에는 52.7%로 낮아져 1990년대의 자급률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표 3. 연도별 쇠고기 소비량
   
구 분
년 도
대비
(B/A)
1990(A)
1997
1998
1999
2000(B)
○ 총소비량(천톤)
- 국내산
- 수입산
○ 자급율(%)
181
95
86
52.5
362
228
134
63.0
345
260
85
75.4
393
240
153
61.1
402
212
190
52.7
2.2
2.2
2.2
-
○국민 1인당 소비량(㎏)
4.1
7.9
7.4
8.4
8.5
2.1
           
    다. 소값 동향
      한우 큰소의 값은 (표 4) 1990년의 두당 2,147천원~2,406천원에 비하여 외환위기(IMF)를 경험한 1998년을 제외하고는 최근까지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한우 암소의 경우 2000년을 기점으로 한우 수소 값보다 오히려 비싼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2001년부터 시작된 축산물의 완전수입개방에 따른 한우 사육농가의 사육심리 불안으로 시발된 한우 암소의 마구잡이식 비육후 도축 또는 출하로 인한 한우 암소 사육두수가 크게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표 4. 소값의 변화추세
(단위 : 천원/두)
   
구 분
년 도
1990
1997
1998
1999
2000
2001.5
송아지

수소
암소

1,217
   867
1,046
   733
   465
   380
1,302
   948
1,183
   923
1,646
1,606
큰   소

수소
암소

2,406
2,147
2,426
2,159
1,681
1,607
3,098
2,959
2,537
2,698
2,653
3,056
           
      송아지 값도 한우 큰소 가격과 유사한 가격변화를 보이고 있고 현재(2001년 5월)는 한우 암소사육두수 부족으로 인한 송아지 생산두수가 감소하여 두당 송아지 값은 수소 1,646천원, 암소 1,606천원으로 급상승세에 있다.
           
  2. 한우산업 전망
    한우는 우리 나라에서만이 사육하는 우리 나라 고유의 동물유전자원이며 쌀 다음으로 대부분의 농가에서 사육하고 있는 실정으로 우리나라 국가 기간 산업의 역할을 하고 있다.
  한우산업의 안정적 발전은 우리 정부의 주요한 정책사업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정부는 여러 가지의 여건변화에 따라 변하는 한우산업의 안정적 발전을 위하여 매년 새로운 한우산업 발전 종합대책을 수립 시행하고 있다.
     
    가. 한우 산업 발전의 기본 방향
      안정적인 한우산업 발전을 위해서 2001년도 한우산업 종합 발전대책에서 제시한 한우산업 발전의 기본방향을 살펴보면, 한우개량 생산기지와 번식우단지 조성, 대규모 조사료생산과 경종농가와 연계를 통한 우수하고 저렴한 송아지 생산과 송아지 생산 안정사업 확대, 다산 장려금 지급, 번식우 예탁, 위탁사업 등을 통한 한우 번식 기반의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아울러 저렴한 송아지 생산·공급, 규모화, 전업화 및 일관사육을 통한 경영의 전문화 유도 및 거세장려금, 우수축 생산 조성금, 표준사양관리 지침 등을 제공하고, 한우고기의 품질고급화와 브랜드화를 위한 평가 실시 등으로 비육농가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면서 한우 예비등록제 도입, 도별 보증씨수소 선발, 인공수정료, 등록비 등 지원을 통한 한우개량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도축시설 현대화 지원 및 중점위해요소 관리체제도입 등으로 위생수준 향상과 소규모 정육점의 전문화 및 부분육 상장경매제도 도입 등 냉장 부분육 유통과 시장차별화 기반 확보로 신선하고 위생적인 한우고기가 제값을 받을 수 있는 유통체계를 구축한다는 것이다.
           
    나. 한우산업의 중·장기 전망
      (1) 한우사육두수와 자급율
        국민의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국민식생활개선으로 쇠고기에 대한 수요는 계속 증가할 것이나 증가 추세는 둔화될 것으로 전망한다.
  한우 사육두수는 2001년 중반이후 2002년 상반기까지 최저로 감소할 것이나 수입개방에 대한 한우 사육농가의 사육심리가 점차 안정화되면서부터 사육두수는 증가추세로 반전될 것으로 보여 2003년부터는 증가폭이 커지고 2005년에는 1,969천두, 2010년에는 2,254천두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표 5. 사육두수와 자급율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10
    사육두수(천두)
    쇠고기총소비량(천톤)
    국민 1인당 소비량(㎏)
    국내산 공급량(천톤)
    자급율(%)
1,590  
402  
8.5  
212  
52.7  
1,479  
410  
8.6  
159  
38.7  
1,524  
426  
8.9  
128  
30.0  
1,665  
442  
9.2  
129  
29.3  
1,822  
459  
9.4  
137  
30.0  
1,969  
476  
9.7  
151  
31.8  
2,254  
536  
10.6  
195  
36.3  
           
        국민 1인당 소비하는 쇠고기량도 8.5㎏에서 2010년에는 10.6㎏으로 증가될 것이며 쇠고기 자급율은 출하물량 감소로 인하여 2003년까지는 하락한 후 2004년부터는 서서히 증가하여 29~36% 수준에서 유지될 전망이며, 따라서 소값도 수입육가격, 품질 차별화 정도 및 소비자의 쇠고기에 대한 신뢰도 등에 따라서 결정될 것이나 당분간은 사육두수 부족에 따라서 높은 가격을 유지할 것이다.
           
      (2) 한우 산업의 발전된 모습
      2010년 한우산업의 발전된 모습을 보면

○ 번식농가가 시·군 단위 생산자단체를 중심으로 조직화 및 체계적인 생산을 하고 비육우농가는 브랜드
    를 중심으로 생산 및 출하를 조절함으로서 농가는 가격이나 판로확보에 대한 불안감 없이 생산성 향상
    및 품질  고급화에 주력하게 될 것이고,

○ 출하된 소의 도체성적이 번식농가까지 전달되어 우수암소 차별화와 전 두수 인공수정 및 거세실시로 한우
     고기의 품질이 향상되어 지역별 개량체계 구축 과 우수보증 씨 수소 선발·보급으로 브랜드별 차별화된 한
    우 고기의 공급이 가능하고,

○ 브랜드 참여두수가 전체 사육두수의 50%수준으로 자율적인 출하 및 수급조절기능을 갖춤으로서 시장 장
    악력이 확대되고 브랜드 주체 중심의 소비홍보활동 실시로 쇠고기 시장을 선도함으로서 내실있는 한우
    브랜드가 수입육과 완전차별화 된 한우고기로 국내 한우고기시장을 주도하고 다양한 계층의 소비수요도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 현대화, 규모화 된 소매판매 시설에서 원산지, 등급, 부위 및 신선도에 따른 판매로 소비자 신뢰도 향상과
    브랜드와 축산물 가공처리시설 개선으로 위생적인 도축과 가공업체가 연계하여 한우고기의 안정성 제고
    와 냉장 부분육 유통기반이 확립될 것이다.

○ 정부, 지자체, 연구소, 생산자단체 등이 연계하여 체계적이고 일관된 지원과 축산농가에 대한 사육기술
    개선, 새로 개발된 신기술의 지속보급과 지도 등 한우산업의 종합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것이다.

           
    다. 한우산업의 발전지표
      (1) 한우 고기 수급측면에서 한우산업의 발전 지표
        한우 고기수급 측면에서 한우의 발전자료를 보면 우선 한우사육두수가 2000년에 1,590천두에서 2010년에는 2,250천두로 증가되고 쇠고기 소비량도 402천톤에서 536천톤으로 증대되며, 국민 1인당 쇠고기 소비량도 현재 8.5㎏에서 10.6㎏까지 증가하나 자급률은 현재 52.7%이지만 국제적인 모든 여건을 고려하여 볼 때 36%가 될 전망이다.
           
      표 6. 수급측면에서 한우산업 발전지표
     
구    분
년    도
2000
2005
2010
     한(육)우 사육두수(천두)
     쇠고기 소비량(천톤)
       - 국내산
     1인당 소비량(㎏)
     자급율(%)
1,590
402
212
  8.5
52.7
1,970
476
151
  9.7
32.0
2,250
536
195
10.6
36.0
           
      (2) 생산적인 측면에서 한우산업의 발전지표
        생산적인 측면에서 보면 고급육 생산의 기본이 되는 거세율이 현재 11%에서 95%로 증대되고, 육질1등급 출현율도 80%이상이 되고 암소의 번식간격도 12개월로 단축되어 1년에 1산이 가능하게 되며 인공수정율도 현재 69%에서 95%로 향상되며, 생산비 절감에 의한 경영절감지수도 현재를 100으로 볼 때 80으로 20%정도 생산비 절감이 가능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표 7. 생산적 측면에서 한우산업 발전지표
     
구    분
년    도
2000
2005
2010
     거세수소
        -24개월령 체중(㎏)
        -육질등급비율(%)
        -거세율(%)
     암소
        -번식간격(월)
        -인공수정율(%)
    경영비 절감지수(번식우)
550
52
11

13.3
69.0
100.0

585
66
60

12.8
90.0
90.0

610
80
95

12.0
95.0
80.0

           
  참 고 문 헌

농림부. 2001. 한우종합발전대책.
______ . 1989-2001. 농림통계연보.

'가축키우기 > 양계,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완전식품 계란에 대한 올바른 이해  (0) 2008.02.22
닭고기의 모든 것  (0) 2008.02.22
양계사도면 ....  (0) 2008.01.30
한우와 육우 교잡종  (0) 2008.01.29
한우의 유전적 특성  (0) 2008.01.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