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재배 > 버섯'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섯 재배에서의 병해 발생 예방 및 치료법 (0) | 2009.02.06 |
---|---|
겨울철 버섯 재배관리 (0) | 2008.12.18 |
여름 느타리버섯 발생하는 세균성갈변병및 푸른 곰팡이병 방제요령 (0) | 2008.06.27 |
느타리버섯 재배시 기형버섯 발생 방지법 (0) | 2008.06.03 |
병재배 또는 폿트재배 버섯의 품종 특성 (0) | 2008.06.03 |
버섯 재배에서의 병해 발생 예방 및 치료법 (0) | 2009.02.06 |
---|---|
겨울철 버섯 재배관리 (0) | 2008.12.18 |
여름 느타리버섯 발생하는 세균성갈변병및 푸른 곰팡이병 방제요령 (0) | 2008.06.27 |
느타리버섯 재배시 기형버섯 발생 방지법 (0) | 2008.06.03 |
병재배 또는 폿트재배 버섯의 품종 특성 (0) | 2008.06.03 |
<세균성갈변병(Pseheomonase tolaasii, Pseudomnase agarici)>
발병원인
- 균상표면 수분상태가 건조 또는 과습이 반복되어 표면 균사가 일부 사멸되거나 손상을 입었을 때
- 관수된 물이 증발되지 못하고 장시간 버섯표면에 남아있어 병원균이 증식되는 경우
- 주야간 온도차가 심하여 균상 또는 버섯 갓표면에 응결수가 생기거나 야간에 온도가 낮은상태에서 재배사의 상대습도가 포화상태로 장시간 유지되는 경우
- 세균성갈변병이 발생되었던 재배사내외를 소득하지 않고 다음 재배가 계속된 경우
- 발병된 재배사로 부터 인부, 작업도구 등이 이동 접촉되었거나 버섯파리등 해충이 유입될 경우
병 징
- 발병 초기에는 버섯표면에 맑은 물방울이 형성되어 맺혀있음
- 어린버섯은 갓부분이 연갈색으로 변하면서 생장이 중지되고 진한 갈색으로 부패되어 악취가 풍김
- 본병의 발생 초기에는 갓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가 연갈색의 반점이 시작되었다가 병이 진전됨에 따라 진한 갈색으로 변색되어 확대됨
- 버섯 생육후기에 발병되었을 경우에는 기형버섯이 형성되어 상품가치가 크게 떨어짐
- 본 병이 균상 전면에 발생된 경우에는 균상표면의 균사층이 진한 갈색으로 하면서 버섯발생이 극히 부진함
방제대책
- 재배시 발병을 억제할 수 있는 방법
․재배적기에 알맞는 품종 선택 재배
< 느타리버섯 품종별 재배적기 >
․ 재배가 끝난후 재배사 폐상소독시에는 스팀으로(80℃에서 4~8시간) 소독하거나 밀폐후에 포르말린 15~30cc/㎡으로 훈증
․ 재배시작 전에 재배사 주위와 재배사 바닥에 유산동 800배액을 희석살포 하여 병원균의 밀도를 감소
․ 세균성갈변병의 발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재배사 내의 주야간 온도차를 5℃이내로 줄여서 항온을 유지하도록 하고, 실내습도는 84~95% 내외로 유지함과 동시에 재배사내의 탄산가스농도가 0.05%를 넘지 않도록 환기량을 조절
․ 버섯수확후 균상에 남아있는 잔존 버섯은 깨끗이 제거
․ 균상표면에 건습이 반복되지 않게 온습도 및 가습 조절시설을 하고 특히 관수후에는 환기를 시켜 버섯표면의 수분을 증발시킴
- 약제사용에 의한 방법
․ 본 병이 발병되었을 때에 사용할 수 있는 약제로는 항생제로서 농용신수화제, 아그리마이신 등이 있음
․약제살포시 균상표면에 있는 버섯은 완전히 제거한 후 농용신수화제와 아그리마이신은 300배액으로 희석하여 1차 관수한 다음, 2일후에 5000배액으로 2차 살포하여 피해를 경감
- Ca(OCℓ)₂를 ℓ당 0.2g 혼합하여 24시간후 살포
-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을 이용한 느타리버섯 세균성갈변병 방제기술
․ 차아염소산(Sodium hypochlorite)에 의한 갈변병 방제효과(수량지수)
․ 느타리버섯 세균성 갈변병 방제에 사용되는 Sodium hypochlorite는 시중에서 구입이 가능하나 그 사용 방법과 사용량이 정확히 요구됨
․ Sodium hypochlorite는 버섯발생시부터 관수시에 혼합하여 사용함으로 세균병을 방제할 수 있음
․ Sodium hypochlorite(유효염소 10%)의 사용량은 1,000배액으로 희석하여 관수 요함
․ 1,000배액의 Sodium hypochlorite 용액에 갈변병을 일으키는 세균은 완전히 사멸됨
․ 1,000배액의 Sodium hypochlorite 용액은 느타리버섯 자실체와 균사체에 전혀 해를 주지 않음
․ Sodium hypochlorite 처리구는 관행구에 비해 수량지수가 128%이며, 방제가는 63%로 나타났음
< 푸른곰팡이병 >
발병조건
- 푸른곰팡이병이 발생되는 조건중 가장 큰 원인으로는 재배사 주위의 병원균 밀도가 높은 경우이며, 다음으로는 볏짚내의 수분과부족으로 배지재료에 이상발효현상이 발생하여 느타리버섯의 균사생장을 불량하게 하므로서 병해 발생을 조장하는 경우
- 푸른곰팡이병원균이 오염된 종균이 공급되어 문제가 되는 경우
방 제 법
-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병해에 사용하고 있는 약제로는 발병초기에 효과가 없으며 가장 효율적인 것은 예방에 의한 방법임
- 재배사 바닥을 콘크리트로 개선하므로서 병해충의 서식지를 없앰
- 병해 전염 매개체인 버섯파리의 방제 철저
- 균상위에 버섯잔유물이 부패될 때에 2차적으로 비기생성 병원균이 발생하므로 수확시 균상정리
- 종균의 선별을 정확히 하여 접종
- 종균 수령 즉시 종균병의 면전(솜마개) 및 마개 밑부분에 잡균 발생 유무를 조사후 발병된 종균은 사용하지 말 것
- 종균접종시 잡균의 오염 방지
- 병이 발생되었던 재배사의 재살균은 종균접종후 2주 이내에 균상표면에 푸른곰팡이병 등의 병해가 30%이상 발생되어 재살균을 시도할 경우 볏짚다발을 뒤집거나 상면의 톱밥을 제거한 후 정상적인 살균을 하고 특히 후발효기간 동안 배지내에서 냄새가 심하게 나므로 후발효기간동안 환기를 자주 실시
- 푸른곰팡이병원균의 발생이 극도로 심한 경우 현재 균상내에 있는 원균의 밀도를 줄이고 살균효과를 증진하는 방안으로 살균전에 벤레이트를 평당 5g씩 균상위에 볏짚의 수분상태에 따라 희석농도를 정하여 표면살포 후 살균
겨울철 버섯 재배관리 (0) | 2008.12.18 |
---|---|
표고버섯 종균의 배양 (0) | 2008.12.11 |
느타리버섯 재배시 기형버섯 발생 방지법 (0) | 2008.06.03 |
병재배 또는 폿트재배 버섯의 품종 특성 (0) | 2008.06.03 |
양송이버섯의 품종 특성 (0) | 2008.06.03 |
1. 온·습도 조건별 원형느타리버섯의 형태적 변화
버섯은 온도,습도등 재배 환경에 따라 생육상태가 변하게 되므로 이에 따라 버섯의 형태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최근 재배환경 조절실패로 인하여 나타나는 생리적 장애현상에 따라 버섯의 형태적 변화를 알음으로서 대책을 세울 수 있다.
가.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의 자실체 형태
원형느타리버섯은 재배사내의 온도와 습도가 각각 20℃와 80% 이상이 되면 자실체의 형태는 대부분 그림6처럼 버섯의 대에 비해 갓은 짧은 편이며 색깔이 연한 회색에서 회갈색을 띤다. 그러나 때에 따라서 갓의 중앙부가 작은 혹처럼 돌출하거나 아니면 그 반대로 보조개처럼 함몰한 형태의 버섯이 발생되기도 한다. 초기 발이 수는 많은 편이며 버섯의 생장속도도 빠르다. 버섯의 품질도 그렇게 나쁘지 않은 편이나 높은 온도에서 높은 습도를 유지하는 과정에서 균상표면이 말랐다가 젖었다를 반복하면서 균상이 일찍 피해를 받아 후기수량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갈수록 버섯의 무게가 작아진다.
그리고 그림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름느타리버섯은 재배사내의 온도가 20~25℃의 고온이 되고 습도가 80%이상으로 유지되면 떨어지게 되면 버섯은 발이는 왕성하나 가장자리부터 발이가 이루어지기 시작하며 성숙한 버섯들은 대가 �고 갓끝이 일정하지 않으며 불규칙한 모양을 이룬다.
나. 고온저습에서의 자실체 형태
원형느타리버섯의 경우 재배사내의 온도가 20℃를 넘고 습도가 80% 이하가 되면 대부분의 버섯이 갓끝이 얇아지고 버섯의 형태는 우산형에 가까워지며 색깔 또한 연회색 내지 백색에 가깝게 변한다. 버섯의 무게 또한 상당히 낮아지며 수확시 갓을 만지면 금방 부스러져 버릴 정도로 육질이 연하다. 그 외에 대가 비대해져 그 굵기가 갓의 직경만 하기도 하며, 갓의 모양이 일정하지 않고 대끝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힘든 기형버섯이 많이 발생한다.
다. 저온, 저습 환경에서의 자실체 형태
원형느타리버섯은 12℃이하의 저온이 되면 버섯에 있어서 가장 큰 변화는 색택이 진한 암갈색으로 변하며 육질 또한 아주 단단해진다. 버섯의 생육이 아주 느려지고 일부에서는 세균성갈변병이 나타나기도 한다. 갓의 모양도 팔자형태를 띠거나 표면이 매끄럽지 않고 굴곡을 이룬다. 대의 두께는 굵어지며 항아리모양으로 중아부위가 비대해지는 경우도 있다. 버섯의 발이율도 현저히 낮아져 수량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라. 저온다습환경에서의 자실체 형태
온도가 13~16℃정도의 저온상태가 유지되고 80%이상의 습도에서는 그림9 에서와 같이 색택도 암갈색에 가깝고 육질도 단단한 편이며 갓 끝부분이 너풀너풀한 것도 많이 줄어들고 갓 두께도 두꺼워 품질이 상당히 좋은 편이다. 그러나 버섯의 생육속도가 너무 느리고 발이율이 정상적인 온도에 비해 떨어진다.
마. 적온 저습에서의 자실체 형태
재배사 온도를 13~16℃정도로 적정한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재배사내의 습도가 60% 이하가 되어버리면 버섯의 발이율은 다습일 때의 경우보다 높았으나 실질적으로 성숙하는 버섯은 적으며 어린 버섯이 크기도 전에 고사해버리는 경우가 많으며 다발형성률도 떨어진다.(그림1)
성숙한 버섯의 대는 굵고 그에 비해 갓이 작아지는 현상을 보인다. 또한 버섯의 성장률도 현저히 늦어진다. 일부 균상에서는 푸른곰팡이가 발생하며, 버섯과 푸른곰팡이가 같이 자라는 기현상도 보인다. 따라서, 원형느타리버섯의 정상적인 생육에 알맞은 온도는 13~16℃, 습도는 80%이상 유지하여 재배하는 것이 생리적 장애를 개선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재배온도 | 상대 습도 (%) | |
60% 이하 | 80% 이상 | |
13~16℃ | ![]() |
![]() |
16℃ 이상 | ![]() ![]() |
![]() ![]() |
![]() |
그림 2. 재배환경 조건별 느타리버섯의 형태적 변화 |
표 1. CO2 농도에따른 느타리버섯의 자실체의 형태적 변화
조사 항목 | CO2 농도 (%) | |||
0.03 | 0.1 | 0.3 | 0.5 | |
갓 직경 (mm) | 6.5 | 3.4 | 2.4 | 0.6 |
대길이 (mm) | 4.6 | 6.8 | 6.7 | 2.5 |
수량 (g/병) | 289 | 251 | 201 | 53 |
그림 | ![]() |
![]() |
![]() |
![]() |
3. 재배사내 풍속에 의한 원형느타리버섯의 형태적 변화
일반적으로 환기시 강제환기식 방법을 많이 사용하는데 이때 환기팬의 풍속에 의해서도 기형이 유발될 수 있다.
![]() |
그림4. 재배사내 풍속조절 시스템 |
표4. 환기방법에 따른 느타리버섯의 형태적 특성 및 수량
환기 방법 | 풍속(Fpm)* | 개체중(g) | 갓과 대의 각도(。) | 수량(g/box) | CO2농도(ppm) |
주 입 식 | 0~1 | 15.3 | 8.9 | 155 | 601 |
50이상 | 10.7 | 110 | 250 | 530 | |
배 기 식 | 0~0.2 | 146 | 114 | 1850 | 590 |
0.2~0.5 | 164 | 10.5 | 1361 | 423 | |
관 행 | 0.35 | 8.8 | 112 | 530 | 631 |
![]() |
![]() |
배기식 환기시스템 (0.2fpm이하) | 주입식 환기시스템 (50fpm이상) |
이처럼 풍속이 세어지면 기형발생 및 균상의 건조율이 높아지며 기형발생 억제를 위해서는 사람이 느끼지못할 정도의 풍속을 유지하면서 재배사내 CO2농도가 올라가지 않게 항상 신선한 공기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환기방법보다는 어떻게 재배사내 풍속을 줄이면서 환기를 시키느냐가 관건이다.
4. 재배시 무관수에의한 버섯의 형태적 변화
버섯 발이후 관수를 하지 않으면 1주기후부터 수량이 급격히 감소되며 배지의 수축 정도가 심하고 배지 표면에 다시 균사가 생장을 하기도 한다(a). 일부 자실체가 건조에 의한 갈변화 증상이 일어나고(b) 버섯에서 다시 버섯이 발생되는(c, d) 경우도 나타난다. 즉, 배지의 수축이 심하다는 것은 그만큼 물리적 손상이 크며 주기가 지날수록 아무리 관리를 잘 하더라도 회복 할 수 없게 된다.
![]() |
![]() |
(a) | (b) |
![]() |
![]() |
(c) | (d) |
5. 기형버섯의 방제 대책
버섯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푸른곰팡이와 같은 잡균의 오염 없이 균사생장을 얼마나 잘 하느냐도 중요하지만 발생된 버섯을 얼마나 고품질의 버섯이 되게끔 만드냐도 그에 못지 않게 중요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버섯을 키우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 재배사내 환경 즉, 온도, 습도, 환기량등이다. 기형버섯의 방제 대책으로는 다음과 같이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재배시기에 알맞은 올바른 품종선택
느타리버섯의 재배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중요한 것은 품종선택을 얼마나 잘 하느냐에 있다. 특히 재배사 시설이 거의 자연환경에 의존하는 형태인 우리 나라 재배방법에서는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시장선호도나 경제성, 연중생산을 목적으로 시기에 맞지 않는 품종을 부득이하게 재배할 경우에는 무엇보다도 재배사내에 환경을 신경쓰야 하며, 될 수 있으면 그시기에 맞는 품종을 선택한다(표2).
표2. 느타리버섯 품종별 적절한 재배시기
느타리버섯 품종 | 버섯발생온도 | 재 배 시 기 |
여름느타리 | 20~25 | 5월~7월초 |
여름느타리2호 | 20~30 | 5월~7월 중순 |
원형느타리 | 10~16 | 4월~6월, 9월~11월 |
원형느타리2호 | 10~16 | 4월~6월, 9월~11월 |
원형느타리3호 | 10~15 | 4월~6월, 9월~11월 |
춘추느타리1호 | 15~20 | 4월~6월중순, 9월~10월 |
춘추느타리2호 | 16~20 | 4월~6월중순, 9월~10월 |
사철느타리2호 | 22~28 | 6월~8월초 |
표고버섯 종균의 배양 (0) | 2008.12.11 |
---|---|
여름 느타리버섯 발생하는 세균성갈변병및 푸른 곰팡이병 방제요령 (0) | 2008.06.27 |
병재배 또는 폿트재배 버섯의 품종 특성 (0) | 2008.06.03 |
양송이버섯의 품종 특성 (0) | 2008.06.03 |
느타리버섯의 품종 특성 (0) | 2008.06.03 |
■ 팽이 품종 특성
버섯명 | 학 명 | 품 종 명 | 보급 연도 | 육성기관 |
팽이버섯 | Flammulina velutipes | 팽이1호 | 1988 | 농업과학기술원 |
" | " | 팽이2호 | 1994 | 농업과학기술원 |
" | " | 백설 | 2002 | 농업과학기술원 |
(2) 버섯 등록종묘 특성 및 수량 성적표
품종명 | 초발이 소요일수 |
갓색깔 | 갓형태 | 대길이(㎜) | 대직경 (㎜) | 개체수 (개/850㎖병) |
수량 (g/ 850㎖병) |
백 설 | 33 | 백색 | 반반구형 | 135 | 3.0 | 250 | 140 |
팽이2호 | 33 | 백색 | 반반구형 | 135 | 3.0 | 220 | 131 |
![]() |
백설 자실체 |
■ 버들송이 종류별 품종 특성
버 섯 명 | 학명 | 품종명 | 보급연도 | 육성기관 |
버들송이 | Agrocybe aegerita | 버들송이1호 | 1989 | 농업과학기술원 |
버섯종류 | 버들송이 | 품 종 명 | 버들송이 |
배지재료 | 소나무톱밥 70+밀기울 30% | ||
재배형태 | 병재배 | ||
구 분 | 항 목 | 기재사항 | 적 요 |
특 성 | 초발이 소요일수 | 8-10 | 균긁기일로부터 처음 버섯이 발생할 때 까지의 기간 |
자실체 생육기간 | 7-8일 | 버섯 발생일로부터 수확시까지의 기간 | |
유효경수 | 21개/병 | 자실체가 완전히 형성된 것 | |
갓의 크기 | 4-6㎝ | 갓2㎝이상, 줄기 5㎝이상 수확시 갓의 좌우직경 | |
대길이 | 8-11㎝ | 대의 하단부터 갓의 하단까지 길이 | |
갓 색택 | 암갈색 | 갓 부분의 색깔 | |
대색깔 | 유백색 | 대부분의 색깔 | |
발생온도 | 중온성 | 18-20℃ | |
수 량 | 병당수량 | 107g/800cc | 생버섯 |
![]() |
버들송이 자실체 |
버 섯 명 | 학 명 | 품 종 명 | 보급연도 | 육성기관 |
진흙버섯 | Phellinus baumi | 장수상황 | 1999 | 논공농산 |
" | Phellinus linteus | 고려상황 | 2001 | 농업과학기술원 |
균 주(ASI) | 원목배양기간(일) | 원기형성일수(일)* | 자실체 발생온도(℃) | 재배사습도(%) |
26058 | 160 | 300 | 28~33 | 90~95 |
26061 | 160 | 300 | 28~33 | 90~95 |
26099 | 140 | 300 | 28~33 | 90~95 |
26090(대조) | 90 | 120 | 25~29 | 85~90 |
(3) 자실체 수량 성적표
균 주(ASI) | 발생형 | 갓형태 | 수분함량(%) | 조직상태 |
26099 | 개체형 | 말굽형 | 39 | 단단함 |
26090(대조) | 군생 | 배착형 | 46 | 연함 |
![]() |
고려상황의 자실체 |
버 섯 명 | 학 명 | 품 종 명 | 보급연도 | 육성기관 |
왕송이 | Tricholoma giganteum | 왕송이1호 | 1999 | 농업과학기술원 |
버섯종류 | 왕송이버섯 1호 | 학 명 | Tricholoma gigantium |
배지재료 | 미송톱밥 80+밀기울 20% | ||
재배형태 | PP봉지 및 상자재배 | ||
구 분 | 항목 | 기재사항 | 적요 |
특성 | 배양 최적온도 | 30℃ | 균사배양은 PDA배지에서 83㎜/10일 임 |
최적 pH | 5.0 | pH 5.0에서 61㎎/16일 임 | |
자실체 발생온도 | 25-27℃ | 균사배양 후 어린버섯 발생 유도온도 임 | |
초발이 소요일수 | 20 | 복토 후부터 첫 버섯 발생까지의 기간 | |
자실체 생육기간 | 14일 | 버섯 발생일부터 수확시까지의 기간 | |
유효경수 | 44-64개/0.275㎡ | 상자(0.275㎡)당 버섯발생수 | |
갓 직경 | 12-17㎝ | 자실체 갓부분의 넓이 | |
갓 색택 | 흰색 또는 크림색 | 갓 표면의 색택 | |
줄기길이 | 12-17㎝ | 줄기부분의 길이 | |
줄기 색택 | 흰색 | 줄기 표면의 색택 | |
수 량 | ㎏/3.3㎡ | 28 | 생버섯 |
![]() |
왕송이버섯1호의 자실체 |
여름 느타리버섯 발생하는 세균성갈변병및 푸른 곰팡이병 방제요령 (0) | 2008.06.27 |
---|---|
느타리버섯 재배시 기형버섯 발생 방지법 (0) | 2008.06.03 |
양송이버섯의 품종 특성 (0) | 2008.06.03 |
느타리버섯의 품종 특성 (0) | 2008.06.03 |
상황버섯의 복용법 (0) | 2008.05.22 |
■ 양송이 505호
(1) 육성경위
양송이 505호는 농업기술연구소에서 1971년 자유중궁에서 도입한 양송이균주로부터 1973년 다포자 발아를 하여 그 중 균사생장이 양호한 계통을 선발한 다음 1973~1975년 계통선발 시험을 하여 수량성을 확인한 후 1975년 최종선발 명명하고 우량품종으로 지정하여 농가에 보급한 품종이다.
본 품종 선발에는 유창현, 박용환, 김종헌, 김동수 등이 관여하였다.
(2) 주요특성
가. 고유특성
버섯의 자실체의 색택은 백색이며 백색종중에서는 개체중이 무거운 편이다. 줄기는 가늘고 갓이 두꺼우며 갓의 정단부가 둥글고 아름다워 생버섯 판매시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다.
<표 1> 양송이 505호의 주요 특성
품 종 | 초 발 이소요일수(일) | 개체중(g) | 오픈베일율(%) | 개산율(%) | 수 량(kg/3.3㎡) | 색 택 |
양송이505호 | 28 | 8.6 | 0.2 | 0.7 | 53.4 | 백 색 |
다. 내병성
마이코곤병에 약하다.
라. 수량성
수량은 53.kg/3.3㎡로 양송이 501호보다 5% 증수되며 가공시 whole 비율이 39.9%로 높아 고품질의 통조림생산이 가능하다.
(3) 재배상의 유의점
마이코곤병에 약하므로 복토소독, 균상관리를 철저히 한다.
![]() |
양송이505호 자실체 |
(2) 주요특성
가. 고유특성
균사생장은 25℃에서 양호하며 색택은 크림종으로 대길이가 짧고 갓과 대의 직경이 굵다.
<표 1> 양송이 304호의 특성
품 종 | 초 발 이소요일수(일) | 개체중(g) | 오픈베일율(%) | 개산율(%) | 수 량(kg/3.3㎡) | 색 택 |
양송이703호 | 28 | 14.5 | 0.5 | 4.2 | 73.9 | 백 색 |
다. 내병충성
일반적으로 크림종은 병해충에 강한 특성이 있는것과 같이 양송이 703호는 마이코곤병에 강하고 갈반병에도 비교적 높은 저항성을 가졌다.
라. 수량성
양송이 703호의 수량은 73.9kg/3.3㎡로서 다수성 품종이며 개체중이 무거운 크림색의 대형 버섯으로 가공시 whole 비율이 42.4%로 높아 고급 통조림 생산에 적합하다. 또한 자실체는 대가 굵고 짧으며, 갓부분이 큰 특징이 있다.
<표 4> 양송이 703호와 형태적 특성
품 종 | 자 실 체 크기(㎜) | ||
갓 직 경 | 대 직 경 | 대 길 이 | |
양송이 703호 | 36 | 17 | 23 |
양송이 505호 | 32 | 13 | 27 |
![]() |
양송이703호 |
■ 양송이 705 호
(1) 육성경위
양송이 705호는 농업기술연구소에서 1978년 미국에서 도입한 ASI 1074에서 분리한 단포자 분리 균주중 균종 형태 및 특성에 의한 실내검정 결과 자실체 수량이 높고 품질이 양호한 균주를 선발 명명하고 우량품종으로 지정하여 농가에 보급한 품종이다. 본 품종 육성에는 유창현, 변명옥, 박용환, 신관철 등이 관여하였다.
(2) 주요특성
가. 고유특성
양송이 705호는 퇴비에 종균재식을 하고 14일간 균사를 생장시킨 후 복토를 하여 버섯이 발생할 때까지의 기간이 35일이며, 개체중이 무겁고 개산율이 적으면서 다수성인 크림색 품종이다.
<표 1> 양송이 705호의 주요 특성
품 종 | 초발이소요일수(일) | 개체중(g) | 오픈베일율(%) | 개산율(%) | 수 량(kg/3.3㎡) | 색 택 |
양송이705호 | 35 | 17.4 | 2.6 | 0.3 | 72.1 | 크림색 |
다. 내병충성
푸른곰팡이, 갈변병균(Verticillium malthousei)에 의해 균사생장이 지연되므로 병해 발생을 줄이기 위해 균상관리, 복토 등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라. 수량성
양송이 304호는 당시 일반 농가의 재배 품종이었던 양송이 310호 보다 67% 증수 되었다.
(3) 재배상의 유의점
ㅇ 마이코곤병, 푸른곰팡이병, 갈변병에 약하므로 복토는 스팀 살균하여 사용하고 균상관리실 관수용 물은 청결한 것을 사용한다. ㅇ 퇴비의 수분함량은 70%로 제조해야 안전 다수확을 할 수 있다.
![]() |
양송이705호 자실체 |
느타리버섯 재배시 기형버섯 발생 방지법 (0) | 2008.06.03 |
---|---|
병재배 또는 폿트재배 버섯의 품종 특성 (0) | 2008.06.03 |
느타리버섯의 품종 특성 (0) | 2008.06.03 |
상황버섯의 복용법 (0) | 2008.05.22 |
천마의 특성과 재배 및 기내배양 (0) | 2008.05.08 |
우리나라에서 육성보급된 버섯 종류는 17종류이며 현재까지 93품종이 다양한 기관에서 육성되었는데 (표 1), 이중 느타리가 가장 많으며 주요 느타리 품종의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표 1. 버섯 종류별 육성품종 수 및 육성기관: 17종류 93품종 (2002. 4. 26 현재)
|
표 2. 느타리속 주요 재배종의 생육 단계별 요구온도(℃) 및 특성
생육단계 | 느타리 P. ostreatus | 사철느타리 P. florida | 여름느타리 P. sajor-caju | 큰느타리 P. eryngii | 노랑느타리 P. cornucopiae |
균사배양 | 25 | 25-30 | 25-30 | 25 | 25-30 |
원기형성 | 10-15 | 10-25 | 10-25 | 10-15 | 20-25 |
자실체 생육 | 10-21 | 15-25 | 18-25 | 15-21 | 20-30 |
원기형성시 저온처리 요구도 | 필요 | 불필요 | 불필요 | 필요 | 불필요 |
CO2 농도 (ppm) | <1000 | <800 | 400-800 | <2000 | |
생육최적기 | 가을 | 봄, 가을 | 봄-여름 | 가을 | 여름 |
해당품종 | 원형,2호,3호, 흑평, 춘추1호,2호, 흑진주, 청풍, 명월, 수한,2,3호 일성2, 균협, 옥농, 신농46,8호, 장안PK, 김제9.10호 | 사철1호, 사철2호 | 여름1호, 여름2호, 삼복 | 큰느타리1호 |
황금 |
<표 3> 느타리종 품종의 내서성, 내한성 및 수량성
일련번호 | 품종명 | 봄-초여름재배 | 가을-겨울재배 | ||
내서성 | 수량성 | 내서성 | 수량성 | ||
1 | 느타리 농기2-1호 | + | + | *** | ** |
2 | 느타리 농기201호 | + | + | * | * |
3 | 원형느타리 | + | + | ** | * |
4 | 애느타리 1호 | + | + | * | * |
5 | 원형느타리 2호 | + | + | ** | *** |
6 | 원형느타리 3호 | + | + | *** | ** |
7 | 춘추느타리 1호 | ++ | +++ | * | ** |
8 | 춘추느타리 2호 | + | +++ | * | * |
9 | 흑평 | ++ | ++ | ** | *** |
10 | 병느타리1호 | + | + | * | * |
11 | 균협1호 | ++ | ++ | ** | *** |
12 | 옥농1호 | +++ | +++ | * | * |
13 | 흑진주 | + | + | * | * |
14 | 청풍 | +++ | +++ | * | * |
15 | 명월 | +++ | +++ | * | * |
16 | 수한 | ++ | ++ | ** | *** |
17 | 신농94호 | ++ | ++ | ** | ** |
18 | 수한2호 | ++ | ++ | ** | *** |
19 | 수한3호 | ++ | + | ** | ** |
20 | 신농46호 | ++ | ++ | * | * |
21 | 일성2호 | +++ | +++ | * | * |
22 | 신농8호 | ++ | ++ | * | * |
23 | 장안PK | + | + | ** | *** |
24 | 김제8호 | ++ | +++ | * | * |
25 | 김제9호 | +++ | +++ | ** | ** |
26 | 김제10호 | + | + | *** | *** |
![]() |
원형느타리버섯 |
버섯의 종류 | 느타리 버섯 | 품 종 명 | 원형느타리버섯 | ||
배 지 재 료 | 볏 짚 | ||||
재 배 형 태 | 균 상 재 배 | ||||
구 분 | 항 목 | 기재사항 | 적 요 | ||
특 성 | 균 사 생 장 길 이 | 77 mm | 25℃에서 8일간 배양한 시험관내 균사길이 | ||
초발이소요일수 | 45일 | 종균 접종일로부터 처음 버섯이 발생 할 때 까지의 기간 | |||
개 체 중 | 16.8 g | 버섯 1개의 평균 무게 | |||
색 깔 | 밝은회색~회청색 | 갓 부분의 색 | |||
형 상 | 깔대기와 우산형의 중간형 | 갓과 대 부분을 측면에서 본 모양 | |||
발 생 온 도 |
중저온성 |
버섯이 발생하는 최적온도(10~16℃) | |||
기타 특기 사항 | 다발성이 강함 | ||||
수 량 | 3.3m2당 수량 | 52.0 kg | 생버섯의 수확량 |
(2) 원형느타리2호 ○ 육성경위 전통적 육종방법이 아닌 원형질체 융합법에 의해 육성되었다. 원형느타리 2호는 기 보급된 원형느타리 1호와 동일한 방법과 육성 경위로 개발되었다. 원형느타리 2호는 농업기술연구소(현 농업과학기술원)에서 1984년에 느타리종 (Pleurotus ostreatus) 품종 농기201호의 영양요구주 ASI 2-1-o 2018-83-arg과 사철느타리종 (P. florida) 품종 사철느타리 영양요구주 ASI 2-3-f 2016-29-rib를 원형질체 융합하여 융합주 P5를 선발하였다. 1985년에 이 융합주의 자실체의 담자포자를 발아하여 유전분석으로 두 종의 유전자 재조합체 P5-M43-arg rib를 선발하였다. 선발한 재조합체와 느타리종 품종 농기 2-1호 영양요구주 ASI 2-13-o 2001-19-pro orn을 다시 원형질체 융합하여 38개 융합주를 선발하였다. 이들을 1986-1989년에 자실체 특성 및 생산력 검정을 실시하여 이중에서 P49계통을 1990년에 특허출원 하여 1993년 2월 26일 등록되었다 (특허제 059815호). 이 균주는 한국종균생산협회에서 농촌진흥청과 계약하여 농가에 원형느타리 2호로 보급하게 되었다. 육성자는 유영복, 유창현, 고승주, 변명옥, 차동열, 박용환, 김동수이다.
○ 버섯 등록 종묘의 특성 및 수량 성적표
버섯의 종류 | 느타리 | 품 종 명 | 원형느타리 2호 | ||
배 지 재 료 | 볏 짚 | ||||
재 배 형 태 | 균 상 재 배 | ||||
구 분 | 항 목 | 기재사항 | 적 요 | ||
특 성 | 균 사 생 장 길 이 | 63 ± 0.5 mm | 감자배지의 시험관에서 25에서 5일간 배양한 균사길이 | ||
초발이소요일수 | 42 ± 5일 | 종균접종일로 부터 처음 어린자실체가 형성될때까지의 기간 | |||
개 체 중 | 27.5 ± 10 g | 주기별 3kg의 버섯수를 산술평균 | |||
색 깔 | 밝은 회색-회청색 | 갓의 색택 | |||
형 상 | 깔때기와 우산형의 중간형 | 갓과 대부분을 측면에서 본 모양 | |||
원기발생온도 | 중저온(12 ± 5℃) | 균사생장이 정지되고 원기가 형성되는 온도 | |||
생육최적온도 | 13 ± 3 ℃ | 원기가 자실체로 발육하여 완숙되는 최적온도 | |||
기타 특기 사항 | 다발성이 강함 | 버섯자실체가 여러개 총생으로 발생하는 성질 | |||
수 량 | 3.3m2당 수량 | 49.6 kg | 버섯의 평당 생체 수량 |
![]() |
원형느타리버섯 2호 |
○ 버섯 등록종묘 특성 및 수량 성적표
버섯의 종류 | 느타리버섯 | 품 종 명 | 애느타리버섯 1호 | ||
배 지 재 료 | 미송, 포프라톱밥 80+20% | ||||
재 배 형 태 | 병재배 | ||||
구 분 | 항 목 | 기재사항 | 적 요 | ||
특 성 | 균 사 생 장 | 94 mm | 종균접종일로부터 10일간 균사 생장 길이 | ||
배 양 일 수 | 20~25일 | 접종후부터 균사배양이 완료될때까지의 기간 | |||
초발이 소요일수 | 7~10일 | 균긁기일로부터 첫버섯이 발생할때까지의 기간 | |||
생 육 일 수 | 6~8일 | 발이후부터 수확시까지의 기간 | |||
유 효 경 수 | 44~48개/병 | 버섯이 완전하게 형성된 것 | |||
갓의 크기 | 18=25mm | 수확시 갓의 좌우직경 | |||
대 길 이 | 58~60mm | 대의 하단부터 갓 하단까지의 길이 | |||
색 깔 | 암회색 | 갓부분의 색깔 | |||
발이 온·습도 | 중온,다습 | 온도: 14±1℃, 습도:90~95% | |||
생육 온·습도 | 저온,다습 | 온도: 12±1℃, 습도:80~85% | |||
기타 특기 사항 | |||||
수 량 | 850cc병당수량 | 81g | 생버섯 |
![]() |
애느타리버섯 1호 |
○ 버섯 등록종묘 특성 및 수량 성적표
버섯의 종류 | 느타리버섯 | 품 종 명 | 여름타리버섯 | ||
배 지 재 료 | 볏짚 및 퇴비 | ||||
재 배 형 태 | 균상재배 | ||||
구 분 | 항 목 | 기재사항 | 적 요 | ||
특 성 | 균 사 생 장 길 이 | 96 mm | 종균접종일로부터 10일간 균사생장 길이 | ||
초발이 소요일수 | 34일 | 종균 접종일로부터 처음 버섯이발생 할 때 까지의 기간 | |||
개 체 중 | 20 g | 버섯 1개의 평균 무게 | |||
색 깔 | 회갈색 | 갓부분의 색 | |||
형 상 | 평편형 | ||||
버섯 모양 | 깔대기형 | ||||
버섯발생 온도 | 고온성 | 20-25 ℃ | |||
기타 특기사항 | |||||
수량 | 3.3m2당 수량 | 45.2 kg | 생버섯 |
(5) 원형느타리3호 ○ 육성 경위 원형느타리 1호는 다발성으로 품질이 매우 양호하나 균사 생장시 초기의 세력이 약하고 균덩이의 발생이 심할 뿐만 아니라 10 ℃ 이하에서 생육이 부진한 단점이 있어 이를 보완 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1991년에 기존의 원형느타리 1호와 저온성인 ASI 2027 균주간에 원형질체 융합을 하고 균사 생장이 양호한 균주를 선발하여 ‘93~95년 생산력 검정과 농가 확대 재배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 시험에서 선발된 P1127 균주는 ’96년 농가 확대 재배시험을 한 결과 원형느타리 1호의 단점이 많이 개선되고 버섯의 품질이 양호하여 원형느타리 3호로 명명한 다음 ‘97 부터 농가에 보급하게 되었다. 본 품종의 육성에는 김경수, 유창현, 김영호, 공원식, 유영복 등이 관여하였다.
○ 버섯 등록종묘 특성 및 수량성적표
버섯의 종류 | 느타리 | 품 종 명 | 원형느타리 3호 | ||
배 지 재 료 | 폐면, 볏짚 | ||||
재 배 형 태 | 균상재배 | ||||
구 분 | 항 목 | 기재사항 | 적 요 | ||
특 성 | 균 사 생 장 길 이 | 72 mm | PDA배지에서 6일간 균사생장 길이 | ||
초발이소요일수 | 36일 | 종균접종일로부터 처음 버섯이 발 생 할 때 까지의 기간(폐면재배) | |||
개 체 중 | 18 g | 버섯 1개의 평균 무게 | |||
생 육 기 간 | 8-11일 | 버섯발생일부터 수확시까지의 기간 | |||
갓 의 크 기 | 60 mm | 수확시 갓의 좌우직경 | |||
갓 의 두 께 | 6 mm | 수확시 갓의 두께 | |||
버섯대의 길이 | 82 mm | 대의 하단에서부터 갓 밑부분까지 의 길이 | |||
색 깔 | 회갈색 | 갓부분의 색 | |||
크 기 | 대 | ||||
버 섯 모 양 | 반우산형 | ||||
버섯발생 온도 | 10-15 ℃ | 저온성 | |||
수량 | 3.3m2당 수량 | 41.9 kg | 생버섯의 수확량 |
![]() |
원형느타리버섯 3호 |
○버섯 등록종묘 특성 및 수량성적표
버섯의 종류 | 느타리 | 품 종 명 | 춘추느타리 1호 | ||
배 지 재 료 | 폐면, 볏짚 | ||||
재 배 형 태 | 균상재배 | ||||
구 분 | 항 목 | 기재사항 | 적 요 | ||
특 성 | 균 사 생 장 길 이 | 69 mm | PDA배지에서 6일간 균사생장 길이 | ||
초발이 소요일수 | 15일 | 종균접종일로부터 처음 버섯이 발 생 할 때 까지의 기간(폐면재배) | |||
개 체 중 | 11 g | 버섯 1개의 평균 무게 | |||
생 육 기 간 | 5-7일 | 버섯발생일부터 수확시까지의 기간 | |||
갓 의 크 기 | 46 mm | 수확시 갓의 좌우직경 | |||
갓 의 두 께 | 5 mm | 수확시 갓의 두께 | |||
버섯대의 길이 | 65 mm | 대의 하단에서부터 갓 밑부분까지 의 길이 | |||
색 깔 | 연회색 | 갓부분의 색 | |||
크 기 | 소 | ||||
버 섯 모 양 | 깔대기형 | ||||
버섯발생 온도 | 15-20 ℃ | ||||
기타 특기 사항 | |||||
수량 | 3.3m2당 수량 | 51.0 kg | 생버섯의 수확량 |
![]() |
춘추느타리 1호 |
(7) 춘추느타리 2호 ○ 육성 경위 춘추느타리 2호는 수집균주의 선발 육종에 의해서 육성된 품종(ASI 2344)으로 봄, 가을이 재배 적기이다. 이 품종도 농업과학기술원에서의 선발시험과 1997년 봄, 가을 두 차례에 걸쳐 농가실증시험을 수행하고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춘추느타리 2호로 명명되어 1998년에 농가에 보급하였다. 본 품종 육성에는 김경수, 유창현, 김영호, 공원식 등이 관여하였다.
![]() |
춘추느타리 2호 |
버섯의 종류 | 느타리 | 품 종 명 | 춘추느타리 2호 | ||
배 지 재 료 | 폐면, 볏짚 | ||||
재 배 형 태 | 균상재배 | ||||
구 분 | 항 목 | 기재사항 | 적 요 | ||
특 성 | 균 사 생 장 길 이 | 40 mm | PDA배지에서 6일간 균사생장 길이 | ||
초발이 소요일수 | 19일 | 종균접종일로부터 처음 버섯이 발 생 할 때 까지의 기간(폐면재배) | |||
개 체 중 | 13 g | 버섯 1개의 평균 무게 | |||
생 육 기 간 | 5-7일 | 버섯발생일부터 수확시까지의 기간 | |||
갓 의 크 기 | 45 mm | 수확시 갓의 좌우직경 | |||
갓 의 두 께 | 5 mm | 수확시 갓의 두께 | |||
버섯대의 길이 | 66 mm | 대의 하단에서부터 갓 밑부분까지 의 길이 | |||
색 깔 | 진회색 | 갓부분의 색 | |||
크 기 | 중 | ||||
버 섯 모 양 | 얕은깔대기형 | ||||
버섯발생 온도 | 16-20 ℃ | ||||
기타 특기 사항 | |||||
수량 | 3.3m2당 수량 | 48.1 kg | 생버섯의 수확량 |
(8) 큰느타리1호 ○ 육성 경위 큰느타리버섯 1호의 균주는 1986년부터 1995년까지 농업과학기술원 응용미생물과에 수집되어 보존중인 균주들을 대상으로 인공재배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자실체의 육질이 굵고, 다발성이라는 점을 착안, 톱밥을 이용한 병버섯 재배법을 시도하여 우수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균주는 1996년부터 생리적 특성을 검토하였으며, 1997년에는 생산력 검정 및 농가실증 시험을 거쳐 수량성을 확인한 후 우량품종으로 지정하여 농가에 보급하게 되었다. 본 품종의 육성에는 김한경, 정종천, 이현욱(경남), 김홍규(충남), 지정현(경기) 등이 관여 하였다.
○ 버섯 등록종묘 특성 및 수량성적표
버섯종류 | 큰느타리버섯 | 학 명 | Pleurotus eryngii |
배지재료 | 참나무톱밥+밀기울(7:3) | ||
재배형태 | 병재배 | ||
구 분 | 항 목 | 기 재 사 항 | 적 요 |
특성 | 균사생장길이 | 85㎜/16일 | PDA배지에서 균사생장 길이 |
초발이소요일수 | 11일 | 균긁기일부터 처음 버섯발생까지 기간 | |
개체수량 | 42g | 성숙한 버섯 한 개의 무게 | |
생육기간 | 11-14일 | 버섯 발생리부터 수확시까지 기간 | |
갓 직경 | 17-70㎜ | 수확시 갓의 좌우 직경 | |
갓의 두께 | 8-30㎜ | 수확시 갓의 두께 | |
줄기길이 | 45-90㎜ | 줄기의 하단에서부터 갓 밑부분의 길이 | |
색 택 | 연한크림황토색 | 갓 부분의 색깔 | |
버섯형태 | 일반느타리버섯에 비하여 육질이 단단하며 줄기가 굵음 | ||
갓 형태 | 성숙한 자실체의 갓은 깔대기형 | ||
버섯발생온도 | 15-18℃ | ||
기타특기사항 | 세균에 저항성이 약함 | ||
수 량 | 3.3㎡당 수량 | 20.0㎏ | 생버섯 |
![]() |
큰느타리버섯1호의 자실체 |
○ 삼복여름느타리의 특성 버섯재배용 배지재료별로 균사생장량을 조사한 결과 폐면이나 포플러톱밥 배지에서의 균사생장은 여름느타리1호와 비슷하였으나 볏짚에서는 삼복여름느타리의 균사생장이 월등하게 우수하였다. 폐면을 이용하여 재배시험을 한 결과 종균을 심은 후 13일이면 첫 버섯이 일제히 발생하기 시작하고 3-4일만 지나면 수확을 할 수 있었다. 한번 수확을 하고 난 후 다음 주기의 버섯도 1주일이면 발생이 되어 버섯의 발생 주기가 대단히 빨라 재배사의 이용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버섯의 발생이나 자라는데 알맞은 온도는 23-28℃이지만 기존 품종보다 훨씬 높은 30℃의 고온에서도 발생이 가능하였다. 버섯은 낱개로 발생을 하여 개체수가 많으며, 갓은 진한 갈색을 띄어 기존품종보다 색깔이 좋았다.
○ 삼복여름느타리의 버섯발생 온도 및 발생형태
품 종 | 균사생장 적온(℃) | 버섯발생 적온(℃) | 초발이소요일수(일) | 갓 색깔 | 발생형태 |
삼복여름느타리 | 25-30 | 23-28 | 13 | 진회갈색 | 개체발생 |
여름느타리1호 | 25-30 | 22-26 | 16 | 회갈색 | 개체발생 |
품 종 | 수량 (kg/평) | 개체중 (g) | 자실체 크기(mm) | |||
대 길이 | 대 직경 | 갓 직경 | 갓 두 께 | |||
삼복여름느타리 | 43.1 | 7.5 | 40.9 | 11.1 | 49.7 | 4.3 |
여름느타리1호 | 32.6 | 8.6 | 60.9 | 9.2 | 60.9 | 6.9 |
![]() |
삼복여름느타리 |
(10) 흑진주애느타리버섯 ○ 육성경위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고 있는 느타리버섯은 볏짚이나 폐면을 이용하여 재배사내의 고정된 균상에서 재배를 하므로 인력이 많이 소요되고 힘이 들며, 재배기간도 길어 병해충의 피해를 받기 쉽고 재배사의 이용율이 떨어진다. 또한 전 재배과정의 자동화가 어려우며, 버섯의 생산량이 일정하지 못하여 판매시 불리한 점도 많이 생긴다. 따라서 최근에는 시설비는 많이 들지만 톱밥을 이용한 병재배의 자동화시설로 연중 계획생산을 하는 농가가 늘어나고 있다. 병재배에 의한 느타리버섯은 균상재배와 달리 1회만 수확을 하기 때문에 수량도 높고 품질이 좋아야 하므로 균상재배용 품종으로는 부적당하다. 그러므로 응용미생물과에서는 병재배에 알맞은 애느타리버섯 우량품종을 육성하여 보급하고자 하였다.
○ 흑진주애느타리의 특성 흑진주애느타리의 균사생장에 알맞은 온도는 감자한천배지(PDA)를 이용한 시험결과 25℃이며, 20℃ 이하의 저온에서도 기존의 애느타리1호보다 생장이 양호하였다(표1). 버섯균을 증식하거나 보존하기 위한 배지 종류별로 균사생장량을 조사한 결과 YM배지가 가장 좋았으며, 시험에 공시한 두 품종간에는 배지종류에 따른 균사생장에 차이가 없었다.
흑진주애느타리의 버섯 발생적온 및 수량
품 종 | 균사배양 기간(일) | 버섯발생 적온(℃) | 버섯생육 적온(℃) | 갓 색깔 | 발생형태 | 수량 (g/병) |
흑진주애느타리 | 21 | 15-17 | 14-15 | 진회갈색 | 다발성 | 106 |
애느타리1호 | 22 | 13-15 | 11-13 | 진회색 | 다발성 | 108 |
![]() |
흑진주애느타리버섯 자실체 |
병재배 또는 폿트재배 버섯의 품종 특성 (0) | 2008.06.03 |
---|---|
양송이버섯의 품종 특성 (0) | 2008.06.03 |
상황버섯의 복용법 (0) | 2008.05.22 |
천마의 특성과 재배 및 기내배양 (0) | 2008.05.08 |
표고 병해충 발생환경 및 방제 (0) | 2008.05.08 |
옛문헌에 기록된 상황이란 말은 뽕나무 상(桑)에 누를황(黃)이란 말로 한의서에는 상이(桑耳) 상목이(桑木耳)등의 이름으로 나오며 뽕나무에서 나오는 황색 버섯이란 뜻입니다. 각종 항암효과가 탁월하나 너무나도 희귀하여 구하기가 힘들었는데 그 동안 뛰어난 항암력을 인정받고 있던 영지가 귀족이라면 상황버섯은 황제라고 불리워 지고 있다. |
• 상황버섯 효능 |
- 종양 저지율 96.7%로 강력한 항암력 - 간암 수술후 화학요법 병행할 때 면역기능 항진 - 기존 항암체와 병행 복용할 때 이상적 치료효과 - 위암, 식도암, 십이지장암, 결장암, 직장암 등에 탁월한 효과 - 자궁 출혈 및 대하, 월경불순, 장출혈, 오장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해독작용 |
• 상황버섯 달이는 법 |
- 버섯을 밤알 크기로 잘게 쪼갠다.(50g 정도) - 물 2되량을 스텐레스 용기나 약탕기에 넣고 끓인다. - 끓기 시작하면 약한불에서 1되반 정도가 될 때까지 끓인 후 - 용기에 옮겨, 똑같은 방법으로 2-3회 반복해서 전체량을 함께 섞는다. - 충분히 식힌 다음 유리병(델몬트병)에 넣어서 냉장 보관한다. |
• 복용법 |
약물을 따뜻하게 데워 1회 한컵씩 식전이나 식후 편한대로 1일 3-5회 복용합니다. 아픈 부위가 위장에서 가까운 부위이면 식후에 복용하는것이 좋고 위장과 먼 부위이면 식전 공복에 복용하셔도 좋습니다. 처음부터 많이 마시지 말고 몸의 상태를 봐가면서 차차 정량으로 늘려 복용합니다. 냉장보관된 끓인 약물을 따뜻하게 데워서 1컵 정도씩 수시 복용 독성과 부작용이 없으므로 정확한 량을 지키지 않으셔도 됩니다. 4-6회 달인 것은 식수대용으로 드시면 됩니다. 영지버섯이나 홍삼, 대추등을 함께 넣어 끓여도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상황버섯을 술에 담아 드셔도 사랑을 느낍니다 상황버섯 2~3개를 2홉 소주에 넣어서 3~7일이 되면 노란색으로 우려나므로 주무시기 전에 1잔씩 함께 드시면 분위기도 좋습니다. 2홉을 다 드시고 다시 소주를 부어두면 또 우려나므로 5~6회까지 가능합니다. 상황버섯을 끊여서 차처럼 또는 숭늉처럼 온가족이 드셔도 좋습니다. |
양송이버섯의 품종 특성 (0) | 2008.06.03 |
---|---|
느타리버섯의 품종 특성 (0) | 2008.06.03 |
천마의 특성과 재배 및 기내배양 (0) | 2008.05.08 |
표고 병해충 발생환경 및 방제 (0) | 2008.05.08 |
표고 접종목 관리요령 (0) | 2008.04.12 |
|
천마는 동양에서 3,000년 전부터 사용되어 온 귀중한 약재자원으로 한방에서는 땅속의 덩이줄기(괴경)를 고혈압, 뇌졸증, 불면증, 경기, 두통, 현기증, 중풍, 신경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용으로 이용하고 있다. 또한 당뇨병 등의 성인병과 간 기능 촉진, 피로, 스트레스 해소와 학습능력과 기억력의 증가에 효과가 있다. 특히 예로부터 중풍 등 뇌신경 계통의 약초로는 최고라 하였으며 정풍초(正風草), 수자해좆, 적근(赤根), 귀독우(鬼督郵), 난모(難母), 신초(神草)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
느타리버섯의 품종 특성 (0) | 2008.06.03 |
---|---|
상황버섯의 복용법 (0) | 2008.05.22 |
표고 병해충 발생환경 및 방제 (0) | 2008.05.08 |
표고 접종목 관리요령 (0) | 2008.04.12 |
피해야 할 버섯들 (0) | 2008.04.12 |
|
|
상황버섯의 복용법 (0) | 2008.05.22 |
---|---|
천마의 특성과 재배 및 기내배양 (0) | 2008.05.08 |
표고 접종목 관리요령 (0) | 2008.04.12 |
피해야 할 버섯들 (0) | 2008.04.12 |
채취한 버섯 다루는 방법 (0) | 2008.04.12 |
균 접종 이후에는 밤, 낮의 기온차가 크고 건조가 심하여 표고균의 초기배양에 아주 불리한 조건이 된다. 그러므로 종균접종이 끝났다고 접종목을 방치할 경우 종균의 초기 균사활착이 부진하여 여름철 고온기에 여러 가지 해균의 피해를 받고 버섯수량이 감소된다. 따라서 살수량, 통풍, 보온, 보습 등의 환경조건을 표고균 생장에 유리하도록 개선하여야 하며, 균사배양 과정 중에 임시눕히기를 생략하지 말고 꼭 실천해야 한다. 임시눕히기 장소 표고균의 생장에 적합한 관수, 보온, 보습 및 빛가림(차광) 시설이 되어 있는 접종실이 이상적이나 현실적으로는 어려운 실정이므로 기존 하우스나 간이 하우스를 지어 활용한다. 노지인 경우는 물 빠짐이 좋고 햇볕(산란광)이 잘 들며 통풍이 양호한 장소를 택한다. 특히 밤낮으로 온습도 관리를 할 수 있고, 접종목의 배양상태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는 곳, 살수작업이 가능한 곳을 선택하여야 한다. 임시눕히기의 실시 기간은 접종 후부터 외기의 온도가 20℃ 정도에 이르는 4월 말에서 5월 초까지 하는 것이 좋다. 임시눕히기 방법 임시눕히기는 장작쌓기가 일반적인 방법이나 겨울 벌채목(특히 신갈나무, 굴참나무)의 경우에는 원목 내부에 수분이 많으므로 우물정자 쌓기가 더 유리하다. 쌓는 높이는 재배사 내는 1m, 노지는 50㎝ 이하로 하되 최대한 낮게 쌓아야 온도 및 습도가 일정하고, 수분관리도 용이하여 표고 균사생장이 원활하게 된다. 이때 접종목이 지면에 직접 닿지 않도록 콘크리트 블록 및 잡목 등을 바닥에 깔고 그 위에 쌓아야 한다(그림 1). 버섯 발생용 재배사 내에서 관리할 경우 내부에 차광망(이중)을 설치하여 비음도를 높여야 한다. 노지에서 관리할 경우에는 통풍이 원활하도록 접종목 위에 버섯 상자(콘티) 등을 놓아두어 30㎝ 이상 띄우고, 지면에서도 30㎝ 이상 띄워서(텐트식으로 고정하는 등) 차광망을 씌워야 한다. 또한 수분공급을 위한 분수호수는 차광망 안에 설치한다(그림 2). 특히 노지에서 접종목 바로 위에 차광망을 씌우면 고온으로 인해 균사생장이 늦거나 푸른곰팡이병 등 해균 발생이 심하여 사멸하게 된다(그림 3). 임시눕히기 중의 접종목 관리 종균 접종 후 저온, 건조 등의 불량환경에 노출되고 직사광선이 닿으면 표고균사가 사멸되므로 접종 후 1주일이 지난 후부터는 수시로 접종마개를 벗겨 보아 종균이 잘 활착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균사활착이 안된 경우 관리에 문제가 있는 것이므로 저온 때는 보온조치를, 건조한 때는 살수량을 늘리는 등 적기에 알맞은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접종 초기 외부 온도가 낮을 때는 접종목 위에 부직포 등으로 보온처리를 한 후 그 위에 다시 비닐피복을 한다. 이때 피복 내부의 온도가 20℃ 이상을 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고, 반드시 하루 한 번 이상 한낮을 이용하여 피복을 벗겨주어 통풍을 시킨다. 기온이 높은 4월 이후에 비닐피복을 실시하면 고온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삼가해야 한다(그림 4). 접종목에 대한 살수작업은 성형종균을 접종한 경우에는 다음날 바로 실시하되 표면이 전체적으로 젖을 정도로 짧게 자주 주며, 에어식균기로 병종균을 접종한 경우에는 접종 1주일 정도 지난 후 접종마개를 벗겨 표고 균사생장을 확인하고 주는 것이 안전하다. 그 이후로는 주기적으로 일주일에 한 번 정도 2∼3시간씩 접종목이 충분히 젖도록 물을 준 후 목재 표면이 마르도록 환기를 시켜준다. 물을 주는 기간 및 시간은 접종목의 수분함량과 접종목 관리방법 및 주변여건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환경조건을 감안하여 살수를 한다. 초기에는 짧게 자주 주며, 이후 간격과 시간을 점차 늘려 나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고균의 생장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본눕히기 전까지 1∼2회 뒤집기 작업을 실시하고, 수시로 접종목 수피를 벗기거나 절단하여 외부, 내부의 표고균 생장을 확인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바로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균사활착 확인 및 생목 관리법 종균 접종 1개월 후에는 접종목 외부, 내부의 균사생장을 확인하여 앞으로의 관리나 본눕히기의 시기를 결정해야 한다. 검사방법은 수피를 벗겨내어 형성층의 균사생장과 접종구멍 주위로 접종목을 세로로 잘라 종균 접종부위의 균사생장을 확인하거나 접종구 외부로 균사가 유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외부로 균사가 생장하거나 외부, 내부 균사생장이 접종구 주위에서 멈춰 있는 생목현상이 관찰되면 다음과 같이 관리한다. 첫째, 접종 초기에 접종목의 온도를 높여주어 수분을 증발시키는 방법으로 접종목이 직접 땅에 닿지 않게 한 후 비닐씌우기를 실시하고 기온이 올라가는 오전중에는 반드시 개폐시킨다. 둘째, 생목현상이 심한 접종목 특히 굴참·신갈나무인 경우는 가능한 5월 초까지 수분 공급을 억제할 필요가 있으며 상수리나무인 경우는 나무표면이 젖을 정도로만 물을 수시로 공급한다. 셋째, 뒤집기 작업을 자주 실시하여 접종목 내부의 수분이 빠지도록 유도한다. 넷째, 장작쌓기에서 우물정자쌓기방식으로 교체한다. 접종목의 과건조 확인 및 관리법 상수리 접종목 중 직경 10㎝ 이하의 미달목이거나 벌채시기가 빠른 (10~11월) 경우 과건조 피해가 많이 발생한다. 하우스 내에서 배양 중에 살수를 거의 하지 않거나, 비가 자주 내리지 않는 해에 살수 시설이 없는 노지에서 자연배양할 경우에도 건조가 심하다. 과건조 확인법은 수피를 망치 등으로 벗겨보아 딱딱한 정도와 절단면의 갈라짐 정도로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주홍꼬리버섯이 대량 발생하고 접종구의 표고균도 사멸될 수 있으므로 수시로 수피를 벗기면서 관찰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접종목 관찰시 주홍꼬리버섯이 대량 발생하고 건조정도가 심하여 균사활착이 저조한 경우 다음과 같이 관리한다. 첫째, 접종목에 주기적으로 살수를 실시하되 한 번에 너무 많은 양을 주지 말고 조금씩 살수량을 늘려준다. 노지에서 배양할 경우 자연비에만 의존하지 말고 수분관리에 신경을 써야 하며, 부득이하게 살수시설을 설치할 수 없는 경우에는 비가 올 때마다 차광망을 걷어서 비를 최대한 맞힐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최대한 낮게 쌓는다. 둘째, 재배 환경이 건조해지지 않도록 피음재의 두께를 높여주고 통풍을 최대한 억제한다. 특히 배양하우스 내에서 배양할 경우 이중 차광망을 설치한다. 셋째, 장작쌓기로 되어 있으면 접종목 전체가 물을 골고루 받을 수 있도록 지면에 최대한 눕혀서 베갯목 쌓기 방식으로 바꾸어 준다. ![]() | |||||||||||||||||||||
|
천마의 특성과 재배 및 기내배양 (0) | 2008.05.08 |
---|---|
표고 병해충 발생환경 및 방제 (0) | 2008.05.08 |
피해야 할 버섯들 (0) | 2008.04.12 |
채취한 버섯 다루는 방법 (0) | 2008.04.12 |
느타리버섯 작업관리일정 (0) | 2008.04.08 |