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를 밀어 깎는 도구이다.
대패는 대패집에 구멍을 뚫어 적당한 날을 끼워 나무의 단면에 대고 밀거나 당김으로써 나무의 표면을 매끈하게 하거나 여러 가지 모양으로 깎아 내기 위한 목공 연장이다.
인류가 대패를 처음 사용한 시기는 구석기 시대로 우리나라에서는 공주 석장리 구석기문화층에서 주먹대패가 출토되었다. 현대의 틀대패는 16세기 말 무렵부터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이전에는 긴 나무자루에 날이 달린 자루대패를 사용했다.
대패는 옛말로 '글계', 또는 밀어서 쓴다고 하여 '밀이'라고도 하였고, 한자로는 '퇴포(堆 )'라고 썼다.
대패 재료로는 마찰이 적고 수축 변형이 적은 참나무ㆍ너도밤나무ㆍ떡갈나무ㆍ느티나무 등이 사용되며, 대패날은 주철이나 강철을 단련하여 만든다.
기본형은 직육면체의 대패집 가운데에 'V' 모양으로 홈을 파고, 그 뒤쪽에 대패날을 엇비슷하게 끼운 형태이다. 대패날 뒤쪽에는 대패손을 대패집에 가로질러 끼워서 이것을 잡고 밀 수 있도록 하고, 날 앞쪽 대패등에는 끌손잡이를 박아 당길 수 있게 하였다.
대패는 날이 하나만 끼워져 있는 홑대패(홑날대패)와 외겹날 위에 날을 하나 더 끼운 것을 겹대패(덧날대패)로 나뉜다.
홑날을 사용할 때는 날이 움직이지 않도록 날과 홈 사이의 공간에 쐐기를 박아 고정시킨다. 전통적인 대패는 대부분 홑날대패인데, 나무의 결을 따라서만 밀어야 했으며 힘은 덜 들지만 섬세한 가공이 힘들었다.
이에 반해 덧날대패는 나무의 결에 어긋나서 밀어도 매끈하게 밀어지며 힘은 더 들지만 섬세한 가공이 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로 오늘날에는 대개 덧날대패를 쓴다.
대패는 면을 마름질하는 정도와 시기에 따라 막대패(초련대패)ㆍ재대패(중대패)ㆍ잔대패(마름질대패)로 나뉘며,
생김와 쓰임에 따라 평대패ㆍ장대패ㆍ곧날대패ㆍ변탕ㆍ뒤젭대패ㆍ배꼽대패ㆍ돌림대패ㆍ배밀이대패ㆍ골밀이대패ㆍ사밀이대패 등으로 나뉜다.
문골과 같은 홈을 파는 대패로는 실대패ㆍ둥근대패ㆍ개탕 등이 있고, 일본식 대패인 홈대패가 있다.
◆ 여러 종류의 대패 그림
초련대패 재대패 뒤젭대패
배꼽대패 곧날대패 옆대패
살밀이대패 변탕 먹기변탕
굴림대패(볼록) 굴림대패(오목) 모끼대패
개탕 일본식개탕
◆ 대패질
|
|
![]() | |
( 대패 밀어쓰기 )
|
( 대패 당겨쓰기 )
|
◆ 곧날대패
| |
| |
◆ 뒤젭대패
| |
![]() | |
( 뒤젭대패 사용 모습 )
|
( 함지 )
|
◆ 살밀이대패
| |
![]() | |
( 살밀이대패 사용 모습 )
|
( 살밀이대패로 장식한 머름 )
|
◆ 모끼대패
|
|
◆ 개탕
|
|
![]() | |
( 개탕과 대패질한 면 )
|
( 개탕과 대패질한 면 )
|
◆ 변탕
| |
|
<참고문헌>
한국의 건축연장 4(이왕기, 토탈디자인, 1984)
겨레과학인 우리공예(정동찬 外, 민속원, 1999)
공예재료 공구학(김영태ㆍ정부상, 계명대출판부, 1981)
건축장인의 땀과 꿈(국립민속박물관, 1999)
출처 : 국립민속박물관,울트라건축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