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폐열을 없애고 진해거담작용이 있는 더덕

더덕은 여러해살이 풀이다.  줄기는 2미터에 이르고 다른 식물에 감겨 자란다.  잎은 긴 타원형이고 4개가 마주 붙는다. 전국 각지의 깊은 산 건땅에서 자란다.  뿌리를 사삼이라고도 부르는데, 봄 또는 가을에 뿌리를 캐어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잔대와 같은 속 식물의 뿌리를 사삼으로 쓰는 나라도 있다.  뿌리에는 사포닌, 이눌린이 있고, 잎에는 플라보노이드가 있다.  

북한의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더덕의 효능을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폐열을 없애고 진해거담작용이 있다 하여 열이 있고 입안이 마르는데, 폐에 열이 있고 기침과 가래가 있을 때, 피를 토할 때 쓴다. 민간에서는 만삼보다 작용이 약하지만 강장강정약으로 쓴다.  말린 뿌리를 5~10그램을 달여서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만성기관지염, 폐결핵 때의 기침가래약으로 쓴다."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더덕에 관해서 이렇게 적고 있다.  

"도라지과에 딸린 다년생 풀인 더덕은 각지 산허리의 기름진 땅에서 자라며 심기도 한다.  가?또는 봄에 뿌리를 캐서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약간 차다.  페경, 위경에 작용한다.  음을 보하고 열을 내리며 폐를 눅여주어 기침을 멈춘다.  또 위를 보하고 진액을 불려주기도 하며 고름을 빼내고 해독한다.  거담작용, 진해작용, 혈중콜레스테롤감소작용, 강압작용, 호흡흥분작용, 피로회복촉진작용, 혈당증가작용 등이 실험적으로 밝혀졌다.  폐음부족으로 열이 나면서 기침하는 데, 입안이 마르고 갈증이 나는데, 오랜 기침, 폐옹, 유선염, 연주창, 옹종, 대하 등에 쓴다.  하루 6~12그램을 달여서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짓찧어 붙인다."

종기나 뱀, 벌레에 물렸을 때 생뿌리를 짓찧어 환처에 붙이거나 달인 물로 닦아낸다.  식용으로 껍질을 벗긴뒤 두들겨서 납작해진 것을 찬물에 담가서 쓴 맛을 우려낸 다음 고추장을 발라 구워 먹는다.  또는 생뿌리를 반 정도 말린 뒤 고추장 속에 박아 장아찌로 하기도 한다.  

생약명을 양유, 사삼, 노삼, 통유초, 토당귀 라고도 부른다.  약효로는 강장, 해열, 거담, 해독, 최유, 배농, 소종 등의 효능이 있으며 기침, 인후염, 폐농양, 임파선염, 유선염, 젖 분비부족, 종기 등에 사용한다.

'산채류재배 > 더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발 높은 청정지역 산촌에 적합한 더덕  (0) 2007.04.21
더덕재배를 위한 토양특성  (0) 2007.04.20
더덕  (0) 2007.04.07
[스크랩] 산더덕 재배에 성공한 조남상씨  (0) 2007.03.29
더덕의 병해  (0) 2007.03.27

폐열을 없애고 진해거담작용이 있는...

 

 

음력8월이나 2월에 뿌리를 캐서 햇볕에 말려서 사용한다.

 

* 가래를 없애며 폐의 기능을 보강한다.

* 위장의 기능을 돕는다.

* 심장을 튼튼하게하여 성인병을 예방한다.

   높은 혈압을 내리는 작용이 탁월하고 혈관을 확장시키고 혈액을 정화하는 약효가 있다.

 

~주의~

더덕은 갑작 스럽게 생긴 질병보다는 오랫동안 지속된 속병에 더 효과가 좋기때문에 허약체질의 습관적인 만성기침에는 사용하지만 초기감기 급성기관지염 등의 기침에는 쓰지 않는다. 

 

 

 

 

 

 

1. 더덕은 여러해살이 풀이다. 

줄기는 2미터에 이르고 다른 식물에 감겨 자란다. 

잎은 긴 타원형이고 4개가 마주 붙는다.

전국 각지의 깊은 산 건땅에서 자란다. 

뿌리를 사삼이라고도 부르는데, 봄 또는 가을에 뿌리를 캐어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잔대와 같은 속 식물의 뿌리를 사삼으로 쓰는 나라도 있다. 

뿌리에는 사포닌, 이눌린이 있고, 잎에는 플라보노이드가 있다. 

 

2. 북한의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더덕의 효능을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폐열을 없애고 진해거담작용이 있다 하여 열이 있고 입안이 마르는데, 폐에 열이 있고 기침과 가래가 있을 때, 피를 토할 때 쓴다.

민간에서는 만삼보다 작용이 약하지만 강장강정약으로 쓴다. 

말린 뿌리를 5~10그램을 달여서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만성기관지염, 폐결핵 때의 기침가래약으로 쓴다." 

 

3.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더덕에 관해서 이렇게 적고 있다. 

"도라지과에 딸린 다년생 풀인 더덕은 각지 산허리의 기름진 땅에서 자라며 심기도 한다. 

가을 또는 봄에 뿌리를 캐서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약간 차다. 

페경, 위경에 작용한다. 

음을 보하고 열을 내리며 폐를 눅여주어 기침을 멈춘다. 

또 위를 보하고 진액을 불려주기도 하며 고름을 빼내고 해독한다. 

거담작용, 진해작용, 혈중콜레스테롤감소작용, 강압작용, 호흡흥분작용, 피로회복촉진작용, 혈당증가작용 등이 실험적으로 밝혀졌다. 

폐음부족으로 열이 나면서 기침하는 데, 입안이 마르고 갈증이 나는데, 오랜 기침, 폐옹, 유선염, 연주창, 옹종, 대하 등에 쓴다. 

하루 6~12그램을 달여서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짓찧어 붙인다."

 

4. 종기나 뱀, 벌레에 물렸을 때 생뿌리를 짓찧어 환처에 붙이거나 달인 물로 닦아낸다. 

식용으로 껍질을 벗긴뒤 두들겨서 납작해진 것을 찬물에 담가서 쓴 맛을 우려낸 다음 고추장을 발라 구워 먹는다. 

또는 생뿌리를 반 정도 말린 뒤 고추장 속에 박아 장아찌로 하기도 한다. 

 

5. 생약명을 양유, 사삼, 노삼, 통유초, 토당귀 라고도 부른다. 

약효로는 강장, 해열, 거담, 해독, 최유, 배농, 소종 등의 효능이 있으며 기침, 인후염, 폐농양, 임파선염, 유선염, 젖 분비부족, 종기 등에 사용한다.

 

 

 

종 같이 생긴 흰 꽃이 지고난 다음의 그림입니다.

 

4월초의 더덕줄기




 

 

[양유(羊乳,沙蔘)] 
【이명】 노삼, 지황, 통유초, 산해라, 사엽삼, 백하차, 토당삼
【기원】 더덕의 근
【학명】 Codonopsis lanceolata(S. et Z) Trautv.
           길경과(초롱꽃과 Campanulaceae)에 속한 다년생 덩굴성 초본으로서 150~
           250cm쯤 자라고, 뿌리는 비대하며, 줄기를 자르면 백색유액이 나온다. 잎
           은 호생하며, 3~4개의 잎이 접근하여 나는데, 피침형 또는 장타원형으로
           서 톱니가 없다. 꽃은 8~9월에 녹색 바탕에 갈자색의 반점과 테가 있고,
           아래를 향하여 피는데, 과기는 9~10월이다.  전국에 분포하며  숲속에서
           자라고, 뿌리는 식용으로도 이용된다.
【채취】 가을철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수치】 그대로 썰어서 사용한다.
【기미】 평하고 감신하다.
【귀경】 비, 폐경에 들어간다.
【효능】 거담, 배농, 강장, 최유, 해독, 소종, 생진
【주치】 해수, 인후염, 폐농양, 유선염,임파선염, 장옹, 옹종, 유즙부족, 사교상
【용법】 내복 : 탕전하거나 연말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 짓찧어 환처에 붙이거나,  또는 물로 달여서  환처를 씻어낸다.
【용량】 1일 12~30g
【처방명예】 삼소음 등 사삼 처방에 사삼으로 쓰이고 있다.
 
【異名】 奴蔘, 地黃, 通乳草, 山海螺, 四葉蔘, 白河車, 土黨蔘
【基源】 더덕의 根
【學名】 Codonopsis lanceolata(S. et Z) Trautv.
           桔梗科(초롱꽃과 Campanulaceae)에 屬한 多年生 덩굴성 草本으로서 150
           ~250cm쯤 자라고, 뿌리는 肥大하며, 줄기를 자르면 白色乳液이 나온다
           잎은 互生하며, 3~4개의 잎이 접근하여 나는데, 披針形 또는 長楕圓形
           으로서 톱니가 없다. 꽃은 8~9월에 녹색 바탕에 褐紫色의 斑點과 테가
           있고, 아래를 향하여 피는데, 果期는 9~10월이다. 전국에 분포하며 숲
           속에서 자라고, 뿌리는 식용으로도 이용된다.
【採取】 가을철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修治】 그대로 썰어서 사용한다.
【氣味】 平하고 甘辛하다.
【歸經】 脾, 肺經에 들어간다.
【效能】 祛痰, 排膿, 强壯, 催乳, 解毒, 消腫, 生津
【主治】 咳嗽, 咽喉炎,肺膿瘍, 乳腺炎, 淋巴腺炎, 腸癰, 癰腫, 乳汁不足,蛇咬傷
【用法】 內服 : 湯煎하거나 硏末로 하여 복용한다.
           外用 : 짓찧어 환처에 붙이거나, 또는 물로 달여서 환처를 씻어낸다.
【用量】 1日 12~30g
【處方名例】 蔘蘇飮 등 沙蔘 처방에 沙蔘으로 쓰이고 있다.
 

 

잎이 4개로 마주보고 있습니다.

 

 

 

잡고보니 뿌리를 깊이 내렸습니다.

토양이 좋더군요.

 

약초동산님의 그림입니다. <가져옴>

 




'산채류재배 > 더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덕재배를 위한 토양특성  (0) 2007.04.20
더덕의 효능  (0) 2007.04.14
[스크랩] 산더덕 재배에 성공한 조남상씨  (0) 2007.03.29
더덕의 병해  (0) 2007.03.27
더덕 직파재배시 적정 제초제  (0) 2007.03.27

양평군 서종면에서 산더덕 재배단지를 운영하고 있는 조남상씨를 만나기 위해 양수대교를 지나 서종면에 도착했다. 나이 지긋한 분을 붙잡고 조남상씨를 아느냐고 물었다. "아 더덕아저씨 말이요"하면서 조남상씨를 안다고 하였다. 조남상씨는 이곳에서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벌써 유명인이 된듯하다.

조남상씨는 서종면에서 약 50여 만평의 산더덕재배지를 운영하고 있다. 겉으로 보기에는 농사꾼 같아 보이지만 얘기를 하다보면 임업경영에 대해 아는 것이 너무 많아 "아"하고 감탄사가 절로 나온다. 물려받은 재산없이 맨손으로 시작해서 지금 규모의 산더덕재배지를 운영하고 있는 것은 오직 부지런함과 억척스러움 그리고 연구정신과 모험심이 몸에 베어 있었기 때문이란 생각이 든다.

조씨의 살아온 얘기를 들어보면 한편의 드라마 같다. 고향은 서종면 소재지에서 12km 정도 떨어져 있는 노문리인데 그곳에서는 알아주는 부자였다고 한다.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중학교를 갈즈음, "학교가 너무 멀으니 다음해에 가라"는 부모님 말씀에 그만 일벌레의 길로 접어 들었다. 봄에 퇴비하고 여름에 모심고 소풀베고, 가을에 벼베고… 그야말로 눈코뜰새 없이 일에 묻혀 살았다.

일하는 재미가 있어 학교가는 것도 잊어버리고 오직 일에만 메달린 결과 논을 128뱀으로 늘릴 수 있었다. 그러나 17세에 어머님 잃고 19세에 아버지 마저 잃는 불운도 있었다. 6살 많은 형이 있었으나 농사일은 거들떠 보지도 않고 사업한답시고 가사일은 내팽개치다시피 하였단다.

73년에 군에 입대하여 76년에 제대를 하여 집에 와보니 형이 사업자금으로 쓸만한 땅은 다 팔아 버리고 다락논과 밭 몇 뱀만 남아 있었다. 제대한 기분도 잠시, 먹고 살기 위해 이것저것 닥치는데로 농사일을 하였다. 그러나, 투자와 노력에 비해 소득이 너무 적었다. 그래서 표고재배로 승부를 걸기로 하고 그해 벼 10가마 매상한 금액과 이웃에서 빌린돈 200만원으로 1만 5,000본의 자목을 구입하여 표고재배를 시작하였다.

돈이 좀 모이자 약초와 채소재배도 하였다. 82년에는 인삼재배도 하고 88년부터는 밭 더덕재배도 하였다. 그러나 표고재배 외에는 경험부족과 출하시의 가격폭락 등으로 운이 따라주지 않아 밭
빌린 값과 빌린돈 이자 주고나니 남는 것이 별로 없었다. 더구나 92년도에 2만평의 더덕밭에서 더덕씨를 20가마 채취하여 팔려고 하였으나 가격이 하락하여 부채만 더 짊어지게 되었다. 무엇을 하여 부채를 갚을까 고민에 고민을 하다가 자살도 생각했다는 조씨. 처와 자식들 생각에 살아 보겠다고 다시 각오를 다지면서 당숙아저씨의 말씀이 생각났다.

"더덕을 산에 심으면 크는데로 캐니까 해마다 캐도 더덕밭이다." 그래서 93년도에 양평군 서종면 서후리와 수입리 산 40ha에 92년도에 채취하여 팔지못한 더덕씨를 뿌렸다. 그리고는 매일같이 산에가서 살다시피 하며 발아를 애타게 기다린 끝에 4월 20일경에 양지에서 발아가 되기 시작 하고 5월 10일 경에는 음지에도 발아가 되기 시작했다. 3년만 있으면 '고생끝 행복 시작'이라는 생각을 하니 산에서 뛰어다녀도 힘이 들지않았단다.

그러나 볼펜굵기만하게 자라 1차 수확을 앞둔 어느날 도둑이 들어 좋은것만 골라서 다 캐어가는 일이 있었다. 이때의 심정은 더덕재배지를 다 뭉개고 싶었단다. 고육책으로 순찰을 돌고 매복도 하여 몇사람을 현장에서 잡기도 하였으며, 그 후로는 도둑은 맞지 않았다고 한다.

조씨는 "산더덕 재배를 할려면 가을이나 겨울철 벌채하기 전에 6000평에 1가마 정도의 더덕씨를 뿌린 후에 거름을 조림하기 전후에 한 번만 주고 그이후 수확때까지 거름을 주어서는 안되지요. 그래야만 더덕 특유의 향과 맛이 좋은 더덕을 수확할 수 있지요. 그리고 매년 5회정도 풀베기를 해 주 어야 해요. 그렇지 않으면 더덕이 잘 자라지 않지요. 수확은 씨뿌린 후 3 년째부터 3-4년동안 가능합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풀베기를 자주 해주니까 조림목이 잘 자라 산주로서는 매우 이득이지요"라고 한다.

산더덕재배의 좋은 점으로 우선 땅을 빌릴 임대료를 줄 필요가 없고 나무를 심은 후 1-2회는 풀베기 작업비를 정부로부터 지원받을 수 있으며, 산에는 낙엽등 각종 유기물이 풍부하여 거름을 1회만 주면되니까 관리비가 밭더덕 재배보다 적게드는 장점이 있다고 한다. 또한 산에서 자란 더덕이 야 말로 무공해 건강 식품이라고 침이 마르도록 자랑한다.

산더덕과 밭더덕의 구별방법을 물었더니, “밭에서 재배한 것은 머리부분이 굵고 잔뿌리가 많은 반면 산더덕은 머리부분보다 중간부분이 다소 굵으며 나이가 많이 들어보이면서 향기가 진하지요.”라고 한다.

조씨는 현재 더덕재배로 수억원의 부채를 안고 있지만 산더덕 재배단지 50여 만평 외에도 산 1만 7,000평과 논과 밭도 갖고 있으며 저온저장고와 창고, 농업용차 2대, 승용차 1대를 보유하고 있는 요새말로 성공한 임업인에 속한다.

작년도에 1만 5,000kg의 더덕을 수확하여 2억원 이상의 수입을 올렸으며, 금년도에는 3억원 이상의 수입을 생각하고 있다고 한다. 풀베기 작업비와 사업융자금이자 등을 제하여도 1억원 이상의 순소득이 예상된다고 하니 웬만한 중소기업체보다 낫다는 생각이 든다.

조씨에게 더덕을 산에 재배하는 것과 밭에서 재배하는 것 어느것이 더 이익이냐고 물었더니, 산에 재배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자신있게 대답한다. 그이유로 밭에는 거름도 많이 주어야하고 비닐도 깔고 말뚝도 박아주고 더덕망도 만들어 주어야 하므로 2년동안 평당 1만 4,000원 정도 들어가지만, 산에서 재배를 할 경우에는 유기물이 많아 별도로 거름을 많이 줄 필요가 없어 평당 5,000원 정도만 들어 간다고 한다.

그러나 거래가격은 한관 (4kg)에 밭더덕은 3만원이고 산더덕은 6만원이니 산더덕재배가 훨씬 이익 이란다. 산에 더덕을 다 수확한 후에는 나무를 가꾸는 것이 다시 더덕씨를 뿌려 더덕을 재배하는 것 보다는 유리하단다. 그 이유는 관리비가 너무많이 들 뿐 아니라 나무가 커져서 그늘이 많아 더덕이 잘 자라지 않기 때문이란다. 그때는 그늘에 잘 자라는 장뇌삼을 재배하면 된단다. 조씨는 부지런함과 억척스러움 외에도 늘 연구하는 자세로 일을 하고 있다.

그 한 예로 4월 하순부터 더덕재배지에 옥수수를 군데군데 심어 더덕 줄기가 타고 올라 가도록 유도하면서 옥수수도 수확할 예정이라 한다. 또한 금년도 조림지에 도라지와 황기를 각각 1500평정도 시험재배도 하여 성공하면 확대할 계획을 갖고 있기도 하다.

조씨는 지금까지 자신을 믿고 도와준 분들에게 보답하는 길은 벌채지가 있으면 어디든 달려가 더덕씨를 뿌려 소득도 올리고 나무도 잘 가꿀 수 있도록 하겠다고 한다. 또한 오늘날 자신이 있기까지 도와준 산림조합직원과 군 산림과와 산업과 직원들에게 참으로 고맙다는 말도 잊지 않았다.

조씨는 산림청에서 복합산림경영지에는 풀베기보조를 1년에 2∼3회 정도로 늘려 해주고, 임업인에게 보다 많은 임업정책자금을 융자를 해 주기를 기대하고 있다.

출처 : 십이월의 항구
글쓴이 : 디셈버 원글보기
메모 :

'산채류재배 > 더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덕의 효능  (0) 2007.04.14
더덕  (0) 2007.04.07
더덕의 병해  (0) 2007.03.27
더덕 직파재배시 적정 제초제  (0) 2007.03.27
더덕지주의 사용효과  (0) 2007.03.27
         
   더덕의 병해
 
기관 : 농업과학기술원
 
성명 : 김완규
 
전화 : 031-290-0439
           
     더덕은 주로 강원, 경기, 전북지방의 산간지대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는 약초인데, 최근 녹병, 시들음병, 줄기썩음병 등에 의한 피해가 큰 실정이다. 따라서 이들 병으로부터 경제적인 피해를 크게 줄이기 위해서는 조기에 병을 진단하여 종합적인 방제대책을 세워야 한다.

  1. 녹병
    가. 병증세
       처음에는 잎의 뒷면에 가루모양의 노란색 포자덩어리(하포자퇴)가 여기저기 흩어져 붙어 있으며, 병이 진전되면 부정형의 병무늬가 생기고, 잎이 찢어지기도 한다. 더 심해지면 잎이 퇴색하여 말라 죽는다.

   
    그림 1. 녹병

    나. 발생요인
       녹병은 코레오스포리움(Coleosporium)균에 의해서 발생되는데, 이 균에는 하포자와 동포자, 그리고 수포자 시대가 있어 다른 식물에 기생하여 생활주기를 바꾸는 기주교대의 특성이 있으나, 더덕녹병의 발생생태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다. 방제법
       병발생 초기에 채소작물에 사용되는 녹병약을 뿌리면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더덕에는 방제농약으로 고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약제를 뿌릴 때는 미리 약해여부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만 한다.

  2. 점무늬병
    가. 병증세
       잎에 부정형의 작은 점무늬가 형성되는데, 병무늬 가장자리는 잎맥을 경계로 각이 진 것처럼 보인다. 더 심해지면 잎이 누렇게 변하고, 일찍 떨어진다.

   
    그림 2. 점무늬병

    나. 발생요인
       점무늬병은 셉토리아(Septoria)균에 의해서 발생되는데, 이 균은 병든 부위에서 병자각을 형성하고, 병자각 내에는 실모양의 많은 병포자를 형성한다. 병원균은 병든 부위에서 병자각의 형태로 월동하여 이듬해 봄에 병포자가 흩날려 다시 더덕을 침해하는데, 온도가 높고 습기가 많은 여름철의 장마기에 발생이 심하다.

    다. 방제법
       점무늬병의 발생이 심한 포장에서는 가능한 한 이어짓기를 피하고, 약제방제는 병발생 초기에 해주어야만 한다. 국내에서는 더덕점무늬병에 대한 방제농약이 고시되어 있지 않으나 캡탄수화제가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약제를 뿌릴 때는 미리 약해 여부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만 한다.

  3. 탄저병
    가. 병증세
       잎과 줄기에 원형 내지 타원형의 병무늬가 형성되며, 병무늬의 주위는 갈색 내지 자갈색을 띤다. 심하면 병무늬가 부정형으로 커지면서 잎이 마른다.

   
    그림 3. 탄저병

    나. 발생요인
       탄저병은 콜레토트리쿰(Colletotrichum)균에 의해서 발생되는데, 이 균은 병든 부위에서 포자층을 형성하고, 포자층 위에 긴 타원형의 분생포자를 형성한다. 주로 비바람 등에 의해 분생포자가 흩날려 더덕의 잎과 줄기를 침해하는데, 비가 많이 오는 여름과 가을철에 발생이 심하다.

    다. 방제법
       더덕 탄저병의 방제농약으로 고시된 농약은 없으나, 채소작물에 사용되는 탄저병약을 병이 발생한 초기에 뿌리면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약제를 뿌릴 때는 미리 약해여부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만 한다.

  4. 시들음병
    가. 병증세
       병든 식물체는 줄기의 땅과 맞닿는 부위가 약간 움푹 들어간 상태로 변색되어 마르며, 지상부가 시들고 말라 죽는다.

    나. 발생요인
       시들음병은 후사리움(Fusarium)균에 의해서 발생되는데, 이 균은 토양전염성으로 병든 부위에서 초승달 모양의 분생포자를 형성한다. 병원균은 후막포자의 형태로 월동한 다음, 이듬해 봄에 후막포자가 발아하여 다시 더덕을 침해한다.

    다. 방제법
       발생이 심한 포장은 이어짓기를 피하고, 병발생 초기에 베노밀수화제를식물체의 땅과 맞닿는 부위에 뿌려주면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방제농약으로 고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미리 약해 여부를 검토한 후 사용해야만 한다.

  5. 줄기썩음병
    가. 병증세
       병에 걸린 식물체는 줄기의 땅과 맞닿는 부위에서부터 검게 변색되어 썩으며, 지상부의 생육이 나쁘고 뿌리가 잘 크지 않는다. 심하면 식물체가 시들어 죽는다.

    나. 발생요인
       줄기썩음병은 라이족토니아(Rhizoctonia)균에 의해서 발생되는데, 이 균은 주로 균사의 신장에 의해서 식물체를 침해한다. 병원균은 병든 부위나 토양 중에서 균핵을 형성하여 월동한 다음, 이듬해 봄에 다시 식물체를 침해한다.

    다. 방제법
       발생이 심한 포장은 이어짓기를 피하고, 병발생 초기에 방제농약으로 펜시쿠론수화제 혹은 토로스수화제를 식물체의 땅과 맞닿는 부위에 뿌려주면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방제농약으로 고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미리 약해 여부를 검토한 후 사용해야만 한다.

  참 고 문 헌

  농업기술지. 1992. 제 308호.

'산채류재배 > 더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덕  (0) 2007.04.07
[스크랩] 산더덕 재배에 성공한 조남상씨  (0) 2007.03.29
더덕 직파재배시 적정 제초제  (0) 2007.03.27
더덕지주의 사용효과  (0) 2007.03.27
더덕의 재배관리  (0) 2007.03.23
         
   더덕 직파재배시 적정제초제
 
기관 : 전북농업기술원
 
성명 : 임주락
 
전화 : 063-433-7451
           
  1. 처리약제 및 처리내용
     처리약제는 표 1과 같이 듀알입제, 펜디입제, 파미드수화제, 알라입제 4종을 처리하였으나 듀알입제와 알라입제는 발아억제, 생장억제 등 약해가 심하여 본 자료에서는 생략하였다. 대상잡초는 1년생 밭잡초로 하였으며, 파종후 3일 이내에 토양살포하였다. 조사시기 및 횟수는 약효시험은 처리 후 30일, 60일에 2회 조사하였고, 약해시험은 처리 후 20일, 30일, 40일, 50일에 4회 조사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난괴법 3반복으로 하였다.

 
표 1. 처리약제 및 처리내용
공시약제 주성분함량(%) 약 효 시 험
약 해 시 험
사용량
(kg/10a)
처리시기 및 방법
기준량
(kg/10a)
배량
(kg/10a)
듀 알 입 제

파미드수화제
펜 디 입 제
알 라 입 제
손 제 초
무 처 리

5

50  
5
5
-
-

3

   0.3
2
3
-
-

파종후 3일이내
토양살포



파종후 20일, 40일
-
3

   0.3
2
3
-
-

6

   0.6
4
6
-
-

  주) 1999년은 파미드수화제와 펜디입제만 공시

  2. 잡초방제효과 및 약해
     약제처리 30일 후인 생육초기의 잡초방제효과를 표 2에서 보면 잡초발생수는 파미드수화제 처리가 ㎡당 진안 3.4개(1998), 149.6개(1999), 장수 83.8개, 익산 141.2개로 가장 적었으며 잡초의 건물중도 진안 1.2g/㎡(1998), 29.2g/㎡(1999), 장수 6.6g/㎡, 익산 11.6g/㎡로 방임구에 비하여 각각 86.5%, 81.4%, 92.9%, 79.1%의 잡초방제 효과를 보였고, 펜디입제도 76.1, 75.8, 87.5, 79.1%의 잡초방제 효과를 보였다. 펜디입제의 경우는 더덕 이식재배시 펜디입제 처리가 99.3%의 방제 효과를 보였다는 박 등(1998)의 결과보다는 낮았지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표 2. 약제처리 30일후 잡초방제효과
처리내용
조사내용
진안(1998)
진안(1999)
장수(1998)
익산(1999)
파미드수화제
본수(개/㎡)
건중(g/㎡)
방제가(%)
  3.4
  1.2
86.5
149.6
  29.2
  81.4
83.8
  6.6
92.9
141.2  
11.6
79.1
펜디입제
본수(개/㎡)
건중(g/㎡)
방제가(%)
  9.1
  2.2
76.1
166.4
  38.0
  75.8
79.4
11.7
87.4
90.0
11.6
79.1
손제초
본수(개/㎡)
건중(g/㎡)
방제가(%)
  1.0
  0.1
98.7
  81.2
    3.2
  97.9
58.2
  3.4
96.3
  9.2
  2.8
95.0
무처리
본수(개/㎡)
건중(g/㎡)
방제가(%)
71.3
  9.2
0
446.8
156.8
0
363.6  
92.4
0
232.0  
55.6
0


     그러나 약제 처리후 60일에는 표 3과 같이 두 가지 약제 모두 방제가가 떨어졌다. 이는 파종후 약제 1회 처리로는 방제 효과가 부족하며 약제처리후 최소한 1~2회 정도 제초작업을 해주어야 한다.

 
표 3. 약제처리 60일후 잡초방제효과
처리내용
조사내용
진안(1998)
진안(1999)
장수(1998)
익산(1999)
파미드수화제
본수(개/㎡)
건중(g/㎡)
방제가(%)
    9.3
  73.2
  74.3
  74.8
182.4
  63.8
54.6
465.9
  70.1
93.2
46.4
77.3
펜디입제
본수(개/㎡)
건중(g/㎡)
방제가(%)
  11.3
  66.0
  76.2
  74.8
196.4
  61.0
  44.6
432.1
  72.1
97.2
60.0
70.6
손  제  초
본수(개/㎡)
건중(g/㎡)
방제가(%)
    3.3
    4.8
  98.3
  28.0
  18.0
  96.4
  12.6
    2.9
  99.8
29.2
  5.2
97.5
무  처  리
본수(개/㎡)
건중(g/㎡)
방제가(%)
  33.1
284.8
0
274.0
503.6
0
186.8
1555.8  
0
171.6  
204.0  
0


     주요 발생 잡초로는 진안에서는 바랭이, 속속이풀, 명아주, 쑥 등이 우점하였으며, 장수에서는 명아주, 바랭이, 쇠비름, 여뀌 순이었고, 익산에서는 바랭이, 쇠비름, 명아주 순으로 우점하였다. 약제별로는 파미드수화제의 경우는 진안에서는 속속이풀과 바랭이가 우점하였지만, 장수에서는 명아주, 익산에서는 쇠비름이 우점하였다. 펜디입제의 경우는 주로 바랭이가 우점하였고, 장수에서만 명아주가 우점하였다. 포장에서 약제처리후 약해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생력재배면에서 더덕 재배시의 제초제로서는 파미드수화제와 펜디입제의 실용성이 높다.

 
표 4. 약제처리별 주요 우점잡초
처리내용
진안(1998) 진안(1999) 장수(1998) 익산(1999)
파미드수화제
펜디 입제
무  처  리
손  제  초
속속이풀
바랭이
바랭이,속속이풀
_

바랭이
바랭이
바랭이
_

명아주
명아주
명아주, 쇠비름
_
쇠비름
바랭이
바랭이,쇠비름
_


  4. 후기 생육 및 수량
    후기 생육 및 수량조사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파미드수화제 처리가 진안은 생근중 4.0g/주, 수량 312㎏/10a, 장수는 각각 12.6g/주, 679㎏/10a, 익산은 각각 2.6g/주, 254㎏/10a으로 무처리보다는 훨씬 좋았고, 관행인 손제초와는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다. 장수에서 생육 및 수량이 월등히 좋았던 이유는 앞에서 서술한 약제살포 전후 좋은 기상상황과 토양 비옥도에서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표 5. 약제처리별 후기 생육 및 수량
처리내용 진안 장수 익산
생근중
(g/주)
수량
(Kg/10a)
생근중
(g/주)
수량
(Kg/10a)
생근중
(g/주)
수량
(Kg/10a)
파미드수화제
펜디입제
손제초
무처리
4.0
4.3
6.0
2.7
312
284
313
120
12.6
10.4
15.9
  6.2
679
640
672
  95
2.6
2.8
3.5
1.8
254
230
272
105
           

'산채류재배 > 더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산더덕 재배에 성공한 조남상씨  (0) 2007.03.29
더덕의 병해  (0) 2007.03.27
더덕지주의 사용효과  (0) 2007.03.27
더덕의 재배관리  (0) 2007.03.23
더덕재배기술  (0) 2007.03.21
         
   더덕지주 재배효과
 
기관 : 전북농업기술원
 
성명 : 김종엽
 
전화 : 063-433-7451
           
  1. 더덕의 지주재배방법
    가. 파종
       경운정지후 퇴비를 2,000㎏/10a 넣고 지난해채종한 더덕의 종자를 선별하여 4월 중하순경 에 직파(산파)한 뒤 흑백필름으로 멀칭피복한다.

    나. 지주 설치
       5월 상순경에 지상부 출현이 완료된 후 하우스 폐철재를 활용하여 수직 Ⅰ자형으로 100~150㎝ 높이로 설치한다.

  2. 더덕의 하우스 폐철재를 활용한 지주 설치 효과
    가. 지상부 생육
       - 지상부 생육 양호

   
표 1. 지주형태별 지상부 생육 (진안숙근약초시험장 :1998~1999 )
처리내용
만장
(cm)
엽장
(cm)
엽폭
(cm)
경수
(개/주)
경굵기
(mm)
지주형태
높이(cm)
수직형   50
100
150
156
169
178
5.6
5.6
5.8
3.6
3.8
3.9
2.5
2.1
2.6
4.2
4.8
4.1
삼각형   50
100
150
171
170
169
5.9
5.9
5.8
2.7
2.7
3.7
2.4
2.4
2.4
4.6
4.6
4.0
사각형   50
100
150
106
159
168
4.9
5.7
5.8
4.8
3.8
4.2
2.3
2.2
2.3
4.6
4.5
4.2
무지주
-
132
6.0
4.0
2.0
3.8


    나. 병해충 발생률
      ○ 장마철 많은 강우량과 잦은 강우일수에 따라 햇볕과 통풍을 충분히 받을 수 없는 무지주 재배는 줄기가 연약
      병해충 발생빈도가 높다.
  ○ 더덕에 발생하는 병원균은 갈색 반점으로 Colltotrichum spp.가 40%, Festalotia spp.가 24%, Nigrospopra가
      12%, Alternaria spp.가 15%, 기타가 9% 발생한다.
  ○ 더덕에 발생하는 진딧물은 후기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 지주설치구는 후기로 갈수록 무지주에 비하여 1/2~1/3 정도로 낮다.

   
표 2. 지주별 병해충 발생상황 (진안숙근약초시험장 : 1998~1999)
처리내용 6월 10일 7월 10일 8월 10일
지주형태
높이
(cm)
잎갈색
반점
녹병
진딧물
잎갈색
반점
녹병
진딧물
잎갈색
반점
녹병
진딧물
수직형   50
100
150
5
4
3
15
17
17
10  
12  
9
10
10
10
65
75
75
30
31
22
12
13
15
68
78
78
35
38
44
삼각형   50
100
150
13  
10  
13  
25
28
26
7
6
9
13
10
13
70
65
65
25
22
33
45
60
65
90
95
95
55
52
54
사각형   50
100
150
9
8
7
20
24
22
9
8
7
17
13
15
60
69
65
20
38
21
40
42
49
80
92
85
30
40
30
무지주
-
15  
30
12  
47
82
52
90
99
120 
    주) 병해 : 이병엽율(%), 충해 : 주당마리수

    다. 지하부 생육
      ○ 더덕의 근 생장은 20g이상 큰 뿌리길이는 삼각형 150㎝가 21.9㎝로 무지주에 비하여 3.1㎝정도 길다.
  ○ 10~20g의 중간뿌리에서는 삼각형100㎝가 19.4㎝로 무지주에 비하여 4.4㎝가 길다.
  ○ 10g 미만의 작은 뿌리에서는 삼각형 150㎝가 2㎝ 이상 긴 것으로 보아 삼 각형지주는 무지주에 비하여 근의
      길이생장을 가져오는 것으로 판단된다.

   
표 3. 지주형태별 지하부 근생육 (진안숙근약초시험장 : 1998~1999)
처리내용
근길이(cm)
근굵기(mm)
근굵기(mm)
지주형태
높이(cm)
상품
중품
하품
상품
중품
하품
상품
중품
하품
수직형
  50
100
150
20.9
20.5
21.4
17.5
18.4
18.2
13.1
14.3
15.6
18.3
19.3
16.3
12.7
12.8
13.2
10.4
10.8
  9.4
1.5
1.4
1.3
1.5
1.2
1.5
1.2
1.1
1.1
삼각형
  50
100
150
18.8
21.9
20.3
18.0
19.4
18.0
15.2
15.8
15.9
18.5
18.5
17.2
13.9
13.5
12.0
10.2
10.5
10.5
1.8
2.1
1.9
1.5
1.6
1.3
1.3
1.0
1.5
사각형
  50
100
150
20.1
18.5
20.7
17.4
19.2
17.6
13.8
14.0
15.1
17.9
17.7
17.5
14.3
12.6
13.7
10.4
10.5
  9.5
1.5
1.8
1.5
1.5
1.1
1.5
1.1
1.2
1.3
무지주
-
18.8
15.0
13.9
18.5
  9.9
  6.6
2.5
1.0
1.0


    라. 뿌리 상품성
      ○ ㎡당 20g이상 상품성이 좋은 근수의 분포는 수직형 50㎝, 100㎝가 13, 11개 로 각각 많았으며 전체 근수도 수
      직형지주가 많다.
  ○ 이를 통해 수직형 지주가 햇볕을 고르게 받게 하여 3년후까지 뿌리 생존수를 높이는 결과를 가져온 것으로 추
      정된다.
  ○ 등급별 수량은 20g이상 상품성이 가장 높은 것은 수직형 100㎝(430㎏/10a)로 다른 지주에 비하여 월등히 높
      다.
  ○ 이것이 결정적으로 작용하여 10a당 합계수량에서 711㎏으로 무지주에 비하여 82% 증수된 것으로 판단된다.

   
표 4. 근크기별 상품분류(1998~1999)  
(단위 : 개/㎡)
처리내용 상품
(20g이상)
중품
(10~20g)
하품
(10g미만)
지주형태
높이(cm)
수직형
  50
100
150
13  
11  
10  
15
17
17
56
76
78
84
104  
105  
삼각형
  50
100
150
7
8
5
17
19
12
44
53
43
68
80
60
사각형
  50
100
150
4
8
4
11
12
16
25
50
73
40
70
93
무지주
- 10  
18
27
55


   
표 5. 지주형태별 등급별 수량 (진안숙근약초시험장 : 1998~1999)
처리내용
등급별 수량(kg/10a)
수량
(kg/10a)
지수
(%)
지주형태
높이
(cm)
상 품
(20g이상)
중 품
(10~20g)
하 품
(10g미만)
수직형
  50
100
150
267
430
390
122
181
202
48
100  
80
437 abc 
711 a    
672 ab  
112
182
172
삼각형
  50
100
150
243
311
168
117
135
  89
59
73
49
419 abc
519 abc
306 c    
107
133
  79
사각형
  50
100
150
187
360
299
103
124
144
43
78
72
333 c    
562 abc
515 abc
  85
144
132
무지주
-
234
113
43
390 bc   100
       주) DMRT(5%)
      CV(%)-------------------------------------13.8

    마. 경제성
      ○ 더덕 직경 22㎜ 펜타이트파이프 3.5m아취형(상단폭 40㎝, 지저부 60㎝, 지 하부30㎝) 설치비용(자재비 및 설
      치비 485천원/10a)이 높다.
  ○ 하우스 폐철재를 활용한 간단한 수직형(설치노력비 170천원/10a) 지주재배가 훨씬 경제적이다.
  ○ 처리별 소득지수 무지주에 비하여 수직형 100㎝가 99%로 가장 소득이 높았다.

   
표 6. 지주형태별 소득지수(진안숙근약초시험장 : 1998~1999)
(단위:천원/10a)
처리내용
수량
(kg/10a)
조수입
경영비 소득 지수(%)
지주형태
높이(cm)
수직형
  50
100
150
437
711
672
4,029
5,601
5,323
   946
1,059
1,153
3,065
4,532
4,170
134
199
183
삼각형
  50
100
150
419
519
306
3,279
4,100
2,334
1,078
1,267
1,457
2,192
2,833
   877
  96
124
  38
사각형
  50
100
150
333
562
515
2,600
4,531
3,965
1,088
1,279
1,471
1,512
3,252
2,494
  66
143
109
무지주
-
390
3,132
   850
2,282
100
    주) kg당 단가 : 상품(10,000원), 중품(6,250), 하품(2,000)

'산채류재배 > 더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덕의 병해  (0) 2007.03.27
더덕 직파재배시 적정 제초제  (0) 2007.03.27
더덕의 재배관리  (0) 2007.03.23
더덕재배기술  (0) 2007.03.21
[스크랩] 더덕효능  (0) 2007.03.19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생육
과정
(주요
농작
업)


모기
르기






지주
세우














 



제초제
사  용

꽃 망울
제    거

기상
재해

예상
되는
문제

           *생육부진

가  뭄

습해

           *주수 미확보
굼벵이
거세미

응애류

병 해 방 제

낙엽성
반점성

노균병
흰가루병

  * 생육부진
  * 각종병해 발생 확대


 








    [모기르기]

* 묘판설치 : 33~ 40㎡/10a
* 종자처리
- 채종후 120일정도 휴면경과휴
   2~5℃에서 7일간 저온처리  또
  는 채종후 노천매장하여 파종
* 파 종 량 : 1.2~ 1.5ℓ/40㎡
* 파종방법
- 산파 또는 10㎝ 간격 줄뿌림
- 파종후 부드러운 흙 5~1.0cm
   복토
- 짚 또는 건초 피복으로
      발아율 향상

    [아주심기]

* 정식적기 : 4월상순~
                 4월중순
* 재식거리 : 30×15cm,
                     60×10cm
* 시비량:퇴비1,500kg
   질소,인산,
    칼리   각 6kg/10a
* 심기전 종근 지베렐린
   5ppm 에 24시간 침적
   발근촉진

[주요 관리작업]
* 제초제 시용
- 모판 : 파종후 3일이내 펜디입제
   엠오유제 1,000배액 10a당 100ℓ살포
- 본포:정식3일 이내 랏소,
    마세트, 씨마진
* 제초작업 : 6월 하순,  7월 하순
   웃거름과 동시 제초 실시
* 지주세우기: 본엽 3~4  매시
   2.0~2.5m 정도의 지주세워  통풍,
   햇빛쪼임을 좋게하여 생육촉진
* 꽃망우리 제거 : 꽃망우리 제거로
   뿌리발육 촉진으로 수량증대

 

재배면적 및 생산량

구 분 재배면적 수확면적 10a당수량 총생산량
  ha ha kg M/T
'90
'92
'94
'96
   1,006
     902
      879
   545
   483
   492
    350
     361
    460
  1,910
  1,744
   2,264

재  배  특  성

  * 주성분 : Saponin, Leoithin, Pentosane, Phytoderin
  * 분   포 : 전국
  * 용   도 : 뿌리 - 거담(去痰), 배농(排膿),
                강장(强壯) 해독(解毒)
  * 형 태
    - 초장 : 만성(蔓性)으로 1.2~1.5m 줄기를 자르면
               백색유액이 나옴
    - 잎 : 호생(互生)으로 3~4매가 맞돋아 붙음
    - 꽃 : 7~9월 개화, 녹색바탕에 갈자색의 반점과
            테가 있는 원추화서(圓錐花序)
    - 뿌리 : 방추형
  * 재배적지
    - 일교차 큰 양지재배가 뿌리비대 양호(섬, 해안
      지대 부적함)
    - 땅심 깊으며 (토심 30~50cm) 부식질 많고 수분
      충분한 모래참흙
  * 품 종 : 북양유, 백양유계통

작형별 출하시기

작형

파종기 수확기 출하기 성출하기

직파
재배

3하~4상 10중~11상 12상~4 1상~2하

기상재해 및 병해충방제 대책


항 목 내      용

가뭄
피해

  * 파종후 짚 등 덮기로 수분증발 억제
    발아율 향상
  * 덮은 짚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사전
    조치
  * 관수 가능지역 스프링클러 이용 물주기
    로 입모율 향상

장마
(습해)

  * 배소구 정비로 습해 사전예방
  * 습해로 인한 병발생 포기 조기제거

충해

  * 응애류 : 디코롤 또는 아미트유제를
     1,000 배액으로 살포함
  * 굼벵이,거세미 : 카보, 다수진입제
    3~4kg 정식전 토양 전면 살포

병해

  * 노균병 : 타로닐, 만코지수화제
    600배액이나 프로피 400배액을
     80~100ℓ/10a 살포
  * 흰가루병 : 포리옥신, 지오판수화제
     1,000배액 살포

'산채류재배 > 더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덕 직파재배시 적정 제초제  (0) 2007.03.27
더덕지주의 사용효과  (0) 2007.03.27
더덕재배기술  (0) 2007.03.21
[스크랩] 더덕효능  (0) 2007.03.19
더덕 재배  (0) 2007.03.15
더덕 재배기술

산림환경연구원

1. 머리말

더덕(沙蔘: Codonopsis lanceolata T.)은 초롱꽃과에 속하는 여러해 살이 덩굴성 초본이며, 꽃은 8~9월에 가지끝에서 아래로 종모양의 연한 녹색꽃이 핀다. 덩굴은 2~3m 정도 자라며 자르면 유액이 나온다. 뿌리는 도라지처럼 굵어지고 담황색의 가로무늬가 있다. 더덕은 각지의 산야에 자생하며 별미의 무공해 건강 산채로 널리 애용되고 있으며 예부터 약재로 이용되고 있다. 생약명 사삼(沙蔘)은 뿌리를 말린 것으로 그 주성분이 사포닌(saponin)으로 거담제, 해독제, 건위, 강장제 및 폐 열제거 등에 쓰여 왔다. 또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이 풍부하여 누름적, 구이, 생채, 장아찌 등으로 식용되기도 한다(표1 참조).


그림1 더덕 수하 재배


소비되는 대부분의 더덕은 강원도나 경상남·북도의 산간지방에서 자생하는 더덕을 채취하거나 산촌에서 재배한 더덕으로 공급하고 있다.
산림 내에서는 약간의 태양광선이 들어오는 나무그늘 아래의 부식질이 풍부하고 습윤한 토양의 계곡부에서 주로 자생하고 재배시에도 차광망을 씌우는 것보다 충분한 태양광선을 받았을 때 뿌리생장이 양호하므로 본 종은 호광성식물(好光性 植物)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뿌리생장은 건조한 토양보다는 습도가 잘 유지되는 부식질이 높은 토양에서 잘 자란다.
번식은 주로 종자로 하고 있으나 종자의 크기가 작아 발아율이 낮고, 냉습적 처리 기간에 따라 발아율에 큰 차이가 있다.
최근 국민소득수준 향상에 따라 무공해 자연식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으나 더덕의 경우 산림의 환경변화로 자연생의 채취만으로 수요에 충족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식·약용으로 이용가치가 높은 더덕의 효과적인 번식법과 표준재배기술에 대하여 시험한 결과와 일부 재배농가를 통하여 관찰한 내용을 요약 해 본다.

표1. 더덕의 영양 함유량 분석

열량
(Cal)
수분
(%)
단백질
(g)
지방
(g)
당질
(g)
섬유
(g)
회분
(g)
칼슘
(mg)

(mg)
철분(mg)
비타민
(mg)
니아신
(mg)
59
82.2
2.3
3.5
4.5
6.4
1.1
90
121
2.1
0.34
0.8

2. 재배기술

가. 종자파종
10월 하순경 성숙한 종자를 채취하여 봉지에 담아 보관하다가 파종 1개월 전에 생장조절물질(GA3)을 농도(무처리, 25, 50, 100ppm)별로 처리한 후 종자와 모래를 1 : 2비율로 혼합하여 물이 빠질 수 있는 프라스틱통에 담아 땅속 60cm 깊이에 묻어 두었다가 3월 하순경 포지에 파종한 결과 표 2와 같은 발아율과 뿌리생장량을 보였다.


표2. 종자발아촉진처리별 더덕종자의 발아율 및 뿌리생장

촉진처리
발아율
뿌리생장
수확량
(kg/300평)
1년생
2년생
3년생
4년생
GA25ppm/
노천매장
64.2
0.09
4.2
20.8
58.4
934
GA25ppm/
노천매장
64.5
0.09
5.2
24.6
60.2
963
GA25ppm/
노천매장
68.0
0.11
5.4
25.0
61.0
976
무처리
(기건저장)
32.1
0.10
3.8
18.2
56.5
904

☞ 지베릴린 처리시간 24시간

표에서 보면 지베릴린 100ppm 농도에서 24시간 담가 두었다가 1개월간 노천매장한 처리구가 기건저장한 종자보다 2배 이상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그림2 포지직파

o 종묘(種苗) 생산
종묘 생산이 목적일 때는 묘상폭을 1m 내외로 만들고 고른다음 1㎡당 종자를 2~3㎖씩 흩어 뿌리고 판자로 종자가 땅속으로 묻히도록 두드려 준 후 강모래로 1.0㎝ 두께로 덮는다. 파종상의 습도 유지를 위하여 볏짚을 1㎡당 0.6㎏ 정도 피복하여 준다. 그리고 파종상이 건조하지 않도록 자주 관수(물주기)를 해 주어야 뿌리 생장이 양호하다.


그림3 종자발아 촉진



o 직파 재배

직파 재배의 경우 이랑 넓이 60㎝ 내외로 골을 짓고 상면을 고른 후 종자를 1㎡당 2㎖ 내외로 뿌리고 놀골의 흙으로 1㎝ 깊이로 덮고 볏짚을 깔아주어 파종상이 건조하지 않도록 해 준다.
직파 재배한 4년생의 뿌리 생장은 평균 56.5g~61.0g이었으며, 300평당 900㎏ 이상 생산이 가능하였다(표2 참조).
지베릴린처리구와 무처리구간 4년 후의 뿌리생장에는 큰 차이가 없어 지베릴린처리는 발아율은 높일 수 있으나 뿌리생장에는 뚜렷한 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


나. 종묘이식
전년도 파종상에서 생산한 종묘를 3월 초순에 굴취하여 양파주머니에 담아 땅속에 묻어 두었다가 3월 하순이나 4월 초순에 포지에 이식한다.
더덕은 유기질이 풍부한 비옥지를 좋아하므로 가급적 유기질 비료 위주로 300평당 퇴비 3천㎏, 계분 200㎏, 복합비료 50㎏을 밭갈기 전에 포지에 고루 뿌리고 로타리로 밭갈이 후 이랑을 만든다. 종묘이식은 1㎡당 20~25본씩 수직으로 세워서 심는다. 이식 후 포지의 습도 유지를 위하여 볏짚이나 낙엽으로 꼭 덮어 주어야 한다.

표3. 더덕종묘이식 방법별 뿌리생장

이식방법
근장(cm)
근장(cm)
근중(g)
수확량
(kg/300평당)
수직이식
10.2
1.9
23.2
375
사향이식
9.6
2.0
22.0
368
수평이식
7.8
2.2
20.5
354


3. 관리방법

가. 솎음질

직파재배나 묘상육묘시 생육에 필요한 적정한 밀도 유지와 뿌리의 생장촉진을 위하여 솎음질을 할 필요가 있다.
솎음질 시기는 파종 30~40일 후 본 잎이 3~4매로 생장하였을 때인 4월 하순에서 5월 초순 사이에 1회 실시하고 필요하다면 5월 하순에서 6월 초순에 2회 솎음질로 적정밀도(직파재배 묘간 거리 10㎝, 육묘상 재배시는 묘간거리 6~8㎝)를 유지하므로써 뿌리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


그림4 더덕 노지 재배

나. 덩굴올리기
봄에 새 덩굴이 30~40cm 정도 자라면 덩굴올림 시설을 해야하지만 뿌리생장은 다소 떨어지지만 재료비와 노동력 절감을 위하여 덩굴올림 시설 없이 재배하기도 한다.

다. 관수(물주기)
더덕 자생지의 입지조건을 보면 계곡의 부식질이 풍부한 비옥지로서 수분의 함유량이 높은 식양토 지역이 대부분이다. 포지재배시도 뿌리생장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습윤한 토양조건을 만들어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므로 뿌리생장의 비대기인 5~6월과 8~9월에 가뭄을 타지 않도록 물을 주면 뿌리생장이 30~40% 증가할 수 있다.

라. 월동관리
가을낙엽이 지면서 다음해에 자랄 수 있는 덩굴의 새눈이 형성되어 있기 떄문에 겨울 동안 묘두가 동해피해를 입을 수 있다. 그러므로 낙엽이 진 11월 중순경 놀골의 흙으로 2~3㎝ 정도 복토를 하고 볏짚을 1㎡당 0.8㎏ 정도로 덮어주고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새끼로 고정시킨다.


4. 수 확

수확시기는 3~4년생 뿌리로서 무게가 50g 이상 자랐을 때가 적기이나 최근에는 2~3년생 뿌리로서 무게가 15~20g 내외인 뿌리를 생산하고 있다. 300평당 수확량은 식재밀도, 재배년수, 관리 등에 따라 다르지만 직파 4년생의 경우 뿌리무게 50g 이상 되는 더덕을 1,000㎏ 정도 생산할 수 있으며 시중가격은 4㎏당 30,000원 내외로 거래되고 있으며, 300평당 조수익은 7,875천원이고 투자비를 제외한 순수익은 5,670천원으로 년 평균 1,402천원의 소득을 올릴 수 있다. 가을에 캐낸 더덕을 겨울 동안에 잘 보관하기 위해서는 양파주머니에 담아 허간의 땅속 60㎝ 깊이에 묻어 두거나 배수가 잘되는 포지에 80㎝ 깊이의 구덩이를 파고 묻은 다음 비닐로 덮고 그 위에 다시 볏짚을 덮어서 빗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보관하면 원형대로 싱싱하게 유지할 수 있고 상품가치도 높일 수 있다.

'산채류재배 > 더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덕지주의 사용효과  (0) 2007.03.27
더덕의 재배관리  (0) 2007.03.23
[스크랩] 더덕효능  (0) 2007.03.19
더덕 재배  (0) 2007.03.15
[스크랩] [내가 가꾸는 약초] 가을에 맛있는 더덕  (0) 2007.03.15

 
더덕효능

 

 

질병ID 민간요법처방
강장보호(腔腸保護) 꽃 4~5g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씩 10일 이상 복용한다.
거담(祛痰) 꽃 4~5g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건비위(健脾胃) 뿌리 8~10g 또는 꽃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이상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건위(健胃) 꽃 4~5g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이상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고혈압(高血壓) 꽃4~5g 또는 뿌리 8~10g 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식 10일 이상 공복에 복용한다.
고환염(睾丸炎) 꽃 4~5g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식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두드러기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복용하거나 그 물을 환부에 바른다.
두통(頭痛) 꽃 4~5g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목이 쉰데(失音: 실음) 꽃 4~5g 또는 뿌리 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복용한다.
배농(排膿) 꽃이나 잎을 짓이겨 4~5회 환부에 갈아 붙인다.
변비(便秘) 꽃 4~6g 또는 뿌리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비만(肥滿)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3~5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사독(蛇毒) 꽃 또는 뿌리를 입으로 씹어서 환부에 자주 갈아 붙인다.
산증(疝症) 꽃 4~5g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산통(疝痛): 꽃 4~5g 또는 뿌리 6~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2일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소담(消痰)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복용한다.
심장병(心臟病) 꽃 5~6g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이상 복용한다.
오장보익(五臟補益) 꽃 4~6g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5일 이상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옹종(癰腫) 꽃을 삶아서 그 물을 5~6회 환부에 바른다.
유선염(乳腺炎) 꽃 4~5g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5~6일 복용한다.
유즙결핍(乳汁缺乏)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음낭습(陰囊濕) 꽃 4~5g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음낭습진, 음부가려움증).
음종(陰縱) 꽃 4~5g 또는 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5~6회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뮈淪磯?.
인후통증(咽喉痛症) 꽃 5~6g 또는 뿌리 3~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임파선염(淋巴腺炎) 꽃 5~6g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종독(腫毒) 온포기나 뿌리 생즙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천식(喘息) 꽃 4~5g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편도선염(扁桃腺炎) 꽃 4~5g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4~5일, 꽃은 달여서 복용하고 뿌리는 생식한다.
폐기보호(肺氣保護) 꽃 4~5g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폐혈(肺血) 꽃 4~5g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5~6일 복용한다.
풍(風) 꽃 5~6g 또는 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풍습(風濕) 꽃 4~5g 또는 뿌리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한열왕래(寒熱往來) 꽃 5~6g 또는 뿌리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식 2~3일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해독(解毒) 꽃 4~5g 또는 뿌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4~5회 복용한다.
해수(咳嗽) 꽃 4~6g 또는 부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출처 강원약초

 

 


출처 : 시골로 간 꼬마
글쓴이 : 이명희 원글보기
메모 :
   재배기술
 
기관 : 전북 순창군농업기술센터
 
성명 : 남민희
 
전화 : 063-53-2314
           
  1. 재배의 종류
      가. 종근생산재배 : 씨앗으로 파종하여 1년간 육묘재배
  나. 종근이식재배 : 1년간 육묘된 묘를 이식하여 1~2년간 재배
  다. 직파재배 : 종자로 직파하여 2~3년간 재배
  라. 산간지재배 : 산간지에 종자를 방파하여 4~5년간 재배
  ※ 재배방법에 따라 장단점이 있기 마련이지만 초심자는 종근재배를 직접하는 방법이 안전한 방법이나 재배에 주의하지 않으면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2. 식재 및 파종시기
     봄식재 및 파종은 3월 중순~5월 초순까지 하며 가을식재 및 파종은 10월 중순~결빙기까지한다.
   봄파종은 꽃서리 30일전이 좋지만 지역적으로 다소 차이가 있어 가급적이면 봄보다 가을식재와 파종이 좋다.

  3. 우량종자 및 종근선별법
    가. 우량종자 선별법
       씨방이 크고 윤택이 나는 것을 채취하며 씨앗이 고르고 크고 색갈이 갈색, 또는 검은 갈색이 나는 것과 감촉이 부드럽고 전반적으로 윤기가 나는 것, 그리고씨앗의 무게가 1ℓ에 추파 320g이상, 춘파 280g이상 나가는 것을 선별한다.

    나. 우량종근 선별법
       곁가지가 없이 곧아야 하며 기장이 10㎝ 이상 된 것을 고르고 직경(뇌두부분)이 7㎜ 이상이고 눈(뇌두)이 정확히 붙어있는 것이어야 하며 선충피해를 입지 않은 것이어야 한다.
   ※ 종근 전체에 상처가 났거나 부러진 종근, 반점이 생긴 종근이나 선충피해 를 입은 종근을 심으면 정상적인 발육이 되지 않으므로 철저하게 선별하여 심는다.

  4. 밭갈이 방법
     경운은 가급적 3회 이상 깊게 경운·정지를 하여 토질을 부드럽게 하며 더덕재배이랑 만들기는 두둑 60~75㎝, 두둑높이 30㎝, 고랑너비 30㎝, 석회는 토양산성을 중화하여 주는 효과가 있어서 사용하여 왔으나 석회는 토양산성에 중화효과 가 1년이상 지속되지 않는다. 석회를 사용할 경우 10~15일 전후 경운후 기비 시용한다.
   파종 및 식재 10~15일전 최종 경운할 때 준비한 밑거름을 고루 뿌리고 깊게 경운·정지한다.

  5. 더덕 파종
    가. 직파재배의 파종시기
       가을파종하는 것이 효율적이며 가을파종은 10월 하순~12월 초순(결빙전)에 한다. 봄파종은 3월 하순~4월 하순에 한다.

    나. 직파재배의 적정토질
       대체적으로 종근 생산재배에 알맞는 적정토질과 비슷하나 한가지 유의해야 할 사항은 종자가 발아 및 발근하여 성장할 때 뿌리의 생장점이 단단한 토질이나 돌에 닿으면 분리 가 되어 잔가지가 많아 발생한다. 따라서 직파재배나 종근 생산재배는 토질이 부드럽고 토심이 깊으며 배수가 잘되는 토질이어야 한다.

    다. 종자 직파재배의 종자 소요량
       3~5ℓ/10a당 소요된다.

    라. 종자소독방법
       물 5ℓ에 지베렐린 1~2g, 종자소독약 호마이수화제 30g을 사용한다.
종합영양제 : 10g(효모)
   ※ 잘 섞어서 종자를 6~12시간 담구어 둔다.

    마. 직파재배 비닐멀칭
       직파재배에서는 잡초가 문제점으로 대두되어 비닐멀칭재배 방법을 연구하여 왔다.

    바. 비닐멀칭재배시 유의사항
      (1) 가스발생 : 완전발효된 유기질비료 및 퇴비시용후 7~10일 지난 뒤 파종
    ○ 수분공급: 더덕은 습해에 약하면서도 수분공급을 요구하는 작물이다. 비닐 멀칭재배시 두둑에 분무호스를
        설치하고 수분 부족시 수분을 공급하면 생 육이 양호하다.

  (2) 비닐멀칭재배의 종류
    ○ 흑색비닐을 사용하여 구멍을 뚫어서 사용할 경우 잡초발생은 적으나 지온 상승작용을 하기 때문에 비닐위에
        흙을 약간 덮어주어 비닐이 토양에 밀 착되도록 하고 그 위에 짚을 1㎝정도 덮어주고 더덕종자가 건조하지
        않도록 하면 발아에 성공할 수 있다. 종자가 발아된 후 지주 세울 때 고랑에 볏짚을 깔아주면 효과적이다.

  (3) 흑백 2중 유공비닐 멀칭재배
    ○ 흑색과 백색 2중 비닐에 구멍이 뚫린 비닐로서 흑색을 지면쪽으로 멀칭하 여 재배한다. 분무호스를 두둑에
      설치하면 수분공급에 용이하며 지온상승 을 예방하며 잡초발아 억제 의 효과가 있으나 가격이 비싸다.

    사. 직파재배 파종방법
       준비된 두둑에 비닐을 씌우고 가로·세로 7×7㎝ 로 뚫되 구멍직경은 3㎝ 정도 가 알맞다. 더덕종자를 1구멍에 3~5개씩 파종하고 잘 발효된 퇴비 또는 톱밥비료와 생토를 1 : 1로 섞어서 구멍을 덮어 준다. 볏짚을 1㎝ 두께로 덮어주고 발아될 때까지 수분을 공급해 준다.

    아. 직파재배의 솎음방법
       덕은 종자가 친화성이 있어 서로 붙게 되어 상품가치를 저하 및 성장에도 지장을 주므로 더덕이 4~5㎝로 자랐을 때 솎음 작업을 한다.

  6. 재배방법
    가. 직파 재배법
       종자를 직파재배하는 방법으로 발아율이 저조하다.

    나. 육묘이식재배법
       파종한 후 육묘이식하여 재배하는 방법으로 다음에 기술한다.

  (1) 종근생산재배 : 1년육묘 : 1년육묘
  (2) 종근이식재배 : 종근이식후 1~2년재배
  (3) 직파재배 : 직파후 2~3년재배
  (4) 산간지 재배 : 산간지에 씨앗 파종 4~5년재배

  7. 육묘이식재배
    가. 묘판설치
      (1) 배수가 좋고 토심이 깊은 사양토 ,식질양토를 선택한다.
  (2) 본포 퇴비 112㎏/10a과 용성인비 또는 용과린 3.7㎏, 초목회 7.5㎏을 뿌리고 경운·정지한다.
  (3) 이랑나비 120㎝, 두둑높이 30㎝정도로 하고 가급적 모판흙을 부드럽게 하 여 뿌리가 잘 뻗을 수 있도록
       한다.

    나. 종자소독
      (1) 채종후 120일이 지난후 2~5℃에 7일 이상 저온처리 하거나 노천매장한다.
  (2) 지베렐린 수용액 5ppm에 24시간 침지소독한다.

※ 저온처리 효과(2℃) : 3일 62%, 7일 94%, 10일 93%, 노지 93%% 발아

    다. 파종기
      (1) 봄파종 : 중남부 평야지 3월 하순~4월 상순, 고랭지 4월 중순
  (2) 가을파종 : 10월 하순~11월 하순
  (3) 파종량 : 협잡물이 완전히 제거된 종자 40㎡ 150~200g을 파종

    라. 파 종
      (1) 파종방법
    ○ 산파법과 10㎝ 간격으로 골을 만들어 파종하는 조파법이 있는데 조파가 관리에 용이하다.
    ○ 파종시 종자가 가벼우므로 잔모래와 1 : 4로 섞어서 고르게 파종하다.

  (2) 복토 및 피복
    ○ 잘 썩은 퇴비와 모래참흙 1:2(용량비)로 고루 섞어서 체로 상토로 종자가 보이지 않게 0.5㎝ 정도로 복토를
        해 주고 짚이나 건초를 덮어준다.

   
표 1. 사삼육묘시 묘판흙과 파종기별 생육
모판흙
파종기 (월.일)
입모수 (개/0.1㎡)
근장 (cm)
근태 (cm)
자근수 (개)
근중 (g)
상토 3.20   4.3
4.24 평균
105 118
  89 105
16.5 13.9
14.0 14.8
1.08 0.94
0.88 0.97
1.6 1.7
0.3 1.2
8.9 6.9
5.4 7.1
밭흙
3.20   4.3
4.24 평균
93 97
79 90
10.1 10.8
8.5 9.8
1.06 0.82
0.67 0.85
2.1 2.7
1.6 2.2
8.2 5.1
2.9 5.4


    마. 종근
      ○ 곁가지가 없고 곧을 것, 기장이 10㎝ 이상이며 두뇌부 7㎜이상
  ○ 눈이 정확히 붙어있고 상처 및 선충피해가 없는 것

    바. 시비량
      ○ 기비(10a) : 본포 퇴비 1,500㎏과 질소, 인산, 칼리 6㎏을 시용한 경우 수량 이 많다.(질소비료는 70%를 준다.)
  ○ 추비 : 꽃 피기전 7월 중하순경에 나머지 30%를 준다.

    사. 시비방법
      밑거름은 전층시비하고 웃거름은 비오기 전 맑은 날 이랑사이에 살포하여 비가 오면 스며 들도록 하는 방법과 이랑의 옆을 파고 시용한 후 덮어주는 방법이 있다. 이때 주의할 점은 뿌리부분에 너무 가까이 파면 뿌리에 상처를 받아 썩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표 2. 더덕 밑거름 기준표 (전국 더덕 경작인 협회 추천량/10a)
품명
규격(kg)
단위
수량
비고
톱밥발효비료, 발효계분
유박, 원두박 부식, 촉진제붕사 복합비료(17-21-17) 용성인비(용과린) 황산가리 마그네슘 정제 골분맥반석미량원소복합제
25
20
20
25
25
25
20
500  



kg
kg




kg
kg
kg
100~150
20~30
20~30
10
3
3
3
1
2
50
10
3
풍성이표

바이므·후드

 



    아. 지주 및 더덕망 설치
      (1) 지주는 가능하면 발아후 빨리 세워주는 것이 효율적이다.
  (2) 지주세우는 시기
    (가) 종자파종 40~50일전후(가을파종 : 5월초순)
    (나) 종근이식 : 이식후 30~40일사이(가을이식 : 4월중하순)
    (다) 지주높이 : 1.8~2.0m가 이상적이나 너무 높으면 잎·줄기가 너무 무성 하게 자라서 뿌리비대에 영향이
       미친다.
    (라) 지주세우는법 : 두둑길이 1.5~2.0m 간격으로 대나무나 잡목 지주를 세 우고 위는 14번 철사로 팽팽하게
       메어주며 중간과 밑에는 18번 철사로 연결하여 준다. 철사를 고정시킨 후 나이론끈이나 더덕망 등으로 씌워
      서 팽팽하게 고정시킨다. 또한 건축에 사용하는 9㎜굵기의 철근을 길이 4.5~ 5.0m로 절단하여 두둑넓이가
       60㎝ 경우는 폭을 40~45㎝로 하고 높이를 2m로 +-+ 모양으로 구부려서 두둑에 세우고12번 철사로 묶어서 두
      둑 끝에 말목 을 박아 고정시킨다. 그 다음 18번 철사로 간선을 두르고 그위에 더덕망 이나 지주를 설치한다.

  8. 수확 및 조제
    가. 수확기
    (1) 본밭에 심은 후 2~3년째 가을에 하는데 생육이 정지된 10월 중하순~11월 상순에 한다.
(2) 2년생더덕이면 수확할 때 개당 30~50g이 되어 식용이나 약용으로서 이상 적인 크기가 된다.

   
표 3. 사삼재배 년수와 수량
재배년수
총근장(cm)
주근장(cm)
근경(cm)
분지수(개)
근중(g/개)
수량(kg/10a)
1년
2년
3년
17.5
15.3
15.3
9.6
9.1
9.5
1.9
2.5
3.3
0.8
1.5
1.6
23.0
56.4
89.9
   375
   919
1,463

    (3) 수확할 때는 뿌리가 상하지 않도록 주의하여 캐내고 큰 뿌리와 1년간 더 재배하여 수확한다.

    나. 조제 및 건조
      (1) 조제
  약재로 가공할 때 껍질을 벗기는 방법은 망사로된 장갑을 끼고 훑으면 껍질이 약간 벗어지고 또 딱딱한 플라스틱 솔로 문지르면 껍질이 벗겨진다.

(2) 건조
  햇볕이 말릴 때는 별 다른 문제가 없으나 화력건조시는 너무 고온으로 말리면 색깔이 검게 되어 상품가치가 떨어진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